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rchaeology

검색결과 241건 처리시간 0.022초

분자생물학적 방법을 통한 출토인골의 개인 동정-사천 늑도 출토 인골과 민통선 민묘 출토 인골을 중심으로 (Personal identification of the excavated ancient human bone through molecular-biological methods)

  • 서민석;이규식;정용재;이명희
    • 보존과학연구
    • /
    • 통권22호
    • /
    • pp.27-40
    • /
    • 2001
  • DNA typing is often used to determine identity from human remains. Recently, the molecular biological analysis of ancient deposits has become possible since methods for the recovery of DNA conserved in bones or teeth from archaeological remains have been developed. In the field of archaeology, one of the most promising approaches is to identify the individuals present in a mass burial site. We performed nuclear DNA typing and mitochondrial DNA sequencing analysis based on PCR from a Korea ancient human remain excavated from Sa-chon Nuk-island and civilian access controlline(CACL). A femur bone were collected and successfully subjected to DNA extraction, quantification, PCR amplification, and subsequently typed for several shot tandem repeat(STR)loci. 4 types of STR systems used in this study were CTT multiplex(CSF1PO, TPOX, TH01), FFv multiplex(F13A01, FESFPS, vWA), Silver STRⅢ multiplex(D16S539, D7S820, D13S317), and amelogenin for sex determination. This studies are primarily concerned with the extraction, amplification, and DNA typing of ancient human bone DNA samples. Also, it is suggestive of importance about closely relationship between both fields of archaeology and molecular biology.

  • PDF

한국 전통공간디자인의 고고학적 접근에 관한 연구 - 푸코의 고고학적 언표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rchaeological Approach in Korean Traditional Space Design - Focusing on the Archaeological Statement of Foucault -)

  • 박경애;박영목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9권2호
    • /
    • pp.99-106
    • /
    • 2010
  • This study is about Foucault's conceptual and methodological relevance for structural analysis of Korean traditional space design history. By Foucault's Theory, regionalism is product of the instrumentality of space, power, knowledge and provide the basis for making the operation of power both spatial and tempora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opographical map of historical progress and to shed new light on the forming of identity in Korean traditional space design on the poststructural-archaeological aspect. The process of this study is illustrated as follows: At first, it suggests Foucault's 'Theory of archaeology'. It mentions 'historical apriori' and archive, collateral space and general grammar as theoretical background of archaeological logic. Secondly, it clarifies 'statements' depending on the conditions that is 'episteme' in which they emerge and exist within a field of discourse. And it discuss Korean traditional space design concept as a social product on the situated character of interaction in time-space. Finally, it studies genetic variation process of Korean traditional space design based on the social progress in Korean society. And it analyses practical actions of 'Statements' in terms of general grammar and textuality.

디지털 게임의 아카이빙과 미디어 고고학적 접근 (A Study on the Archiving of Digital Games with Media Archaeological View)

  • 이정엽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77-88
    • /
    • 2015
  • 이 논문에서는 비디오 게임의 역사를 보존 연구하기 위한 아카이브들의 국내 사례와 해외 사례를 비교 조사하고, 이를 통해 게임 역사박물관 구축을 위한 기초적인 자료 분류와 구축 방식을 제안하고자 한다. 게임의 역사를 수집, 보존하는 것은 일차적으로는 게임학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를 구축하고자 위함이지만, 이러한 운동이 꼭 연구만을 위한 목적으로 귀결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 게임을 수집, 보존, 분류, 전시, 열람하는 일련의 과정을 미디어 고고학(media archeology)이라는 새로운 학문 분야에 바탕하여 접근하고자 한다.

