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antioxidative ability

검색결과 438건 처리시간 0.032초

품종별 부추 추출물의 항산화성 및 항균성 (The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the three Species of Leeks(Allium tuberosun R.) Ethanol Extracts)

  • 안명수;김현정;서미숙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86-193
    • /
    • 2005
  • 본 연구결과 호부추(LL), 재래종 부추(LM) 및 약부추(LS)의 총 폴리페놀함량은 $286{\sim}437mg%$이었으며 LS> LM> LL순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3품종의 부추 에탄올 추출물의 전자공여능 및 아질산염 소거능도 확인되었으며 그 중에서 LSEx 가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다. 또한 유지에 대한 항산화력을 과산화물가(POV)와 공액이중결합산량으로 측정 비교한 결과 3종의 부추 에탄올추출물 모두 0.02% 첨가 종도에서 항산화 효과를 보였으며 그 정도는 ${\alpha}-tocopherol$ 보다 높고 BHT보다는 낮은 경향이었다. 이러한 효과는 첨가 농도가 높을수록 컸으며 품종 별로 보면 LSEx가 가장 높았다. 따라서 약부추와 그 에탄올추출물이 총 폴리페놀함량과 전자공여능 및 아질산 소거능과 마찬가지로 옥배유에 대한 항산화력이 가장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부추 3품종의 에탄올추출물 모두 항균성이 확인되었으며 특히 이들 모두 Pseudomonas에 대하여 높은 저해성을 보였으며 위의 각종 이화학적 성질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난 재래종 부추의 에탄올추출물은 모든 균주에 고른 항균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에서 3가지 품종의 부추 에탄올추출물들 중 항산화력은 소립종인 약부추가, 항균력은 중립종인 재래종 부추가 가장 높은 효과를 나타내었지만 모든 추출물들에서 항산화력과 항균력을 확인할 수 있어서 이들 3종 부추 모두 항산화와 항균성에 대한 기능성 식품으로 충분한 이용가치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손바닥 선인장의 항산화 및 항균특성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Opuntia ficus indica var. saboten)

  • 정해정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60-166
    • /
    • 2000
  • 손바닥 선인장 열매를 극성을 달리하는 여러 용매로 추출하여 항산화력과 항균력을 측정한 결과 95% ethanol과 methanol을 사용하였을 때 우수하게 나타났고 ethanol 추출물의 항균활성은 그람음성균보다 그람양성균에서 효과적이었다. 농도별 항균력시험 결과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비례하여 저해율도 크게 증가하였고 열에 대한 안정성 시험에서는 40~12$0^{\circ}C$의 범위에서는 안정하여 동일한 항균력을 유지하였으나 16$0^{\circ}C$ 이상에서는 그 활성이 상실된 것으로 나타났다. 추출물의 첨가농도를 달리하여 미생물의 생육도를 측정한 결과, 그람양성균은 3.0~4.5 mg/ml 첨가 범위에서 증식이 억제되었으나 그람음성균은 본 실험에서 사용한 첨가농도로는 완전한 증식억제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손바닥 선인장 ethanol 추출물을 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butanol 및 water 등의 용매로 순차 분획하여 항균활성을 측정한 결과 ethyl acetate분획이 효과가 가장 큰 것으로 검색되었다.

  • PDF

방사선 조사에 의한 Phytic Acid의 분해특성 및 항산화 활성 (Radiolytic and Antioxidative Characteristics of Phytic Acid by Gamma Irradiation)

