• 제목/요약/키워드: asthmatic symptoms

검색결과 49건 처리시간 0.024초

기관지 천식 환자의 치료에 성상신경절 차단 효과 -3예 보고- (Effects of Stellate Ganglion Block for the Treatment of Bronchial Asthmatic Patients -3 cases report-)

  • 서재현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8권2호
    • /
    • pp.331-335
    • /
    • 1995
  • Asthma is a disease of the airways that is characterized by increased responsiveness of the tracheobronchial tree to a multiplicity of stimuli. A number of causes have been postulated for the increased airway reactivity of asthma is conservative as beta-adrenergic agonist, methylxanthines, glucocorticoids, anticholinergics and mast cell stabilizing agent. Stellate ganglion block for the treatment of bronchial asthma has its controversies. Stellate ganglion block was performed for the treatment of 3 patients with bronchial asthma. After stellate ganglion blocks, dyspnea, coughing and wheezing was markedly reduced. Lung function test improved with 1 st case. Two asthma cases were able to discontinue medication for asthma. No severe aggrevation of bronchial symptoms were noted after stellate ganglion blocks. It suggested that stellate ganglion block can be safely performed on bronchial asthmatic patients.

  • PDF

Immunologic Basis of Type 2 Biologics for Severe Asthma

  • Soyoon Sim;Youngwoo Choi;Hae-Sim Park
    • IMMUNE NETWORK
    • /
    • 제22권6호
    • /
    • pp.45.1-45.15
    • /
    • 2022
  • Asthma is a chronic airway inflammatory disease characterized by reversible airway obstruction and airway hyperreactivity to various environmental stimuli, leading to recurrent cough, dyspnea, and wheezing episodes. Regarding inflammatory mechanisms, type 2/eosinophilic inflammation along with activated mast cells is the major one; however, diverse mechanisms, including structural cells-derived and non-type 2/neutrophilic inflammations are involved, presenting heterogenous phenotypes. Although most asthmatic patients could be properly controlled by the guided treatment, patients with severe asthma (SA; classified as a treatment-refractory group) suffer from uncontrolled symptoms with frequent asthma exacerbations even on regular anti-inflammatory medications, raising needs for additional controllers, including biologics that target specific molecules found in asthmatic airway, and achieving the precision medicine for asthma. This review summarizes the immunologic basis of airway inflammatory mechanisms and current biologics for SA in order to address unmet needs for future targets.

기관지천식 환자의 효과적인 치료를 위한 청상보하탕(淸上補下湯)의 임상적 관찰 (A Clinical Observation of Chungsangboha-tang's Effects on Asthmatic Patients)

  • 방지현;정희재;정승기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0-25
    • /
    • 2011
  • Objectives : Asthma is considered an inflammation disease characterized by airway hyperresponsiveness and pulmonary eosinophilia. Chungsang boha-tang is a herbal medication which has been frequently used in traditional therapeutic agents for asthma. We aimed to observe the clinical effects of Chungsangboha-tang on blood eosinophil, serum IgE, AST, ALT and pulmonary function in asthmatic outpatients. Methods : The subjects consisted of 66 asthmatic patients who had been treated with Chungsangboha-tang among all the asthmatic patients who visited the 5th Internal Medicine of the Oriental Medicine Hospital of Kyung Hee University from November,2004 to November,2009. We observed blood eosinophil, serum IgE, AST, ALT levels and pulmonary function test results as well as medical records of patients to evaluate the effects. Results : Pulmonary function significantly improved after 8 weeks of treatment, and blood eosinophil and serum IgE level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8 weeks of treatment. AST, ALT levels changed in normal ranges. Chungsangboha-tang was significantly effective on the male patients who had a smoking history and worse initial lab findings. We also observed a significant improvement of pulmonary function and decrease of eosinophil and serum IgE levels in the patient group who had a single treatment of Chungsangboha-tang without steroid therapy. Conclusions : This study shows that Chungsangboha-tang has effects on the improvement of pulmonary function and decrease of eosinophil and serum IgE levels as well as improvement of symptoms. And, 8 weeks of long-term treatment showed no negative effects such as significant increase of AST, ALT levels.

