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prE

검색결과 74건 처리시간 0.026초

북한강 중류 산간농업 소하천에서의 오염부하특성분석 (Pollutant Load Characteristics from a Small Mountainous Agricultural Watershed in the North Han River Basin)

  • 신용철;최중대;임경재;심혁호;류창원;양재의;유경열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47권6호
    • /
    • pp.83-92
    • /
    • 2005
  • Natural environment of the Wolgokri stream watershed, located in Chuncheon, Gangwon province, Korea, has been well preserved as a traditional agricultural watershed. To analyze characteristics of NPS pollution generated from an mountainous agricultural watershed, the flow and water qualities of the study watershed were monitored and were analyzed to estimate pollution loads. Annual runoff volume ratio was $70.4\%$. Concentrations of T-N, T-p, COD, and TOC were higher when monthly rainfall was between $0\~30mm$ than those when monthly rainfall was between $30\~70mm$. However, the concentrations varied considerably when monthly rainfall was higher than 100mm. The flow weighted mean concentrations(mg/L) of BOD, COD, TOC, $NO_3-N$, T-N, T-P and SS were 1.96, 2.72, 3.32, 1.41, 4.70, 0.187 and 13.36, respectively. The BOD, SS, T-N and T-P loads of July, 2004 were $48\%,\;17\%,\;51\%\;and\;32\%$ of annual load, respectively. The BOD, COD, TOC, $NO_3-N$, T-N, T-p, and SS loads (kg/ha) from Mar. 2004 to Apr. 2005 were 19.09, 26.55, 32.39, 13.85, 45.92, 1.887 and 130.18, respectively. The highest concentrations of BOD, NO3-N, T-N, T-p, SS, COD and TOC were found before the flow reached the peak runoff, possibly due to the first flushing effect. Generally, pollution loads of the Wolgokri watershed were not that significant. Phosphorus load, however, was higher enough to cause eutrophication in the receiving water body It was recommended that best management practices need to be implemented to reduce phosphorus sources.

항문암의 치료성적 : 비수술적방법과 수술적방법의 결과 비교 (Treatment Results in Anal Cancer : Non-operative Treatment Versus Operative Treatment)

  • 지의규;하성환;박재갑;방영주;허대석;김노경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0권1호
    • /
    • pp.62-67
    • /
    • 2002
  • 목적 : 항문암의 치료에 있어 고전적으로는 복회음부절제술이 주된 치료였으나 현재는 화학방사선병용요법이 주된 치료방법으로 정립되었다. 저자들은 서울대학교병원에서 항문암으로 치료 받은 환자의 임상적 특성을 조사하고, 치료방법에 따른 치료성적과 예후인자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79년 8월부터 1990년 7월까지 서울대학교병원 치료방사선과에서 근치적 또는 수술 후 방사선 치료를 받은 4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표피양암종이 38명으로 방사선치료가 4명에서, 복회음부절제술 및 수술 후 방사선치료${\pm}$화학요법이 19명에서, 화학방사선요법이 15명에서 시행되었다. 화학방사선요법은 복합화학요법$(5-FU\;1,000\;mg/m^2\;D1\~5,\;cisplatin\;60\;mg/m^2\;D1)$을 3회 시행 후 원발병소 및 영역림프절에 50.4 Gy를 조사하였고, 양측 서혜림프절에도 동일양을 조사하였다. 잔존암이 있는 경우 복합화학요법을 3회 추가 실시하였다. 중앙추적기간은 85개월이었다. 결과 : 전체 항문암 환자의 5년 생존율은 $80.3\%$이었다. 치료방법에 따른 5년 생존율은 복회음부절제술 및 수술 후 방사선치료${\pm}$화학요법군, 화학방사선요법군에서 각각 $88.9\%,\;79.4\%$이었으며 두군간의 생존율의 차이의 통계적인 의미는 없었다(p=0.495). 화학방사선요법을 시행 받은 환자군에서의 항문보존율은 $86.7\%$였다. 예후인자 중 단변량분석에서는 연령(p=0.0164)과 수행능력(p=0.0007)이 유의성을 보였으며, 다변량분석에서는 연령(p=0.0426)과 수행능력(p=0.0068) 및 서혜림프절 전이여부(p=0.0093)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다. 결론 : 항문암의 치료에 있어서 화학방사선요법을 시행할 경우 기존에 알려진 바와 같이 복회음부절제술과 유사한 생존율을 보이며, 항문기능을 보존할 수 있는 치료 방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나아가 병행화학요법이 아닌 선행화학요법을 시행하여 수반되는 합병증을 줄일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다층 도플러 유속계(ADCP)를 이용한 황토 살포 해역의 플랑크톤 평가 (Distribution of Zooplankton by ADCP's Echo Intensity in the Coastal Water used Yellow Loess)

