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spartic acid

검색결과 1,233건 처리시간 0.037초

땅콩과 땅콩새싹 추출물의 resveratrol과 aspartic acid 함량분석 및 지방세포분화 억제효능 (Resveratrol and Aspartic acid Contents and Antiadipogenic Effect of Peanut and Peanut Sprout Extracts)

  • 이현희;최상윤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395-402
    • /
    • 2021
  • 식품산업 활용성을 고려하여 땅콩과 땅콩새싹의 열수와 주정 추출물을 제조하고 추출물내 resveratrol과 aspartic acid 함량을 UPLC-MS/MS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땅콩새싹의 주정 추출물이 가장 높은 resveratrol과 aspartic acid 함량을 나타내었다. 또한 땅콩새싹의 주정 추출물은 3T3-L1 세포에 처리시 지방세포분화를 유의적으로 억제하였다. 따라서 땅콩새싹의 주정추출물은 기능성식품소재로 활용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땅콩의 발아조건 및 추출 시간과 온도에 따른 활성성분 함량을 측정하여 최적의 활성성분 추출조건을 확립하는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다.

재배기간에 따른 콩나물의 아미노산 조성 변화 (Amino Acid Composition Changes in Soybean Sprouts during Cultivation)

  • 송범석;김민정;김강성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681-687
    • /
    • 2010
  • 본 연구는 국내산 나물콩(쥐눈이, 수박태, 유태, 백태)의 재배기간에 따른 아미노산 조성변화를 조사하기 위해 수행 되었다. 재배기간에 따른 시료 콩나물의 총 아미노산 함량 분석 결과 모든 시료에서 1일째 다소 감소하였으나 재배기간이 증가할수록 완만히 증가하였다. 재배일수에 따른 콩나물 부위 별 아미노산 조성분석 결과 0일차 원료콩의 전체 아미노산 중 glutamic acid과 aspartic acid이 30% 이상으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며, 쥐눈이는 5일 이후 그리고 나머지 품종들은 3일째 이후부터 배축과 뿌리의 aspartic acid 함량이 급격하게 증가한 반면 자엽의 glutamic acid는 현저히 감소하였다. 또한 aspartic acid 함량비는 부위별로는 배축, 뿌리, 자엽의 순으로 높았으며 품종별로는 유태, 백태, 쥐눈이, 수박태 순으로 높았다.

싸리버섯의 정미성분(呈味成分)과 Mineral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y on the tasty constituents and minerals in Clavariaceae botrytis)

  • 서정희;조수열;이성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17-21
    • /
    • 1974
  • 싸리버섯의 정미성분(呈味成分)인 유리 amino acid 유기산 유리당과 무기성분의 종류를 검소(檢素)하고 함량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유리 amino acid로서 isoleucine valine threonine alanine methionine cysteine glutamine histidine glutamic acid aspartic acid 등(等)이 존재하고, 이 가운데서 aspartic acid가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어서 싸리버섯의 amino acid를 aspartic 계로 보았다. 2) 유기산으로서 succinic acid citric acid malic acid fumaric acid 등(等)이 존재하고 이 가운데서 succinic acid가 가장 많았다. 3) 유리당으로서 fructose glucose sucrose maltose 등(等)이 존재하고 이 가운데서 glucose sucrose가 전(全) 당(糖)의 80% 이상(以上)이었다. 4) 무기성분으로서 atomic absorption spectrophotometer에 의(依)하여 K Na Mg Ca Cu Mn Zn Fe을 검출 정량하였고, 발광분광분석으로 다시 Al B Bi Ag Ti Sr Cr Pb 등(等)을 검출할 수 있었다. 이들 무기성분 가운데서 K가 가장 많았으며, Ca의 양(量)이 극히 적음이 주목되었다.

  • PDF

피맥품종별(皮麥品種別) 정맥중(精麥中) 아미노산(酸) 조성(組成) (Varietal Difference in Amino Acid Composition of Polished Barley)

  • 박훈;양차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129-135
    • /
    • 1976
  • 대맥(大麥) 16개(個) 품종(品種)(단백질함량(蛋白質含量) 최고(最高) 15.4%에서 최저(最低) 6.1%)의 정맥중(精麥中) amino산(酸)의 조성(組成)과 이들 상호간(相互間) 및 이들과 단백질(蛋白質)과의 상관(相關) 관계(關係)는 다음과 같았다. 1) 제한(制限) amino 산(酸)은 lysine 이었으며 threonine과 tyrosine이 적고 leucine과 phenylalanine이 특히 많은 편이며 필수(必須) amino산(酸) 총량(總量)은 많은 편이다. 2) 단백질(蛋白質)은 단백질당(蛋白質當) amino산(酸) 함량(含量)과의 상관(相關)에서 lysine, arginine, total basic amino acid와 1%수준에서 threonine, alanine 및 aspartic acid와 5%수준에서 유의부상관(有意負相關)을, phenylalanine과 1%수준에서 proline, cystine과 5%수준에서 유의정상관(有意正相關)을 갖는다. 3) Lysine은 arginine 및 aspartic acid가 유의정상관(有意正相關)을 보이므로 대맥(大麥)에서도 aspartic acid가 lysine 대사에 관련됨을 시사하며 다수성(多收性) 품종(品種) 또는 다비조건(多肥條件)은 aspartic acid pool을 상대적으로 감소시킬 가능성이 있고 그 결과로 lysine이 적어지는 것같다. 4) Lysine은 색소결합능(色素結合能)(Dye binding capacity)과 유의정상관(有意正相關)을 보였다. $(r=0.7377^{**})$ 5) Tryptophan은 histidine, 염기성 amino산총량(酸總量) 및 arginine 과만 유의정상관(有意正相關)을 보였다. 6) 필수(必須) amino산(酸) 중(中) lysine, tryptophan, threonine, valine은 같이 증감하며 함황(含黃) amino산(酸)과 방향성(芳香性) amino산(酸) 및 isoleucine, leucine은 이들과 반대로 증감한다.

