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artemisia extract

검색결과 294건 처리시간 0.027초

한인진 분획물의 항염증, 항균 효과 (Anti-inflammatory and Anti-bacterial Activities of Artemisia iwayomogi Kitamura Extract Fractions)

  • 신승미;정원민;길영숙;이동열;김상곤;구영민
    • 생명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40-44
    • /
    • 2020
  • 한인진의 용매별 분획물에 관한 항염증, 항균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용매별로 추출하여 그 수율을 조사하여 본 결과, H2O 층에서는 64.20%로 가장 높은 수율을 나타내었으며, Hexane층(16.05%), Chloroform, Ethyl acetate 층(각각 11.11%)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항산화 활성을 알아보기 위한 DPPH와 ABTs 소거활성을 분석한 결과 Ethyl acetate층에서 각각 12.32 ppm, 7.058 ppm로 가장 높은 소거능을 나타내었고 페놀화합물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분석결과 역시 Ethyl acetate 674.13 mg GA/g, Ethyl acetate 232.5 mg GA/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항균 테스트 결과 황색포도상구균인 Staphylococcus aureus 에서 한인진의 Hexane 층은 모든 농도에서 13-18 mm의 Inhibition zone을 보이며 메탄올 추출물에서 16-10 mm 나타냈고, Chloroform층에서도 1,000 ppm에서 15 mm로 나타났다. 염증세포인 RAW 264.7 세포에서 염증억제효과 및 독성을 확인 한 결과 물층을 제외하고 나머지 분획층에서는 염증유발 물질인 LPS를 처리한 군보다 2-9배 이상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Ethyl acetate층에서 대조군 보다 9배 이상의 높은 항염증효과를 보였으나 세포독성은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발효강화쑥의 간장해 보호효과 (Hepatoprotective Effect of Fermented Artemisia princeps PAMPANINI by Lactic Acid Bacteria)

  • 최혁재;김은진;한명주;백남인;김동현;정해곤;김남재
    • 생약학회지
    • /
    • 제38권3호통권150호
    • /
    • pp.245-253
    • /
    • 2007
  • Artemisia princeps PAMPANINI has been used in traditional medicine of the treatment of inflammatory, liver dysfunction and order disorder in the far east countries including Korea.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hepatoprotective effects of ethanol extract of Artemisia princeps (AP) and its fermented agents (AP-F) by lactic acid bacteria derived from human intestinal bacteria on liver injured rat induced by $CCl_4$ and d-galactosamine. Hepatoprotective activity was monitored by estimating serum ALT, AST, ALP, LDH, superoxide dismutase (SOD), glutathione redeuctase (GR) and glutathione peroxidase (Gpx) activities in the liver injured by hepatotoxin. Pretreating rats with AP or AP-F at the same dosage regimen significantly suppressed the acute elevation of serum transaminase, ALP, LDH and GR activities, and significantly increased the lowering of blood SOD and GR activites induced by hepatoxin. Based on these findings, it is presumed that AP and APF may have the hepatoprotective effect on $CCl_4$ and d-galactosamine-induced hepatotoxicity rat.

1-naphthylisothiocyanate에 기인된 랫드의 간내성 담즙분비 정지에 대한 인진호(Artemisia messes-schmidiana var viridis)의 지질 및 조직병리학적 영향 (Effect of Artemisia messes-schmidiana var viridis on lipid and histopathology for 1-naphthylisothiocyanate-induced intrahepatic cholestasis in rat)

  • 김길수;정영길;김무강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489-496
    • /
    • 1995
  • Artemisia messes-schmidiana var viridis(Compositae) has been used for jaundice, hepatitis, diuretic and liver cirrhosis etc. 1-naphthylisothiocyanate(ANIT) has been used as a model compound to study mechanisms of intrahepatic cholestasis in laboratory animals as rat and mouse. The purposes of present study are to examine pharmacological effects of Artemisia messes-schmidiana var viridis water extract(AMWE) on alterations of triacylglycerol, cholesterol, protein, albumin and A/G ratio levels in serum, of histopathological appearances of liver, and that of hepatic microsomal cytochrome P-450 contents. Increased serum triacylglycerol levels by ANIT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with AMWE. However, AMWE posttreatment aggravated ANIT-induced cholesterol increase. Serum total protein and albumin contents, and A/G ratio were decreased in all ANIT-treated groups, and there were increased compared with control by AMWE posttreatment. Hepatic microsomal cytochrome P-450 contents were decreased in either AMWE and ANIT treatment, which greatly increased with AMWE pretreatment. On the other hand, in histological findings, our results shown that ANIT induced increase of lipid droplets and widening of sinusoidal capillary and these phenomena were disappeared with AMWE treatment. In conclusion, AMWE have choleresis effect. Also, AMWE improved lipid metabolism, protection and regeneration of hepatocytes in ANIT-induced cholestasis.