가미청상보하탕 엑기스제의 기관지천식환자의 중증도에 따른 임상효과 (The Clinical Effects of Gamichuongsangboha-tang (Jiaweiqingshangbuxia-tang) extract in Asthmatic Patients Based on Severity)

  • 정승기;정희재;이재성;이건영;정승연;이형구;최준용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10-118
    • /
    • 2004
  • Objectives : Based on the changes of quality of life and pulmonary function test, we aimed to identify the effects and side-effects of Gamichuongsangboha-tang and in asthmatic patients. Methods : The subjects consisted of 30 patients with asthma who were treated with Gamichuongsangboha-tang extract for four weeks. Gamichuongsangboha-tang extract is the extracted powder form of the modified herbal decoction Chuongsangboha-whan, which has been used as the traditional therapeutic agent for asthma. Pulmonary function test (PFT) was checked before and after 4 weeks of treatment. Quality of Life QuestionnaireQ for Adult Korean Asthmatics (QLQAKA) was checked before and after 2 and 4 weeks of treatment. Unpleasant symptoms were checked in all patients at 2 weeks and 4 weeks from the beginning of treatment. Results : Treatment with Gamichuongsangboha-tang extract for four weeks resulted in significant increase in $FEV_{1.0}%$, PEFR%, and QLQAKA. The total efficacy rate of QLQAKA in the patient group was 53.3% after 4 weeks. The QLQAKA of the step 2, step 3, and step 4 groups (n=18, 55.6%) classified by global initiative for asthma (GINA) consistently increased, and significant improvement of QLQAKA occurred in the step3 group. In the step 4 group, FEV1.0%, and PEFR%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 total of 15 patients experienced unpleasant symptoms during the first 2 weeks of treatment, but these symptoms disappeared in all but 2 cases with no need of further treatment during the 2nd 2-week period. Conclusions : This study shows that Gamichuongsangboha-tang extract has effects on improvement of pulmonary function and quality of life, especially in persistent symptomatic asthmatics. Obviously further study concerning all these is still necessary.

  • PDF

자생 돌더덕 추출물에 의한 천식억제 활성의 분석 (Comparison of Anti-asthmatic Activity by Native Codonopsis lanceolata Extract)

  • 이승하;최희정;허진철;이종하;권택규;하상철;이상한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450-455
    • /
    • 2017
  • 돌더덕은 전통의학의 소재로서 기관지염, 기침, 경련, 부종, 간염, 대장염, 폐 손상의 치료로 사용되어 왔다. 돌더덕 추출물의 천식증상 완화를 연구하기 위하여, 먼저 항산화 활성을 비교한 결과, DPPH, FRAP, Cupper 소거활성 실험으로부터 농도 의존적으로 우수한 활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오브알부민 유도의 마우스 천식 동물모델에 적용한 결과, histamine, IL-31, MMP-9의 발현이 현저하게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IL-13, 면역세포수, 호산구의 발현이 73.7%, 73.5%, 80.9% 정도 억제되었다. 이의 결과로, 돌더덕 추출물은 오브알부민 유도의 마우스 천식 동물모델에서 탁월한 천식 효과를 나타내므로 항천식 식품소재나 바이오소재로의 개발이 기대된다.

