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tioxidative characteristics

검색결과 353건 처리시간 0.042초

백년초열매 분말 첨가 컵케이크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Cupcakes Added with 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 Powder)

  • 김나영;조아라;정수지;김경희;이효정;이슬;육홍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58-64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백년초 분말의 1, 3, 5% 첨가가 항산화성 및 컵케이크의 품질과 관능적 기호도, 저장성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확인하여 제품화의 최적조건 및 기능성 식품 소재로서의 이용가능성을 조사하였다. 백년초 분말의 각 농도에 대한 전자공여능 실험결과 백년초 분말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항산화 활성이 증가하였다. 백년초 분말과 백년초 분말을 첨가한 컵케이크에서의 미생물 분석 결과 효모, 곰팡이, 대장균군은 검출되지 않았고 일반세균은 백년초 분말에서 4.41 log CFU/g로 나타났고 컵 케이크에서는 검출한계 ($10^2$ CFU/g) 이하로 나타났다. 컵케이크의 수분함량은 백년초 분말을 첨가한 구가 첨가하지 않은 구보다 높았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p<0.05). 색도는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crust와 crumb에서 명도와 황색도가 감소하고 적색도는 증가하였다. 물성은 백년초의 첨가 및 저장기간의 증가에 따라 견고성(hardness), 검성(gumminess), 씹힘성(chewiness)이 증가하였고 응집성(cohesiveness), 탄력성(springiness)은 감소하였다. 관능검사 결과 대조군 및 1% 백년초 분말 첨가 컵케이크가 색, 향, 맛, 조직감, 전체적 인 기호도면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백년초 분말을 컵케이크에 첨가하였을 때 항산화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나 저장성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사료되었고, 컵케이크의 품질 및 관능특성, 기능성을 고려할 때 1% 첨가구가 최적조건일 것으로 판단되었다.

구기자 추출물의 추출특성 및 항산화 효과 (Extraction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Lycium chinense Extracts)

  • 김현구;나경민;예수향;한호석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352-357
    • /
    • 2004
  • 구기자 추출액의 추출 특성과 추출액의 항산화성을 검토하여 구기자의 추출 조건을 결정함으로써 구기자 유효성분의 식품 소재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용매와의 비율을 결정하기 위해 8배, 10배, 12배, 14배의 water를 가하여 추출 수율을 비교한 결과 water와의 비율이 10배일때 추출 수율이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추출물의 가용성 고형분은 water 추출액에서 5.0 $^{\circ}$Brix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추출액의 탁도는 50$\%$ ethanol 추출 시 가장 높았고, 75$\%$ ethanol 추출 시 가장 낮았다. 적정산도는 추출용매의 ethanol 함량이 감소할수록 산도가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유리당의 함량은 fructose 4.53$\~$5.22 mg$\%$, glucose2.79$\~$4.40 mg$\%$, sucrose 0.35$\~$l.18 mg$\%$ 로 나타났으며, water 추출액이 다른 추출 용매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총폴리페놀의 추출 용매별 함량은 50$\%$ ethanol 추출액에서 2.93$\%$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water 추출액이 75$\%$ ethanol 추출액 보다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구기자추출액은 50$\%$ ethanol에서 66.97$\%$로 나타나 다른 용매에 비해 높은 전자공여 효과를 보여 주었으며, 폴리페놀 함량과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SOD 유사활성 측정 결과는 50$\%$ ethanol 추출액에서 37.33$\%$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냈었으며, 총 폴리페놀 함량과 전자공여능 측정 결과와 비슷한 경향으로, 50$\%$ ethanol 추출액이 다른 두 용매 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들깻잎 분말을 첨가한 파운드케이크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Pound Cakes Added with Perilla Leaves (Perilla frutescens var. japonica HARA) Powder)