  • PDF

자연산 및 조직배양 사철쑥의 세포독성 및 면역활성 비교 (Comparison of Cytotoxin and Immune Activities between Natural and Tissue Cultured Plant in Artemisia capillaris Thunb.)

  • 김정화;김대호;유진현;김철희;권민철;황백;이현용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154-160
    • /
    • 2005
  • 자연산 인진호와 조직 배양체의 유용 생리활성을 살펴 보았다. 우선, 항암 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인간 폐암세포(A549)와 위암세포(AGS), 인간 간암세포(Hep3B)와 유방암 세포(MCF7) 4가지 암세포주를 이용하여 세포 생육 저해능을 측정하였다. MTT assay의 경우 1.0g/l 의 농도에서 캘러스가 A549와 ACS에 대해 각각 약 45%와 42%로 모상근과 기내배양에 비해 높은 세포 생육 저해능을 나타내었고, 자연산 인진호는 약 45%와 38%로 캘러스와 비슷한 항암 활성을 나타내었다. SRB assay의 경우도 캘러스가 가장 높은 항암 효과를 나타내었는데 대체적으로 약 55% 이상의 암세포 저해율을 나타내었으며, 자연산 인진호의 항암 활성에 비해서도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면역세포를 이용한 생육도와 cytokine의 분비량을 측정한 결과 B 세포의 생육도는 6일째까지 계속적인 증가를 가져왔고, 이에 따라 cytokine의 분비량 또한 $TNF-{\alpha}$와 IL-6 모두 6일째까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면역세포의 생육도의 경우는 자연산 인진호가 가장 높은 생육도를 나타내었고, 인진호의 기내배양, 모상근, 캘러스 중에서는 모상근에서 가장 높은 생육도를 나타내었다. Ctyokine의 경우도 $TNF-{\alpha}$에서 자연산 인진호의 분비량이 가장 많았고, 배양 방법에 따른 인진호의 경우 캘러스가 가장 많은 분비량을 나타내었다. IL-6의 경우는 모든 sample에서 control에 비해 높은 분비량을 나타내었고, 자연산 인진호와 기내배양, 모상근, 캘러스와 비교했을 때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HPLC 분석을 통한 추출물의 물질 비교 분석 결과 기내배양과 모상근에서는 자연산 인진호에 비해 주요 성분 peak인 artemisidin 면적이 모두 낮은 경향을 나타내었고, 캘러스의 경우는 일반 인진호에 비해 peak의 면적이 비슷한 경향을 나타법으로서, 캘러스가 다른 조직 배양체보다 인진호의 주요 성분인 artemisidin 성분의 함량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나 캘러스가 기내배양이나 모상근 보다 높은 항암 효과를 나타낸 것으로 사료되어진다. 이와 같이 자연산 인진호와 조직 배양체의 항암 효과나 면역활성에서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기 때문에, 이러한 조직배양체가 자연산 인진호를 대체 할 수 있는 하나의 방법으로서 환경적인 측면과 자원 보존적인 측면에서 볼 때 가치있는 결과라고 사료된다.

