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pricot

검색결과 173건 처리시간 0.026초

THE VARIATIONS OF JAPANESE APRICOT (PRUNUS MUME) CULTIVATED AROUND IN MTS. JIRI.

  • Lee, Jun-Ki;Hyun, Sang-Ki;Lee, Sang-Sun;Chai, Jung-Ki
    • Plant Resources
    • /
    • 제5권1호
    • /
    • pp.59-69
    • /
    • 2002
  • Twenty-three plants of Japanese apricot (Prunus mume) were collected from several sites around Mountains JIRI in Korea. Japanese apricots having the different morphological features were evenly distributed in the groups made from the cluster analysis, indicating no geographic distributions but artificial vegetations in Korea. Japanese apricots were, as based on the PCR-RAPD techniques, clustered into the three groups; a group (prototype) having the five white petals with the five red sepals, a group (green type) having the five white petals with the five green sepals, and a group (hybrid type) having the more than five red petals with various colored sepals. The prototype apricots showed higher toxicities than other type apricot against bacteria and production of less compounds in TLC plates. The polypetal types of Japanes apricot were related to those of p. armebiaca in the characteristics of seed (the ruggedness), but also to be closed to those of p. armebiaca in PCR-RAPD analysis. The cluster analysis of the twenty three apricots and its related species calculated from the two primers were shown to distinguish relationships of cultivars within species, or of individual plants within cultivars, but also to display the two overlapping bands resulted from PCR-RAPD technique.

  • PDF

살구의 휘발성 성분 조성에 대한 분리방법의 영향 (Influence of Isolation Method on the Composition of Apricot (Prunus armeniaca var. ansu Max.) Flavor)

  • 김영회;곽재진;권영주;양광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543-548
    • /
    • 1990
  • 살구의 휘발성 향기성분 조성에 대한 분리 방법의 영향을 조사코저 살구 과육(pH 3.1)을 simultaneous distillation-extraction(SDE)법, headspace trapping법 또는 이를 pH 7.0으로 중화시킨 후 SDE법에 의해 얻어진 정유성분의 조성을 분석 비교하였다. GC-MS 및 GC에 의한 표준품과 머무름 시간의 비교에 의해 확인된 80종의 성분들 중 pH3.1에서 SDE법에 의해 얻어진 정유성분중에는 다른 두 가지 방법에 의해 얻어진 정유성분에서는 검출되지 않거나 또는 미량으로 검출된 n-hexanal, trans-2-hexenal, cis-3-hexen-1-ol, linalool oxide, linalool, ${\alpha}-terpineol$, nerol, geraniol, benzyl alcohol, ${\beta}-phenylethyl alcohol$ 및 naphthalene 유도체들이 많이 검출되었으며 이러한 결과는 살구에서 비휘발성인 glycoside 형태로 존재하는 위와 같은 성분들이 산성조건하에서 수증기 증류시 glycoside 결합이 가수분해되어 휘발성 성분으로 유리되는데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당 종류별 살구설기떡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Apricot Sulgidduk by the Saccharides Assortment)

  • 신영자;박금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233-240
    • /
    • 2007
  • 당의 종류별(흰설탕, 황설탕, 올리고당, 꿀) 살구설기떡의 품질특성을 비교하기 위해 외관의 색상, 주사전자현미경의 관찰, pH, 산도, 수분함량, 총 균수의 변화, 색도, 기계적인 특성과 관능검사를 비교하였다. 살구설기떡의 외관 색상은 꿀을 첨가군이 가장 좋았으며,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에서도 꿀을 첨가군의 살구설기떡이 대조군보다 입자가 작고 고른 성상을 보이고 있었다. pH와 산도는 떡 제조 직후에 흰설탕을 첨가한 군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수분함량은 저장시간이 지남에 따라 꿀 첨가군이 높았으나 총 균수는 꿀 첨가군이 낮게 나타났다. 색상은 제조 직후 명도(L)가 흰설탕 첨가군이 가장 높았으며, a값(적색도)과 b값(황색도)은 황설탕 첨가군이 가장 높았다. 한편, 48시간 저장 후 견고성과 점착성, 파쇄성은 올리고당을 첨가군이, 반면에 응집성과 탄력성은 꿀 첨가군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관능검사의 경우 색상, 단맛, 촉촉한 정도, 삼킨 후의 느낌, 전반적인 기호도에서 꿀 첨가군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런 결과로 보아 살구설기떡 제조 시 당으로 꿀을 사용하면 품질 향상을 기대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매실과육과 매실착즙박의 이화학적 특성 (Phys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Flesh and Pomace of Japanese Apricots (Prunus mume Sieb. et Zucc))