  • 김나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267-273
    • /
    • 2011
  • 기능성 소재로서의 들깻잎 분말의 이용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들깻잎 분말 0, 5, 10 및 15% 첨가한 파운드케이크를 제조하여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반죽 및 파운드케이크의 pH는 들깻잎 분말 첨가에 의해 감소하였고, 굽기손실률은 첨가량에 따른 유의차가 나타나지 않았다. 높이는 들깻잎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무게는 대조군의 값이 가장 높았지만 시료간의 유의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파운드케이크의 색도 측정 결과는 L(lightness) 값과 b(yellowness)값에서 crust와 crumb 모두 들깻잎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a(redness)값은 crust가 들깻잎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지만, crumb은 대조군의 값이 가장 높았고 첨가군에서는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파운드케이크의 관능검사 결과 들깻잎 분말 첨가는 색, 향미, 맛, 촉촉함, 전반적인 기호도를 향상시키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나 10% 이상의 너무 많은 들깻잎 분말 첨가는 관능적인 기호도를 오히려 떨어뜨리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들깻잎 분말 5% 첨가군의 선호도가 가장 좋아 파운드케이크의 품질 및 관능적 특성을 고려한 들깻잎 분말 첨가량은 5% 첨가군이 최적 조건일 것으로 판단된다. 물성 측정 결과는 들깻잎 분말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경도는 증가한 반면, 탄력성, 응집성은 감소하였고, 검성과 씹힘성은 시료 간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저장 7일에는 들깻잎 분말 첨가에 따라 일정한 경향을 나타내지 않았다. 저장함에 따라 노화도는 증가하였는데, 들깻잎 분말 무첨가군의 노화도가 296.36%로 가장 낮았으며, 들깻잎 분말 첨가에 따라 5% 첨가군 306.44%, 10% 첨가군 334.47%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다가 15% 첨가군에서는 320.83%로 다소 감소하였다. 항산화 활성은 들깻잎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저장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발효 동충하초의 이화학적 특성 (Chemical Characteristics in Fermented Cordycepin-enriched Cordyceps militaris)

  • 안희영;박규림;김유라;차재영;조영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8호
    • /
    • pp.1032-1040
    • /
    • 2013
  • 유용발효미생물에 의한 cordycepin 고함유 동충하초 분말의 생리활성 작용 및 물질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얻을 목적으로 2 종의 유산균 Lactobacillus hilgardii (Lh), Lactobacillus acidophilus (La)와 1 종의 효모 Saccharomyces cerevisiae (Sc), 1 종의 바실러스 Bacillus subtilis (Bs), 4 종의 곰팡이 Aspergillus oryzae (Ao), Aspergillus kawachii (Ak) 및 Monascus purpureus (Mp), Rhizopus oryzae (Ro)를 본 실험에 사용하였으며, 이들에 의한 발효 cordycepin 고함유 동충하초 분말의 미네랄 함량, 지방산 조성, 단백질 함량, 단백질 패턴, 항산화 활성, 혈전용해 활성을 비교 검토하였다. 발효 cordycepin 고함유 동충하초분말의 주요 미네랄은 미네랄 성분 조성은 K, Mg, Ca, Na, Fe, Zn로 나타났으며, 전체적으로 K, Mg, Ca 순으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주요 지방산 성분으로 palmitic acid, stearic acid, oleic acid, linoleic acid, linolenic acid 이다. 동충하초 분말과 cordycepin 고함유 동충하초분말 및 발효시킨 cordycepin 고함유 동충하초 분말 단백질을 native-PAGE로 비교분석 한 결과 발효에 의해 균주에 상관없이 특정 부분의 단백질 분해를 확인하였고, SDS-PAGE 상의 단백질 패턴 분석에서는 66 kDa 크기의 단백질 밴드가 유산균 발효에 의해 분해 되어 거의 관찰되지 않았으며, Aspergillus oryzae에서 새로운 단백질 밴드를 확인하였다. Cordycepin 고함유 동충하초 분말을 유용미생물로 발효시킨 결과 Bacillus subtilis 균주 발효에서 혈전용해 활성이 17.1 unit으로 높게 나왔으며, Lactobacillus hilgardii 균주 발효에 의해서는 7.2 unit으로 낮은 혈전용해 활성이 나왔다. 항산화 활성은 발효시킨 cordycepin 고함유 동충하초 분말에서 균주 종류에 관계없이 거의 비슷하게 나왔지만 시판 항산화제 BHT 처리구의 90% 이상의 높은 항산화 활성보다는 낮았다. 이상의 실험결과에서 유용미생물 발효에 의한 cordycepin 고함유 동충하초 분말의 이화학적 특성이 발효 전 cordycepin 고함유 동충하초 분말보다 강화됨으로써 건강식품의 소재로서의 이용 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구기자 추출물 제조 시 백삼 및 홍삼 첨가에 의한 항산화활성 및 안지오텐신 전환효소에 대한 저해활성 효과 (Antioxidative Activity and Inhibition of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by Lycii fructus Extracts Prepared by Adding White Ginseng and Red Ginseng)

