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rtemisia extract

검색결과 292건 처리시간 0.023초

인진, 울금, 구기자, 여정자 복합추출물(ACLL)의 항이상지질혈증 효능에 대한 실험적 연구 (Anti-dyslipidemic Effect of ACLL extract (Artemisia capillaris Thunb, Curcuma longa L, Lycium chinense, Ligustrum lucidum Aiton complex extract) on High Cholesterol Diet-induced Dyslipidemia in Mice)

  • 김태윤;오정민;김윤식;조현경;유호룡;설인찬
    • 혜화의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33-144
    • /
    • 2016
  • Objectives : This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CLL extract (Artemisia capillaris Thunb, Curcuma longa L, Lycium chinense, Ligustrum lucidum Aiton complex extract) in a dyslipidemia animal model induced by a high-fat diet. Methods : ACLL extracts was administered at 200 mg/kg, and 400 mg/kg to Apoe mice, where arthritis was induced by high cholesterol diet. After mice were treated with GO for 4 weeks, we measured AST, ALT, BUN and lipid levels (total cholesterol, HDL cholesterol, LDL cholesterol, triglyceride), atherogenic index(AI) and cardiac risk factor(CRF). Results : Serum AST, ALT, creatinine, BUN levels were not changed by ACLL extract do not show any toxic effects. Also, ACLL extract groups were found to have atherogenic Index and cardiac risk factor as well as lipid metabolism improvement (total cholesterol, LDL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decrease). Conclusions : We suggest that ACLL extract may have the control effects of Dyslipidemia by improving lipid metabolism.

한약재 주정 추출물이 종자발아와 유묘생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thanol Extract of Herbal Medicine on Crop Growth Inhibitor)

  • 김진효;김준영;류성지;최근형;김원일;김세리;박병준;조남준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194-197
    • /
    • 2014
  • BACKGROUND: Herbal extracts have been screened for their inhibitory effect of seed germination and root development on weeds, but there is a scarcity of reports for crop growth regulation.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develop a growth inhibitor on Brassica campestris, and its effective extraction method from herbal medicine extract. METHODS AND RESULTS: Eighty four herbal medicine extracts were tested for their plant growth inhibition activity on B. campestris. The alcohol extracts of Artemisia annua, Cinnamomum cassia, and Mentha arvensis inhibited over 30% of germination and the extract of A. annua, and C. cassia inhibited over 70% of radicle growth at 0.1 % w/w treatment. The partially purified extracts of A. annua, and C. cassia with dichloromethane and hexane showed stronger radicle growth inhibition than the crude extracts on B. campestris. The diethyl ether extract of A. annua showed a similar 50% radicle growth inhibition ($RI_{50}$ = 45 mg/L) to its partially purified extract with dichloromethane or hexane, but the diethyl ether extract of C. cassia showed a worse $RI_{50}$ than the purified extract. CONCLUSION: The alcohol extracts of A. annua, and C. cassia showed potent radicle growth inhibition properties on B. campestris. Diethyl ether proved to be a good solvent for simple extraction from A. annua.

쑥 (Artemisia princeps P.) 추출물이 고지방식이를 급여한 흰쥐의 대사장애 및 아디포카인 조절에 미치는 영향 (Amelioration of metabolic disturbances and adipokine dysregulation by mugwort (Artemisia princeps P.) extract in high-fat diet-induced obese rats)

  • 김윤혜;박충무;윤군애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9권6호
    • /
    • pp.411-419
    • /
    • 2016
  • 본 연구는 고지방식이와 쑥추출물이 흰쥐의 지질대사, 인슐린저항성, 아디포카인 분비에 미치는 효과를 측정하였다. 고지방식이에 의해 부고환지방과 복막후강지방의 축적이 증가되었고, 그 결과 혈장 항염증성 아디포카인은 감소하고 염증성 아디포카인은 증가하여 아디포넥틴/렙틴 및 아디포넥틴/PAI-1 비가 저하되는 불균형을 초래하였다. 내장지방 축적과 관련된 아디포카인의 불균형은 TG, TG/HDL-C, TC/HDL-C를 증가시키고 HOMA-IR의 증가를 유발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에 비해 쑥 에탄올추출물의 첨가는 부고환지방과 복막후강지방의 축적을 완화함으로써 PAI-1과 렙틴을 감소시켜 아디포넥틴/렙틴 및 아디포넥틴/PAI-1 비의 저하를 억제하고 아디포카인의 균형을 상대적으로 유지하였으며, TG, TG/HDL-C, TC/HDL-C 및 HOMA-IR 수치가 감소하였다. 따라서 쑥 에탄올추출물은 내장지방 축적을 억제하고 아디포카인의 분비, 특히 염증성물질인 렙틴과 PAI-1의 분비를 저하시켜 아디포카인의 균형을 조절함으로써 지질대사 및 인슐린저항성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똥쑥 추출물의 항여드름 효능확인 (Anti-acne Properties of Artemisia annua Extract In Vitro)

