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pical groove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12초

Gynogonadinium aequatoriale gen. et sp. nov., a New Dinoflagellate from the Open Western Equatorial Pacific

  • Gomez, Fernando
    • ALGAE
    • /
    • 제22권1호
    • /
    • pp.11-15
    • /
    • 2007
  • A new genus and species of marine dinoflagellate from the open western equatorial Pacific Ocean, Gynogonadinium aequatoriale gen. et nov. sp., is described from light and scanning electron micrographs. This laterally compressed unarmoured taxon had a triangular cell body in lateral view with two different elongate extensions. The end of the apical extension was spherical with a groove that arises from the epicone in the ventral side of the cell. The antapical extension was longer. The dorsal part of the cingulum showed undulated lists in each margin. The nucleus was ellipsoidal and perpendicularly crossed the cingulum. Dimensions of cells were 90-110 μm long and 43-55 μm wide in lateral view at the level of the cingulum. Gynogonadinium is placed in the order Gymnodiniales, family uncertain.

상악 측절치 구개치은발육구의 치료 (Treatment of a lateral incisor anatomically complicated with palatogingival groove)

  • 최문선;박세희;조경모;김진우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6권3호
    • /
    • pp.238-242
    • /
    • 2011
  • 구개치은발육구는 상악 전치에 나타나는 이상 치근 형태의 하나로 구개측 결절부에서 구개치은발육구를 관찰하였으며, 이 구는 치근단을 향하여 여러 깊이와 길이로 연장될 수 있다. 구개치은발육구는 세정되기 어렵고 청결이 불가능하여, 치태와 치석 등이 축적되어 접합상피의 파괴를 일으키고 빠르게 골연하 결손부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이차적으로 치수 조직을 이환시켜 근관-치주 병소가 발생할 수 있다. 본 증례 보고는 구개치은발육구로인해 근관 문제까지 야기된 임상증례를 보고하고 근관치료와 함께 여러가지 재료를 이용한 구개치은발육구의 치료결과를 관찰함으로써 이러한 치료방법의 효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The Importance of Complete Pericardiectomy and the Role of the Apical Suction Device in Chronic Constrictive Pericarditis

  • Kim, Sang Yoon;Na, Kwon Joong;Kim, Kyung-Hwan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50권1호
    • /
    • pp.22-29
    • /
    • 2017
  • Backgroun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reoperative attributes and clinical impacts of complete pericardiectomy in chronic constrictive pericarditis. Methods: A total of 26 patients were treated from January 2001 to December 2013. The pericardium was resected as widely as possible. When excessive bleeding or hemodynamic instability occurred intraoperatively, a cardiopulmonary bypass (CPB; n=3, 11.5%) or an apical suction device (n=8, 30.8%) was used. Patients were divided into 2 groups: those who underwent ${\geq}80%$ resection of the pericardium (group A, n=18) and those who underwent <80% resection of the pericardium (group B, n=8). Results: The frequency of CPB us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groups A and B (n=2, 11.1% vs. n=1, 12.5%; p=1.000). However, the apical suction device was more frequently applied in group A than group B (n=8, 30.8% vs. n=0, 0.0%; p=0.031). The postoperative New York Heart Association functional classification improved more in group A (p=0.030). Long-term follow-up echocardiography also showed a lower frequency of unresolved constriction in group A than in group B (n=1, 5.60% vs. n=5, 62.5%; p=0.008). Conclusion: Patients with chronic constrictive pericarditis demonstrated symptomatic improvement through complete pericardiectomy. Aggressive resection of the pericardium may correct constrictive physiology and an apical suction device can facilitate the approach to the posterolateral aspect of the left ventricle and atrioventricular groove area without the aid of CPB.

