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pplying teaching model

검색결과 187건 처리시간 0.029초

공과대학생들의 학습양식을 고려한 수학 교수-학습 모형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mathematics teaching-learning model considering learning styles of the students of engineering college)

  • 정수연;강윤수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7권4호
    • /
    • pp.407-428
    • /
    • 2013
  • 본 연구는 공과대학생들의 수학 학습 능력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교수-학습 모형을 개발하고 활용 방안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교수-학습과정에서 중요한 변인으로 작용하는 학생들의 학습양식과 수학학습태도를 조사하여 둘 사이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연구대상자들은 의존적이고 참여적인 성향이 강한 것으로 파악되었기 때문에, 이런 성향의 학습자들이 능동적이고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교수-학습 모형을 개발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개발된 교수-학습 모형을 한 학기 공업수학 강좌에 적용한 후 학생들의 반응을 조사한 결과, 이 모형은 공과대학생들이 메타인지적으로 자기 학습과정을 진단하고 조정하는 능력을 향상시켜 자기주도적으로 학습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학생들이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수학 학습에 긍정적인 태도를 갖게 하는데도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e-teaching portfolio development : Scoping Review

  • Kim, Jungae;Kim, Milang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10권3호
    • /
    • pp.220-225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e-teaching portfolio to perform a teaching portfolio of an instructor on the web. I order to carry out this study, an initial model of the e-teaching portfolio was developed through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and the final e-teaching portfolio was developed by selecting and applying five students, then modifying and supplementing them. The study period was from May 1 to May 20, 2022.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components of the finally developed e-teaching portfolio are Step 1: Understanding oneself, Step 2: Goal setting, Step 3: Learning strategy, Step 4: Self-check. In conclusion, the program developed through this study is a convenient function that can process everything in one place by connecting the fragmented teaching results, and the developed e-teaching portfolio can promote interaction between individuals by building a community. It has possible characteristics. In order to systematically activate the e-teaching portfolio developed through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 online management system for systematic operation. Furthermore, an institutional device is needed to guarantee the result of the developed e-teaching portfolio. In order to continuously manage the quality of the teaching portfolio, extrinsic rewards that stimulate the instructor's intrinsic motivation should be provided.

탐구 학습 모형을 적용한 체육과 ICT활용 교수 학습 과정안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ICT Teaching Learning Material for Physical Education Applied to the Inquiry Learning Model)

  • 이재무;김종희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1-8
    • /
    • 2009
  • 본 연구는 탐구교수학습 모형에 기반한 체육과 ICT교수 학습 과정안을 개발하고 현장에 적용하여 교수 학습에서의 효율성을 입증하는 것이다. 최근, 체육 교육에도 ICT를 활용이 다양해지고 있다. 본 연구는 기존의 ICT 단순 활용방식에서 벗어나 교수 학습의 구체적 절차와 방법인 '학습모형'에 기반한 ICT 활용을 연구함으로써 학습 목표와 효과를 높이도록 하였다. 체육과의 육상, 체조 단원에 적용되는 탐구교수학습모형을 ICT 활용 수업에 적합하도록 재구성하여 절차적 모형으로 각 단계를 정의하고, 이를 실현하기 위한 ICT 교수 학습 과정안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초등학교 5학년 수업에 적용하였다. 적용 결과 교수 학습 목표 달성의 효율성을 높이고 학습의 흥미유발과 학습 만족도를 높이고 멀리뛰기의 기능적인 면에서 효과가 있었다.

  • PDF

고등학교 가정교과 가족관계 영역을 중심으로한 역할놀이 수업모형의 개발 및 적용 (The Development of the Teaching-Learning Model Applying Role Play to High School Home Economics Education)