  • 박주삼;추효상;문성룡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41-151
    • /
    • 2010
  • 우리나라에서는 적조가 발생하면 적조발생 해역에 황토를 살포하고 있다. 황토가 살포되는 해역은 대부분 가두리 양식장 주변이며 매년 권장 살포량이상으로 대량 살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적조가 발생하여 매년 황토가 살포되어온 해역과 황토가 살포되지 않은 해역을 대상으로 추계(2008년 10월)와 춘계(2009년 4월)에 플랑크톤 네트에 의한 채집과 ADCP에 의한 체적산란강도를 계측하여 플랑크톤 분포특성과 플랑크톤의 분포밀도를 조사하였다. 황토를 살포하지 않은 해역에서 채집된 생물의 종수 및 단위체적당 개체수는 높았으나, 황토를 살포한 해역에서는 낮았다. 각 정점에서 채집한 플랑크톤의 종별, 체장별 개체수와 분포밀도의 평균치를 이용한 체적산란강도 $SV_c$와 ADCP에 의해 계측된 체적산란강도 $SV_m$를 비교해 본 결과, 황토를 살포하지 않은 해역의 $SV_c$$SV_m$는 거의 일치하였으나, 황토를 살포한 해역의 $SV_m$$SV_c$보다 4.3 dB 높았다. 즉 황토를 살포한 해역에서는 부유물이 ADCP에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ADCP에 의해 계측된 체적산란강도의 수평분포도에서 체적산란강도는 황토를 살포한 해역이 황토를 살포하지 않은 해역보다 높았으며, 봄철이 가을철보다 높았다. 또한 체적산란강도 추정에 ADCP를 이용하면 채집에 의한 분포밀도의 과대 또는 과소평가를 방지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폐경 후 류마티스 관절염 여성의 골량감소 판별요인 (Determinants of Reduced Bone Mass in Postmenopausal Women with Rheumatoid Arthritis)

  • 이은남
    • 재활간호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193-205
    • /
    • 1999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dentify the important risk factors for reduced bone mass of postmenopausal RA patients and to develop discriminant function which can classify postmenopausal RA patients with either reduced or normal bone mass.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individual characteristics such as age, body weight, height, age of menarche, duration of menopause, gravity, parity, and breast feeding period and factors of life style such as milk consumption exercise habit, alcohol intake, cigarette smoking, coffee consumpt ion , disease activity, corticosteroid therapy were identified as influencing factors of reduced bone mass in RA patients Sixty eight postmenopausal women with rheumatoid arthritis aged between 42 and 76 were selected among those who checked bone mineral density in lumbar spine and femur from october, 1998 to Apr il, 1999 at Dong-a university hospital in Pusan. Assessment of disease activity, duration of disease and corticosteroid therapy were made by the same rheumatologist and included Ritchie articular index, 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 and C-reactive protein on measuring bone mineral density. Cumulative steroid dosage was calculated from the daily dosage multiplied by t h e number of days received. The information of other risk factor including health assessment score,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life style factors were collected by questionnaire. Bone mineral density(BMD) was measured using DXA at lumbar spine and femoral Ward's triangle. Discriminant function(regression equation) was developed for estimating the likelihood of the presence or absence of reduced bone mass. The results are as follows: Among the subjects, thirteen(19.1%) exhibited osteoporosis in lumbar spine and twenty four(35.3%) exhibited osteoporosis in femoral Ward's triangle. For lumbar spine, the variables significant were age, body weight, health assessment score, while for femoral Ward's triangle, age, body weight, duration of disease. But disease activity and corticosteroid therapy were not signigicant to distinguish reduced bone mass from normal bone mass. When the discriminant function was evaluated by comparing the observed out come with predicted out come, the discriminant function correctly classified 85.4% of patients with reduce bone mass and 63.0% of patients with normal bone mass in the lumbar spine and 100% of patients with reduced bone mass and 9.1% of patients with normal bone mass in the femoral Ward's triangle. In summary, we found that osteoporosis in postmenopausal women with RA is more evident at the femur than the lumbar spine. Also the important discriminant factors of reduced bone mass postmenopausal women with RA were age, body weight , duration of disease and health disability. In nursing situation, the efforts to improve of functional capacity of postmenopausal women with rheumatoid arthritis should be considered to prevent osteoporosis and fractures. Also we recommend those postmenopausal women with RA who are classified as a group of the reduced bone mass in the discriminant function should examine the bone mineral density to further examine the usefulness of this discriminant function.