3차원 재구성법에 의한 C-shaped root의 형태분석 (MORPHOLOGIC ANALYSIS OF C-SHAPED ROOT USING 3-D RECONSTRUCTION)

  • 정은희;신동훈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7권4호
    • /
    • pp.421-431
    • /
    • 2002
  • C-shaped canal configuration is very difficult to treat because that clues about preoperative canal anatomy cannot be ascertained from clinical crown morphology and limited information can be derived from radiographic examination. This study was done to get more informations about the root and canal configuration of C-shape root by 3-dimensionally reconstructing for the purpose of enhancing success rate of endodontic treatment. 30 mandibular molars with C-shaped root were selected. Six photo images from occlusal, apical, mesial, distal, buccal, lingual directions and radiographic view were taken as preoperative ones to compare them with 3-D image. After crown reduction to the level of 1-2mm over pulpal floor was performed, teeth were stored in 5.25% sodium hypochlorite solution for the removal of pulp tissue and debris. They were cleaned under running water, allowed to bench dry and embedded in a self-curing resin. This resin block was serially ground with a microtome (Accutom-50, Struers, Denmark) and the image of each level was recorded by digital camera (FinePix S1-pro, Fuji Co., Japan). The thickness of each section was 0.25mm. Photographs of serial sections through all root canal were digitized using Adobe Photoshop 5.0 and then minimum thickness of open and closed sites were measured (open site is the surface containing occluso-apical groove closed site is oppsite). After dizitization using 3-D Doctor (Able software Corp, USA). 3D reconstruc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ooth and the inner surface of pulp space was made. Canal classsification of C-shaped roots was performed from this 3-D reconstructed imag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Most C-shape rooted teeth showed lingual groove (28/30). 2 According to Vertuccis' calssification, type I, II, III, IV, VII were observed. but also new canal types suck as 2-3-2, 1-2-3-2. 2-3-2-1, 2-3-2-3 were shown. 3 There was little difference in minimum thickness on coronal and apical portions, but open site were thinner than closed site on mid portion. Conclusively, 3D reconstruction method could make the exact configurations of C-shape root possible to be visualized and analyzed from multi-directions. Data from minimum thickness recommend cleaning and shaping be more carefully done on dangerous mid portion.

참돔, Pagrus major (♀)과 감성돔, Acanthopagrus schlegelii (♂)간 유도 잡종의 비늘 특성 (Scale Characteristics of Hybrid between Female Red seabream, Pagrus major and Male Black Seabream, Acanthpagrus schlegelii)

  • 김봉석;이상준;김현수;김종현;백혜자;김은미;김영자;박인석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07-111
    • /
    • 2006
  • 참돔, Pagrus major (♀)과 감성돔, Acanthopagrus schlegelii (♂) 그리고 이들간 유도 잡종 개체의 비늘 특성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 결과, 유도 잡종 개체의 비늘 외형은 양친의 중간적인 특성을 나타내었다. 참돔과 감성돔의 primary apical grooves와 측선 비늘 수의 평균은 각각 $10.5{\pm}2.6$$49.5{\pm}0.5$를 나타내었으며, 유도 잡종의 평균 primary apical grooves 수와 평균 측선 비늘 수 역시 양친의 중간적 계수형질의 경향을 보였다(P<0.01). 본 연구에서의 계수형질은 본 연구 대상 어류인 돔류에서의 동정에 유용한 parameter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거제도 장목항에서 적조원인생물 Akashiwo sanguinea(Dinophyceae): 형태, 분자계통학적 특성 및 온도와 염분에 따른 성장 특성 (Bloom-forming dinoflagellate Akashiwo sanguinea(Dinophyceae) in Jangmok Harbour of Geoje Island, Korea: Morphology, phylogeny and effects of temperature and salinity on growth)