  • 성봉재;김선익;지무근;김수동;권아름;김현호;원준연;이가순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370-381
    • /
    • 2018
  • Background: To enhance the taste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Lycii fructus (Gugija) extracts, we investigated the changes in the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Gugija extracts caused by adding white ginseng (WG) and red ginseng (RG) Methods and Results: Gugija extracts, including 10G10, 10GW-G8 : 2, -G6 : 4, -G4 : 6, -G2 : 8, and -G0 (mixtures made by replacing 0, 20, 40, 60, 80, and 100% of Gugija with WG), as well as 10G10, 10GR-G8 : 2, -G6 : 4, -G4 : 6, -G2 : 8, and -G0 (mixture made by replacing 0, 20, 40, 60, 80, and 100% of Gugija with RG) were extracted with water at 10 times the respective mixture's volume.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Gugija extracts were investigated by assessing their 1,1-diphenyl-2-picrydrazyl (DPPH) and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tential (FRAP) activity, nitrite scavenging activity, and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ACE) inhibitory activity. As the amount of WG added increased, the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FRAP activity of the Gugija extract decreased. The half max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IC_{50}$) value of 10G10, 10GW-G6 : 4, 10GR-G6 : 4, and 10GR-G0 for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ere $25.50{\pm}1.04$, $52.06{\pm}1.46$, $16.87{\pm}1.24$, and $9.50{\pm}0.16{\mu}{\ell}/m{\ell}$,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the physiological activity of Gugija extract increased with the addition of increasing amounts of RG. However, ACE inhibitory activity was the highest ($50.25{\pm}2.58%$) in the Gugija 10-fold extract without any added RG. Conclusions: From the above results, we suggest that adding RG to Gugija extracts increase their antioxidant, FRAP, and nitrite scavenging activities.

결명자 추출물의 추출특성 및 항산화 효과 (Extraction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Cassia tora L. Extracts)

  • 나경민;한호석;예수향;김현구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499-505
    • /
    • 2004
  • 결명자 추출액의 추출 특성과 추출액의 항산화성을 검토하여 결명자의 추출 조건을 결정함으로써 결명자 유효성분의 식품 소재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용매와의 비율을 결정하기 위해 8배, 10배, 12배, 14배의 water를 가하여 추출 수율을 비교한 결과 water와의 비율이 10배일 때 추출 수율이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탁도는 water 추출액에서 가장 높았으며, 추출용매의 ethanol 공노가 증가할수록 낮아졌다. 적정산도는 추출용매의, 50% ethanol에서 가장 높았으나, 전체적으로 산도가 매우 낮았다. 유리당 함량은 fructose $0.08{\sim}0.11mg%$, glucose $0.09{\sim}0.32%$, sucrose $0.08{\sim}1.26mg%$로 나타났다. 총 폴리페놀 함량을 나타낸 것으로 50% ethanol 추출액에서 2.03%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75% ethanol 추출액은 0.02%로 다른 용매에 비해 현저하게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전자공여능은 50% ethanol에서 66.,39%로 나타나 다른 용매에 비해 높은 전자공여 효과를 보여 주었으며, 폴리페놀 함량과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SOD 유사활성 측정 결과는, 50% ethanol 추출액에서 50.56%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냈었으며, 총 폴리페놀 함량과 전자공여능 측정 결과와 비슷한 경향으로, 50% ethanol 추출액이 다른 두 용매 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오미자 추출물의 추출특성 및 항산화 효과 (Extraction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Schiznadra chinensis Extracts)

  • 김현구;나경민;예수향;한호석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484-490
    • /
    • 2004
  • 오미자 추출액의 추출 특성과 추출액의 항산화성을 검토하여 오미자의 추출 조건을 결정함으로써 오미자 유효성분의 식품 소재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용매와의 비율을 결정하기 위해 8배, 10배, 12배, 14배의 water를 가하여 추출 수율을 비교한 결과 water와의 비율이 10배일 때 추출 수율이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탁도는 Water 추출액에서 가장 높았으며, 추출용매의 ethanol 농도가 증가할수록 낮아졌다. 적정산도는 추출용매의 50% ethanol에서 가장 높았으나, 전체적으로 산도가 매우 낮았다. 유리당 함량은 fructose $1.24{\sim}4.42mg%$, glucose $3.65{\sim}4.71mg%$, sucrose $0.89{\sim}1.69mg%$로 glucose의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당질의 대부분을 glucose와 fructose인 것으로 나타났다. 총 폴리페놀 함량을 나타낸 것으로 50% ethanol 추출액은 0.98%, 75% ethanol 추출액은 0.89%, water 추출액은 0.58%로 나타나 50% ethanol 추출액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water에 비해 유기용매 추출시 높은 함량을 보였다. 전자공여능은 water 추출액 60.87%, 50% ethanol 추출액 57.24%, 75% ethanol 추출액 55.61%로 나타나 용매별 전자공여능 효과가 큰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water 추출액이 다른 용매에 비해 높은 전자공여 효과를 보여 주었다. SOD 유사환성 측정 결과는 50% ethanol 추출액에서 33.65%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냈었으며, 50% ethanol 추출액이 다른 두 용매 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 총 폴리페놀 함량과 전자공여능 측정 결과 와 비슷한 경향을 보여주었다.