  • 박희라;이철호;안현주;차보숙;변명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8호
    • /
    • pp.1252-1256
    • /
    • 2004
  • 방사선 조사에 의한 phytic acid의 분해특성 및 항라디칼,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phytic acid를 수용액 모델에서 방사선 조사(0∼20 kGy) 후 기존 항산화제(ascorbic acid, tocopherol, BHA)와의 항산화 특성을 비교하였다. 방사선 조사 후 phytic acid의 조사분해를 확인할 수 있었고, 조사선량이 증가함에 따라 그 분해정도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phytic acid의 농도에 따라 방사선에 의한 영향도 다르게 나타났는데, phytic acid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방사선 조사분해 정도가 감소하였다. 항산화 특성의 측정 결과, 방사선 조사된 phytic acid의 경우 DPPH 라디칼 소거능이 형성되었으며, 조사선량 및 phytic acid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그 활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장동안 유지산패의 억제효과는 기존 항산화제보다 phytic acid의 항산화성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방사선 조사에 의해 유지 혹은 다소 상승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방사선 조사시 phytic acid의 조사분해와 동시에 항산화 특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Isolation of Compounds with Antioxidative Activity from Quickly Fermented Soy-Based Foods

  • Jang, Mi-Young;Cho, Jeong-Yong;Cho, Jeong-Il;Moon, Jae-Hak;Park, Keun-Hyung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5권2호
    • /
    • pp.214-219
    • /
    • 2006
  • A bacterial strain, initially identified as B1-3, was isolated from cheonggukjang, a traditional Korean dish made from fermented soybeans. Using the Biolog system and 16S rRNA sequence analysis, we identified B1-3 as Bacillus mojavensis. We manufactured a quickly fermented soybean (QFS) food product using the B. mojavensis, and guided by their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radical-scavenging ability. We isolated substances with antioxidative activity from it. Using mass spectrometry (MS) and 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 techniques, we isolated 4 compounds from the ethyl acetate (EtOAc)-soluble neutral fraction of methyl alcohol (MeOH) extracts of the QFS food product (genistein, daidzein, 3R,4R-3-methyl-3,4-dihydroxy-2-pentanone, and 3S,4R-3-methyl-3,4-dihydroxy-2-pentanone) and 3 compounds from its acidic fraction (4-hydroxyphenylacetic acid, genistin, and daidzein). Two compounds from the neutral fraction (3R,4R-3-methyl-3,4-dihydroxy-2-pentanone and 3S,4R-3-methyl-3,4-dihydroxy-2-pentanone) were not detected in nonfermented soybeans (NFS) or in the filtrate of the LB broth used to culture B. mojavensis. However, they were detected in the filtrate of the same broth when it contained 2% glucos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se 2 compounds were derived from glucose (or other saccharides) in the soybean during fermentation. One compound that was found in the acidic fraction (4-hydroxyphenylacetic acid) was readily detected in NFS, but not in the culture broth. This suggests that 4-hydroxyphenylacetic acid was derived from NFS. We concluded that the antioxidative activity of cheonggukjang is a result of the interactions between soybean components and the microorganisms used in the fermentation of cheonggukjang.

연잎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tive Activity of Ethanol Extract from Lotus (Nelumbo nucifera) Leaf)

  • 이경석;김민규;이기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82-186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연잎 추출분획물의 항산화 활성을 비교, 검토하고자 하였다. $70\%$ ethanol로 추출한 추출수율은 $8.16\%$였으며 이를 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butanol, water로 순차 분획한 수율은 butanol층이 $36.12\%$로 가장 높은 수율을 보였으나 대체적으로 극성이 높을수록 높은 분획수율을 나타내었다. 분회물간 총 페놀함량 측정결과 ethyl acetate 분획물의 총 페놀함량이 가장 높게 나왔으며 전자공여능 측정결과 또한 ethyl acetate 분획물에서 가장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Ethyl acetate 분획물의 전자공여능은 BHA, BHT와 비교한 결과 BHA와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BHT보다 우수한 값을 나타내었다. 항산화 활성이 높게 나타난 ethyl acetate 분획물을 취하여 TBA가에 의한 지질과산화를 측정한 결과 BHA가 가장 우수한 활성을 보여 주었으며 ethyl acetate 분획물은 BHT보다도 활성이 떨어졌으나 이는 ethyl acetate 분획물이 단일물질로 분리정제가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malonaldehyde 이외 다른 성분이 BHA와 반응하여 발색한 것으로 추측되어 졌다. AV와 POV 측정 결과 BHA가 가장 우수한 활성을 보여주었으나 ethyl acetate 분획물과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며 BHT에 비해서는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볶음시간에 따른 들기름 메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와 특성 (Antioxidative Effects and Characteristics of Methanol Extracts from Perilla Oils Roasted for Different Time)