  • 유지영;노경백;오세영;정용택;박덕훈;정은선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247-254
    • /
    • 2021
  • 여드름은 털피지샘단위(pilosebaceous unit)와 관련된 만성 염증 피부 질환으로, 여드름 병변에서는 피지 과다분비(hyperseborrhea)나 이상분비(dysseborrhea), 염증반응, 그리고 다른 피부상재균들에 비해 증가된 Cutibacterium acnes (C. acnes)로 인한 피부 미생물 균총의 불균형이 관찰된다. 이 연구는 개똥쑥 추출물(Artemisia annua extract: AAE)의 항여드름 효과를 확인한 것으로, 피부 미생물 균총의 균형유지와 관련된 항균효과와 염증반응의 억제, 과도한 피지 분비의 감소 측면에서 실험을 진행하였다. C. acnes와 Staphylococcus epidermidis(S. epidermidis)를 AAE와 공동배양 하였을 때, S. epidermidis의 성장률은 저해되지 않았지만 C. acnes의 성장률은 저해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AAE를 처리하여 배양한 C. acnes 배양배지를 세포에 처리하였을 때, 인터루킨-1β(IL-1β), 종양괴사인자-α(TNF-α)와 인터루킨-6(IL-6) 같은 사이토카인 분비의 감소와 TLR2 활성 억제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피지세포에 AAE를 처리한 결과, 팔미트산에 의해 유도된 피지형성을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결과들은 AAE가 다양한 타깃을 지닌 천연추출물로써 여드름의 주요 원인들인 C. acnes의 선택적 성장저해와 C. acnes로부터 유도되는 염증반응을 억제할 수 있으며, 과도한 피지형성을 감소시켜 결과적으로 여드름을 완화시키는 물질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제시한다.

추출 방법에 따른 쑥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Effects of Extraction Methods on the Antioxidative Activity of Artemisia sp.)

  • 강경명;이신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8호
    • /
    • pp.1249-1254
    • /
    • 2013
  • 3종의 사철쑥, 약쑥, 개똥숙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적정 추출방법을 구명하기 위하여 환류냉각추출, 고온가압추출, 저온고압추출 및 초음파추출법을 이용하여 추출한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비교하였다. 추출수율은 환류냉각과 고온가압추출이 높게 나타났으며, 총 polyphenol 및 총 flavonoid의 함량 또한 환류냉각 추출물이 각각 사철쑥(260.82 mg GAE/g, 11.52 mg RHE/g), 약쑥(218.62 mg GAE/g, 8.32 mg RHE/g), 개똥쑥(189.23 mg GAE/g, 7.35 mg RHE/g) 순으로 높았다. DPPH와 ABTS radical 소거능은 쑥의 세 시료 중 모두 환류냉각과 고온가압추출이 높게 나타났으며, 그중 사철쑥이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아질산염 소거능과 SOD 유사활성은 사철쑥(45.48%, 68.29%), 약쑥(45.73%, 61.43%), 개똥쑥(44.25%, 58.19%) 모두 환류냉각 추출물에서 가장 우수하였다. 사철쑥 추출물의 지질산패 억제활성은 환류냉각 추출물에서 가장 높았다.

