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ticipation

검색결과 237건 처리시간 0.038초

영화 WALL·E의 선행 움직임(Anticipation) 효과 연구 (The Effects of Anticipation in WALL·E (2008))

  • 이동민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0권10호
    • /
    • pp.1697-1709
    • /
    • 2017
  •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nticipatory motion in Wall E (2008).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first of all, an overall discussion on the definition and role of anticipation presented through the related literature review. Based on this, the present study analyzed the functions of anticipatory movements of the main characters, Wall E and EVE in 29 scenes. As a result, this paper found that anticipation is involved in expressions of humanity, thought process, utterance and intonation, the degree of emotion and energy, reinforcement of the character's intention, and biological response within the film. Overall, these findings show that anticipation takes an important part in giving the illusion of life to the characters throughout the movie, which may imply that anticipation can be beneficial for characters with abstract form or limited modality. The ultimate goal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at the animation principles can be used as a tool to analyze character animation and can be applied academically or industrially to other fields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3차원 얼굴 표정 애니메이션을 위한 기대효과의 자동 생성 (Automatic Anticipation Generation for 3D Facial Animation)

  • 최정주;김동선;이인권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시스템및이론
    • /
    • 제32권1호
    • /
    • pp.39-48
    • /
    • 2005
  • 전통적인 2차원 애니메이션 제작기법에 의하면, 애니메이션의 기대효과(Anticipation)는 동작에 대한 준비단계로서 사실적이고 풍부한 표현을 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얼굴 표정 애니메이션 데이타가 충분히 길다고 가정하면, 특정한 얼굴 표정에 대한 기대효과가 주어진 애니메이션 데이타에 존재할 가능성이 높다. 본 논문에서는 주어진 얼굴 표정 애니메이션 데이타로부터 얼굴 표정의 기대효과를 자동으로 추출하여 추가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먼저 애니메이션 데이타에 대해 중요요소분석법(Principal Component Analysis)을 적용하여 얼굴 모델의 모든 정점을 비슷한 움직임의 방향을 갖는 요소(Component)의 집합으로 분류한다. 각각의 요소에 대하여, 반대 방향의 움직임을 갖는 보정 애니메이션 데이타를 파 요소에 대한 기대효과로서 추출하고, 이 중에서 얼굴 모델의 위상정보를 보존하는 최적의 기대효과를 주어진 보정의 기대효과로 선택한다. 선택된 기대효과는 애니메이션 데이타의 연속성과 재생 시간을 유지하도록 주어진 표정과 적절히 합성(Blend)한다. 모션캡쳐 및 키프레임 작업에 의한 3차원 얼굴 보정 애니메이션 데이타를 입력으로 하여 기대효과론 자동으로 생성하는 실험격과를 제시한다. 본 논문은 전통적인 2차원 애니메이션 제자방법 중 하나인 기대효과를 3차원 얼굴 표정 애니메이션에 적용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하여, 애니메이션 제작자가 얼굴 표정을 선택하는 간단한 상호작용만으로도 기대효과가 추가된 3차원 얼굴 보정 애니메이션을 손쉽게 얻을 수 있다.

선택적 주의 기법 기반의 영상의 기대효과 자동생성 (Perception based video anticipation generation)

  • 윤종철;이인권
    • 한국컴퓨터그래픽스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1-6
    • /
    • 2007
  • 기대효과란 행동이 시작하기 전에 반대반향으로 일어나는 행동을 위한 준비단계로 주로 이차원 애니메이션에서 행동을 강조하기 위해 사용되어 왔다. 본 논문은 영상을 매개로 하여 인식 기반의 기대효과를 자동 생성함으로써 시청자의 주의를 임의의 정보에 집중시키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미지 기반의 집중점을 찾는 문제와 영상속의 움직임을 찾는 방법을 바탕으로 집중성 강화 알고리즘을 역으로 풀어 기대효과를 생성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주요점에 정보를 반대로 약화시키는 기대효과를 통해 주요점을 더욱 역동적으로 강조 할 수 있다. 본 논문의 알고리즘을 통해 광고 등의 전보전달을 위한 영상 또는 역동적 표현이 필요한 영상의 보정이 가능해진다.

