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ssistive technology(AT) devices

검색결과 29건 처리시간 0.022초

장애학생 보조기기 사용 실태 (Status of Assistive Device Availability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

  • 조병모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33-39
    • /
    • 2023
  •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status of the efficient supply of assistive device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METHODS: A complete investigation was conducted on the request and supply of assistive device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t th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Welfare. The subjects were 112 students with disabilities who applied for assistive device rental. The status of the supply of assistive devices according to the type of disability was investigated. The overall satisfaction with learning support was measured. The questionnaire content was categorized into the following three factors to determine learning support satisfaction: support overall (role, staff, facilities) learning support (learning support, learning counseling, life consultation), assistive device supply (counseling, rental, uses, rental period, maintenance services). RESULTS: The most common type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was physical disabilities 62 (29.38%) and hearing impairments 62 (29.38%).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and brain lesions rented manual and electric wheelchairs the most. Learning support satisfaction was evaluated considering the factors support overall, learning and assistive device supply effects. satisfaction of learning support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83.5 points. CONCLUSION: The satisfaction with assistive device supply appears to be relatively lower than support overall. Each university will gradually secure assistive devices that suit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일본의 시각장애인을 위한 촉각디스플레이 개발 (Development of Tactile Display for the Blind in Japan)

  • 한성민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4권1호
    • /
    • pp.63-70
    • /
    • 2010
  • 시각장애인을 위한 보조공학(Assistive Technology : AT)의 연구개발은 보행과 정보 접근을 위한 것이 대부분이고, 특히 정보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음성도서용 DAISY플레이어나, 컴퓨터 화면을 읽어 주는 스크린 리더, 저시력자용 독서확대기, 점자 및 점자정보단말기 등이 상품화되어 오늘날 많은 시각장애인들에게 필수적인 보조공학기기로 자리 잡고있다. 시각장애인들이 사용하는 보조공학은 촉각이나 청각을 이용하여 시각 기능을 대행하기 때문에 감각대행기라고도 한다. 촉각을 이용한 감각대행기인 점자디스플레이와 점자정보단말기는 점자 형성을 위한 액츄에이터로 압전 소자로 만든 바이몰프가 사용되며, 점자셀의 점자(핀)는 바이몰프의 상하 운동에 의해 형성된다. 점자 셀은 휴대용 점자정보단말기에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소형화 및 저가격화가 관건이 되며 현재는 일본의 KGS사가 세계 점자 셀(Cell) 시장의 80% 이상을 점유하고 있다. 본 연구진은 2003년에 저가/소형 원반형 점자디스플레이를 개발하여, 세계 최초로 제품화에도 성공한 바있다. 본고에서는 일본의 점자정보단말기를 비롯한 촉각디스플레이의 연구개발에 대해 검토하고 촉각을 이용한 감각대행 제품의 하나로서, 본 연구진이 개발한 원반형 점자디스플레이에 대해 고찰한다.

장애인보조기구센터의 공적급여 연계 현황과 시사점 연구 (The Study on the Present Status and Implications of Public Benefits linkage in Assistive Technology Center)

  • 이진현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8권3호
    • /
    • pp.221-226
    • /
    • 2014
  • 본 연구는 현재 운영되고 있는 광역 보조기구센터의 공적급여 연계 현황을 분석하고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각 보조기구센터가 공적급여 사업에서 연계하고 있는 서비스 단계 및 주요 연계 부분들을 파악하였고, 지역사회에서 실시하고 있는 수리사업의 현황과 연계 현황 그리고 각 서비스에 필요한 공급 업체 연계에 대한 현황을 조사하였다. 이를 통해 나타난 결과는 공적급여는 보조기구 정보제공 수준에서의 연계가 가장 많았다. 수리사업은 모든 센터들이 실시하지만 경 정비 수준의 수리를 일반적으로 수행하였고, 지역사회 전문 수리 업체와 연계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실정이었다. 공급 업체 연계는 지역별로 차이가 많이 나타났다. 이를 통해 전문센터에 보다 다양한 보조기구의 확충을 통한 공적급여 정보제공의 질적 향상과 지속적인 공적급여 지원 기관과의 긴밀한 교류가 필요하며, 연계의 효과성을 분석하여 정책 수립의 근거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 PDF

소아물리치료사와 소아작업치료사의 보조공학 활용 수준 및 자신감 (A Study on Assistive Technology for Pediatric Therapists)