  • 이시경;유태명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01-114
    • /
    • 1997
  • The objectives of the unit ‘Family Relations’in high school Home Economics Education is to help the students cultivating proper values and self-esteem, maintaining harmonious personal relations not only by understanding human relationships in family, but also by acquiring role play, and is to wisely cope with many problems occurring in social life, which are indispensable for those living in modern society. But at present it is hard for the students to gain those abilities mentioned above, for the present unit ‘Family Relations’lays special emphasis only on memorizing specific knowledge about the understanding of a family. To improve the present educational situation, this study develops a new teaching-learning method based on the role play model concerning the ‘Family Relation’area of high school Home Economics Education curriculum. This study is theoretically based on the literature and previous studies on present problems of our various family relations, and solving its problems, and suggests lesson model of role play and its effect. This study was performed as following procedures: the ‘Family Relation’unit of the present high school Home Economics Education curriculum was analyzed, and surveyed students to discover the conflicts and their solutions the high school students are now experiencing in their family relations. Accordingly, a new lesson model of the ‘Family Relation’area, applying role play was developed. Based on the developed lesson plan, two-hour classes were experimented and positive evaluation was given by students.

  • PDF

웹 기반 PBL을 적용한 원무관리실무 수업에 관한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Application of Web-based PBL to Practical Health Administrative Affairs)

  • 김민경;신경애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2권3호
    • /
    • pp.15-22
    • /
    • 2014
  • Backround : The paradigm of recent education has been shifting from existing style of professor-oriented, passive and rote teaching to learner-centered education. Rather than mere delivery of knowledge, today's idea of education uses various audiovisual media to let learners gain more problem-solving skills, judgment, cognitive thinking ability, and creativity to apply to real practice. Also, while current trends and change in policy ask for related industry to require practice-centered teaching learning model, Problem-Based Learning (PBL) is quite effective that it activates problem-solving skills as well as application of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NCS).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a teaching learning model article as an approach to apply web-based PBL for patient & medical charge management practices. Discussion & Conclusion : This paper the cases on PBL and presents the teaching learning model on web-based PBL as an approach to applying web-based PBL, which fits Medical Information System Department that combines health-medical treatment and computer applications, to practical health administrative affairs.

중학교 수학 수업에서 정수의 사칙계산 지도를 위한 직관적 모델의 역할에 관한 연구 (On the Role of Intuitive Model for Teaching Operations of Integers in the Middle School Mathematics Class)

  • 김익표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1권1호
    • /
    • pp.97-115
    • /
    • 2008
  • 고등학교 수학 수업에서는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뺄셈은 빼는 수의 덧셈의 역원을 더하고 나눗셈은 나누는 수의 곱셈의 역원을 곱하는 형식적인 관점으로 다룬다. 본 논문에서는 정수의 사칙계산 지도에 있어서 중학교 수학 수업에서 사용되는 직관적 모델(수직선 모델, 셈돌 모델)과 고등학교 수학 수업에서 제시되는 형식적 관점과의 연계에 대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직관적 모델을 이용하여 정수의 뺄셈을 덧셈을 이용하여 나타내는 방법의 의미를 재조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음수)${\times}$(음수)가 양수임을 지도하는 새로운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직관적 모델의 일관성 있는 활용에 바탕을 두고 Treffers(1986)와 Freudenthal(1991)이 제안한 수평적 수학화(horizontal mathematization)의 과정을 통하여 정수의 사칙계산을 지도하는 이 방법은 중학교와 고등학교에서 정수의 사칙계산 수업에 참여하는 교사와 학생들 모두에게 나타날 수 있는 단절(박임숙, 2001)을 제거할 수 있는 방안이 될 것이다. 또 이것은 중 고등학교에서 다루는 수 체계들이 대학과정 대수학에서 다루는 추상적인 수 체계(group, ring, field)와 계통성을 가진 하나의 개념구조를 형성한다는 사실을 학생들이 인지할 수 있는 밑바탕이 될 것이다.

  • PDF

직접 교수 모형에 기반한 체육과 ICT활용 교수 학습 과정안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ICT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for Physical Education based on Direct Instruction Model.)