  • PDF

Effects of Gratitude and Anticipation on Satisfaction: A Case Study in Indonesia

  • NOEGROHO, Gatoet Gembiro;SUHARYONO, Suharyono;SOLIMUN, Solimun;YULIANTO, Edy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8권2호
    • /
    • pp.1215-1224
    • /
    • 2021
  • This research aims to discus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urage, anticipation, and satisfaction comprehensively. This study will be complemented by gratitude as a variable that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courage and anticipation, as well a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urage and satisfaction. The large area as survey location is the reason for sampling conducted in 2 stages: (1) taking 15 districts through judgement sampling, (2) allocated sub-districts sample through proportional random sampling. The sample used in this study were 155 sub-districts in East Java. Respondents in each sub-district consisted of 1 farmer and 1 field extension officer to get a total of 310 respondents. The analysis method used to test the hypothesis wa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are: (1) The courage of field extension officers' have a positive but non-significant direct effect on farmers' anticipation, however, the effect significantly strengthen with religiosity as moderation; (2) The courage of field extension officers' and farmers' anticipation have a significant and positive effect on satisfaction. This study will be complemented by gratitude as a variable that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urage and anticipation, as well as the relationship between courage and satisfaction.

알코올중독자의 외상경험이 음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스트레스대처방식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Effect of the Traumatic Experiences on Drinking among Alcoholics -Mediating role of Stress Coping)

  • 우재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0호
    • /
    • pp.180-188
    • /
    • 2014
  • 본 연구는 외상경험이 있는 알코올중독자들의 외상경험과 음주기대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두 변수 간에 영향을 미치는 스트레스대처방식의 매개역할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연령, 최종학력, 단주경험, 단주모임참여, 병식인지가 통제된 상황에서 알코올중독자의 외상경험이 음주기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스트레스대처방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스트레스대처의 매개효과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나 가설이 지지되었다. 변수의 경로는 알코올중독자의 외상경험이 높을수록 스트레스대처방식이 낮았고(${\beta}=-.328$, p<.001), 스트레스대처방식이 높을수록 음주기대가 낮았으며(${\beta}=-.532$, p<.001), 외상경험이 높을수록 음주기대가 높은 것(${\beta}=.408$, p<.001)으로 나타났다. 통제변수 중에서는 연령이 높을수록 음주에 대한 기대가 높고(${\beta}=.153$, p<.01), 단주경험이 많을수록 음주기대가 낮았다(${\beta}=.156$, p<.05). 스트레스대처방식의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살펴본 결과, 외상경험이 스트레스 대처방식을 거쳐 음주기대에 미치는 간접효과의 크기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알코올중독자의 재발을 예방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천적 방안과 함의를 제시하였다.

Differences in the Control of Anticipation Timing Response by Spatio-temporal Constraints

  • Seok-Hwan LEE;Sangbum PARK
    • Journal of Sport and Applied Science
    • /
    • 제7권2호
    • /
    • pp.39-51
    • /
    • 202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differences in the control process to satisfy spatial and temporal constraints imposed upon the anticipation timing response by analyzing the effect of spatio-temporal accuracy demands on eye movements, response accuracy, and the coupling of eye and hand movement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12 right-handed male subjects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and performed anticipation timing responses toward a stimulus moving at three velocities (0.53m/s, 0.66m/s, 0.88m/s) in two task constraint conditions (temporal constraint, spatial constraint). During the response, response accuracy and eye movement patterns were measured from which timing and radial errors, the latency of saccade, fixation duration of the point of gaze (POG), distance between the POG and stimulus, and spatio-temporal coupling of the POG and hand were calculated. Results: The timing and radial errors increased with increasing stimulus velocity, and the spatio-temporal constraints led to larger timing errors than the temporal constraints. The latency of saccade and the temporal coupling of eye and hand decreased with increasing stimulus velocity and were shorter and longer respectively in the spatio-temporal constraint condition than in the temporal constraint condition. The fixation duration of the POG also decreased with increasing stimulus velocity, but no difference was shown between task constraint conditions. The distance between the POG and stimulus increased with increasing stimulus velocity and was longer in the temporal constraint condition compared to the spatio-temporal constraint condition. The spatial coupling of eye and hand was larger with the velocity 0.88m/s than those in other velocity conditions.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differences in eye movement patterns and spatio-temporal couplings of stimulus, eye and hand by task constraints are closely related with the accuracy of anticipation timing responses, and the spatial constraints imposed may decrease the temporal accuracy of response by increasing the complexity of perception-action coupling.

