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scidian

검색결과 130건 처리시간 0.027초

우렁쉥이 이용에 관한 연구 -2. 계절 및 서식지에 따른 우렁쉥이의 지질성분- (Utilization of Ascidian, Halocynthia roretzi -2. Lipids of Ascidian with seasonal and regional variation-)

  • 이강호;박천수;홍병일;정우진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41-149
    • /
    • 1993
  • 우리나라 전통수산식품의 식품성분에 관한 연구로서 우렁쉥이의 계절별, 서식지에 따른 지질성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각 시료 총지질 획분별 성분의 계절변화를 보면 주요 성분은 중성지질과 인지질이었으며, 봄부터 여름사이에 중성지질은 증가 경향을, 극성지질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중성지질, 당지질 및 인지질의 함량은 중량비로 평균하여 53.88, 10.09, $36.04\%$였고, 우렁쉥이 간장지질의 경우는 27.21, 20.61, $52.18\%$로 어류에 비하여 중성지질의 함량이 낮은 반면 인지질을 위주로한 극성지질의 함량은 상당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 우렁쉥이 중성지질은 모두 triglyceride($54.35\%,\;50.40\%$), 유리 sterol($21.64\%,\;24.78\%$)이 주성분이였고, 이외에 diglyceride, monoglyceride, esterified sterol, hydrocarbon, free fatty acid 등이 존재하고 있었고, 인지질 중에는 phosphatidyl choline($54.8\%,\;56.2\%$), phosphatidyl ethanolamine($28.2\%,\;27.4\%$)가 주체를 이루고 있었고, phosphatidyl inositol, phosphatidyl serine 및 미확인물질이 소량 존재하고 있었다. 3. 지방산조성은 총지질, 중성지질, 당지질 및 인지질에서 각 서식지별로는 큰 차이는 없었으며, 총지질의 주요지방산 조성은 $C_{20:5},\;C_{22:6},\;C_{16:6}$$C_{18:1}$이었다. 특히 EPA 및 DHA가 전체의 약 $35\%$ 이상을 차지하여 이들을 주체로 하는 w-3계 고도불포화지방산이 $40\%$ 이상을 차지하였다. 중성 및 인지질의 지방산조성은 총지질의 지방산조성과 비슷하였으며, 당지질의 주요지방산 조성은 총지질과 달리 $C_{16:0},\;C_{20:1},\;C_{18:0}$$C_{18:1}$의 순이었다. 한편 이들 지방산의 계절적 변화는 수온의 상승에 수반하여 $C_{16:0},\;C_{18:1}$을 주체로 하는 포화산 및 monoene산의 함량은 높아지는 반면 polyene산의 함량은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 PDF

양식 및 천연산 우렁쉥이의 식품성분 (Food Constituents of Edible Ascidians Halocynthia roretzi and Pyura michaelseni)

  • 오광수;김진수;허민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955-962
    • /
    • 1997
  • 우리나라에서 생선회와 더불어 즐겨 먹고 있는 수산식품인 멍게류의 식품성분 특성을 분석하여 수산화학적 측면에서 비교 검토하였다. 수분과 조단백질 함량은 돌멍게와 천연산 우렁쉥이가 양식산에 비해 다소 많았으며, 양식산 우렁쉥이는 글리코겐의 함량이 다소 많았다. 양식산 및 천연산우렁쉥이, 돌멍게의 구성아미노산의 총함량은 각각 11,425.4 mg%, 11,593.4 mg% 및 12,152.7 mg%이었고, Asp, Glu 및 Lys 등이 주요 구성아미노산이었다. 양식산 및 천연간 우렁쉥이, 돌멍게 총지방질의 주요구성지방산은 14:0. 16:0, 16:1n7, 18:1n9, 18:1n7, 18:4n3, 20:5n3 및 22:6n3 등이었고, n3계열 고도불포화 지방산의 조성비는 각각 39.1%, 47.0% 및 46.5%이었다. 정미성분의 조성에서 양식산 및 천연산 우렁쉥이, 돌멍게에 함유된 유리아미노산의 총량은 각각 1,071.3 mg%, 1,278.7 mg% 및 1,133.2 mg%으로 천연산 쪽의 함량이 가장 많았으며, 각 시료 모두 Tau, Glu 및 Pro의 함량이 월등히 많았고, 다음이 Asn, Gly, Ala 등으로 이들이 전체의 $69.6{\sim}70.6%$를 차지하고 있었으나, Arg의 함량이 극히 적은 점이 특이하였다. 핵산관련물질로는 AMP의 함량이 $11.6{\sim}27.6\;mg%$으로 주성분이었고, IMP가 소량 검출되었다. TMAO는 $12.2{\sim}18.1\;mg%$, total creatine은 $15.5{\sim}19.6\;mg%$ 정도로 그 양이 적었고, betaine 함량은 $270.5{\sim}329.9\;mg%$ 다량 검출되었으며, 돌멍게에 비교적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무기성분 중 $Na^+$$300.4{\sim}358.5\;mg%,\;K^+\;467.2{\sim}478.5\;mg%,\;Cl\;890.1{\sim}990.8mg%,$ 그리고 $PO^{3-}_4$의 함량은 $485.1{\sim}580.9\;mg%$ 정도였다.

