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tioxidative defense system

검색결과 71건 처리시간 0.036초

셀레늄 강화 시금치가 고지방 및 고콜레스테롤 식이 흰쥐의 항산화 효소활성 및 산화적 손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lenium-Treated Spinacia oleracea L. on Antioxidative Enzyme Activities and Oxidative Damage in Rats Fed High-Fat and High-Cholesterol Diets)

  • 송원영;최정화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388-395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고지방 및 고콜레스테롤 식이 흰쥐에 셀레늄 강화 시금치를 공급하여 간 조직의 항산화방어계와 지질과산화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실험동물은 체중 $150{\pm}10g$ 내외의 Sprague-Dawley종 수컷 흰쥐를 사용하였으며, 정상식이 대조군(N), 고지방 및 고콜레스테롤 공급군(HF), 고지방 및 고콜레스테롤 공급군에 무처리 시금치 5% 공급군(SPA) 및 10% 공급군(SPB), 고지방 및 고콜레스테롤 공급군에 셀레늄 강화 처리 시금치 5% 공급군(SSA) 및 10% 공급군(SSB)으로 총 6군으로 나누었다. 식이 및 식수는 자유섭취하게 하였으며 4주간 사육한 후희생시켰다. 간 조직 중의 항산화 효소계인 SOD 활성은 HF군에 비해 셀레늄 시금치 공급군 SSA 및 SSB군에서 각각 31.4% 및 36.9% 증가하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아니였다. GSH-px 활성은 또한 SSA 및 SSB군에서 각각 5.8% 및 12.2% 증가하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고, catalase 함량은 전체 군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볼 수 없었다. 유리기를 소거하는 지표인 간 조직의 superoxide radical 함량은 microsome에서 정상군에 비해 HF군에서 86.7%의 유의적인 증가를 나타내었으나 10%의 셀레늄 강화 시금치를 공급한 SSB군에서는 HF군에 비해 54.8%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간 조직의 microsome에서의 산화단백질 함량은 정상군에 비해 HF 군에서 60.5%로 유의적으로 증가 되었으나 시금치의 공급으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Mitochondria에서는 정상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된 HF군의 carbonyl value 함량이 셀레늄 강화 시금치를 10% 공급한 SSB군에서 23.1%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과산화지질의 함량을 적혈구에서 관찰한 결과 정상군에 비해 HF 군에서 59.0%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10% 무처리 시금치 공급군 및 10% 셀레늄 강화 공급군에서는 각각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과산화지질의 함량을 간 조직에서 관찰 한 결과, 정상군에 비해 HF군에서 42.6%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또한 고지방 및 고콜레스테롤 식이로 인해 증가된 과산화지질은 시금치를 공급한 모든 군에서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내었다. 특히 무처리 시금치 군에 비해 셀레늄 강화 시금치에서 유의적으로 더 높은 과산화지질이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시금치에 함유된 여러 항산화 성분이 효과적으로 활성산소종의 소거에 관여함으로써 산화적 손상을 완화시킨 결과로 보이며, 특히 시금치에 셀레늄의 처리는 항산화능의 상승효과에 기여했으리라 사료된다.

곰보배추섭취가 고지방과 고콜레스테롤 식이 랫드에서의 항산화 효소활성 및 산화적 손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alvia plebeia R. Br. on Antioxidative Enzyme Activities and Oxidative Damage in Rats Fed High-Fat and High-Cholesterol Diets)

  • 송원영;최정화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316-323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고지방 고콜레스테롤 식이 흰쥐에서 곰보배추 파우더가 간조직의 항산화 효소활성 및 산화적 손상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실험군을 4군으로 나누어 정상 식이군, 고지방 고콜레스테롤 식이군, 고지방 고콜레스테롤 식이에 곰보배추 파우더를 5% 및 10% 첨가한 군으로 각각 나누었다. 간 조직 중의 항산화 효소계인 GSH-px, catalase 및 SOD 활성은 정상군에 비해 HF군에서는 감소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HF군에 비해 곰보배추 파우더 공급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되었다. Superoxide radical 함량을 mitochondria 및 microsome에서 측정한 결과 정상군에 비해 HF군에서 유의적인 증가를 나타내었으나 곰보배추 공급으로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특히 microsome 에서는 군간의 유의한 차이도 나타내었다. 간조직의 cytosol 및 mitochondria에서 $H_2O_2$의 함량에서는 곰보배추 공급군 모두에서 유의적인 감소로 정상군 수준을 나타내었다. 혈청에서 간수치 GOT 및 GPT를 측정한 결과 10%의 곰보배추의 공급으로 HF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간 조직의 microsome 및 mitochondria에서의 산화단백질 함량 또한 곰보배추 파우더의 공급으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과산화지질의 함량을 간조직에서 관찰 한 결과 고지방 고콜레스테롤 식이로 인해 증가된 과산화지질이 곰보배추 파우더를 공급한 군에서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곰보배추의 공급으로 고지방 고콜레스테롤 식이로 손상된 간조직의 항산화계는 곰보배추 내 함유되어진 여러 생리활성 물질들이 항산화효소의 활성을 증가시켜 체내에서 생성된 free radical에 의한 산화를 억제시켰으리라 사료되어진다. 이로 미루어 곰보배추는 체내 조직의 산화를 억제하는 항산화작용에 효과적으로 기여함을 알 수 있었다.