산야초 발효액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y of Fermented Wild Grass Extracts)

  • 이영준;윤보라;김단비;김명동;이대원;김재근;이옥환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407-412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산야초 발효액의 품질특성 및 항산화 효과를 평가하였다. 산야초 발효액의 수분함량은 $49.6{\pm}0.06%$이었으며, 조회분 $0.65{\pm}0.01%$, 조지방 $3.3{\pm}0.59%$, 조단백질 $0.65{\pm}0.04%$이었다. 그리고 산야초 발효액의 총 페놀함량 분석 결과, $1,185{\pm}159{\mu}g$ GAE/g으로 나타났다. 색도 분석에서 L값은 80.36으로 나타났으며, a값과 b값은 각각 11.47 및 44.53으로 측정되었다. 다양한 항산화 평가 모델(DPPH, FRAP, 환원력, ABTS)을 통하여 산야초 발효액의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 산야초 발효액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항산화능이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산야초 발효액은 지방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은 반면, 지방세포 분화에 대한 억제 효능은 미비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산야초의 발효액을 제조시 기능성 향상을 위한 발효공정의 개선 및 최적화 등의 추후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발효 동충하초의 유용성분 및 생리 활성 작용 (Biological Activity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Cordyceps militaris Powder Fermented by Several Microscopic Organisms)

  • 안희영;박규림;윤경훈;이재윤;조영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97-205
    • /
    • 2015
  • 본 실험은 동충하초 분말과 8가지 균주로 각각 발효한 동충하초 분말의 혈전용해 활성, 항산화 활성, tyrosinase 저해 활성 그리고 총 폴리페놀 함량, 플라보노이드 함량, 미네랄 함량을 비교 검토하였다. 발효한 결과 CAo군의 총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발효 전에 비해 가장 증가하였고, 주요 미네랄인 K, Mg, Ca, Zn 등의 함량 역시 증가하였다. 또 native-PAGE를 이용하여 발효 전과 발효 후 단백질을 비교하였을 때, CAo군에서 새로운 단백질이 관찰되었다. DPPH 라디칼 소거능 측정에서는 CMp군이 다른 군에 비해 경미하게 높은 활성을 나타냈지만, 모든 군들이 합성항산화제인 butylated hydroxytoluene (BHT)에 비해 낮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tyrosinase 저해 활성을 보았을 때 CAo군이 C군 보다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발효 후 번데기 동충하초의 항혈전을 비교한 결과, CAk군과 CBs군에서 큰 항혈전능을 나타내었다. 두 균주를 1%(v/w), 5%(v/w)로 접종하여 발효 시간과 발효 온도를 조정하면서 각각의 항혈전 최적 조건을 분석한 결과, CAk군과 CBs군 모두 5%(v/w)로 접종하여 $40^{\circ}C$에서 24시간 발효하였을 때 최대 항혈전 활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번데기 동충하초는 발효 균주에 따라 건강 기능성식품의 원료 또는 혈전용해제의 원료로써 가능성을 보이며 이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홍국발효홍삼의 이화학적 특성 및 생리활성 (Biological Activities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Monascus-Fermented Korean Red Ginseng)

  • 박진철;차재영;이치형;도은수;강인호;조영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11호
    • /
    • pp.1553-1561
    • /
    • 2009
  • 홍국발효홍삼의 알코올성 간 질환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얻기 위하여 일반 이화학적 특성과 항산화 활성 정도를 측정 하였다. 홍삼 및 홍국발효홍삼의 추출물 수율은 각각 수용성 5.83% 및 6.58%, 70% 에탄올 0.98% 및 0.62%, 70% 메탄올 3.04% 및 1.27%로 수용성 추출에서 가장 높았다. 홍삼 및 홍국발효홍삼 1% 추출물 중의 총 당도는 각각 0.23% 및 0.17%로 홍삼에서 약간 높았으며, 가용성 고형분도 각각 0.6 및 0.5 Brix로 홍삼에서 약간 높았다. 총 폴리페놀 화합물 함량은 홍삼보다 홍국발효홍삼 추출물에서 높았으며, 70% 에탄올 추출물에서 가장 높았다. 미네랄 함량은 K가 22,386 및 16,936 ppm으로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고, 다음으로 Ca이 각각 3,693 및 2,310 ppm으로 함유되어 있었고, Mg는 각각 2,647 및 2,703 ppm, Na는 각각 103 및 109 ppm, Fe는 각각 115 및 42 ppm, Zn은 각각 57 및 62.3 ppm이 함유되어 있었다. 항산화 실험에서 총 폴리페놀 함량, DPPH radical 소거능 및 불포화 지방산 linoleic acid를 이용한 TBA법에 의한 항산화 활성은 홍삼 추출물 보다는 홍국발효홍삼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