  • 김경아;정동훈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25권1호
    • /
    • pp.1-9
    • /
    • 2013
  • Purpose: This study sought to identify the utilization and confidence in assistive technology (AT) for pediatric physical therapists (PPTs) and pediatric occupational therapists (POTs)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the utilization of AT in clinics.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67 therapists (98 PPTs and 69 POTs) who work at general hospitals, welfare centers, facilities for the disabled, and special education school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he frequency analysis and chi-squared test were used. Results: This study found that both PPTs and POTs recognize that AT benefits infants with disabilities; however, they show low confidence in using AT. Applications of AT are concentrated on wheelchairs for mobility and assistance with seating position, with orthotics/prosthetics for both purposes. POTs were found to use a wider variety of AT devices. While both PPTs and POTs frequently select/recommend devices, both groups are less involved with delivery methods, manufacture of devices, and education on AT use. Conclusion: These findings show the actual conditions of utilization and confidence in AT of PPTs and POTs deeply involved with AT, and emphasize that AT training is essential for pediatric treatment by comparing domestic and foreign studies.

4가지 선회보조 장치가 운전 성능에 미치는 영향: 장애 유무와 운전면허 유무에 따른 비교 (Influence of Four Types of Steering Assistive Devices on Driving Performance: Comparison of Normal and Disabled People with and without Driver's License)

  • 송정헌;김용철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32-42
    • /
    • 2017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driving performance of Healthy and disabled groups (with or without driver's license) to control steering wheel by using steering assistive devices in the driving simulator. The persons with partial loss of use of all four limbs have problems in operation of the motor vehicle because of functional loss to operate steering wheel. Therefore, if steering assistive devices for grasping the steering wheel are used to control the vehicle on the road in persons with disabilities, the disabled persons can improve mobility in their community life by driving a motor vehicle safely. Ten healthy subjects (with or w/o driver's license) and ten subjec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with or w/o driver's license) were involved in this study to evaluate driving performance to operate steering wheel by using four types of steering assistive devices (Single-pin, V-grip, Palm-grip, Tri-pin) in driving simulator. STISim Drive 3 software was used to test the steering performance in four scenarios: straight road at low and high speed of vehicle (40 km/h and 80 km/h), curved road at low and high speed of vehicle (40 km/h and 80 km/h). This study used two-way ANOVA in order to compare the effects of two factors (type of steering assistive device and subject group) in the three dependent variables of driving performance (the lateral position of vehicle, standard deviation of lateral position representing the variation of the left and right movement of the vehicle and the number of line crossing). The mean values of the three dependent variables (lateral position, standard deviation of lateral position, the number of line crossing) of steering performanc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smaller for the healthy or disabled groups with driver's license than the other groups without driver's license on the curved road at high speed of vehicle compared to low speed of vehicle.

스웨덴 장애인 보조기구 제공 시스템에 대한 소고 (A Report of the Assistive Technology Service Operating System for the Disabled in Sweden)

  • 최영순
    • 재활복지
    • /
    • 제18권4호
    • /
    • pp.25-45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스웨덴의 장애인 보조기구 제공 시스템을 검토하고, 우리나라의 장애인 보장구건강보험 급여정책 대안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제공하고자 하였다. 스웨덴에서는 장애인구의 약 10%가 보조기구를 사용하고 있는데, 보조기구 제공을 위해서 중앙정부, 지역정부(란스팅 21개)와 지방정부(콤뮨 290개)의 역할을 명확하게 구분하여 효율적이고 체계적으로 운영하고 있다. 보건사회부 산하의 보건복지국가위원회에서는 지식기반 지침을 개발하고, 장애인정책개발국에서는 장애인 보조기구 정책을 모니터링하며, 장애인 보조기구기술연구소에서는 보조기구 개발연구 및 평가와 보조기구 전시장을 운영한다. 또한, 지역정부(란스팅)와 지방정부(콤뮨)는 보조기구 대여 및 추후관리를 담당하는데, 지역정부(란스팅)별로 보조기구센터를 운영하며 작업치료사, 물리치료사, 심리치료사, 간호사가 처방을 담당한다. 특기할 점은 장애인 보조기구를 무료로 대여하고 추후 관리를 하고 있다는 것과 사용이 끝난 보조기구는 회수하여 재활용을 하고 있다는 것이다. 또한, 처방자격자가 장애진단 담당의(우리나라 시스템)가 아니라 지역 및 지방정부에서 고용한 전문 인력이므로 대상자의 상태를 잘 파악하여 처방을 하고 추후 관리가 가능하다는 점이다.

