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rtificial digestive juice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17초

인공소화액이 영지 단백 다당체의 항암-면역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rtificial Digestive Juice on the Antitumor-Immunity Activity of Protein-bound Polysaccharide from Ganoderma lucidum)

  • 유정실;현진원;김하원;심미자;김병각
    • 약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347-353
    • /
    • 2000
  • To examine influence of artificial digestive juice on the antitumor activity of Ganoderma lucidum-A(GL-A), protein-bound polysaccharide from Ganoderma lucidum, we compared the digested protein-bound polysaccharide with undigested one both on immunopotentiating activity and influence of digestive juices. Protein-bound polysaccharide GL-B was obtained by digesting the antitumor component GL-A with artificial digestive Juices in vitro. When GL-A was administered orally to sarcoma 180 tumor-bearing ICR mice, the life prolonging effect was exhibited in a dose dependent manner Not only GL-A but GL-B increased the production of colony forming unit (CFU) to 10- and 8-fold of that of the control, respectively. Both of the protein-bound polysaccharides also showed the secretion of nitric oxide in RAW 264.7 cell lines to 3.5-and 3.7-fold of that of the control, respectively: GL-A activated components of the alternative complement pathway, whereas GL-B did not. In humoral immunity GL-A increased the activity of alkaline phosphatase in differentiated B cells to 3 times and GL-B to 4 times of that of the control.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artificial digestive juices had no influence on the antitumor activity of the protein-bound polysaccharide from Ganoderma lucidum and that its immunomodulating activity retained after treatment with artificial digestive juice. And this provides a basis of the protein-bound polysaccharide of Ganoderma lucidum as an peroral anticancer drug.

  • PDF

프로바이오틱스 함유 한방소화제의 제조 및 특성 (Production and Characterization of Herbal Digestive Medicine Containing Probiotics)

  • 최학주;김동희;지중구;미야모토;신광수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07-111
    • /
    • 2013
  • To investigate the possible usage as probiotics, we isolated and identified one strain of bacillus from Korean traditional food, Jeotgal. The isolate was identified as Bacillus megaterium KS12 by examining its biochemical properties and 16S rRNA sequence analysis (99% similarity). B. megaterium KS12 exhibited high viability in artificial gastric juice for 3 h and in artificial bile salts for 24 h, about 14.4 and 14%, respectively. The herbal digestive medicine containing the isolate showed high starch hydrolytic activity and proteolytic activities (about 6-fold) compared to traditional herbal digestive medicine. The viable cells in the herbal digestive medicine containing the isolate were higher than those of traditional herbal digestive medicine.

가잠의 소화액 Amylase 활성에 미치는 인공사료중 당 및 단백질 함량의 영향 I. 5영기에 있어서 사료중 단백질 함량이 유충의 증체양, 사료방률 및 소화액 Amylase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arbohydrate and Protein Components of Artificial Diet on Amylase Activity of Digestive Juice in the Silkworm, Bomyx mor L. I. Effect of Protein Components of a Diet on the Increasing of Larval Body weight, Diet Efficiency and Amylase Activity of Digestive Juice during the 5th instar)

  • 문재유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57-65
    • /
    • 1974
  • 5령기에 있어서 사료중 단백질 함량이 유충의 증체량, 사료방률에 미치는 영향과 간접적으로 유충의 소화액 Amylase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기 위하여 상엽분말을 넣은 인공사료를 사용해서 단백질 급원으로 Soybean meal함량에 따라 6종의 사료를 만들어 누에를 사육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사료중 단백질 함량의 증가에 비례하여 유충의 증체량도 비례하여 많았다. 2. 사료중 단백질 함량의 증가에 비례하여 전견중 및 견층중도 비례하여 무겁다. 3. 사료중 단백질 함량의 증가에 비례하여 유충의 소화양 및 소화율도 비례하여 높았다. 4. 사료중 단백질 함량의 증가에 비례하여 유충의 사료방률도 비례하여 높았다. 5. 그러나 사료중 단백질 함량의 증가와 유충의 소화액 Amylase 활성 간에는 일정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 PDF