급격한 에어콘 외란에 안정한 제어기 설계 (Design of Stable Controller to Sudden A/C Disturbance)

  • 이영춘;권대규;이성철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17권7호
    • /
    • pp.106-112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on the control of the engine idle speed under sudden A/C load which is one of the most severe disturbances on engines. Three types of the closed-loop controller are developed for the stable engine idle speed control. The input of the controller is an error of rpm. The output of the controller is an ISCV duty cycle. The anticipation delay is considered to deal with the delay time of the air mass in engine. The PID, Fuzzy and PID-type Fuzzy controllers with the anticipation delay have improved the engine idle speed condition more than current ECU map table under the A/C load.

  • PDF

Emergence of Curbside Pickup: Consumers' Usage Intention Amid COVID-19 Pandemic

  • Zihsyuan Liua;Youngsok Bangb
    •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 /
    • 제32권1호
    • /
    • pp.51-69
    • /
    • 2022
  • This study examines how consumers' intention to use a curbside pickup responds to the COVID-19 vaccination rates. With our first survey conducted in March 2021, we find that a low (high) vaccination rate is associated with consumers' high (low) intention to maintain contact avoidance and their high (low) anticipation for shipping delays. Heightened contact avoidance and anticipation for shipping delays may encourage consumers to use a curbside pickup. Our results also show that when a product is needed immediately, and a consumer expects shipping delays, s/he is more likely to use a curbside pickup. However, with our second survey conducted in November 2021, we find heterogeneous consumer responses to the vaccination rates. Specifically, consumers' political affiliation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ccination rates and their intention to maintain contact avoidance. The association between the vaccination rates and the anticipation for shipping delays is also weakened compared to March 2021. Our empirical results illustrate how consumers' intention to use a curbside pickup emerges and changes amid the COVID-19 pandemic.

기대 효과를 자동 적용한 얼굴 표정 애니메이션 (Facial Animation of Automatic Added Anticipation)

  • 김동성;이인권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3년도 봄 학술발표논문집 Vol.30 No.1 (B)
    • /
    • pp.163-165
    • /
    • 2003
  • 최근 컴퓨터 그래픽스에서 비사실적인 표현에 관한 연구가 되고 있다. 그 중 애니메이션 분야는 기존의 2D 애니메이션 기법을 적용하여 비사실적인 애니메이션(Non Photorealistic Animation) 을 표현할 수 있다. 여러 기법 중 기대(Anticipation) 효과를 얼굴 표정 애니메이션(Facial Animation)에 적용한다면 조금 더 역동적인 표정을 표현할 수 있게 된다. 얼굴 표정 애니메이션(Facial Animation)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실제 사람의 얼굴 표정을 캡쳐하거나 애니메이터가 많은 노력과 시간을 투자하여 작업을 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런 방법으로 생성된 얼굴 표정 애니메이션에 사용자가 원하는 표정에 기대 효과를 자동으로 추가하여 더 좋은 표정을 생성하는 방법을 소개한다.

  • PDF

자극의 가속 및 감속 조건에 따른 숙련도별 농구 패스의 예측 타이밍 수행의 차이 (The Effects of Stimulus Velocity and Skill Levels on Anticipation Timing Performance of Passing)

  • 홍승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6권4호
    • /
    • pp.249-255
    • /
    • 2015
  • 이 연구의 목적은 불빛 자극의 이동속도가 농구 패스를 정확하게 예측하고 수행하는데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 이러한 결과가 기술수준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나타나는지 확인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숙련자 7명, 초보자 7명의 대상에게 불빛 자극의 이동속도(4m/s, $3m/s{\rightarrow}5m/s$, $5m/s{\rightarrow}3m/s$)가 다른 실험과제 상황에서 불빛 자극이 목표지점에 도착하는 시점과 일치되게 체스트패스를 수행하도록 하였다. 실험과제는 각 자극조건 당 4회씩 총 12회가 무선으로 제시되었으며, 매 시행마다 예측 타이밍 수행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절대오차, 항상오차 그리고 가변오차를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숙련자가 초보자에 비해 예측 타이밍의 정확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감속 및 등속 조건이 가속조건에 비해 타이밍 정확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타이밍 수행의 경향을 측정한 항상오차는 숙련자가 초보자에 비해 적은 오차를 나타냈으며, 감속 조건이 가장 적은 오차를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타이밍 수행의 일관성을 측정한 가변오차는 기술수준에 따른 주효과만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숙련자가 초보자에 비해 수행의 일관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보면, 숙련자가 보다 예측 타이밍 수행능력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감속 조건이 다른 이동속도 조건에 비해 보다 낮은 오차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