깻잎, 쑥, 참취의 건분 및 에탄올 추출물이 흰쥐의 지방대사와 항산화능에 미치는 영형 (Effect of Dried Leaf Powders and Ethanol Extracts of Perilla Frutescens,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 and Aster Scaber on Lipid Metabolism and Antioxidative Capacity in Rats)

  • 김주희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2권5호
    • /
    • pp.540-551
    • /
    • 1999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ried leaf powders and ethanol extracts of Perilla frutescens(perilla leaf),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mugwort) and Aster scaber(chamchui) on lipid metabolism and antioxidative capacity in rats. Forty-nine male Sprague-Dawley rats weighing 105.9$\pm$1.7g were blocked into seven groups according to body weigth and raised for four weeks with diets containing 5% dried powders of perilla leaf, mugwort and chamchui, or ethanol extracts from the same amount of each dried leaf powder. Food intake was higher in the control and chamchui powder groups than the other remaining groups. Weight gain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all experimental groups. Food efficiency ratio was highest in the perilla leaf powder group. Plasma total lipid and cholesterol, liver total lipid and triglyceride levels were highest in the perilla leaf powder group. In contrast, dried powders of mugwort and chamchui showed hypolipidemic effects in plasma and liver. Plasma and liver TBARS levels in both dried powder and ethanol extract groups of the three plants were lower than control. There was also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orresponding dried powder and ethanol extract groups. Catalas and GSH-Px activities in erythrocyte and liver were not different among all the experimental groups. However, SOD activiti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esperimental groups. In erythrocyte. SOD activiteis of all dried powder and ethanol extract groups except the perilla leaf powder group were higher than control, and the chamchui power group showed the highest activity among them. In liver, all the plant groups showed higher SOD activities than control.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orresponding dried powder and ethanol extract groups. In conclusion, the dried chamchui powder and liver. All the dried plant powder and ethanol extract were effective in decreasing the TBARS levels of liver and particularly plasma. Among the antiocidative enzymes, SOD activity was most responsive to the experimental diets. All the plant groups showed increases in liver SOD activities and there were more increments in dried powder groups. Since the effects of dried powder groups on lipid metabolism were better than those of extract groups, it is plausible that the high dietary fiber level in dried powders was effective. Antioxidative effect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corresponding dried power and extract groups, and it was thought that ethanol extracts from three plants also had similar antioxidative effects as dried powderers.

  • PDF

식물세포배양기술을 이용한 약용식물 개똥쑥 세포주 유도 및 세포주 추출물의 wound healing effect (Effect of Artemisia annua Linne callus induced by plant cell culture technology on wound healing)

  • 오승택;정해수;조문진;송미영;모상현;서효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9호
    • /
    • pp.5628-5636
    • /
    • 2014
  • 현재 많은 나라들은 자생식물을 활용한 산업소재를 개발하는 데 지대한 관심을 가지고 있다. 특히 화장품 산업은 친환경, 자연친화적인 소재를 찾는데 집중하고 있는 추세이다. 우수한 생리활성 물질을 포함한 식물을 식물세포배양기술을 이용하여 대량으로 배양하고 그 함유물을 고농도로 얻음으로 효과적인 소재로 개발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항암, 항균, 항산화, 항염 등의 효능이 입증되어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는 개똥쑥을 선택하여 식물세포배양기술을 이용해 유도한 캘러스의 화장품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약 6개월 동안 식물세포배양기술로 개똥쑥 캘러스를 유도하였고, 유도된 캘러스를 얻어 열수 및 에탄올 추출하여 약 2개월간 다양한 효능을 시험하였다. HPLC 분석을 통하여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의 유효성분에 차이를 보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효능평가에서도 차이를 보였다. 개똥쑥 캘러스 에탄올 추출물을 처리하였을 경우 항염관련 단백질인 COX-2의 발현을 50% 이상 감소시키고 wound healing assay를 통해 상처 치유능이 70%정도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개똥쑥 캘러스 추출물이 자연친화적, 친환경적인 소재로써 항염 및 상처치료 관련 제품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인진쑥 Methanol 추출물이 암이 유발된 마우스의 비장세포 유래 Cytokine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rtemisia capillaris Methanol Extract on the Amounts of Splenocytes-derived Cytokines in Tumor Cells Inoculated Mice)