  • 김종희;이재무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9권3호
    • /
    • pp.397-406
    • /
    • 2005
  • 본 연구는 직접교수학습 모형에 기반한 체육과 ICT교수학습 과정안을 개발하고 현장에 적용하여 교수 학습에서의 효율성을 입증하는 것이다. 체육 교과는 교사의 시범 및 피드백이 필요하고, 기상 조건 등으로 인하여 수업이 어려운 경우가 있다. 그리고 실제 학습에서의 학습 모형의 적용이 미비한 상황이다. 이러한 경우에 ICT 교수 학습 과정안을 활용한다면 전문가의 시범을 대치할 수 있으며, 학습자들은 개별적, 적응적 피드백을 제공받고, 자신의 학습 속도에 맞도록 느린 동작, 구분 동작 학습, 반복 학습이 가능하다. 그리고 교사들의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공유를 높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체육과에서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직접 교수 모형을 ICT 활용 수업에 적합하도록 재구성하여 절차적 모형으로 각 단계를 정의하고, 이를 실현하기 위한 ICT 교수 학습 과정안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초등학교 5학년 수업에 적용하여 학습 효과를 분석하였다.

  • PDF

코딩수업을 위한 학습자 중심의 플립드 러닝 적용 사례 연구 (A Study on a Case Applying Learner-Centered Flipped Learning for Coding Classes)

  • 이애리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23-30
    • /
    • 2017
  • 본 연구는 대학의 교양수업인 코딩수업에 플립드 러닝을 적용한 사례 연구이다. 컴퓨터를 전공하지 않는 학생들이 배우는 교양 코딩 수업은 전문가 양성을 위한 코딩 교육과는 차별화된 교육방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교양 수업으로의 코딩교육을 위한 플립드 러닝 수업 모형을 제안하고 그 효과 및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학습자는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시간, 장소에서 온라인 콘텐츠로 학습을 하고, 수업시간에는 학습된 내용에 근거한 실습교육에 집중하는 플립드 러닝을 통해 교수 학습의 효율을 극대화하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실제 수업에 적용 후 사전 사후 설문을 실시하여 플립드 러닝 방식의 수업을 진행한 학생들이 전통적인 방식으로 수업을 진행한 학생들보다 학습만족도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였고 학습 성취도에 대한 결과도 더 나은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현장에 적합한 초등 수학 수업 모형 탐색 (A Search for Mathematics Teaching Models for Elementary Schools)

  • 서동엽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5권3호
    • /
    • pp.407-429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현행 2011 수학과 교육과정에 따라 개발된 수학 교사용 지도서에서 제시하고 있는 수학 수업 모형을 중심으로 현장 교원들의 만족도와 활용 정도, 요구사항을 알아보았다. 현행 수업 모형에 대한 만족도는 약 80% 정도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활용 빈도는 학기 당 또는 단원 당 1회 정도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른 교과 중에서는 사회와 과학 수업 모형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이유로 수업에 활용하기 편리하다는 점을 들었다. 수학 수업 모형의 현장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수학의 다양한 내용 영역을 고려한 수업 모형 개발, 수준별 차이를 고려한 수업 모형 개발, 직접 교수법 등 교육과정의 교수학습 방법을 고려한 수업 모형 개발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수정된 ASSURE 모델 기반 영상제작을 통한 창의성 신장 방안 (The Plan to Improve Creativity through Producing Motion Image based on Modified ASSURE Model)

  • 공병갑;전병호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8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161-165
    • /
    • 2008
  • 본 연구는 지식정보화 사회의 경쟁력인 창의성을 기르기 위하여 수정된 ASSURE 모델을 기반으로 한 영상제작 활동 교수 학습 과정을 설계하고 적용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절차와 방법을 수행하였다. 먼저 영상매체 교육과 창의성 교육에 대하여 이론적 고찰을 한 후, 이 둘의 관계를 규명 해보고 그 결과로 수정된 ASSURE 모델을 적용한 교수 학습과정을 설계하였다. 그리고 영상제작 활동 교수 학습과정 전개 시 창의성 계발학습 모형을 적용하여 수업의 효과성을 높였다. 본 연구 결과 및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상제작활동 교수학습과정 적용의 결과 학생들의 창의적 성향이 신장되었다. 적용 전에 이던 것이 적용 후에는 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는 t=(p<0.05)의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 둘째, 영상제작 활동 교수학습 과정 적용을 통하여 문화적 프로슈머의 발판을 마련하였다. 덧붙여서 본 연구를 함께 한 모든 학생이 디지털미디어 시대의 리더그룹으로 성장하기를 기대해 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