국내 액상발효유에서 분리한 유산균의 동정 및 소화관액 내성조사 (Identification and Tolerance-Test to Digestive Fluids of Lactobacilli Isolated from Korean Liquid Yogurts)

  • 소명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92-196
    • /
    • 1985
  • 국내 액상발효유 7개 회사 제품을 수거하여 미생물학적인 특성을 조사하였다. 7개 회사 제품(A, B, C, D, E, F 및 G)에서 분리한 8종의 유산균(a, b, b', c, d, e, f 및 g)을 동정해 본 결과 A회사 제품의 a균과 E회사 제품의 e균은 L. casei로 B회사 제품의 b균은 L. acidophilus로, B회사 제품의 b'균, C 회사 제품의 c균 및 G회사 제품의 g균은 L. jugurti로, F 회사 제품의 f균은 L. helveticus로, D회사 제품의 d균은 L. bulgaricus로 각각 동정되었다. L. helveticus로 동정된 f균과 L. jugurti로 동정된 c균은 인공위액에 대한 내성은 높았으나 담즙산에 대한 내성은 높지 못했다. L. acidophilus로 동정된 b균과 L. casei로 동정된 a균 및 e균은 인공위액과 담즙산에 대한 내성이 모두 높았고, L. bulgaricus로 동정된 d균과 L. jugurti 동정된 b'균 및 g균은 인공위액과 담즙산에 대한 내성이 모두 낮았다.

  • PDF

누에의 人工飼料 組成分中의 炭水化物源에 關한 硏究 (Studies on the Carbohydrate-resources among the Composition of Artificial Diet for for the Silkworm, Bombyx mori L.)

  • 김주읍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38-46
    • /
    • 1981
  • 누에 人工飼科資源으로 適合한 炭水化物源과 澱粉分解酸素의 活性을 調査하기 위하여 8種의 澱粉을 各各 누에 人工飼科에 添加하여 調劑한 飼科로 누에를 飼育하면서 主要形質과 蠶體內 組織, 器官의 amylase電氣泳動像을 調査한 結果를 다음과 같이 要約한다. 1. 澱粉種類에 따른 누에의 實用形質은 쌀, 보리 및 조澱粉이 比較的 良好한 것으로 나타났다. 2. 누에의 人工飼科用 澱粉源은 純度를 높이기 위한 處理를 加하지 않아도 無妨할 것으로 생각되며 澱粉의 添加量은 乾物重으로 12~18%範圍가 適當한 것 같다. 3. amylase의 電氣泳動像은 蠶品種이나 澱粉의 種類에 關係없이 體液에는 3個活性帶, 中腸에는 4個活性帶 絹絲腺에는 2個活性帶가 各各 同一型으로 나타났고 消化液에는 活性帶가 認定되지 않았다. 그리고 澱粉添加量 18% 및 無添加區에서는 體液의 amylase活性帶에 變化가 誘發되었다.

  • PDF

능성어 (Epinephelus septemfasciatus) 자어의 소화기관 구조 및 조직학적 특징 (The Structure of Digestive Tract and Histological Features of the Larvae in Sevenband Grouper, Epinephelus septemfasciatus)