  • 한경하;;윤주연;강병준;김현정;서민호;서호영;신현호
    • 환경생물
    • /
    • 제37권2호
    • /
    • pp.119-128
    • /
    • 2019
  • 거제도 장목항에서 분리한 Akashiwo sanguinea의 형태와 계통학적 특성을 명확히 하고, 여러 온도와 염분구배에 따른 성장조건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A. sanguinea의 세포는 오각형이었고, 세포의 길이는 54.7~70.3 ㎛, 폭은 31.5~48.5 ㎛로 나타났다. 핵은 세포의 중심에 위치하였고, 엽록체는 황갈색으로 세포 전체에 퍼져있었다. 상추구는 알파벳 e 모양이었다. 계통분석 결과 장목항에서 분리한 본 배양주는 ribotype A에 포함되었다. 온도 및 염분구배에 따른 성장 실험은 5℃ 이하의 온도를 제외한 모든 온도구배에서 성장이 나타났다. 그리고, 최대성장속도는 온도 20℃, 염분 20 psu에서 0.50 day-1로 나타났고, 최대세포밀도는 온도 25℃, 염분 30 psu에서 1,372 cells mL-1였다. 이 결과는 A. sanguinea가 가을철에 한국 연안에서 최대 증식을 보일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Pheopolykrikos hartmannii(W. Zimmermann) Matsuoka & Fukuyo 휴면포자와 유영세포: 형태적 특징 및 계통 분류, 발아에 미치는 온도 영향 (Resting cysts and vegetative cells of Pheopolykrikos hartmannii (W. Zimmermann) Matsuoka & Fukuyo(Dinophyceae): Morphology, phylogeny, and effect of temperature on germination)

  • 곽경윤;윤주연;김현정;한경하;;신현호
    • 환경생물
    • /
    • 제40권4호
    • /
    • pp.387-397
    • /
    • 2022
  • 한국 남해역의 퇴적물에서 분리한 Pheopolykrikos hartmannii 휴면포자는 구형으로 밝은 갈색을 띠고 있으며, 표면에는 길고 날카로운 돌기물이 관찰되고 내부에는 원형질과 함께 한개의 붉은색 색소체(red accumulation)가 있다. 이 휴면포자는 5℃를 제외하고, 10℃에서 30℃ 사이의 온도에서 발아하였고, 15℃와 20℃에서 높은 발아율(>90%)을 보였다. 휴면포자로부터 발아한 유영세포는 2개의 세포로 된 콜로니(two-celled colony) 형태로 관찰되었고, 전방세포의 상추구에서 고리 모양의 apical groove가 관찰되었다. 그리고 분자계통 분석 결과, Pheopolykrikos hartmannii는 Polykrikos종과 근연 관계로 확인되었다.

Self-drilling 방식의 마이크로임플란트 식립에 의해 발생하는 피질골 스트레인의 유한요소해석 (Finite element analysis of cortical bone strain induced by self-drilling placement of orthodontic microimplant)

  • 박진서;유원재;경희문;권오원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203-212
    • /
    • 2009
  • 골밀도가 높고 두꺼운 피질골에 마이크로임플란트를 self-drilling 방식으로 식립하는 경우 과도한 수준의 골부하 (bone loading)가 발생할 위험이 있으며 이는 인접골의 정상적인 골개형(bone remodeling)에 장애를 초래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한요소해석으로 두께 1.0 mm의 피질골에 Absoanchor SH1312-7 마이크로임플란트((주)덴토스, 대구, 대한민국)가 self-drilling 방식으로 식립되는 과정(10회전, 식립깊이 5 mm)을 모사(simulation)하였으며 식립 단계별로 피질골에 발생되는 스트레인을 조사하였다. 식립중 마이크로임플란트 첨부의 절삭연(cutting flute)에 의한 골삭제로 생기는 나사길(threaded groove)의 치수를 얻기 위하여 가토 경골에 마이크로임플란트를 식립/제거한 후 Micro CT (Explore Locus RS, GE Healthcare, Ontario, Canada)를 이용하여 기하형상을 측정하였으며 이를 치밀골의 유한요소모델에 반영하였다. 해석결과, 치밀골에 발생되는 스트레인은 임플란트 식립깊이에 따라 증가하였고, 초기단계에서 나사산에 인접한 골에 국한되던 과부하 부위(스트레인이 4,000${\mu}$-strain을 상회하는 영역)가 식립깊이 증가에 따라 인접골 전체, 즉 나사산 인접부는 물론 골(valley) 부위에 접하는 모든 영역으로 확장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self-drilling 방식으로 마이크로임플란트를 식립할 때 치밀골에 발생하는 스트레인 크기는 생리적인 골개형을 저해할 수 있는 수준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근관치료 시 초음파 세정 기술을 이용한 잔사 제거의 효율성 (The efficacy of ultrasonic irrigation technique on debris removal during root canal treatment)