  • PDF

2010년 동해 영덕 연안의 저염수 (Descriptive Analysis of Low Saline Water in Youngdeuk, the East Coast of Korea in 2010)

  • 최용규;권기영;양준용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379-387
    • /
    • 2012
  • 동해 영덕 연안의 저염수를 보기 위하여 지난 2010년 격월별(2월 23일, 4월 6일, 6월 8일, 8월 19일, 10월 6일, 12월 20일)로 20개의 정점에서 CTD 관측을 수행하였다. 혼합층은 여름에 약 10 m 깊이로 얕았으며, 겨울에 약 20 m 깊이에서부터 저층까지 혼합층을 나타내었다. 연중 $5^{\circ}C$ 이하의 찬 물이 수온 약층 이심을 점하고 있었다. 염분 약층은 8월에는 깊이 20 m에, 10월에는 깊이 40 m에 분포하였으며 연중 가장 뚜렷하였다. 뚜렷한 저염수는 10월에 깊이 10 m에서 나타났는데, 10월에 강수량-증발량의 값이 음을 보였다, 이것은 10월에 영덕 연안에서 나타나는 저염수가 이류되어 온 것임을 시사하였다. 동해의 영덕 연안에서 나타나는 저염수는 동한 난류가 주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여진다.

Biochemical changes and drug residues in ascidian Halocynthia roretzi after formalin-hydrogen peroxide treatment regimen designed against soft tunic syndrome

  • Lee, Ji-Hoon;Kim, Ju-Wan;Shin, Yun-Kyung;Park, Kyung-Il;Park, Kwan Ha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20권7호
    • /
    • pp.12.1-12.7
    • /
    • 2017
  • Soft tunic syndrome (STS) is a protozoal disease caused by Azumiobodo hoyamushi in the edible ascidian Halocynthia roretzi. Previous studies have proven that combined formalin-hydrogen peroxide ($H_2O_2$) bath is effective in reducing STS progress and mortality. To secure target animal safety for field applications, toxicity of the treatment needs to be evaluated. Healthy ascidians were bathed for 1 week, 1 h a day at various bathing concentrations. Bathing with 5- and 10-fold optimum concentration caused 100% mortality of ascidians, whereas mortality by 0.5- to 2.0-fold solutions was not different from that of control. Of the oxidative damage parameters, MDA levels did not change after 0.5- and 1.0-fold bathing. However, free radical scavenging ability and reducing power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even with the lower-than-optimal 0.5-fold concentration. Glycogen content tended to increase with 1-fold bathing without statistical significance. All changes induced by the 2-fold bathing were completely or partially restored to control levels 48 h post-bathing. Free amino acid analysis revealed a concentration-dependent decline in aspartic acid and cysteine levels. In contrast, alanine and valine levels increased after the 2-fold bath treatment. These data indicate that the currently established effective disinfectant regimen against the parasitic pathogen is generally safe, and the biochemical changes observed are transient, lasting approximately 48 h at most. Low levels of formalin and $H_2O_2$ were detectable 1 h post-bathing; however, the compounds were completely undetectable after 48 h of bathing. Formalin-$H_2O_2$ bathing is effective against STS; however, reasonable care is required in the treatment to avoid unwanted toxicity. Drug residues do not present a concern for consumer safety.

