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rterial stiffness index

검색결과 48건 처리시간 0.047초

Sa-Am Acupuncture with Spleen Seung-gyuck induces an acute increase of radial pulse parameters related to arterial stiffness in healthy subjects: A comparative study of Jung-gyuck and Seung-gyuck

  • Yim, Yun-Kyoung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9-27
    • /
    • 2014
  • Objectives: To investigate the different effects of Sa-Am acupuncture with Spleen Jung-gyuck and Spleen Seung-gyuck on the radial pulse in healthy subjects. Methods: Sixty healthy volunteers (30 males and 30 femal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participan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three groups: control (C), Sa-Am acupuncture with Spleen Jung-gyuck (SP+) and Sa-Am acupuncture with Spleen Seung-gyuck (SP-). The radial pulse was measured using a multi-step tonometry system before, and 0, 30 and 60 minutes after acupuncture. Results: The heart rate adjusted radial augmentation index (RAI/HR) and high-tensioned pulse area (W area)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SP- group compared to the C and SP+ groups in males. The systolic pulse period (T4)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SP- group compared to the C and SP+ groups in females. The RAI/HR had positive correlations with W area and T4. Conclusion: The effects of Sa-Am acupuncture with Spleen Jung-gyuck and Spleen Seung-gyuck are different. Sa-Am acupuncture with Spleen Seung-gyuck induces acute increases of radial pulse parameters related to arterial stiffness in healthy subjects.

광용적맥파와 SF-36을 이용한 여성의 삶의 질 관계 연구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econd Derivative of Photoplethysmogram and Quality of Life using SF-36 Questionnaire in Women)

  • 장영훈;박영재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34-42
    • /
    • 2020
  • Background and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between one's quality of life (QoL) level and the arterial stiffness estimated by the second derivative of photoplethysmogram (SDPTG) for women patients. Methods: A retrospective chart review was performed on charts of 407 women patients (38.38±11.82 years) who visited Gangdong Kyung Hee Hospital between April 1st and September 30th, 2011. Vascular aging index (VAI, (b-c-d)/a), b/a, c/a, and d/a were considered as the arterial stiffness indexes, and the Korean version of the Short-Form 36 (SF-36) were completed to estimate one's physical and mental QoL. Results: Physical and mental components of the SF-36 in older group (50, 60, and 70 years-group) were lower than those in younger group (20 and 30 years-group). Large arterial stiffness-related b/a in older group was higher that in younger group, while small arterial stiffness-related d/a in older group was lower that in younger group. Physical and mental component scores of the SF-36 had the negative correlations with VAI and b/a (r; -0.153~-0.195), while had the positive correlations with c/a and d/a (r; 0.147~0.228). Conclusions: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convenient and cost-effective SDPTG test may serve as an auxiliary tool to estimate one's physical and mental QoL.

건강한 성인에서 가속도계로 측정한 신체활동과 맥파전달속도 및 상완-발목 간 혈압비에 기반한 동맥경화지표와의 관계 (Association between physical activity measured using an accelerometer and arterial stiffness based on pulse wave velocity and ankle-brachial index in healthy adults)

  • 이현주;박계월;전하연;곽지연;김은경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5권4호
    • /
    • pp.506-520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심혈관 질환의 위험 인자인 고혈압, 이상지질혈증 및 당뇨병이 없는 건강한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3축 가속도계를 이용하여 일주일간의 평소 신체활동량을 평가하고 동맥경화지표와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가속도계를 이용한 신체활동 측정 결과, WHO 신체활동지침 준수율은 29.9%, 좌식 행동에 소비한 시간은 531.1 min/day, 저강도 활동에 소비한 시간은 281.4 min/day, 중·고강도 활동에 소비한 시간은 36.2 min/day 이였다. 활동 수준이 다른 두 군의 신체활동을 비교한 결과, CPM, 중·고강도 활동에 소비한 시간, 중·고강도 활동을 10분 이상 지속한 횟수 및 시간은 활동군이 비활동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좌식 행동에 소비한 시간은 활동군이 비활동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반면 좌식 행동 패턴 및 baPWV와 ABI는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여자에서는 좌식 행동을 60분 이상 지속하는 횟수와 baPWV 간에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좌식 행동을 50분 이상 지속하는 횟수와 ABI 간에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저강도 활동에 소비한 시간과 ABI 간에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는 좌식 행동을 50분 이상 지속하는 횟수가 많을수록 동맥경화 및 말초 동맥질환의 위험이 높고 저강도 활동에 소비한 시간이 많을수록 말초동맥질환의 위험이 낮음을 보여주었다. 향후 동맥경화 예방을 위한 지침 마련을 위해 다양한 연령대의 건강한 성인을 대상으로 신체활동과 함께 식품 및 영양섭취 현황, 식사 패턴, 음주 행태 등 동맥경화와 관련된 요인들이 포함된 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하는 바이다.