  • PDF

일산화탄소 중독이 뇌내 아미노산 신경전달물질 함량변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arbon Monoxide Intoxication on the Changes in Contents of Amino Acid Neurotransmitter of Rat Brain)

  • 정민정;박송자;이선희;윤재순
    • 약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323-333
    • /
    • 1990
  • To study influence of carbonmonoxide (CO) poisoning on the content of amino acid neurotransmitter in brain, male rat was exposed to CO 5000 ppm for 30 minutes (60-75% HbCO). Aspartic acid and glutamic acid level in the cerebral cortex and aspartic acid level in the striatum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GABA level in the cerebral cortex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the 30 and 60 minutes of CO intoxication. Taurine level in both the cerebral cortex and the striatum was increased although nonsignificant. Consequently, the CO-induced hypoxia brain showed lower level of excitatory neurotransmitter, aspartic acid and glutamic acid and higher level of inhibitory neurotransmitter, GABA and taurin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change in content of amino acid neurotransmitter in the rat brain may be concerned with several CO poisoning symptoms.

  • PDF

ʟ-아르기닌과 ʟ-아스파라긴산 혼합이 NaCl 짠맛 향상에 미치는 영향 (Combination Effect of ʟ-Arginine and ʟ-Aspartic acid on Saltiness Enhancement of NaCl Solution)

  • 김용덕;박정하;박복준;인만진;박동철;오남순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7권3호
    • /
    • pp.251-254
    • /
    • 2014
  • $\small{L}$-arginine ($\small{L}$-Arg)을 짠맛 증강소재로 활용하기 위하여 전자혀 분석으로 $\small{L}$-Arg의 맛 특성을 조사하고, $\small{L}$-Arg의 강한 쓴맛을 억제하기 위하여 $\small{L}$-aspartic acid ($\small{L}$-Asp)을 혼합하였다. 0.4% NaCl 용액에 $\small{L}$-Arg과 $\small{L}$-Asp를 혼합하여 전자혀 시스템으로 분석한 결과 $\small{L}$-Arg과 $\small{L}$-Asp의 혼합을 다르게 한 경우, 동일한 $\small{L}$-Arg 농도에서 $\small{L}$-Asp의 비율이 감소함에 따라 NaCl의 짠맛 상승효과는 증가하였다. 관능평가에서 짠맛은 동일한 경향이었으며, $\small{L}$-Asp의 첨가로 $\small{L}$-Arg의 쓴맛이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small{L}$-Arg과 $\small{L}$-Asp 혼합물은 짠맛 증강소재로 활용될 수 있으며, $\small{L}$-Arg의 쓴맛을 상쇄하기 위한 최적의 혼합비율은 $\small{L}$-Arg : $\small{L}$-Asp =1.00:0.98-1.00 범위가 적합하였다.

기액반응에서 형성된 탄산칼슘 결정의 다형성에 미치는 Aspartic acid와 Lysine의 영향 (Effect of Aspartic Acid and Lysine on Polymorphism of Calcium Carbonate Crystal Formed by Gas-Liquid Reaction)

  • 송성문;성백인;구지회;김인호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9권1호
    • /
    • pp.109-113
    • /
    • 2011
  • 탄산칼슘의 Biomineralization 반응을 수행하기 위해 aspartic acid와 lysine을 $CaCl_2$ 용액에 첨가하여 기-액 반응으로 염화칼슘과 $NH_4HCO_3$을 사용하여 탄산칼슘 결정화 실험을 하였다. 결정화 반응시간, aspartic acid와 lysine의 첨가양, $CaCl_2$의 양, $NH_4HCO_3$의 양을 변경하여 탄산칼슘 결정의 다형체인 calcite와 vaterite의 비를 조사하였다. 결정 분석을 수행하기 위해 FT-IR spectrometer(model IR Prestige-21, Shimadzu, Kyoto, Japan) 장치를 사용하였고 FT-IR 스펙트럼으로 calcite와 vaterite 결정을 확인하였다. $CaCl_2$의 양을 변경하였을 때, $NH_4HCO_3$ 10 g에서 0.15 M의 $CaCl_2$ 농도 전후에서 vaterite 결정의 증가가 감소로 변하다가 0.20M에서는 다시 증가하여 0.25 M에서 가장 많은 vaterite 결정이 관찰되었다. $NH_4HCO_3$ 20 g에서는 0.10 M의 $CaCl_2$를 전환점으로 하여 vaterite 결정이 증가에서 감소추세를 보이다가 0.25M에서 다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첨가제로 lysine을 이용하였을 때는 반응시간이 2일을 기점으로 vaterite양의 증가가 감소로 변하였고 aspartic acid를 첨가하였을 때는 반대의 경향을 보였다.