곽향(藿香)의 난알부민으로 유도된 천식 마우스에서의 천식개선 효능연구 (Effects of Agastachis Herba extract on OVA-induced allergic asthma in mice)

  • 강석용;박용기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1-12
    • /
    • 2015
  • Objectives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Agastachis Herba water (AH-W) extract on compound 48/80-induced mast cell degranulation and histamine release in human mast cells and also anti-asthmatic effect of AH-W extract on ovalbumin (OVA)-induced asthma in mice. Methods : Human mast cells, HMC-1 were treated with AH-W extract in the presence or absence of compound 48/80 (C48/80). Mast cell degranulation was observed by microscope, and the histamine release was measured in culture medium by ELISA. For preparation of asthmatic in vivo model, mice were sensitized (0, 7, and 14 days) with OVA and airway challenged (21, 23, 25, 27, and 29 days). AH-W extract at doses of 100 and 300 mg/kg/body weight was orally administered during OVA challenge once per a day. The levels of immunoglobulin (Ig) E, and Th1/Th2 cytokines, IFN-$\gamma$ and IL-4 were measured in the sera of mice by ELISA. The histopathological change of lung tissues was observed by hematoxylin and eosin (H&E) and Periodic Acid Schiff (PAS) staining. Results : The treatment of AH-W extract significantly decreased the mast cell degranulation and histamine release in C48/80-stimulated HMC-1 cells. In addition, The administration of AH-W extract at does of 100 and 300 mg/kg significantly decreased the serum levels of OVA-specific IgE compared with those of OVA control group. In H&E and PAS staining, AH-W extract inhibited OVA-induced airway inflammation, and inflammatory cells infiltration, and also histopathological damages on lung tissues such as bronchiole epithelial desquamation, goblet cells hyperplasia, and mucin releasing. Conclusions :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H-W extract may improve asthmatic symptoms through mast cell stabilization and inhibiting the lung inflammation in bronchial asthma.

소양인(少陽人) 범론(泛論)의 동출일속(同出一屬)병증에 대한 고찰 (An assumption about the symptoms that have same pathologic pattern with the point of view, So-Yang-In's general pathology)

  • 장현록
    • 사상체질의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55-63
    • /
    • 1998
  • The symptoms that have same pathologic pattern written in the chapter of Soyangin's general pathology of the book 'Dongyi Soose Bowon' can give us a key to the Dr.Lee Je-Ma's point of view about the constitutional pathophysiology. As the result, Dr. Lee called the person who has yang-hyperactivity/yin-hypoactivity as So-Yang-In. And the Soyangin has two basic pathologic pathway ; excess of Yang-hyperactivity/excess of Yin-hypoactivity. Each pathologic pathway has variatons though, the pathologic pattern results in above two type. Excess Yin-hypoactivity has three variations of pathologic pattern. 1. smaller excess of Yin-hypoactivity with the normal range of Yang-hyperactivity 2. larger excess Yin-hypoactivity with the excitation of Yang-hyperactivity by the extrinsic factor 3. smaller excess Yin-hypoactivity with the loss of Yang-hyperactivity. And excess Yang-hyperactivity also has three variations. In my point of view, CVA, Hematemesis, Vommiting, Abdominal Pain, Gastric Dyscomfort has No.3 type and Asthmatic condition, Dysentery, Edema has No.1 type.

  • PDF

급성 발작으로 내원한 성인 천식 환자에서 Nebulized Budesonide의 임상적인 효과와 시상하부-뇌하수체-부신 축에 대한 작용 (Clinical Validation of Nebulized Budesonide and Effect of Nebulized Budesonide on the Hypothalamic-Pituitary-Adrenal Axis in Adult Patients Admitted with Acute Asthmatic Attack)