KDC 역사보조학 분야 분류체계의 개선방안 (The Improvements of Classification System of the Auxiliary Sciences of History Field in the KDC 5th Edition)

  • 이창수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29-49
    • /
    • 2013
  • KDC 제5판의 역사보조학 중 고고학, 고문서학, 기록학, 계보학, 전기(傳記) 분야는 분류체계상의 문제점이 발견되어 개선할 필요가 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첫째, LCC, DDC, KDC, NDC, UDC, CLC를 대상으로 역사보조학 분야를 비교 분석하여 KDC의 개선을 위한 착안점을 파악하고, 둘째, 도서관현장에서의 KDC를 사용한 분류실태를 조사하여 적용상의 문제점을 도출하며, 셋째, 파악된 착안점을 참작하여 KDC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Traditional Living Habits of the Taz Tundra Population: A Paleoparasitological Study

  • Slepchenko, Sergey Mikhailovich;Ivanov, Sergey Nikolaevich;Nikolaevich, Bagashev Anatoly;Alekseevich, Tsybankov Alexander;Sergeyevich, Slavinsky Vyacheslav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54권5호
    • /
    • pp.617-623
    • /
    • 2016
  • An excavation of the Vesakoyakha II-IV and Nyamboyto I burial grounds was conducted during the 2014 field season, and soil samples from intact burials dating from the 19th and 20th centuries, respectively, were analyzed to determine interactions between parasites and host/vectors. Considering the discovery of Diphyllobothrium sp. and Taenia sp. eggs in soil samples from the pelvic region, diphyllobothriasis was the most frequent helminthic infection among the Taz Nenets. The Nyamboyto Nenets mainly consumed uncooked fish, while the Vesakoyakha Nenets had a bigger variety in food choices, including reindeer meat. Nenets children were given raw fish from early childhood. The paleoparasitological results corroborate rare ethnographic records about the consumption of uncooked reindeer cerebrum which led to beef tapeworm helminthiases. This is the first parasitological report of helminthic diseases among the Taz Nenets, and, as such, it provides insight into their subsistence activities and food patterns and broadens our understanding of their health condition.

1990년대 이후의 한국 구석기고고학 연구성과 (A review of Korean Paleolithic archaeology in 1990s)

  • 배기동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35권
    • /
    • pp.4-27
    • /
    • 2002
  • During the last 10 more years, more than one hundred of Paleolithic sites were found in the most part of the Korena peninsula by very active third generation of Paleolithic archaeologists. It became quite sure that most parts of the peninsula was populated during the late Pleistocene. High concentratin of Paleolithic sites in the Chollanamdo Province will be one of the most important field of paleolithic archaeology along with the sites in the Hantan -Imjin river basin. The begining of Upper Paleolithic is quite likley sometime earlier than 30,000 BP and possibly upto 40,000 BP. Micorlithic technology was probably introduced into the peninsula sometime around 20,000 BP. It is quite striking that the Acheulean-typed stone industry from the Chongokni site could be older than 350,000 BP that was estimated by sedimentation rate on the basis of the interval between two different types of Japanese tephras found at the site. More Acheulean-typed bifaces were found in some sites in the Hantan-Imjin river basin. Tanged point which originally found at the Suyanggae site were found at many Upper Paleolithic sites and was made until quite late period of Upper Paleolithic along with micro-blade.

Genetic analysis of mitochondrial DNA from ancient Equus caballus bones found at archaeological site of Joseon dynasty period capital area

  • Hong, Jong Ha;Oh, Chang Seok;Kim, Sun;Kang, In Uk;Shin, Dong Hoon
    • Animal Bioscience
    • /
    • 제35권8호
    • /
    • pp.1141-1150
    • /
    • 2022
  • Objective: To understand the domestication and spread of horses in history, genetic information is essential. However, mitogenetic traits of ancient or medieval horses have yet to be comprehensively revealed, especially for East Asia. This study thus set out to reveal the maternal lineage of skeletal horse remains retrieved from a 15th century archaeological site (Gongpyeongdong) at Old Seoul City in South Korea. Methods: We extracted DNA from the femur of Equus caballus (SNU-A001) from Joseon period Gongpyeongdong site. Mitochondrial (mt) DNA (HRS 15128-16116) of E. caballus was amplified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Cloning and sequencing were conducted for the mtDNA amplicons. The sequencing results were analyzed by NCBI/BLAST and phylogenetic tool of MEGA7 software. Results: By means of mtDNA cytochrome b and D-loop analysis, we found that the 15th century Korean horse belonged to haplogroup Q representing those horses that have historically been raised widely in East Asia. Conclusion: The horse is unique among domesticated animals for the remarkable impact it has on human civilization in terms of transportation and trade. Utilizing the Joseon-period horse remains, we can obtain clues to reveal the genetic traits of Korean horse that existed before the introduction of Western horses.