계혈등, 반지련, 보골지, 봉출, 오미자, 현호색 헥산 분획층의 항산화활성 (Antioxidative Activity of the n-Hexane Fractions from Spatholobus suberectus (SS), Scutellsria barbata (SB), Psoralea corylifolia (PC), Curcuma zedoaria (CZ), Schisandra chinensis (SC), and Corydalis turtschaninovii (CT))

  • 최은정;김세훈;심상희;정현정;방우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493-497
    • /
    • 2012
  • 약용식물 6종을 메탄올로 추출한 다음, n-hexane층을 DMSO에 녹여 항산화 활성을 측정 비교하여 기능성 소재인 천연 항산화제로써의 활용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DPPH를 이용한 라디칼 소거능 실험에서는 250 ${\mu}g/mL$ 농도에서 보골지가 대조군인 ascorbic acid에 비해 높은 유리기 소거능에 의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냈다. 농도 500 ${\mu}g/mL$에서는 ascorbic acid가 가장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였다. ABTS 유리기 소거능 실험에서는 농도 증가에 따른 항산화 활성이 DPPH assay와 상반된 결과를 나타냈고, 특히 보골지의 항산화 활성이 대조군인 ascorbic acid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DPPH 라디칼, ABTS 유리기 소거능 실험 결과 공통적으로 우수한 것으로 조사 된 약용 식물은 반지련, 보골지이며 500 ${\mu}g/mL$ 이상의 농도에서 ascorbic acid와 유사한 90% 활성을 보였으며 750 ${\mu}g/mL$ 농도에서는 ascorbic acid 보다 우수한 유리기 소거 활성을 보였다. 따라서, 반지련과 보골지는 항산화 활성이 우수하므로 천연 식물소재로 이용하기에 적합하며, 천연물의 추출 부위, 용매, 추출 조건에 따라 다양한 항산화 활성 능력을 기대 할 수 있으므로 천연 항산화제로서의 응용 가능성 또한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고지방식이 마우스에서 산마늘의 간과 신장 보호효과 (Hepatoprotective and Nephroprotective Effects of Allium victorialis Leaf Extracts on the High Fat Diet Supplied Mice)

  • 구세광;김주완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25-231
    • /
    • 2010
  • 고지방식이로 유발된 간과 신장의 손상에서 산마늘 메탄올 추출물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12주 동안 산마늘 메탄올 추출물 62.5, 125, 250 mg/kg/day를 투여한 결과 고지방식이로 유발된 혈청중의 AST, ALT, BUN, creatinine의 증가 억제와 간의 조직병리학적 변화를 감소시켜 지방간염과 신장의 손상이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또한, 항산화 효소인 superoxide dismutase, glutathione, catalase의 증가와 malondialdehyde의 감소로 항산화방어체계(antioxidant defense system)를 강화시켰다. 산마늘 메탄올 추출물 125 mg/kg 투여군은 대조군인 silymarin 100 mg/kg 투여군과 유사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산마늘 메탄올 추출물은 고지방식이로 유발되는 간과 신장의 손상을 완화하는 유용한 작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B16F10 Murine Melanoma Cell에서 Myricetin이 항산화효소의 m-RNA 발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yricetin on mRNA Expression of Different Antioxidant Enzymes in B16F10 Murine Melanoma Cells)

  • 유지선;김안근
    • 약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86-91
    • /
    • 2005
  • Flavonoids are class of polyphenolic compounds widely distributed in the plant kingdom, which display a variety of biological activities, including antiviral, antithrombotic, antiinflammatory, antihistaminic, antioxidant and free-radica 1 scavenging abilities. The antioxidant enzyme (AOE) system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defense against oxidative stress insults. To determine whether flavonoid, myricetin can exert antioxidative effects not only directly by modulating the AOE system but also scavenging free radical, we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the flavonoid myricetin on cell viability, different antioxidant enzyme activities, ROS level and the expression of different antioxidant emzyme in B16F10 murine melanoma cells. Myricetin in a concentration range from 6.25 to $50\;{\mu}M$ decreased superoxide dismutase (SOD) and glutathione peroxidase (GPx) enzyme activities, but catalase (CAT) activity was increased. In the myricetin-treated group, ROS levels were decreased dose-dependently. Antioxidant enzyme expression was measured by RT-PCR. Myricetin treatment of B16F10 cells increased catalase expression. Expression levels of copper zinc superoxide dismutase (CuZn SOD) were not affected by exposure of myricetin. Manganese superoxide dismutase (Mn SOD) and GPx expression levels decreased slightly after myricetin treatment. In conclusion, the antioxidant capacity of myricetin was due to CAT and free-radical scavenging.