  • 서기현;문승혁;김용훈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2권5호
    • /
    • pp.529-538
    • /
    • 2002
  • 배 경 : 급성 천식발작 치료의 근간을 이루는 전신성 스테이로드는 골다공증, 쿠싱증후군, 당뇨, 고혈압, 출혈성 경향 등의 합병증으로 초기에 흡입용 스테로이드 사용이 추천되고 있다. 흡입성 스테로이드에는 정량분무식 에어로졸(MDI)나 분말형 흡입제(DPI), 무화에어로솔(nebulized aerosol)를 사용해오고 있는데 소아나 노인, 호흡곤란이 아주 심한 성인 환자에서는 무화 에어로졸(nebulized aerosol)을 이용한 budesonide흡입이 효과적일 수 있다. 이에 급성 발작으로 내원한 성인 천식 환자에 nebulized budesonide를 적용했을 때의 임상적인 효과와 스테로이드 보존 효과, 스테로이드의 부작용 중 하나인 시상하부-뇌하수체-부신 축의 이상에 대한 영향을 알고자 하였다. 방 법 : 1. 2000년 6월부터 2001년 9월까지 입원한 기관지 천식, 천식을 동반한 만성 폐질환 환자를 선택하여 1군은 전신성 스테로이드와 nebulized budesonide 2mg을 사용한 군, 2군은 전신성 스테로이드와 budesonide turbuhaler를 사용한 군, 3군은 단지 전신성 스테로이드만을 사용한 군으로 나누고서 최대호기유속, 대기중 동맥혈가스검사, 폐기능검사, 증상지수(호흡곤란, 기침, 야간천식, 천명음), 스테로이드 총량, 입원기간를 기록하여 분석하였다. 2. 내원 10일전부터 어떤 종류의 스테로이드도 쓰지 않았던 환자를 선택하여 budesonide turbuhaler와 nebulized budesonide를 사용한 군으로 나누어 24시간 소변내 코타솔 수치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결 과 : 1. 임상효과: 순수한 천식환자에서 증상 지수(호흡곤란, 천명음, 기침, 야간천식), 스테로이드 용량, 재원일수, 폐기능 소견, 최대호기유속, 동맥혈가스검사에서 세군간의 차이가 없었고, 천식을 동반한 만성 폐쇄성 폐질환환자를 대상으로 비교했을 때도 세균간의 차이는 없었다. 2. 시상하부-뇌하수체-부진 축의 효과 : nebulizer budesonide 사용군은 turbuhaler 사용군과 마찬가지로 부신축의 억제효과가 있으나 두 군간에 차이는 없었다.(p=0.288) 결 론 : 성인 천식환자에서 급성 발작시 budesonide 형태에 관련없이 전신성 스테로이드만이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고, 치료 용량의 nebulizer 사용군에서 turbuhaler 사용군과 마찬가지로 시상하부-뇌하수체-부신 축에 대한 억제작용이 있었다.

천식 환아와 보호자를 대상으로 한 집중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s of an intensive asthma education program on asthmatic children and their caregivers)

  • 서강진;김건하;유병근;여윤구;김종훈;심으뜸;윤미리;유영;정지태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1권2호
    • /
    • pp.188-203
    • /
    • 2008
  • 목 적 : 천식은 만성적인 질환으로 일상생활에서 적절한 치료와 관리를 수행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천식 환아와 보호자 모두의 노력이 필요하다. 이에 천식 환아와 보호자를 대상으로 천식 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그 효과를 평가해 보고자 하였다. 방 법 :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소아 알레르기 클리닉에서 천식으로 진단 받은 환아들 중 천식 집중 교육 프로그램에 참가한 15가족을 교육 참가군으로 선정하였고, 교육 프로그램에 참가하지 않은 천식 환아 15가족을 대조군으로 하였다. 교육 참가군은 프로그램 시작 직전과 3개월 후, 대조군은 같은 기간에 3개월의 간격을 두고 각각 2회씩 설문조사를 시행하여 천식 환아와 보호자의 천식관리 이행 정도와 천식 인식도, 천식 환아의 자기 효능감 및 삶의 질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결 과 : 교육 참가군에서 교육 프로그램 참가 후 천식 환아의 자가관리 이행 정도(교육 전; 27.1점 vs. 교육 후; 32.2점, P=0.011), 천식 인식도(14.2점 vs. 17.9점, P<0.001), 자기 효능감 평가 항목(42.2점 vs. 45.0점, P=0.091) 중 문제 해결 능력(12.5점 vs. 14.2점, P=0.012), 삶의 질(79.6점 vs. 88.6점, P<0.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점수가 높아졌으며 보호자의 천식관리 이행 정도(39.9점 vs. 42.1점, P=0.199)와 천식 인식도(15.8점 vs. 16.9점, P=0.178)는 약간 높아졌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대조군에서는 천식 환아의 천식 인식도 중 천식의 급성 증상과 만성질환으로서의 천식에 대한 이해(4.1점 vs. 5.2점, P=0.025)와 삶의 질 중 정서적 활동(77.7점 vs. 84.3점, P=0.023)에 대한 영역에서 유의하게 점수가 증가하였으나 다른 항목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보호자의 천식관리 이행 정도와 천식 인식도에서는 변화가 없었다. 결 론 : 천식 집중 교육 프로그램을 통하여 천식 환아들의 삶의 질, 자가 관리 이행 정도, 자기 효능감, 천식 인식도 등을 향상 시킬 수 있었으며, 이러한 프로그램을 더욱 많이 개발하고 시행하여 천식 환아들의 천식 관리가 잘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설파이트(Sulfite) 과민성 천식 환자의 임상적 특성에 관한 연구 (Clinical Features of Sulfite-Sensitive Asthmatics)