한국 고고학 성립 시기 청동기 연구에 대한 새로운 인식 - 윤무병(1924~2010)의 연구를 중심으로 - (A new glimpse on the foundation of the Bronze Age concept in Korean archaeology)

  • 강인욱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4권2호
    • /
    • pp.154-169
    • /
    • 2021
  • 해방 직후 한국 고고학의 성립기에서 청동기시대의 설정은 가장 핵심적인 성과중 하나이다. 일본의 학자들이 만들어 놓은 금석병용기시대를 반박하고 청동기시대라는 개념을 안착시키고 청동기 연구의 기반을 수립한 대표적인 인물은 윤무병이라는 데에 이론의 여지가 없다. 그동안 윤무병의 대표적인 업적으로는 꼽히는 세형 동검의 형식분류와 전개과정이외에도 청동기시대의 설정도 주요한 성과이다. 국립중앙박물관의 한국 지석묘 연구 프로젝트로 일환으로 진행된 파주 옥석리의 발굴이 한국 청동기시대의 설정에 결정적인 근거가 되었기 때문이다. 본 고에서는 이러한 윤무병의 성과를 그와 함께 한국 고고학계를 주도한 김원룡과 비교하여 살펴보고, 아울러 해방이후 한국 고고학을 둘러싼 환경도 고려하여 그 현상을 해석했다. 윤무병의 연구는 동아시아재단으로 대표되는 미국의 재정적 지원이라는 하드웨어적 기반과 일본 고고학에서 출발한 정치한 형식적 기법이 결합된 것이다. 한편 자료적 측면에서 본다면 아울러 1950년대 말부터 본격적으로 개시된 북한연구의 소개와 북방 지역 자료를 소개한 김원룡의 역할 등이 주요한 역할을 했다. 이와 같이 윤무병의 연구는 1960년대 탈식민지라는 주요한 과제를 한국 고고학계가 어떻게 성취했는가를 볼 수 있는 주요한 근거가 된다. 다만, 일본 편년관의 의존으로 청동기시대의 편년관을 지나치게 낮게 잡아서 한반도 청동기의 편년을 '문화지체 현상'에 근거하여서 만주나 북한과는 동떨어지게 본 점은 한계로 지적된다. 물론, 21세기의 시각으로 윤무병의 연구를 재단하거나 폄하하는 것은 옳지 않다. 오히려 윤무병이 견지했던 유물에 대한 천착이라는 고고학적 전통을 새로운 연대관과 거시적인 안목에 결합하여 새로운 연구의 길을 제시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21세기 세계화와 거시적인 안목으로 한국 고고학의 저변을 확장해야하는 시점에 윤무병의 연구를 다시 살펴보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부산 가덕도 장항 유적 출토 인골의 안정동위원소 분석을 통해 본 신석기시대의 식생활 양상 (Isotopic dietary history of Neolithic people from Janghang site at Gadeok Island, Busan)