  • 신경아;고영수;이영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1045-1050
    • /
    • 1998
  • 들깨의 볶음시간에 따라 착유한 들기름의 이화학적 특성과 산화안정성을 살펴보고, 볶음에 의해 들기름 중에 생성된 갈색물질을 메탄올로 추출하여 항산화효과와 그 특성을 측정하였다. 들깨의 볶음온도는 $190^{\circ}C$로 하였고, 볶음시간은 $0{\sim}50$분으로 하였다. 들깨를 볶음시간별로 볶은 후 착유한 들기름과 애탄을 가용 물질을 제거한 들기름을 저장하면서 과산화물가의 변화를 측정해본 결과, 볶음시간이 길어질수록 들기름의 산화안정성은 증가하였고, 메탄올 가용 물질이 제거된 들기름의 산화안정성은 매우 쉽게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들기름의 메탄올 추출물을 메탄올 분획과 헥산 분획으로 나누어 볶지 않은 후 착유한 들기름에 1.0%(w/w) 농도로 첨가하여 과산화물가 변화를 측정해본 결과, 볶음시간이 길어질수록 산화안정성이 증가하였고, 헥산 분획보다는 메탄올 분획의 산화안정성이 더욱 높았다. 들기름의 메탄올 추출물, 메탄올 분획 및 헥산 분획의 갈색도, fluorescence 및 전자공여능은 볶음시간이 증가할수록, 그리고 메탄올 분획, 메탄올 추출물, 헥산 분획의 순서로 높은 수치를 나타내어 들기름의 항산화 성분은 메탄올에 쉽게 용해되는 물질임을 확인할 수 있었고, 메탄올 추출물, 메탄올 분획, 헥산 분획의 항산화 효과는 갈색도, fluorescence 및 전자공여능의 결과와도 일치 하였다.

  • PDF

인삼과 카페인 함유제품이 흰쥐 신장의 항산화활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Ginseng and Caffeine Products on the Antioxidative Activities of Mouse Kidney)

  • 장영상;장윤혁;성종환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0권1호
    • /
    • pp.15-21
    • /
    • 2006
  • 인삼성분과 카페인 함유제품을 마우스에 섭취시켜 4주간사육한 후, 마우스 신장 조직에서 Superoxide dismutase, Catalase, Hydroperoxide 등의 항산화 활성 및 조직학적 변화를 비교 검토하였다. 유영능력은 모든 실험군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무수카페인 실험군만은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Superoxide dismutase 및 Catalase 활성은 카페인함유 실험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인삼성분함유 실험군에서는 활성도가 높게 나타났다. Hydroperoxide 함량은 모든 실험군에서 유의적인 증가를 보이지 않았으나 인삼성분함유 실험군은 대조군과 비슷한 함량을, 카페인함유 실험군은 대체로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과산화 지질 수준 및 단백질 함량 변화는 인삼성분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성 있게 증가하지 않았으나 카페인 함유제품 실험군은 유의성 있는 증가를 보였다. 신장 조직학적 변화는 인삼성분 및 카페인 함유 실험군에서 크나큰 조직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각 실험군과 실험방법에 따라 차이는 있겠으나 본 실험에 있어서는 인삼성분 함유제품이 카페인 함유제품보다 신장 조직의 항산화활성능력이 다소 증가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버섯류의 항산화성 및 아질산염 소거작용 (Antioxidative and Nitrite-scavenging Activities of Edible Mushrooms)