  • PDF

서호(西湖)의 수질 , 저니토(底泥土) , 붕어중(中) Polychlorinated Biphenyls 및 유기염소계(有機鹽素系) 살충제의 잔류평가(殘留評價) (Evaluation of Polychlorinated Biphenyls and Organochlorine Insecticide Residues in Waters, Sediments and Crucian Carps in Soho Lake)

  • 박창규;황을철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105-115
    • /
    • 1982
  • 서호 환경시료 수질(西湖 環境試料 水質) 22점(點), 저니토(底泥土) 20점(點), 붕어 19점(點)을 $1981.9.{\sim}1982.4.$ 간 채취(間 採取)하여 PCBs 및 유기염소계 살충제(有機鹽素系 殺蟲劑)를 GLC로 분석(分析)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환경시료(環境試料)의 잔류분석(殘留分析)에 간섭(干涉)하는 원소황(元素黃)은 copper powder를 첨가(添加)하여 제거하였다. 2) 서호 환경시료중(西湖 環境試料中)에 존재(存在)하는 PCBs잔류분(殘留分)은 Aroclor 1254인 것으로 판단(判斷)되었으며, $SbCl_5$로써 PCBs를 DCB로 전환(轉換)시켜 최소서출량(最少徐出量) 0.04 ng 수준(水準)에서 PCBs잔류분(殘留分)을 분석(分析)하였다. 3) PCBs는 전 시료(全 試料)에서 검출(檢出)되었으며 그 잔류수준(殘留水準)의 범위(範圍)는 수질(水質)에서는 $0.015{\sim}0.15ppb$, 저니토(底泥土)에서는 $0.037{\sim}0.088$ ppm, 10㎝내외의 붕어에서 0.091 ppm이 있다. 4) 중앙(中央) 및 유출구(流出口)의 저니토(底泥土)를 제외한 전 시료(全 試料)에서 PCBs의 잔류수준(殘留水準)이 전(全) p,p'-DDT의 수준(水準)보다 높았다. 5) 수질중(水質中) PCBs의 잔류수준(殘留水準)은 유출구별(流入口別) 차이가 있었는데 우측 유입구(右側 流入口)의 잔류수준(殘留水準)이 좌측 유입구(左側 流入口)의 수준(水準)보다 3배나 높았다. 그러나 서호 환경시료(西湖 環境試料)에서 관찰(觀察)된 PCBs 오염원(汚染源)은 확실(確實)치 않았다. 6) 국내 환경시료(國內 環境試料)에서 PCBs의 오염(汚染)을 처음 양성적(陽性的)으로 확인(確認)하였다.

  • PDF

119구급대원의 업무스트레스와 피로 및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Job Stress, Fatigue and Job Satisfaction of 119 Emergency Medical Technician)

  • 박대성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71-86
    • /
    • 2004
  • This study selected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at 24 fire police boxes in Jeonnam in order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fatigue and job satisfaction of 119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Data were collected from Apr. 10 to May 9, 2004, questionnaires were mailed and returned by mail. Total 109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89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80 except 9 omitting answers and showing inappropriate answers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A. The total mean of areas composing job stress in the degree of job stress of 119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was over the average as 2.54 (SD .44) of 4 full marks. According to the degree of job stress by each area, the highest area of job stress was crisis situation (2.98), followed by role conflict as professional job (2.58), social factors (2.57), involvement in organization (2.55). To the contrary, the areas of the lowest job stress were professional knowledge and technique (2.35), psychological burden of medical limitation (2.38), conflicts in personal relationship and services (2.45) and improper treatment (2.53). B. The degree of fatigue of 119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by areas was over mean as 2.09(SD .49) of 4 full scores and physical fatigue was highest (2.18), followed by mental fatigue (2.11) and neurosensory fatigue (1.99). C. The degree of job satisfaction of 119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was 2.71 of 5 full scores and working condition area (3.70) showed the highest job satisfaction, followed by requirement of organization (2.85) and the lowest job satisfaction area was job itself (2.18), followed by desire for job (2.49). D. According to differences in dem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119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there was no variable of statistical difference at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in significance level .05, but fatigue showed statistical difference at final education (F=2.393, p=.046). E. According to differences related to job characteristics of 119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job stress showed statistical differences at motif of current services (F=4.935, p=.003), fatigue showed those at health conditions (F=2.732, p=.008), job satisfaction at overtime (F=3.038, p.034) and the greatest reason of having job (F=3.217, p=.017), F. As a result of analyzing correlations between job stress. fatigue and job satisfaction of the subject, job stress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r=.411, p=.000) with fatigue and negative correlation (r=-.267, p=.008) with job satisfaction. Fatigue showed negative correlation (r=-.287, p=.005) with job satisfaction. Therefore, the hypothesis of this study. "There will be relationship between degree of stress, fatigue and job satisfaction of subjects." was supported.