한국 거제도 해초류의 분류 (Taxonomy of Ascidians from Geojedo Island in Korea)

  • Boon Jo Rho;Kyung-Sook Park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4권3호
    • /
    • pp.173-192
    • /
    • 1998
  • 본 연구는 1995년 2월부터 1998년 1월까지 거제도의 12개 지역과 비진도에서 채집된 재료들을 동정.분류하였고, 이미 채집지가 밝혀진 4개 지역을 포함하여 모두 17개 지역에서 이루어졌다. 연구의 결과 2목 10과 22속 38종이 밝혀졌고, 이 중 13종은 거제도 기지종이고, 3종, Didenum(D.) Pardum, Symplegma oceania와 Styela coriacea는 한국 미기록종이었으며, 그 외 22종은 거제도에서는 처음으로 밝혀지는 종들이다. 거제도 해초류의 생물지리학적 분포를 보며, 28종 모두는 우리나라 천해종이며, 지금까지 밝혀진 한국 해초류의 반에 ㅐ당하는 종이다. 이들 중 18종 (47.4%)은 열대 열대수성종, 11종(26.3%)은 오대수성종, 8종(21.1%)은 내수성종, 1종(2.7%)은 광포종이었다. 이들은 오수지역인 춘도(온산만)의 해초류상과 비교하면 15종의 해초류중 7종(47%)은 열대수성종, 4종(26%)은 온대수성종, 3종(20%)은 내수성종, 1종(7%)은 광포종이었다 (see Rhoet al., 1996). 두 지역에 나타난 해초류의 구성을 보면 각 지역에서 전체 종 수의 반에 해당하는 종이 열대수성종이었고 극히 적은 수의 종이 냉수성종이었으며, 1/3 이상의 종이 온대수성종이었고, 그리고 각각 1종이 광포종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사실은 두 지역 모두가 우리나라 남단에 위치하여 북한 한류의 영향보다 흑조난류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는 사실과 부합한다. 거제도는 종수에 있어서나 개체(군체) 수에 있어 춘도와 비교하여 2배가 넘게 나타났다. 이러한 사실은 거제도에서 채집 지역 수가 많았고 또한 이 지역은 청정해역으로서 아직은 보존이 잘 되고 있다는 사실과 일치한다.

  • PDF

붉은멍게(Halocynthia aurantium)의 배발생과 변태 (Embryonic Development and Metamorphosis of the Ascidian Halocynthia aurantium)

  • 김길중
    • 한국해양생명과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58-63
    • /
    • 2020
  • 척삭동물문에 속하는 붉은멍게(Halocynthia aurantium)는 우렁쉥이와 같이 유용한 양식 품종으로 사료되지만, 발생과 생태 등 생물학적 특성에 대해 잘 알려지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붉은멍게 양식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해 강원도 동해 연안에 서식하는 붉은멍게의 배발생을 조사하여 근연종인 우렁쉥이와 비교하였다. 그 결과, 붉은멍게의 수정부터 난할기, 낭배기, 신경배기의 배아 및 올챙이형 유생의 발달 단계 및 형태가 우렁쉥이와 매우 유사하였다. 붉은멍게의 수정란은 수온 11℃에서 부화까지 약 42.1시간이 소요되어 우렁쉥이의 40.9시간과 거의 유사하였다. 부화 후 어린개체로 변태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도 두 종 사이에서 매우 유사하였다. 수온 11℃에서 부화한 두 종의 유생은 모두 약 23일이 경과해서 입수공과 출수공이 명확하게 구분되는 어린개체로 발생하였다. 수온 변화에 따른 발생 속도는 저온에서 느렸고 고온에서 빠른 결과를 나타냈다. 붉은멍게의 경우는 9℃에서 부화까지 평균 62.3시간, 11℃에서 42.1시간, 13℃에서 36.3시간이 소요되었다. 우렁쉥이의 경우는 평균 60.4시간, 40.9시간, 35.2시간이 소요되었다. 붉은멍게 배아의 대부분은 수온 15℃ 이상에서 정상적으로 발생이 이루어지지 않아 종묘생산 과정에 주의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Hemaggulutinin and Hemolysin in Korean Ascidians

  • 박경숙;이인숙;로분조;목제원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2권1호
    • /
    • pp.107-111
    • /
    • 1998
  • Two kinds of humoral factors were observed in 2 orders, 7 families, 10 genera, and 15 different species of Korean ascidians. They are the naturally occuring hemagglutinins and/or hemolysins against human erythrocytes A, B, and 0. All but two species showed aggregative activity, although there were considerable variations in titer. The weak agglutinating and lytic activities were increased in the presence of $Ca^{++}$. Much higher activities of agglutination and/or lysis were shown in the hemolymph than extracts from tissues, and a higher response was shown in adults than in juveniles. No distinct differences from collected locations were observed. The hemolymph of Ciona intestinalis showed a strong hemolytic (cytotoxic) and weak agglutinins capacities. In addition, hemolymph of Styela plicata and Styela clava clava also showed hemoagglutining and hemolytic activities. Botryllus tuberatus had hemagglutining and weak lytic activities. Other species showed only hemagglutining activity. These agglutining activities are probably responsible for carbohydrate recognition in solitary or colonial ascidian. The lytic activity is probably responsible for antibacterial defense and nonfusion reactions between allogeneic colonial ascidians, especially the genus of Botryllus. The occurrences of humoral factors in ascidians were independent of their geographic distributions.