  • 이기동;장학길;김현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432-436
    • /
    • 1997
  • 식용으로 이용되고 있는 영지, 양송이, 표고 등 버섯류의 기능성을 검토하고자 버섯류를 diethylether와 부탄올로 추출하여 이들 추출물의 전자공여능, 과산화물가 및 아질산염 소거작용을 측정하였다. 전자공여작용은 영지버섯의 diethylether 및 부탄올 추출물에서 95.09% 및 97.75%로서 우수하였으며, 양송이와 표고버섯의 부탄올 추출물에서도 94.33% 및 96.09%로서 전자공여 작용이 높게 나타났다. 영지버섯의 diethylether 추출물은 BHA보다 강한 항산화성을 나타냈으며, 영지버섯의 부탄올 추출물은 저장 15일 까지 BHA보다 과산화물가가 낮았다. 양송이버섯의 diethylether추출물은 거의 항산화성이 나타나지 않았으나, 양송이버섯의 부탄올 추출물은 대조구와 diethylether 추출물보다는 항산화성이 높게 나타났다. 영지버섯의 diethylether 추출물 및 표고버섯의 부탄올 추출물이 68.34% 및 68.23%로서 높은 아질산염 소거작용을 나타내었으나 영지 및 양송이버섯의 부탄올 추출물의 아질산염 소거작용은 각각 44.44% 및 43.39% 이었다.

  • PDF

두류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항변이원성 및 변이원성 검정 (Screening of the Antioxidative Activity, Antimutagenicity and Mutagenicity of the Ethanolic Extracts from Legumes)

  • 장수민;남석현;강미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1115-1122
    • /
    • 2002
  • 시판되고 있는 두류 22 종류의 70% 에탄올 추출물을 제조하여, 이들의 항산화 활성, 화학적 변이원 mitomycin C에 대한 항변이원성, 세포독성, 변이원성 등을 포함하는 생리활성 효과를 비교 검정하였다. DPPH radical에 대한 전자공여능, hydroxy radical 소거능 및 지질 자동산화 억제효과 등은 모든 두류 품종이 거의 유사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예팔, 완두, 녹두, 백편두 등은 변이원 mitomycin C에 대해 유의할만한 수준의 항변이원성을 보였으며, 녹색나물콩, 녹두, 속피리 등은 지시 세포의 성장을 촉진하는 효과가 있었고, 속청과 청태는 변이원성을 억제하는 특성이 있었다. 백편두는 세포 성장과 돌연변이 유발 모두를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나 추출물 자체가 독성을 가질 수도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의 목적이었던 기능성 밥 및 떡 제조를 위한 부재료로서의 두류 이용을 위해서는 예팥, 녹두 등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리라고 생각된다.

남천(Nandina domestica) 열매 분획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tive Effects of Solvent Fractions from Nandina domestica Fruits)

  • 서수정;심규봉;김남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10호
    • /
    • pp.1371-1377
    • /
    • 2011
  • 남천(Nandina domestica) 열매를 물과 에탄올 추출 후 극성이 상이한 유기용매를 순차적으로 분획하여 각 추출물의 생리활성을 측정하였다. 폴리페놀은 EE(ethyl acetate fraction of ethanol extract)에서 922.22 mg/g이었으며, 플라보노이드는 EB(butanol fraction of ethanol extract)에서 282.49 mg/g을 함유하였다. WA(aqueous of water extract)와 EH(n-hexane fraction of ethanol extract)는 0.1 mg/mL에서 93% 이상의 전자공여활성을 나타내었으며, 분획물의 농도 증가에 따른 전자공여능의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SOD 유사활성은 1.0 mg/mL의 EA(aqueous of ethanol extract)에서 56.36%로 가장 우수하였으며, EH와 EC(chloroform fraction of ethanol extract)에서도 50% 이상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아질산염 소거는 pH 1.2의 EC에서 82.03%로 가장 높았다. Xanthine oxidase 저해율은 0.5 mg/mL에서 WE를 제외한 모든 분획물에서 90% 이상의 저해율을 나타내었으나, WE는 46.75%로 가장 우수한 tyrosinase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 남천 열매 분획물은 다량의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하고 생리활성 효과가 우수하여 천연 항산화 제재 및 이를 이용한 의약품 개발 가능성을 지닌 약용 식물자원인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