  • 신지영;강다영;김상현;정의도
    • 분석과학
    • /
    • 제26권6호
    • /
    • pp.387-394
    • /
    • 2013
  • 인골에서 추출된 콜라겐의 탄소와 질소 안정동위원소 정보는 당시 사람들의 식생활과 영양 상태, 생계 경제를 복원하는데 구체적인 가능성을 제시한다. 지금까지 우리나라의 신석기시대 유적에서는 인골이 많이 발견되지 않아 직접적인 식생활 양상 추적이 어려웠는데, 부산 가덕도 장항유적에서 출토된 인골 48개체의 확인은 매우 주목할 만한 성과이다. 본 연구에서는 인골에서 추출된 콜라겐의 탄소와 질소 안정동위원소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평균값은 각각 다음과 같다(${\delta}^{13}$C=$-14.5{\pm}1.3$‰, ${\delta}^{15}$N=$-17.4{\pm}1.7$‰, n=10). 뼈의 조직 분석 결과 보존 상태는 매우 안좋은 HI (조직학 지수) 0을 나타냈으나, 뼈 콜라겐의 경우 질 평가지수에 합격한 값만을 사용하여 생존 시 식생활을 반영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당시의 고고학적인 정황을 고려할 때 장항 유적 피장자들은 해양성 식료를 주로 섭취하였고, 육상 동물 및 야생 식물의 섭취 가능성 역시 배제할 수 없는데, 본 연구에서는 식료 섭취의 직접적인 증거가 되는 인골의 안정동위원소 분석을 통해 이러한 가정을 입증하였다. 이 외에도 펴묻기와 굽혀묻기 등 장법이나 토기 등 부장품에 따른 안정동위원소값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확인할 수 없었다. 신석기시대 최대 집단 묘역인 부산 가덕도 장항 유적 출토 인골 콜라겐의 탄소와 질소 안정동위원소 분석은 우리나라 신석기 시대 생활상을 복원하는 데 매우 핵심적인 증거가 될 것이라 기대된다.

북한의 고구려 고고학 조사·연구의 성과와 과제 (On the Studies of Koguryo Archaeology in North Korea)

  • 강현숙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3권1호
    • /
    • pp.106-125
    • /
    • 2020
  • 1949년 안악3호분의 발굴로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북한에서 조사한 고구려 고분과 성곽 등 많은 유적은 남한 고구려 고고학 연구의 중요한 자료가 되었다. 해방 이후부터 고고학 조사와 관련된 제도를 정비한 북한에서는 압록강 유역의 적석총과 안악3호분이나 덕흥리벽화분을 위시한 고분, 대성산성과 안학궁 등 평양과 지방의 성곽과 신원 도시유적 등을 조사하여 고구려 역사를 체계화하고 문화의 우수성을 밝혔다고 평가한다. 그러나 1990년대 이후 북한의 고구려 고고학 조사와 연구는 '대동강문화'의 연장선상에서 진행되다보니 고고학 조사는 평양을 중심으로 한 서북한 일대에 치중되었고, 그 결과는 '고구려는 고조선을 계승한 천년 강성대국'이라는 대명제를 실증, 확증한다는 결론으로 귀결되고 있다. 이러한 주체적인 해석은 더욱 공고해져서 고구려 건국연대를 기원전 277년으로 소급시키고 이에 연동하여 적석총의 등장은 기원전 3세기로, 고구려의 평양진출을 3세기대로, 평양은 4세기 이전에 부수도로서 위상을 갖추었다고 평가한다. 최근에는 평양 일원의 성곽은 층위적으로 고구려의 고조선 계승이 증명되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고구려의 기원전 277년 건국이나 고조선 계승의 고고학적 근거가 객관성을 담보했다고 보기 어렵다. 단군릉과 동명왕릉의 개건에서 드러나듯이 자칫 선택적 조사와 자의적인 해석이라는 비판의 소지가 있다. 때문에 남한에서의 고구려 고고학 연구는 북한의 발굴조사와 보고된 자료를 그대로 취신할 것인가, 또는 유적, 유물에 대한 해석을 그대로 인용할 것인가 등에 대한 비판적 검토가 필요하다. 남, 북한의 공동 조사와 학술교류가 필요한 이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