흡연습관이 성인 남성의 건강관련체력 및 동맥경직도에 미치는 영향 (Responses of Health Physical Fitness and Arterial Stiffness through Cigarette Smoking)

  • 정민경;박은경;유재현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197-205
    • /
    • 2019
  • 최근 몇 년간 흡연율이 감소했지만, 흡연은 여전히 전 세계적으로 조기사망과 건강상의 문제를 일으키는 주요 요인 중 하나이다. 장기간의 흡연은 대동맥의 경직도를 증가시키는데, 혈관이 경직되면 심장에서 발생한 전진 맥파와 말초에서 심장으로 돌아오는 반사파의 속도가 빨라져서 반사파가 중심동맥에 일찍 도착하여 중심동맥의 수축기 맥압이 증가하게 되고 수축기 혈압이 상승하게 된다. 본 연구는 남성 흡연자와 비흡연자를 대상으로 심폐기능을 포함한 건강관련체력과 동맥경직도를 반영하는 파형증대지수와 맥파전달속도의 차이를 검증하고, 흡연자의 운동전 흡연습관에 따른 심폐기능과 동맥경직도에 미치는 반응을 비교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연구 대상은 심폐질환이 없는 만 20세 이상 29세 이하 남성으로, 만 5년 이상 흡연한 흡연자 12명과 흡연 경험이 없는 비흡연자 12명으로 총 2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젊은 성인들의 흡연습관은 동맥의 경직도를 예측할 수 있는 파형증가 지수와 맥파전달속도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운동 참여 전 흡연에 따른 혈역학 반응과 동맥경직도에서도 두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하지만 생존율의 예언지표인 최대 산소섭취량은 흡연자가 비흡연자에 비해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이는 흡연습관이 혈관의 노화가 일어나지 않은 젊은 성인에게는 동맥 경직도의 변화를 일으킬 만큼 영향을 주지는 않지만 인체의 산소 운반능력을 감소시켜 심폐기능의 저하가 진행되고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지역사회 거주 50세 이상 성인의 동맥경직도와 염증반응인자와의 관련성 (Cross-Sectional Relations of Arterial Stiffness and Inflammatory Markers in Korean Adults Aged 50 Years and Older)

  • 류소연;신민호;이영훈;이정애;최진수;박경수;남해성;정슬기;권순석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36권2호
    • /
    • pp.101-112
    • /
    • 2011
  • 50세 이상 건강한 성인을 대상으로 baPWV로 측정한 동맥경직도 수준과 염증인자와 동맥경직도와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2007년과 2008년에 수행된 광주광역시 동구연구(Dong-gu Study)의 기반조사에 참여한 50세 이상 주민 4617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여 전통적인 심뇌혈관질환 위험요인을 통제한 상태에서 baPWV와 CRP, GGT와 WBC 등의 염증반응인자와의 관련성을 알아보았다. 평균 baPWV는 남자 $17.0{\pm}4.0\;m/s$, 여자 $16.2{\pm}3.6\;m/s$로 남, 여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연령이 증가할수록 baPWV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성, 연령, 흡연상태, 체질량지수, 수축기혈압, 공복혈당, 고혈압 또는 당뇨병의 투약 여부, 혈청 지질, 요산과 ALT 등의 전통적인 심뇌혈관질환 위험요인을 통제한 상태에서 WBC (${\beta}$=0.158, p<0.0001), hs-CRP(${\beta}$=0.244, p=0.026)와 GGT (${\beta}$=0.003, p<0.0001)는 baPWV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독립적인 관련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baPWV로 측정한 동맥경직도 지표는 염증반응인자와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baPWV 등의 동맥경직도 측정 지표는 동맥 기능의 초기변화를 반영하고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심혈관질환 위험요인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어, 이를 이용하여 심혈관질환의 위험을 예측하는데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복합운동이 고령여성의 혈중 염증인자, DHEA-s 및 동맥경직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mbined exercise on the blood inflammatory factors, DHEA-s and arterial stiffness of elderly women)

  • 하수민;김정숙;김지현;김도연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1096-1107
    • /
    • 2018
  • 본 연구는 만 70~85세의 고령여성을 대상으로 주 1회 아쿠아로빅과 주 2회 맨손근력운동을 실시하는 복합운동프로그램을 12주간 적용하여 혈중 염증인자, DHEA-s 및 동맥경직도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운동군 21명, 대조군 21명으로 구분하여 실시하였다. 1회 운동지속시간은 60분으로 4주 간격으로 운동강도를 점진적으로 증가시켜 실시하였다. 복합운동 전과 후에 측정된 자료의 상호작용 효과 검증을 위해 이원반복측정 분산분석을 실시하였고, T검정을 사용하여 사후분석을 하였으며, 유의수준은 .05로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12주간의 복합운동은 고령여성의 염증반응을 감소 시켰으며, DHEA-s가 증가함에 따라 노화호르몬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맥경직도는 중심동맥혈압(수축기, 이완기)이 감소하였고, 맥압 및 파형증가지수의 증가를 완화하였으며, 맥파전파속도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 고령여성의 건강한 노화와 장수를 위해서 항염증, 노화호르몬의 개선 및 혈관건강의 역할로 규칙적이고 지속적인 복합운동이 권장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Cardiovascular risk factors of early atherosclerosis in school-aged children after Kawasaki disease