  • PDF

복숭아흑진딧물(Myzus persicae Sulzer)의 생활사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life history of green peach aphid, Myzus persicae Sulzer (Homoptera))

  • 심재영;박중수;백운하;이영복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39-144
    • /
    • 1977
  • 복숭아혹진딧물의 생활사를 야외에서 조사한 결과 1. 월동란은 3월하순-4월 상순에 부화하며, 부화율은 $95\%$였다. 2. 5월상, 중순에 겨울숙주로 이동하여 11월 상, 중순 사이에 월동란을 낳았다. 3. 1년간 빠른 개체군은 23세대, 늦은 개체군은 9세대를 영위하였다. 4. 성숙기간은 약 10.8일, 생식기간은 약 15.8일, 수명은 28.5일이었으며 모두 봄, 가을에는 그 기간이고 여름에는 짧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5. 암컷 한 마리당 총산자수는 약 50마리, 최다산자수는 118마리 이었으며, 1일 평균산자수는 3.2마리 이었으며 1일 최다산자수는 13마리었다.

  • PDF

배 검은별무늬병 저항성 품종 '그린시스' 육성 (Breeding of the Scab-Resistant Pear Cultivar 'Greensis')

  • 김윤경;강삼석;원경호;신일섭;조광식;마경복;김명수;최장전;최진호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4권4호
    • /
    • pp.655-661
    • /
    • 2016
  • '그린시스'는 아삭하고 과즙이 풍부한 동양배에 검은별무늬병(V. nashicola)에 저항성을 인자를 도입하기 위해 1994년 국립 원예특작과학원 배연구소에서 '황금배'와 'Bartlett'을 교배하였다. 285개 교배실생 중 식미감이 뛰어난 '그린시스'를 2006년에 1차 선발하고 2007년부터 2012년까지 5년간 9개 지역 10개소에서 지역적응성을 검토한 후 2012년 최종 선발하였다. '그린시스'의 성숙기는 9월 26일로 원형에 녹색 과피를 갖는 품종이다. 평균과중은 470g 내외, 당도는 $12.4^{\circ}Brix$이다. 과육은 아삭아삭하고 과즙이 풍부하여 식미가 좋다. '그린시스'의 엽 크기는 '황금배'보다 작고, 'Bartlett'과 유사하였다. 만개기는 4월 26일로 '황금배'보다 약 6일이 늦고, 'Bartlett'과 유사하였다. '그린시스'의 S allele 분석결과, $S_4S_e$로 확인되었는데 $S_4$ allele은 '황금배'로부터, $S_e$ allele은 'Bartlett'으로부터 유전되었다. '그린시스'는 검은별무늬병에 'Beurre Hardy', 'Conference' 등 서양배와 비슷한 수준의 저항성을 보였고, 검은무늬병(A. kikuchiana)에 포장저항성을 나타냈다.