Improvement of heat and drought photosynthetic tolerance in wheat by overaccumulation of glycinebetaine

  • Wang, Gui-Ping;Hui, Zhen;Li, Feng;Zhao, Mei-Rong;Zhang, Jin;Wang, Wei
    • Plant Biotechnology Reports
    • /
    • 제4권3호
    • /
    • pp.213-222
    • /
    • 2010
  • Within their natural habitat, crops are often subjected to drought and heat stress, which suppress crop growth and decrease crop production. Causing overaccumulation of glycinebetaine (GB) has been used to enhance the crop yield under stress. Here, we investigated the response of wheat (Triticum aestivum L.) photosynthesis to drought, heat stress and their combination with a transgenic wheat line (T6) overaccumulating GB and its wild-type (WT) Shi4185. Drought stress (DS) was imposed by controlling irrigation until the relative water content (RWC) of the flag leaves decreased to between 78 and 82%. Heat stress (HS) was applied by exposing wheat plants to $40^{\circ}C$ for 4 h. A combination of drought and heat stress was applied by subjecting the drought-stressed plants to a heat stress as above. The results indicated that all stresses decreased photosynthesis, but the combination of drought and heat stress exacerbated the negative effects on photosynthesis more than exposure to drought or heat stress alone. Drought stress decreased the transpiration rate (Tr), stomatal conductance (Gs) and intercellular $CO_2$ concentration (Ci), while heat stress increased all of these; the deprivation of water was greater under drought stress than heat stress, but heat stress decreased the antioxidant enzyme activity to a greater extent. Overaccumulated GB could alleviate the decrease of photosynthesis caused by all stresses tested. These suggest that GB induces an increase of osmotic adjustments for drought tolerance, while its improvement of the antioxidative defense system including antioxidative enzymes and antioxidants may be more important for heat tolerance.

오디즙 및 오디박 분말이 Streptozotocin 유발 당뇨쥐의 혈당 및 혈청지질 강하와 적혈구 항산화 효소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ulberry Juice and Cake Powders on Blood Glucose and Lipid Lowering and Erythrocytic Antioxidative Enzyme Activities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 권은혜;장현서;김상운;최상원;이순재;조성희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0권3호
    • /
    • pp.199-210
    • /
    • 2007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ulberry juice and cake powder on blood glucose and lipid status along with intestinal disaccharidase and erythrocyte antioxidative enzyme system in streptozotocin (STZ)-induced diabetic rats. Sprague-Dawley male rats weighing $100{\pm}10g$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normal group, and eight STZ-induced diabetic groups: control diet group without mulberry juice and cake powders (DM-C), three mulberry juice powder groups (0.5%: DM-0.5J, 1%: DM-1J, 2%: DM-2J) and low mulberry cake powder groups (0.25%: DM-0.25C, 0.5%: DM-0.5C, 1%: DM-1 C, 2%: DM-2C). After three-week feeding of each experimental diet, diabetes was induced by intravenous injection of 50 mg/kg body weight of STZ in sodium citrate buffer (pH 4.3) via tail vein of eight DM groups. Rats were sacrificed at the 9th day of diabetic states. Level of blood glucose was 505 mg/dl in DM-C group but it was 28% and 39% lower in mulberry juice and cake powder fed groups, respectively, than the DM-C group. Activities of maltase, sucrase and lactase in proximal part of small intestine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mulberry juice and cake powder groups by $42{\sim}47%$ than those of DM-C group. Erythrocytic superoxide dismutase, glutathione peroxidase and catalase activities were significantly reduced by STZ but increased close to normal levels along with less accumulation of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TBARS). Serum levels of triglyceride and total cholesterol and HDL-cholesterol by STZ-DM were reduced and increased respectively, to the norma] levels by the mulberry juice and cake powder. Except the levels of TBARS, the effects on the other measurements by the various dietary levels of mulberry juice and cake powder were almost same and the effect of the cake powder was most significant at the lowest level. These results indicate that mulberry juice and cake powders have consityerable hypoglycemic effect and strengthening antioxidant defense systems at the low levels in diabetic state and may be able to reduce diabetic complications.