담배(Nicotiana glauca Graham) Callus 배양시 Nicotine 생성에 미치는 2,4-D 및 NAA의 영향 (Effects of 2,4-D and NAA on Nicotine Production during Callus Culture of Nicotiana gluauca Graham)

  • 여읍동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4권2호
    • /
    • pp.101-106
    • /
    • 1991
  • 담배(N. glauca) 잎 절편 유래 callus 배양에 있어서 callus 생장 단계에 따라 nicotine 생성에 미치는 두 가지 auxin (2,4-D와 NAA)의 영향을 HPLC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고농도($11.5\;\mu\textrm{M}$)의 2,4-D는 배양 4주째에, NAA는 배양 2주째에 nicotine 생성을 촉진시켜 최대함량을 나타내었고, 그 이후로는 감소하였다. 새성된 nicotine이 다른 alkaloid로 전환되었다. 한편, 전구물질로 알려진 L-arginine 또는 L-aspartic acid 첨가배양에서 저농도($1.5\;\mu\textrm{M}$)의 2,4-D는 고농도에 비해 nicotine 생성을 촉진시켰고, 저농도의 NAA는 고농도에 비해 억제시켰다. 그러나 L-aspartic acid 첨가배양에서 저농도의 NAA는 배양 5주까지 nicotine 생성을 촉진시켰다. 이와 같은 결과로부터 두 가지 auxin은 nicotine 생성에 대해 효과가 다르며, L-aspartic acid가 nicotine 생합성의 전구물질로서, 저농도의 NAA는 이 합성경로에 작용하여 nicotine 생성을 유도하였음을 추론할 수 있었다.

  • PDF

유자중(柚子中) Amino Acids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Contents of Amino Acids in Citrus Junos Sieb)

  • 정지흔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5권2호
    • /
    • pp.175-180
    • /
    • 1972
  • 유자(柚子)의 성분(成分)인 Amino acid의 함유량(含有量)을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유자(柚子)와 하귤(夏橘)을 각각(各各) 비교(比較) 검토(檢討)하였든 바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기에 이에 보고(報告)하는 바이다. 1 유자(柚子)나 하귤중(夏橘中)에 총(總) Amino acid수(數)는 3종(種), 합(合)하여 20종(種)에 달(達)하였다. 2. 과피율(果皮率)에 유자(柚子)와 하귤(夏橘)의 Amino acid 함유량(含有量)은 전자(前者)에 Proline 16.48mg/100mg, 후자(後者)에는 Aspartic acid 32.68mg/100mg이 각각(各各) 최고(最高)이며 Histidine은 공(共)히 함유량(含有量)이 적었다. 3. 과육중(果肉中)에는 유자(柚子)의 경우 Aspartic acid 32.68mg/100mg, 하귤(夏橋)은 Proline 20.92mg/100mg로 가장 많았고, 전자(前者)에 Histidine 1.32 mg/100mg, 후자(後者)에는 Tyrosine 1.18mg/100mg로 비교적(比較的) 적었다. 4. 유자(柚子)나 하귤중(夏橘中)에는 Amino acid중 일반(一般)으로 Aspartic acid, Proline의 함유량(含有量)이 많다는 것을 알 수 있고 Histidine이 가장 적게 들어 있으며 과육중(果肉中)에는 과피(果皮)보다 각종(各種) Amino acid 함유량(含有量)이 많고 그 중에서도 Glutamic acid가 다른 Amino acid보다 많이 함유(含有)되어 있다.

  • PDF

청피와 모려를 이용한 음료 제조

  • 차월석;김종균;김종수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875-881
    • /
    • 2001
  • 청피와 모려에 다른 부재료를 사용하여 최적의 혼합비로 음료를 제조하기 위하여 모려에 대해 원소 분석한 결과 무기물 공급원으로 Ca가 18.8 ppm, Na가 23.8ppm으로 가장 많이 함유되었다. 청피에 대해 아미노산 분석한 결과 aspartic acid가 14290.431 pmol로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고, 필수 아마노산이 모두 함유되어 있었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에 의해 음료를 제조한 결과 Citrus 1g, Amomum O.25g, Pueraria 0.5g, Ostrea 12g, citric acid 1g, sodium benzoate O.5g, aspartic acid 0.5g, raw sugar 90g 비율로 제조한 것이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 향기, 맛, 색 등 전반적으로 기호도 및 호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분석한 결과 3종류간에 차이는 없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