사염화탄소에 의한 랫드의 간손상에 미치는 인진호추출물의 영향 1. 혈청내 효소(AST, ALT, LDH)활성도, 지질함량 및 간내 과산화지질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rtemisia Iwayomogi water extract on hepatic injury by carbon tetrachloride in rats I. Effect on serum AST, ALT, LDH activities, lipid content and liver peroxide content)

  • 김길수;박준형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347-356
    • /
    • 1992
  • In oriental medicine, Artemisia Iwayomogi(Compositae) has been used clinically for jaundice, hepatitis, liver cirrhosis etc. The purposes of present study were to examine pharmacological effects of Artemisia lwayomogi water extract(AIWE) on weights of body, liver, kidney, spleen and adrenal, and on biochemical parameters (activities of AST, ALT and LDH, contents of cholesterol and triacylglycerol, and levels of hepatic lipid peroxide) against hepatic injury by carbon tetrachloride($CCl_4$) in rats. The results were as follow; 1. Body weights were reduced by $CCl_4$. In AIWE pretreatment groups, reduction of body weights was inhibited at 48 hours. Increased liver weights by $CCl_4$ were reduced in proportion to numbers of treatment of AIWE in AIWE pre- and posttreatment groups. Increased kidney weights by $CCl_4$ were reduced in AIWE pretreatment groups at 72 hours. Increased weights of spleen and adrenal by $CCl_4$ were not affected by AIWE treament. 2. Increased AST activities by $CCl_4$ were significantly (p<0.05) decreased in AIWE posttreatment groups at 48 and 72 hours. Increased ALT activities by $CCl_4$ were significantly(p<0.05) decreased in AIWE posttreatment groups at 48 hours. Increased LDH activities by $CCl_4$ were very significantly (p<0.01, p<0.001) decreased in AIWE posttreatment groups at 48 and 72 hours, respectively. 3. Increased cholesterol contents by $CCl_4$ were significantly (p<0.05) decreased in AIWE posttreatment groups at 24 and 48 hours. Decreased triacylglycerol contents by $CCl_4$ were significantly (p<0.05) increased in AIWE posttreatment at 48 and 72 hours. 4. Increased hepatic lipid peroxide levels by $CCl_4$ were significantly (p<0.05, p<0.01) decreased in AIWE posttreatment groups at 48 and 72 hours, respectively. In conclusion, AIWE did not affect normal liver function and had property of antioxidant, due to reduced lipid peroxidation by $CCl_4$. AIWE seems to have hepatoprotective effects rather than direct preventive effects to $CCl_4$-induced necrotic degeneration of liver cell, cholestasis and damages in metabolism of lipid.

  • PDF

국내산 품종별 쑥의 항산화 및 암세포성장 억제활성 (Antioxidant and Cancer Cell Growth Inhibition Activity of Five Different Varieties of Artemisia Cultivars in Korea)

  • 김라정;강민정;황초롱;정우재;신정혜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844-851
    • /
    • 2012
  • 섬애약쑥, 인진쑥, 약쑥, 강화사자발쑥 및 개똥쑥 열수 추출물을 제조한 다음 항산화 및 항암활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5종의 쑥 추출물 중 총 페놀 함량은 인진쑥에서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섬애약쑥, 개똥쑥, 약쑥 및 강화사자발쑥 순이었다. 플라보노이드 함량도 인진쑥이 가장 높았고, 섬애약쑥은 인진쑥과 유의차가 없었다. 추출물의 농도를 달리하여 항산화능을 측정한 결과, DPPH 라디칼 소거능은 50 ${\mu}g/ml$ 농도에서 섬애약쑥의 활성이 가장 높았고, NO 라디칼 소거능은 200 ${\mu}g/ml$ 농도에서 약쑥, 강화사자발쑥 및 개똥쑥이 약 50% 이상의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이들 시료간에 유의차는 없었다. FRAP법에 의한 항산화능은 섬애약쑥 및 인진쑥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beta}$-carotene 존재 하에서의 항산화능 또한 섬애약쑥 및 인진쑥이 100 ${\mu}g/ml$ 농도에서 50% 이상의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400 ${\mu}g/ml$ 농도에서 인체 자궁경부 상피암 세포인 HeLa의 증식억제 활성은 인진쑥이 80% 이상으로 활성이 높았고, 유방암 세포인 MCF-7의 대해서는 강화사자발쑥과 섬애약쑥이 80% 이상의 증식억제 활성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 쑥 추출물은 높은 항산화 활성과 암세포 증식억제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항산화 활성은 ascorbic acid 이상의 높은 활성을 나타내어 천연 기능성 식품 소재로써 활용 가치가 높을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