  • PDF

A Novel Chlorophyll d-containing Organism: Discovery and its Significance

  • Murakami, Akio;Kawai, Hiroshi;Adachi, Kyoko;Sakawa, Takahiro;Miyashita, Hideaki;Mimuro, Mamoru
    • Journal of Photoscience
    • /
    • 제9권2호
    • /
    • pp.74-77
    • /
    • 2002
  • Chlorophyll (Chi) d was assigned to an antenna pigment of red algae in 1943, but its presence and function in red algae have not been necessarily clear for a long time. In 1996, it was shown that Chi d functioned as a major antenna pigment in a peculiar oxygenic photosynthetic prokaryote, Acaryochloris marina, isolated as a symbiont of a colonial ascidian from coral reefs. This finding evoked the necessity for reexamination of the presence and function of Chi d in red algae. We found Chi d in methanol-extract from several marine red algae, and the relative content was high in one species, Ahnfeltiopsis flabelliformis. Absorption and fluorescence spectra, HPLC analysis, and NMR and mass spectroscopy characterized Chi d extracted from the red algal thalli, and those were essentially identical to those of Chi d isolated from A. marina. However, micro-spectrophotometric analysis suggested that Chi d was not an actual constituent of the red algae but came from epiphyte(s) attached to surface of red algal thalli.

  • PDF

멍게, Halocynthia roretzi 물렁증의 원인충인 Azumiobodo hoyamushi의 살충효과 평가를 위한 현미경계수법과 alamar blue assay 비교 (Comparison of microscopic counting and alamar blue assay to evaluate anti-protozoal effects against Azumiobodo hoyamushi that causes soft tunic syndrome to Halocynthia roretzi)

  • 이재근;전승렬;박경일;최상훈;박관하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31-38
    • /
    • 2013
  • The edible ascidian, Halocynthia roretzi is a commercially important fisheries resource in Korea. However, there have been outbreaks of mass mortality due to soft tunic syndrome. It was discovered recently that the cause of death is infection by a protozoan parasite Azumiobodo hoyamushi. Alamar blue assay and microscopic counting were used to estimate anti-protozoal effects of 20 drugs having different action mechanisms. Through comparison of alamar blue assay and microscopic counting, 6 drugs were found to be potential in protozoan-killing effects: amphotericin B, formalin, hydrogen peroxide, bithionol, benzalkonium chloride, bronopol (24hr-$EC_{50}{\leq}20{\mu}g/ml$). The preliminary data can be used as a basis to develop anti-protozoal agents against A. hoyamushi.

Copepods (Cyclopoida) Associated with Compound Ascidians (Tunicata) from Korea, with Descriptions of Nine New Species

  • Lee, Jimin;Kim, Il-Hoi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38권4호
    • /
    • pp.167-198
    • /
    • 2022
  • Ten species of copepods, including nine new species, associated with compound ascidians are recorded from Korean waters. Nine new species can be characterized by their major diagnostic features, as follows: Botryllophilus pentamerus n. sp. by having a five-annulated abdomen; B. paucisetatus n. sp. by the presence of four and three setae on the exopods of right and left leg 1, respectively; Haplostoma quadridens n. sp. by the presence of four lobes on the labrum and one seta plus four spines on the exopods of legs 1-4; H. paucidens n. sp. by the presence of only two spines on the distal segment of the antenna; Enterocola horridus n. sp. by having five setae on the antenna, no seta on the caudal ramus, and two setae on leg 5; E. longicaudatus n. sp. by having long caudal rami which are more than three times as long as wide; Thoracodelphys bisetata n. sp. by the presence of only two setae on the basis of the maxillule; T. cerasta n. sp. by the presence of a large, horn-like process on the distal margin of the basis of leg 2; and Unimeria hirsuta n. sp. by having three setae on the terminal segment of the maxilla. Zygomolgus didemni (Gotto, 1956) previously known only from European waters is reported from Korean waters, with a redescription and illustr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