  • 김홍태;구세광;김주완;진태원;구성욱;임미경;도윤정;장광호;오태호;이근우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408-412
    • /
    • 2009
  • The Artemisia capillaris THUNB is a perennial herb that belongs to the family Compositae spp. and probably the most common plant among the various herbal folk remedies being used in the treatment of abdominal pain, hepatitis, chronic liver disease, jaundice and coughing in Korea.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rtemisia capillaris extracts on the amounts of splenocytes-derived cytokine ($TNF-{\alpha},\;IL-1{\beta}$ and IL-10). In in vivo experimental tests using 210 ICR mice with Hepa-1c1c7 or sarcoma 180 cancer line, splenocytes derived cytokine contents were significantly (p < 0.05) reduced in the Hepa-1c1c7 and Sarcoma 180 inoculated vehicle controls, HP and SP, compared to those of the intact vehicle control on both the $28^{th}$ day and the $42^{nd}$ day, respectively. However, these decreases of $TNF-{\alpha},\;IL-1{\beta}$ and IL-10 levels induced by tumor inoculations were significantly (p < 0.01, p < 0.05) inhibited by mACH (Artemisia capillaris methanol extracts) treatment regardless of the type of experiments and tumor cells inoculated. The results suggest that Artemisia capillaris methanol extracts have prominent anti-inflammation effects on the cancer cell lines Hepa-1c1c7 and Sarcoma 180.

항가려움증 활성에 섬애약쑥(Artemisia argyi H.) 추출물이 미치는 영향 (Effect of Seomaeyakssuk (Artemisia argyi H.) Extracts on Anti-pruritic Activities)

  • 이해진;임현지;임미혜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1292-1301
    • /
    • 2021
  • 본 연구는 섬애약쑥(Artemisia argyi H.)의 항가려움증 활성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한 연구로써 가려움증 관련인자 등을 측정하였다. 섬애약쑥은 열수로 추출(Artemisia argyi H. distilled water extract 이하, AAD)하여 MTT assay로 세포독성을 측정하였고 항 가려움증 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IL-4와 IL-31 관련 전사인자 발현 및 단백질 생성을 측정하였으며, 히스타민의 발현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25, 50, 100 ㎍/㎖의 농도에서는 유의한 세포독성이 나타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가려움증 연관 유전인자인 IL4의 경우 25 ㎍/㎖의 농도에서 약 12%, 50 ㎍/㎖의 농도에서 약 26%, 100 ㎍/㎖의 농도에서 약 61%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IL31의 경우 50 ㎍/㎖의 농도에서 약 33%, 100 ㎍/㎖의 농도에서 약 33%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연관된 단백질 측정의 경우 각각 50 ㎍/㎖와 100 ㎍/㎖의 농도에서 IL-4는 약 34% 및 약 69%, IL-31은 약 36% 및 약 37%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이 결과는 ADD가 항가려움증을 위한 소재로써 가능성을 보여 소재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In vitro 및 In vivo에서 인진쑥 추출물이 장내미생물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rtemisia capillaris Extracts on Intestinal Microflora In vitro and In vivo)

  • 오미현;김광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11호
    • /
    • pp.1587-1594
    • /
    • 2010
  • 본 실험은 인진쑥의 용매 분획물에 대하여 항균활성을 검색하였다. 이에 따라 가장 항균활성이 좋은 인진쑥의 클로로포름 분획물을 가지고 항균활성실험을 진행하였고, 기능성 물질인 페놀류의 함량 정도에 따라 항균활성을 보여주는 지에 대하여 총 폴리페놀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분석하였고, in vivo 실험을 통하여 장내미생물 균총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인진쑥 에탄올 추출물을 헥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로 분획하여 용매 분획물을 가지고 항균활성을 검색한 결과, paper disc agar diffusion법에서 장내유해균인 C. perfringens, C. difficile, E. limosum 및 B. fragilis 모두가 다른 용매 분획물들에 비해 클로로포름 분획물에서 생육 억제환의 크기가 가장 크게 생성되었다. 장내유익균인 B. bifidum, L. acidophilus는 인진쑥의 헥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물 분획물에서 억제환이 생성되지 않은 결과를 보여주었다. 동물실험 결과, 인진쑥 추출물은 일반식이군에 비하여 비만식이군에서 장내유해균을 억제하고 장내 유익균을 증진시키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상기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인진쑥 추출물은 장내 유해균은 억제시키고, 장내 유익균은 증식시키거나 별다른 영향을 주지 않는 결과, 인체 장내 균총 조성을 바람직한 방향으로 개선시켜 장내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인진쑥 추출물의 장내유해세균에 대한 항균효과를 확인함으로써 장내균총 개선을 위한 기능성식품으로 활용할 가치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