  • Cho, Hyun Jeong;Yang, Soo In;Kim, Kyung Hee;Kim, Jee Na;Kil, Hong Ryang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7권5호
    • /
    • pp.217-221
    • /
    • 2014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school-aged children with Kawasaki disease (KD) have an increased risk for early atherosclerosis. Methods: The study included 98 children. The children were divided into the following groups: group A (n=19), KD with coronary arterial lesions that persisted or regressed; group B (n=49), KD without coronary arterial lesions; and group C (n=30), healthy children. Anthropometric variables and the levels of biochemical markers, including total cholesterol, 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HDL-C),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LDL-C), apolipoprotein A, apolipoprotein B, homocysteine, highsensitivity C-reactive protein (hs-CRP), and brachial artery stiffness using pulse wave velocity were compared among the three groups. Resul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blood pressure and body index among the three groups. Additionally, there was no sex-specific difference. Moreover, the levels of triglyceride, HDL-C, apolipoprotein A, and hs-CRP did not differ among the three groups. However, the levels of total cholesterol (P =0.018), LDL-C (P =0.0003), and apolipoprotein B (P =0.029)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group A than in group C. Further, the level of homocysteine and the aortic pulse wave velocity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groups A and B than in group C (P=0.0001). Conclusion: School-aged children after KD have high lipid profiles and arterial stiffness indicating an increased risk for early atherosclerosis.

동맥맥파의 특징점 검출 알고리즘 개선에 관한 연구 (Improvement of a characteristic point detection algorithm of arterial pulse)

  • 전영주;이전;김종열;이낙범;임재중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7년도 제38회 하계학술대회
    • /
    • pp.1916-1917
    • /
    • 2007
  • Aortic AIx(augmentation index) has been used to measure aortic stiffness and evaluate ventricular load quantitatively. Algorithm for the detection of augmentation point gradually increases the differential order to detect inflection point rather than detects the distinctive point that appears after a specific time. Developed algorithm for AIx is proved to provide more accurate results than the ones developed by previous studies with the deviation from $-11.5{\pm}14.34$ points to $-3.75{\pm}1.26$ points. Results could provide the basis for the measurement of aortic stiffness using easily-measurable radial artery pulse waves, and could be extended to develop a system for early diagnosis of various vascular diseases.

  • PDF

제주 해녀의 맥파전도속도 분석 (The Analysis of Pulse Wave Velocity of Jeju female divers)

  • 이한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9호
    • /
    • pp.515-521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우리는 평균 연령이 높은 제주 해녀의 경-대퇴 맥파 전도 속도와 발목-상완지표를 측정하여 찬물에서 산소의 보조 없이 채취활동을 하는 제주 해녀의 동맥 혈관의 경직도를 측정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대퇴 맥파 전도 속도는 동연령대의 일반여성보다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둘째, 발목-상완지표(ABI)는 해녀와 일반여성 모두 정상범위 안에 포함되어 있었으며, 일반여성보다 해녀집단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고령의 나이임에도 불구하고 장기간 침수활동을 통해 신체의 적응이 이미 완료된 상태로써 저온 및 높은 수압환경에 대한 적응이 완료된 신체상태이며, 아울러 높은 신체활동 수준으로 인하여 말초혈관저항이 고연령임에도 불구하고 감소되지 않았으며, 오히려 동연령 여성들보다 양호한 수준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해녀들의 고령화는 여전히 진행되고 있는 중요한 현상이기에 동맥혈관경직도에 대한 관심과 향후의 지속적인 연구는 반드시 더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The Association of Body Fat and Arterial Stiffness Using the Brachial-Ankle Pulse Wave Velocity

  • Kim, Gyu Lee;Hwang, Hye Rim;Kim, Yun Jin;Lee, Sang Yeoup;Lee, Jeong Gyu;Jeong, Dong Wook;Yi, Yu Hyeon;Tak, Young Jin;Lee, Seung Hun;Park, A Rum
    • 가정의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347-354
    • /
    • 2018
  • Background: BMI alone may not serve as an index of obesity because it does not reflect body composition. The present study aimed to compare arterial stiffness as assessed by the brachial-ankle pulse wave velocity (ba-PWV) among groups defined by body fat percentage (pBF) and BMI. Methods: This cross-sectional study was based on 1,700 participants (1,044 men and 656 women) who completed a health screening examination at a national hospital between January 2011 and February 2016.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according to BMI and pBF: normal fat and normal weight (NFNW); excessive fat and normal weight (EFNW); normal fat and obese (NFO); and excessive fat and obese (EFO). The ba-PWV and other cardiometabolic factors were compared among the four groups in men and women separately. Results: For both sexes, the NFNW group had a lower metabolic risk compared to that in the other groups (EFNW, NFO, and EFO). After adjusting for multiple variables, the NFO males had a significantly lower ba-PWV compared to those in the other groups, including NFNW males. The NFO group had significantly more skeletal muscle mass and muscle mass compared the other groups (P<0.05). Among women, the NFNW group had a significantly lower ba-PWV compared the other groups, even after adjusting for multiple variables. Conclusion: Lower pBF in obese men may be associated with improved cardiovascular ris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