항생제 사용 중 발생한 기계 호흡기 관련 폐렴에서 기관지 세포 세척술의 진단적 의미 (Implication of Quantitative Culture of Bronchoalveolar Lavage Fluid in the Diagnosis of Ventilator Associated Pneumonia in Patients with Antimicrobial Therapy)

  • 장윤수;안철민;정병천;김형중;김성규;이원영;신증수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9권1호
    • /
    • pp.72-81
    • /
    • 2000
  • 연구배경 : 본 연구에서는 기계 호흡 관련 폐렴 환자에서 항생제의 사용이 기관지 폐포 세척술에 미치는 영향과 원인 균주의 특성을 알아 보고자 하였다. 방법 : 1999년 4월부터 9월까지 영동 세브란스 병원에서 기계 호흡과 항생제 치료를 함께 받던 환자 25명을 대상으로 전향적 연구를 하였다. 대상 환자들은 대조군과 인공 호흡기 관련 폐렴군으로 나누었다. 기관지 폐포 세척액의 세균의 정량 배양이 진단 역치는 $10^4$ cfu/ml로 잡았다. 결과 : 1) 기관지 폐포 세척액의 그랑 염색에서 대조군 중 1명에서 VAP 환자군에서는 4명에서 양성의 결과를 나타내었다. 정량 배양에서 대조군에서는 모두 진단 역치 이하 였으나 VAP 군에서는 9명에서 양성의 결과를 보여 전체적으로 진단의 민감도는 43.8%였다. 2) 배양된 균주들의 빈도는 E. cloacae, S. aureus, K. pneumoniae, A. baumani 등의 순이었다. S. aureus 와 Staphylococcus coagulase(-)는 모두 oxacillin에 저항성을 보였으며 그람 음성 균주들 중 10례 중 3례를 제외한 나머지 모두가 cefotaxime과 ceftazidime에 저항성을 보여 extended spectrum $\beta$-lactamase(ESBL)를 생산하는 균주로 추정되었다. 3) 기관 흡인 검체와 기관지 세포 세척액의 그람 염색 결과는 1례에서만 일치하였다고 배양된 균주들도 3예에서만 일치하였다. 결 론 : 항생제 사용 중 발생한 기계 관련 폐렴에서는 기관지 폐포 세척액의 그람 염색과 정량 배양의 정확도는 높은 편이나 민감도는 낮은 편이었고, 통상적인 기관 흡입 검체를 이용한 검사 결과와의 일치율도 낮으므로 해석에 주의를 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나아가 약제 내성 균주의 빈도도 외국의 경우와 큰 차이가 없이 높으므로 항생제의 선택과 사용에도 신중을 기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제주지역에서 무가온 하우스재배시 아티초크 정식시기가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lanting Time on Growth and Yield of Artichoke (Cynara scolymus L.) for Non-Heated Cultivation in Jeju Island)

  • 성기철;김천환;문두경;이진수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25-30
    • /
    • 2010
  • 본 시험은 제주에서 무가온 하우스 재배시 아티초크의 정식시기가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코자 'Imperial Star'와 'Green Globe' 2품종을 사용하여 정식 시기는 전반기 5회(2월 25일~4월 30일), 후반기 6회(7월 30일~12월 15일)로 하였다. 전반기 정식에 있어서 화뢰 출현은 5~6월에 이루어졌는데 'Imperial Star' 품종이 'Green Globe' 품종에 비해 빨랐다. 첫 수확은 2월 25일 정식한 'Imperial Star' 품종에서 6월 16일로 가장 빨랐다. 수량은 전반기 정식의 경우 2월 25일 정식한 'Imperial Star' 품종에서 856kg/10a로 가장 많았다. 4월 15일 이후 정식에서는 두 품종이 모두 화뢰 출현이 이루어지지 않아 연내 수확이 불가능 하였다. 후반기 정식의 경우 화뢰 출현은 모든 처리구에서 이듬해 2월 하순~4월 중순경에 이루어졌으며 7월 30일 정식한 'Imperial Star' 품종에서 2월 26일로 'Green Globe' 품종에 비해 18일 빨랐다. 첫 수확은 4월 초순부터 가능하였으며 수량은 7월 30일 정식한 'Green Globe' 품종에서 2,127kg/ 10a로 가장 많았으며, 이후 정식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감소되었다. 정식시기를 전반기와 후반기로 나누어 정식일에 따른 생육과 수량을 비교한 결과, 제주지역 무가온 하우스에서 아티초크의 연내 수확을 위해서는 2월 25일 정식이, 이듬해 수확을 위해서는 7월 30일~10월 15일 사이에 정식하는 것이 생육 및 수량성에서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되었으며 정식시기가 전반기일 경우는 'Imperial Star' 품종을 후반기일 경우는 'Green Globe' 품종을 선택하는 것이 유리할 것으로 생각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