  • 김정현;김진우;조경모;박세희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3권2호
    • /
    • pp.97-105
    • /
    • 2017
  • 목적: Passive irrigation (PI)과 Passive ultrasonic irrigation (PUI)의 상아질 잔사 제거 효율성을 비교하는 것이다. 연구 재료 및 방법: 16 mm 길이로 표준화된 하악 소구치 치근을 근관 확대 후 종단으로 이등분 하였다. 분리된 한쪽 상아질벽에는 길이 4 mm, 너비 0.2 mm, 깊이 0.5 mm의 표준화된 구를 형성하였고, 반대쪽에는 직경 0.3 mm, 깊이 0.5 mm인 3개의 반구 형태의 함요를 형성하였다. 각 구와 함요에는 NaOCl과 혼합된 상아질 잔사로 채우고, 퍼티 인상재를 사용하여 재조합하였다. Group 1은 PI를 이용하고 Group 2는 PUI를 이용하여 각 근관내를 세정하였다. 현미경과 디지털카메라로 절편의 근관벽을 촬영하고, 구와 함요에 잔존하는 상아질 잔사의 양을 scoring system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결과: 근관의 중앙 1/3에서 group 1이 group 2에 비해 잔사를 더 많이 제거하였지만, 치근단부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하악 소구치에서 근관에 기구가 닿지 못하는 부위를 세정시, 근관의 중앙 1/3에서 PUI를 사용하는 것이 PI에 비해 상아질 잔사의 제거 효율이 우수했지만, 치근단부에서는 PUI와 PI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남해안에서 분리한 유독 와편모조류 Gymnodinium catenatum Graham (Dinophyceae): 형태, 분자계통학적 특성 및 온도와 염분에 따른 성장 특성 (Toxic dinoflagellate Gymnodinium catenatum Graham(Dinophyceae) from the southern coast of Korea: morphology, phylogeny and effects of temperature and salinity on growth)

  • 한경하;;강병준;윤주연;신현호
    • 환경생물
    • /
    • 제37권1호
    • /
    • pp.31-41
    • /
    • 2019
  • 남해안에서 분리한 Gymnodinium catenatum의 형태, 계통학적 분석 및 다양한 온도 및 염분에 반응하는 성장 조건을 파악하였다. G. catenatum의 세포는 세로로 길거나 세로와 가로의 길이가 유사한 오각형이었다. 세포의 길이는 $38.1{\sim}77.4{\mu}m$, 폭은 $26.1{\sim}40.8{\mu}m$로 나타났다. 핵은 세포의 중간에 위치하였고, 상추구는 말굽의 편자 모양이었고, 이는 국내외 배양주와 형태적으로 매우 유사한 결과 였다. 계통분석 결과도 염기유사도를 비교해 보았을 때, 기존에 보고된 배양주와 100% 일치하여 이 종은 단일 계통으로 판단되었다. 온도와 염분에 대한 성장실험에서 G. catenatum은 $15^{\circ}C$ 이상의 온도에서 염분 15 psu를 제외한 모든 염분구간에서 성장을 보였으며, 고온인 $30^{\circ}C$에서는 성장을 하지 않았다. 최대성장속도는 온도 $25^{\circ}C$, 염분 35 psu에서 $0.37day^{-1}$로 나타났고 최대세포밀도는 온도 $20^{\circ}C$, 염분 25에서 $1,073cells\;mL^{-1}$였다. 이 결과는 G. catenatum이 한국 남해안에서 여름철 및 가을철, 특히 평균 수온이 $20^{\circ}C$ 이상인 여름철에 최대 증식을 보일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