  • 강민영;정윤화;은종방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1434-1439
    • /
    • 1999
  • 매실과 그 가공부산물인 매실착즙박을 대상으로 하여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매실과육은 수분 89.94%, 조단백질 0.92%, 조지방 2.28%, 조회분 0.54%의 일반성분 함량을 보였고, 매실착즙박은 수분 91.0%, 조단백질 0.86%, 조지방 0.47%, 조회분 0.40%로 분석되었다. 매실과육과 매실착즙박의 유리당과 당유도체들은 g1ucose, fructose, mannitol, sorbitol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구성 유리당중 매실과육의 경우 glucose함량이, 매실착즙박의 경우는 mannitol함량이 비교적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매실과육의 유기산 함량은 citric acid 3.78%, malic acid 5.22%, oxalic acid 0.13%이었으며, 매실착즙박은 각각 1.08, 0.53 및 0.01%로 분석되었다. 매실과육과 매실착즙박에서 분석된 무기성분중에서 모두 K성분이 가장 많았고, 매실과육은 그 외에 P, Ca, Al, Mg, Na등이 주요 성분으로 조사되었으며, 매실착즙박은 P, Ca, Al, Na, Fe등이 주요 무기성분으로 분석되었다. 매실과육의 식이섬유 함량은 불용성 식이섬유 2.94%, 가용성 식이섬유 1.07%로 불용성 식이섬유가 2배이상의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매실착즙박의 식이섬유 함량 역시 불용성 식이섬유 6.25%, 가용성 식이섬유 0.51%로 불용성 식이섬유 함량이 높았다. 따라서 최근 식이섬유에는 여러 가지 질병의 발생을 억제함$^({23-25})$으로서 영양생리적으로 그 중요성이 인정되고 있는데 식이섬유가 인체내에서 나타내는 생리기능은 식이섬유가 지니는 물리화학적 특성에 의해 영향$^({26})$을 받는다고 보고하였다.

  • PDF

살구씨 오일에 의한 화학적 손상모발의 개선 효과 (Effects of Apricot Kernel Oil on the Improvement Hair Texture)

  • 김주섭;문지선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700-707
    • /
    • 2021
  • 연구목적은 살구씨 오일을 첨가한 모질 개선 제형제를 제조하여 손상된 모발에 도포하여 모발의 질 개선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방법과 측정은 살구씨 오일 함량을 0 g, 1 g 2 g, 3 g 으로 다르게 하여 제형제를 제조하였다. 제조한 제형제로 탈색한 시료 모발에 도포 후 열처리와 자연방치를 한 후에 시료 별로 도포 전과 후를 측정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모발의 질 개선 효과를 알기 위해 인장강도, 메틸렌블루를 이용한 흡광도, 광택을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로 인장강도 측정결과는 건강모를 제외한 모든 시료에서 도포 후에 증가하였다. 메틸렌블루를 이용한 흡광도 분석결과 7L(1), 7L(2), 7L(3), 9L(3)의 시료에서 도포 후 감소하였다. 광택 측정결과는 7L(1), 7L(2), 7L(3), 9L(3)의 시료에서 증가하였다. 인장강도, 흡광도, 광택의 변화로 인해 살구씨 오일이 손상된 모발에 질 개선 효과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차후 다양한 측정 방법과 처리에 대한 방법 연구가 필요하다.

경남지역 매실에 발생하는 주요해충의 발생소장 (Occurrences of Major Pests in Japanese Apricot, Prunus mume Siebold & Zucc. in Gyeongnam Province)

  • 이흥수;정부근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21-27
    • /
    • 2011
  • 2005년부터 2007년까지 경남 진주, 하동지역 매실에서 25종의 해충이 조사되었다. 붉은테두리진딧물(Rhopalosiphum rufiabdominale(Sasaki)), 외점애매미충(Singapora shinshana M.), 벚나무응애(Tetranychus viennensis Zacher), 복숭아유리나방(Synanthedon hector B.) 등이 주요해충 이었으며, 복숭아꽃바구미(Anthonomus persicae sp. nov.), 복숭아순나방(Grapholita molesta (Busk)), 담배거세미나방(Spodoptera litura F.), 복숭아혹진딧물(Myzus persicae) 등이 일시적으로 발생하는 해충으로 나타났다. 외점애매미충의 발생은 4월 하순부터 10월 하순까지 지속적으로 발생하였고, 벚나무응애는 5월초에 발생하기 시작하여 6월 하순에서 7월 상순사이에 정점에 도달한 후 잎의 섭식조건 악화와 더불어 밀도가 감소하였다. 복숭아유리나방은 6월 중순 뚜렷한 발생최성기를 보인 후 7월 상순부터 8월 상순사이 기간에 발생이 거의 없었다가 9월 초중순에 뚜렷한 2차 발생최성기를 보였다. 복숭아꽃바구미는 매실 개화 전 꽃눈에서 발생하였고, 그 이후 4월~5월초에 우화 성충이 관찰되었다.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Burkholderia cepacia Complex Isolates Causing Bacterial Fruit Rot of Apricot