YK-209 뽕잎이 Streptozotocin 유발 당뇨쥐 간조직의 항산화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YK-209 Mulberry Leaves on Antioxidative Defense System of Liver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 유수경;이순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1065-1070
    • /
    • 2002
  • YK 209 뽕잎이 STZ 유발 당뇨쥐 간조직의 항산화계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코져 하였다. Sprague Dawley 흰쥐 수컷을 정상군(normal group)과 STZ 유발 당뇨군으로 나누고 당뇨군은 다시 식이내 YK-209뽕잎 함량에 따라 각각 YK-209뽕잎을 공급하지 않은 당뇨대조군(DM group),0.1% 뽕잎 공급군(DM-0.IY group), 0.2% 뽕잎 공급군(DM-0.2Y group) 및 0.4% 뽕잎 공급군 (DM-0.4Y group)으로 나누어 자유섭식 시켰다. 3주후 STZ으로 당뇨를 유발한 후 9일째에 희생하였다. 단위체중당 간무게는 정상군에 비해 당뇨군 모두 유의적으로 증가되었으나 뽕잎 비공급 당뇨군(DM group)에 비해 뽕잎공급군들은 감소되었다. 간조직중의 SOD 활성은 정상군에 비해 당뇨유발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뽕잎공급으로 인한 차이는 없었다. GSHpx 활성은 정상군에 비해 DM군은 7.3%저하되었으나, DM-0.1Y, DM-0.2Y군은 정상군 수준이었다. 간조직 중의 지질과산화가는 정상군에 비해 DM군은 144%증가되었으나 DM-0.1Y, DM-0.2Y군은 정상군 수준이었다. 리포푸신 함량은 정상군에 비해 DM군에서 100%증가되었으나 YK-209 뽕잎 공급군은 DM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간조직 중의 superoxide radical(O$_2$ ) 함량은 정상군에 비해 DM군에서는 81% 증가되었으나 DM-0.1Y군과 DM-0.4Y군은 정상군과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YK-209 뽕잎은 항산화계를 강화시켜 조직의 산화적 손상을 감소시키므로서 산화적 스트레스 억제 효과가 있었다.

저온에 대한 식물의 양분흡수, 탄수화물 및 항산화 반응 특성 (Responses of nutrient uptake, carbohydrates and antioxidants against low temperature in plants)

  • 이수연;정정아;성좌경;하상건;이덕배;김태완;송범헌
    • 농업과학연구
    • /
    • 제41권2호
    • /
    • pp.75-83
    • /
    • 2014
  • Recently, a quick drop of air temperature in plastic film houses by adverse weather conditions leads to the occurrence of low temperature damages to growing crops. Chilling injury, defined as a variety of growth restriction occurring below the optimal temperature, is one of environmental factors strongly affecting crop growth and yield. Low temperature causes the restricted evapotranspiration, reduced mineral uptake (P > K > $NO_3{^-}$), and an increase in electrolyte leakage such as K. Despite being different with plant species, an accumulation of soluble carbohydrates such as glucose, fructose, sucrose and starch under chilling condition is well known. A variety of environmental stresses are known to cause oxidative damage to plants either directly or indirectly by triggering an increased level of produc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ROS), and, to combat the oxidative damage, plants have the antioxidant defense systems comprising of enzymes, SOD, POD, CAT, GPX and APX, and non-enzymes, ascorbate, gluthathione, ${\alpha}$-tocopherol, phenolic compounds, carotenoid and flavonoids. The aim of this review i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to build chilling-indicators and optimal nutrition management under adverse temperature conditions as broadly considering mineral uptake, carbohydrate metabolism and antioxidative defense system.

Rhus verniciflua Stokes Attenuates Glutamate-induced Neurotoxicity in Primary Cultures of Rat Cortical Cells

  • Jeong, Eun-Ju;Sung, Sang-Hyun;Kim, Jin-Woong;Kim, Seung-Hyun;Kim, Young-Choong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14권3호
    • /
    • pp.156-160
    • /
    • 2008
  • The methanolic extract of Rhus verniciflua Stokes (RVS-T) and its fractions (RVS-H, RVS-C, RVS-E and RVS-B) showed significant neuroprotective activity against glutamate-induced toxicity in primary cultures of rat cortical cells. RVS-B, which showed the most potent neuroprotective activity, was further fractionated to yield RVS-B5. Treatment of cortical cells with the RVS-T, RVS-B and RVS-B5 reduced the cellular ROS level and restored the reduced activities of glutathione reductase and SOD induced by glutamate. Although, the activity of glutathione peroxidase was not virtually changed by glutamate, RVS-B5 increased the glutathione peroxidase activity. In addition, these three tested fractions significantly restored the content of GSH which was decreased by glutamate insult in our cultures. Taken together, it could be postulated that RVS extract, in particular its fraction RVS-B5, protected neuronal cells against glutamate-induced neurotoxicity through acting on the antioxidative defense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