  • 조영수;백수흠;박해심;유남수;조동일;김재원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39권2호
    • /
    • pp.159-166
    • /
    • 1992
  • 연구배경 : 설파이트제제는 음식물, 음료 그리고 기관지확장제를 포함한 여러 의약품 등에서 방부제 및 산화방지제로 널리 사용되는 첨가제이나, 아낙필락시스, 담마, 혈관부종, 복통, 기관지경련등의 부작용이 보고된 후 그 사용을 제한하게 되었다. 여러 저자들에 의해서 스테로이드 의존형 기관지 천식환자에서 설파이트 과민성에 대한 보고가 있어, 이에 저자들은 설파이트 과민성 천식으로 확진된 환자들의 임상적 특성을 관찰하고자 하였다. 방법 : 스테로이드 의존형 기관지 천식 환자 17명에서 설파이트(sodium bisulfite) 경구 유발시험을 실시하여 10명의 설파이트 과민성 천식 환자를 확진하고 그들의 임상적 특성을 살펴보았을 때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결과 : 1) 임상증상으로 기관지 천식과 비염증세가 동반된 경우가 8예 였으며, 천식만 가진 경우가 2예, 담마진을 동반한 경우는 없었다. 병력상 음식이나 약물 복용시 천식 증상이 악화된 경우가 8예 있었으며 이들 환자 모두에서 내원 당시 경구 스테로이드를 필요로 하는 심한 스테로이드 의존형 기관지 천식이였다. 또한 아스파린 과민성을 동반한 경우도 4예 있었다. 2) 검사실 소견상 천식 발작 당시 평균 혈중 총호산구수는 $844/mm^3$였고, 총 IgE-PRIST 치가 1000 IU/ml 이상으로 상승된 경우가 1예 있었다. 알레르기 피부반응 검사 및 IgE-RAST는 10예 모두에서 음성으로 내인성 천식 소견을 나타내었으며, 메타콜린 기관지 유발시험상 대부분이 낮은 농도 (0.22~2.1 mg/ml)에서 양성반응을 나타냈었다. 3) Sodium bisulfite (100 mg/ml) 피부 단자시험상 6예중 3예에서 양성 반응을 나타내었으며, sodium bisulfte 경구 유발검사상 50내지 100mg 투여후 전 예에서 30분이내 즉각적으로 심한 기관지 수축 반응이 관찰되었다. 4) 이들 환자를 천식에 관한 약물치료와 함께 설파이트가 포함된 음식물과 약제를 피하면서 추적 관찰(1~18개월) 한 결과, 대부분 (90%)의 환자에서 경구 스테로이드 요구량이 50%이상 감소하거나 끊을 수 있었다. 결론 : 이상의 결과로 임상 증상이 심한 스테로이드 의존형 내인성 천식 환자들에게는 설파이트에 대한 과민성 유무를 조사하고 이에 대한 적절한 치료 및 대응이 필요할 것으로 여겨진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