  • 박종연;김나리;박재민;명정인;조재권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9-18
    • /
    • 2016
  • 이 연구는 능성어 (Epinephelus septemfasciatus)의 소화관 발달과정을 형태학적과 조직학적인 방법으로 부화 후부터 60일 동안 관찰하였다. 먹이 급이는 부화 후 2일부터 20일 동안 Rotifer (Brachionus rotundiformis)와 클로렐라 (Chlorella ellipsoidea)를 급이 하였고, 20일부터 Rotifer와 brine shrimp (Artemia salina)를 급이 하였으며, 23일부터 Rotifer와 Artemia, 배합사료를 급이 하였다. 자치어 10마리를 임의로 선택하여 10% 중성포르말린에 고정한 후 형태학적 관찰과 파라핀포매법에 의한 조직학적인 관찰을 하였다. 능성어의 RLG는 평균 0.87으로 육식성어류의 특성을 보여주었다. 부화 직후의 자어는 입과 항문은 열려있지 않았고, 소화관은 난황을 따라 일직선상으로 관찰되었다. 부화 후 5일째 후기 자어는 입과 항문이 열리면서 첫 섭식 활동이 관찰되었고, 부화 후 8일째 변태가 시작되었다. 부화 후 11일째 후기 자어 식도는 네 개의 층이 구분 되었으며, 식도와 중장, 직장에서는 배상세포가 관찰되었다. 부화 후 19일째 후기 자어는 공식이 시작되었으며, 그로인해 개체의 성장차이가 관찰되었다. 위는 내부가 팽창되면서 분문위, 위체부 및 유문위의 구분이 가능해졌고, 유문수가 분화되었으며, 장 전체에서는 배상세포를 관찰할 수 있었다. 부화 후 28일째 위내부에 위선이 분화되었다. 부화 후 38일째 후기 자어는 위에서 위액이 분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유문수에 점막주름이 확인되었다. 부화 후 38일째에서 치어기로 이행하는 시기 동안 위 내강은 넓어지고, 위선의 숫자와 장내점액세포, 점막주름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거나 길어졌으나 조직화학적인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형태학적 및 조직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능성어의 소화관 분화 및 발달에 관한 정보를 얻고자 하였으며, 초기 종묘생산과정에서 적절한 먹이투여시기를 확립함으로써 성장 및 생존율 향상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Bacillus polyfermenticus SCD의 생균제로서의 특성 (Chayacterization of Bacillus polyfermenticus SCD as a Probiotic.)

  • 전경동;김혜진;이광호;백현동;강재선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359-366
    • /
    • 2002
  • B. polyfermenticus SCD와 상업적으로 사용되는 생균제들의 pH 2.0, 3.0에서 내산성을 비교한 결과, 2시간에서의 생존율은 pH 2.0, 3.0에서 각각 85.6과 92.6%의 생존율을 나타내었으며 4시간에서도 각각 62.8%와 81.2%의 높은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B. polyfermenticus SCD의 인공담즙산에 대한 내성을 확인한 결과, 인공담즙산이 함유되지 않은 대조구($3.2$\times$10^{7}$ CFU/ml)보다 균수($6.5$\times$10^{7$ CFU/ml)가 더 많이 증식되었다. 또한 B. polyfermenticus SCD는 비타민 $B_1$, $B_2$를 생산하고 장내유해균웨 의한 비타민 B군의 분해를 억제하여 영양을 공급한다. 게다가 비타민 C를 다량 생산하여 공급하므로 비타민 C의 항산화작용에 의한 피부노화 방지 및 항암작용 등의 여러 가지 효능들도 기대할 수 있다. B. polyfermenticus SCD의 소화력을 다른 Bacillus sp.과 비교했을 때 지방소화력은 비슷한 활성을 나타내었으나, 전분 소화력은 약 2배, 단백소화력은 약 25배의 높은 소화력을 가지고 있었다. B. polyfermenticus SCD는 낮은 pH에서도 안정성이 확보되었으며 저장온도는 가혹조건($40^{\circ}C$, RH 70%)에서 26.8%거 비교적 낮은 안정성을 나타내었을 뿐 저온 및 실온에서는 매우 안정하였다. 그리고 수중에서와 5% glucose용액, 고농도의 NaCl 에서도 매우 높은 안정성을 나타내어 식품을 포함한 다양한 형태의 제품에 적용했을 때에도 그 안정성이 탁월하여 응용성이 크다고 할 수 있겠다. B. polyfermenticus SCD복용에 따른 장내균총의 변화에서는 Salmonella, E. coli, Staphylococcus등 유해균의 유의성 있는 감소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유익균과의 공생작용과 유익균에 대한 생육촉진작용을 나타내었다. 장내 암모니아의 변화에서는 복용 중에 유의성 있는 감소효과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서 B. polyfermenticus SCD의 생균제로서의 특성은 기능성 식품의 개발 등 산업적으로 매우 유용하다고 판단된다.