국산 의료기기 사용률과 사용자 및 관리자 인식 조사를 통한 국산 의료기기 개선 방안 (Suggest Improvement for Medical Device Made in Korea by the Investigation of Domestic Medical Device Percentage and Survey of Medical Device Users and Manager)

  • 이정현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299-306
    • /
    • 2017
  • 국산 의료기기 산업에 대한 다양한 투자와 신기술 도입에 따라 국내의료기기 산업은 비약적인 증가를 하고 있으나 국내 대형의료기관의 국산의료기기 사용률은 여전히 저조한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 대형병원에서의 국산 의료기기 사용률과 사용자 및 관리자의 인식조사를 수행하여 국산의료기기의 개선점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4곳의 국립대학교병원을 대상으로 전체 의료기기의 종류와 국산 의료기기 사용률에 대한 조사를 진행하고 이를 바탕으로 의료기기 중 중점조사 대상 의료기기를 선정하였다. 중점조사대상 의료기를 대상으로 고장통계와 사용자 인식조사를 수행하였으며 이를 통해 중점조사대상 의료기기의 개선사항을 제시하였다.

착용형 유헬스 디바이스의 전기·기계적 안전성 가이드라인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Guideline in the Electrical and Mechanical Safety of the Wearable U-Health devices)

  • 황인호;강보규;김동근;유선국;차지훈;허찬회;박기정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4권1호
    • /
    • pp.1-8
    • /
    • 2010
  • 의료기기와 IT융합기술의 접목으로 인해 언제 어디서나 건강에 대한 측정을 가능하게 하였다. 또한, 최근에는 다양한 형태의 유헬스 의료기기가 개발되어 일상생활과 가정에서 자연스러우며 편리한 건강변수 측정이 가능하며, 디바이스의 보급과 더불어 이를 응용한 유헬스 디바이스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우선되고 있는 현재, 이에 대한 안전성 확보 및 성능평가 기준 마련은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시판전의 시험검사나 시판후의 수거 검사시에 안전성 및 성능평가를 위한 표준시험방법 개발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유헬스 디바이스에 대한 전기적 안전성 평가를 위한 필수시험 및 성능평가를 위한 표준시험방법을 연구하였다.

장애인을 위한 데이지 도서 기반 독서보조기기 개발의 경제적 타당성 연구 (A Study on the Economic Feasibility of Developing Daisy Book Based Reading Assistive Device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 임순범;박주현;이종우;육주혜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279-285
    • /
    • 2017
  • 본 연구는 데이지 독서보조기기 개발 사업 추진함에 따라 발생되는 비용과 효과를 추정하여 타당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필수 기능만을 탑재한 저가의 데이지플레이어기기의 경우 하드웨어/시제품 및 소프트웨어 개발비용은 총 \307,101,664원으로 추정 되며, 생산비는 대당 \112,000원이 될 것으로 추정되었다. 데이지뷰어소프트웨어 및 입출력 보조기기의 경우 애플리케이션 개발비용은 총 \284,294,080원으로 추정되었으며, 입출력보조기기는 대당 \6,600원에 구매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경제적 파급 효과를 파악하여 데이지 독서보조기기 개발 사업 추진이 장애인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 결과는 사업의 추진여부에 대한 검토의 근거 자료로 향후 사업 진행 시 환경 변화에 따른 능동적 대처를 위해 유용한 정보가 되기를 기대한다.

의료기기 안전에 관한 대학병원 의료인들의 인식과 행동에 관한 연구 (Perception and Behavior Regarding the Safety of Medical Devices among Medical Personnel at a Tertiary Care Hospital)

  • 임지혜;김규성;김새롬;김영순;이훈재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287-297
    • /
    • 2017
  • 본 연구는 의료기기 안전성에 관한 의료인들의 인식(지식, 태도)과 행동에 관한 기초현황을 파악하여 보고, 직종 간 차이를 평가해보기 위한 탐색적 조사연구이다. 인천광역시에 소재한 900병상 규모의 상급종합병원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여 220명의 응답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연구대상 의료인들은 대체적으로 의료기기 종류에 따른 잠재적 위험성에 대한 인식이 갖춰져 있고, 의료기기 안전성 교육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었다. 또한 의료진들의 직종 간 의료기기 안전성에 관한 인식의 차이를 살펴봤을 때, 등급 높은 의료기기를 주로 사용하지만 의료기기 안전에 관한 인식이 가장 낮은 전공의를 대상으로 하는 의료기기 안전교육의 필요성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향후 전국규모의 연구를 통하여 자료의 질을 향상하고 결과의 수준을 높이며, 이를 바탕으로 의료기기 안전성 관리에 있어 정책적, 교육적 기반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