  • Li, Bin;Fang, Yuan;Zhang, Guoqing;Yu, Rongrong;Lou, Miaomiao;Xie, Guanlin;Wang, Yanli;Sun, Guochang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6권3호
    • /
    • pp.223-230
    • /
    • 2010
  • The Burkholderia cepacia complex isolates causing bacterial fruit rot of apricot were characterized by speciesspecific PCR tests, recA-HaeIII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RFLP) assays, rep-PCR genomic fingerprinting, recA gene sequencing, and multilocus sequence typing (MLST) analysis. Results indicated that the isolates Bca 0901 and Bca 0902 gave positive amplifications with primers specific for B. vietnamiensis while the two bacterial isolates showed different recA-RFLP and rep-PCR profiles from those of B. vietnamiensis strains. In addition, the two bacterial isolates had a higher proteolytic activity compared with that of the non-pathogenic B. vietnamiensis strains while no cblA and esmR marker genes were detected for the two bacterial isolates and B. vietnamiensis strains. The two bacterial isolates were identified as Burkholderia seminalis based on recA gene sequence analysis and MLST analysis. Overall, this is the first characterization of B. seminalis that cause bacterial fruit rot of apricot.

살구에서 배당체의 형태로 존재하는 휘발성 성분 (Glycosidically Bound Volatile Components in Apricot (Prunus armeniaca var. ansu Max.))

  • 김영회;김근수;박준영;김용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549-554
    • /
    • 1990
  • 비이온성 수지인 Amberlite XAD-2 흡착 및 메탄올 용출법에 의해 살구로부터 배당체분획을 얻은 다음 almond ${\beta}-glucosidase$ 및 산가수분해(pH3.0) 또는 pH 3.0에서 simultaneous distillation-extraction(SDE)에 의해 얻어진 가수분해물로부터 GC 및 GC-MS에 의해 40종의 휘발성 성분을 확인하였다. 3종의 가수분해물로부터 이미 배당체로서 살구에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linalool oxide, linalool, ${\alpha}-terpineol$, nerol, geraniol, benzyl alcohol 및 2-phenylethyl 이외에도 2,6-dimethyl-3,7-octadiene-2,6-diol, 3,7-dimethyl-1,5-octadiene-3,7-diol,(E)-및 (Z)-2,6-dimethyl-2,7-octadiene-1,6-diol, $3-4-dihydro-{\beta}-ionol$ $3-oxo-{\alpha}-ionol$, $3-hydroxy-7,8-dihydro{\beta}-ionol$, $3-oxo-7,8-dihydro-{\alpha}-ionol$, $3-hydroxy-{\beta}-ionone$, eugenol, 3-hydroxyethylphenyl acetate 및 2,3-dihydrobenzofuran이 살구에서 처음으로 확인되었다.

  • PDF

행인(杏仁)을 비롯한 한약복합방(韓藥複合方)이 생쥐 전지방세포(前脂肪細胞) 3T3-L1의 증식(增殖)과 분화(分化)에 미치는 영향(影響) (Comparision of Decoction and Distillation drug prescribed the Apricot Seed and Other Herbs on the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of Preadipocyte from the C57BL/6 Mouse)

  • 채기원;이진용
    •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87-197
    • /
    • 2002
  • Objective: This study was proceeded to determine to what extent the decoction recipes and distillation recipes extracted from the infusion of the apricot seed and other herbs respectively would produce an effect on the proliferation and the differentiation of Preadipocyte 3T3-L1 Model separated from C57BL/6 mouse. Method: Preadipocyte 3T3-L1 Model was formed from the fat tissue of the epididymis organ, which was removed from 4-week-old C57BL/6 mouse and then was treated with collagenase. Results: 1. Concerning the restraint effect of proliferation on Preadipocyte 3T3-L1 Model, the decoction recipes, in the state of low consistency, were proved to be more effective than the distillation recipes. 2. Concerning the restraint effect of differentiation on Preadipocyte 3T3-L1 Model, the decoction recipes were shown to be more effective.

  • PDF

Removal of Pesticide (Oxamyl) from Water using Activated Carbons Developed from Apricot Stones

  • El-Nabarawy, Th.;Sayed Ahmed, S.A.;Youssef, A.M.
    • Carbon letters
    • /
    • 제8권4호
    • /
    • pp.299-306
    • /
    • 2007
  • Four stream- activated carbons were prepared by carbonizing apricot stones at $600^{\circ}C$ followed by gasification with steam at $950^{\circ}C$ to burn-off's=17, 32, 49 and 65%. The textural parameters of these activated carbons were determined from nitrogen adsorption results at 77 K. The total pore volume and the mean pore radius increased with the increase of % burn-off whereas the surface area increased with the increase of burn- off from 17 to 32 and further to 49%. Further increase of burn-off to 65% was associated with a considerable decrease in surface area as a result of pronounced pore widening due to pore erosion. The surface pH values of the carbons investigated range between 7.1 and 8.2. The adsorption of oxamyl onto the activated carbon followed pseudo-second order kinetics and the equilibrium adsorption isotherms fitted Langmuir adsorption model. The adsorption of oxamyl proved to be of the physical type and took place in non-micropores. The amount of oxamyl adsorbed expressed as $q_m$ depends to a large extent to the surface area located in non-micropores $S^{\propto}\;_n$, where a straight line relationship passing through the origin was obtain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