인공사료의 단백질 및 탄수화물 수준이 가잠의 실용형질과 Amylase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evel of Dietary Protein or Carbohydrate on the Economic Characters and Amylase Activity of the Silkworm, Bombyx mori)

  • 문재유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35-53
    • /
    • 1974
  • 5령기에 있어서 인공사료 중 탄수화물 함량과 단백질 함양의 다소가 누에의 실용형질 및 소화액 Amylase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기 위하여 탄수화물 급원으로서 서당과 단백질 급원으로서 대두박 의 수준을 달리한 9종의 입공사료로 사육하여 조사할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사료 중 탄수화물 함량과 단백질 함량의 다소는 유충의 증체량 몇 견질에 미치는 영향이 클뿐만 아니라 사료효율에도 영향을 주므로 적량의 대두박 및 서당의 첨가가 필요하다. (2) 유충의 식하양은 증체량이 많은 유충에서 많았다. (3) 사료 중 단백질 함량이 많을수록 유충의 소화량이 많고 소화율이 높았다. 그러나 탄수화물 함량의 다소와 유충의 소화량 및 소화율과는 일정한 경향이 없었다. (4) 유충의 소화액 Amylase 활성과 사료 중 단백질 및 탄수화물 함량과는 일정한 상관관계가 없었으나 잠체내의 탄수화물 농도를 높일 수 있는 사요에서는 활성이 강하였다. (5) 사료 중 단백질 함량의 다소와 잠분 중 조단백질 함량과는 부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가용무질소물 함량과는 부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한편 사료 중 탄수화물 함량이 많으면 않을수록 잠분 중 가용질소물 함량은 많아지나 친단백질 함량은 오히려 적어졌다. (6) 인공사료육잠은 상엽육잠보다 Amylase 활성이 강하여도 유충증체량이 적고 견질이 불량하여 경제적 가치가 적었다. (7) 상엽분말이 44% 함유된 5영기 인공사료에 있어서 서당의 최적 함양은 0g이고 대두박의 최적 함량은 40g이었다. (8) 인공사료에 었어서 Amylase 활성을 강하게 할 수 있으나 실용형질이 불량하여 경제적 가치가 없는 것으로 보아 Amylase 활성을 강하게 하는 인공사료의 개발만으로는 산업적인 육잠목표를 달성할 수 없다고 생각한다.량하나, 빠를수록 급격하게 불량하다. 2) 우리나라의 잠기별 잠작은 춘(1~4기), 추(7~10기), 만추(11기), 하(5기) 초추(6기)잠 순으로 불량하였다. 3) 잠작과 영역접배를 고려한 다회 보통육은 1, 3, 8, 10기 등 4회육이 적합하고 조상 4회육은 10기 대신에 11기 대치로 무난하다. 2. 양잠농가의 추잠작 불안정 요인시험 1) 양잠농가의 수견량을 지배한 치명적인 요인은 잠실 잠구의 소독불충분에 의한 병원축적이며 2) 이차적 요인은 사육온습도 관리불량, 배게치기, 적숙엽 선정기술 불량 및 결상총과소 등이며 잠작과 경영구 요소는 관련이 없는것 같다. 3) 견층비율에는 뽕의 엽질이 가장 크게 영향되고, 다음으로 통원누적으로 인한 누에의 건강도에 영향한 것 같다. 3. 육잠기술 지도효과 1) 지도농가의 상자당 수견량 춘잠기 32.3kg, 추잠기 25.8kg으로서 대조 농가보다 각각 20%, 35%가 증수되어 연평균 29.0kg으로서 26%의 증수를 실증하였다. 2) 지도농가의 3등견 이상의 고치는 춘잠기 77.1%, 추잠기 83.7%로서 대조농가보다 각각 14.3%, 11.3%가 많았다. 3) 지도농가의 지도후년도의 상자당 수견중은 춘잠기 31.2kg, 추잠기 26.9kg, 연평균 28.9kg으로서 대조농가보다 각각 3%. 16%, 8%가 증수되였으므로 이는 기술지도의 잔류효과로 인정하였다. 4) 기술수준에 따른 잔류효과는 기술수준 상위농가는 0% 하위농가는 19%이었다. 4. 상엽질의 계절적 변화추이 1) 장잠기 상엽을 주재로 한 인공사료육의 결과는 춘> 만추≒하>추≒> 초추의 순으로 우수했다. 2) 치잠기 상엽을 주재로한 인공사료육의 결과는 춘, 만추, 추, 하, 초추 순위의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차는 인정되지 않았다. 5.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