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ticarcinogenic activity

검색결과 103건 처리시간 0.031초

모자반 분획물의 in vitro에서의 항발암효과 (Anticarcinogenic Effects of Sargassum fulvellum Fractions on Several Human Cancer Cell Lines in vitro)

  • 배송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480-486
    • /
    • 2004
  • 식용 해조류의 일종인 모자반을 추출, 분획 하여 in vitro에서의 항발암효과를 실험하였다. 모자반을 추출, 분획하여 3종의 암세포주(HepG2, HT-29, HeLa)를 이용하여 암세포 독성 효과를 본 결과, 모자반의 ethylether 분획층(SFMEE)과 ethylacetate분획층(SFMEA)에서 3종의 사용 암세포주인 HepG2, HT29 및 HeLa 모두 아주 높은 cytotoxicity를 보였으며, HT29와 HeLa에서는 mathanol 추출물(SFM)과 hexane 분획층(SFMH)에서도 유의적인 암세포 독성 효과를 나타내었다. 정상세포인 liver세포는 모자반의 모든 용매 분획층에서 암세포 독성효과가 낮게 나타났다. 이상과 같이 3종의 암세포에 대한 독성 실험에서 전반적으로 SFMEE층과 EFMEA층에 월등히 높은 암세포 독성 물질이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인체 간암세포주인 HepG2를 이용하여 QR 효소 유도 활성 여부를 측정한 결과 SFMEE층은 아주 낮은 초기 첨가 농도인 25 $\mu\textrm{g}$/mL에서, 대조군에 비해 이미 2.89배의 높은 QR 유도 활성 효과를 보였고, SFMH층은 농도의존적으로 그 효과가 증가하여 최종 농도인 100 $\mu\textrm{g}$/mL에서 2.50배의 QR 유도 활성효과를 나타내었다. 모자반의 DPPH radical 소거능을 실험 하였으며 모자반의 메탄을 추출물의 DPPH 소거능 결과는 대조군인 항산화제인 BHT와 Vit C의 결과와 유사하였다. 본 실험의 결과로 모자반은 메탄올 추출물속에 DPPH소거능을 가진 물질이 존재하고 있으며 이 결과는 모자반의 in vitro 항발암활성을 설명하는데 그 기초배경이 될 수 있다. 본 실험 결과를 종합 검토해 보면 모자반 추출물과 용매별 각 분획 층에서의 암세포 독성 효과는 주로 비극성 분획층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QR유도 활성 효과도 비극성 분획층인 SFMEE층과 SFMH층에서 나타났다. 특히 SFMEE층은 적은 농도에서 암세포 독성 효과, QR 유도 활성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이 연구결과에 대한 단계적인 물질의 분리 동정이 이루어져 SFMEE층에서의 유용한 생리활성물질 개발이 기대되는 바이다.

홍삼이 Urethan 및 Benzo(a)pyrene에 의하여 폐선종이 유발된 마우스에서 Natural Killer 세포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ED GINSENG ON NATURAL KILLER CELL ACTIVITY IN MICE WITH LUNG ADENOMA INDUCED BY URETHAN AND BENZO(A)PYRENE)

  • 윤연숙;조성기;문혜선;김영주;오영란;윤택구
    • 고려인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고려인삼학회 1984년도 학술대회지
    • /
    • pp.27-36
    • /
    • 1984
  • 홍삼의 항발암작용 기전을 규명하기 위한 목적의 일환으로 홍삼추출물이 urethan 및 b두캐 (a) pyrene을 투여한 마우스에서 natural killer(N.K) 세포활성도 및 폐선종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발암물질 처리 후 48주동안 검색하였다. N.K 세포 활성도는 urethan 및 benzo (a) pyrene 의 처리에 의하여 현저히 저하되었다. 이와 같은 N. K 세포활성도의 저하는 상기 발암물질 투여후 4주부터 나타나 24주까지 계속되었으며 홍삼투여에 의하여 정상대조군의 수준으로 되돌아 왔다. 동시에 urethan에 의해 6주시부터 유발되기 시작한 폐선종 역시 홍삼투여에 의해 그 발생빈도가 현저히 억제되었다. 반면 benzo (a) pyrene에 의해 유발된 폐선종은 48주시에 나타나기 시작하였는데 이 시기는 N.K 세포 활성도가 자연적으로 너무 낮은 수준으로 떨어져 있어 홍삼의 영향을 받을 수 없는 시기였으며 홍삼투여에 의해 폐선종의 발생빈도 역시 억제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저자들은 본 연구를 통하여 홍삼에 의한 항발암 효과는 N.K 세포활성도의 증대와 관련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생쥐에서의 인삼추출액의 장기간 투여에 의한 간장 DT-Diaphorase 활성의 증가 (Increase in Hepatic DT-Diaphorase Activity by Chronic Administration of Panax ginseng Extract to Mice)

  • Lee, Kang-Mee;Wie, Myung-Bok;Song, Dong-Keun;Kim, Yong-Sik;Kim, Yung-Hi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17권2호
    • /
    • pp.123-126
    • /
    • 1993
  • Effects of chronic administration of ginseng extracts (30 or 150 mg/kg/day for 52 days, p.o.) to mice on the activities of DT-diaphorase and glutathione S-transferase (GST) in the liver and the brain were studied. The DT-diaphorase activity in the liver was increased over 2-fold at the dose of both 30 and 150 mg/kg/day, while there was no change in the activity of the enzyme in the brain. The GST activity in the liver was increased in a dose-dependent fashion up to 142% of the control value at the dose of 150 mg/kg/day. while there was no change in the activity of the enzyme in the brain. The ginseng-induced increase in the activities of these hepatic phase II drug-metabolizing enzymes which are involved in the detoxification of carcinogens, is suggested to underlie, at least in part, the anticarcinogenic activity of Panax ginseng.

  • PDF

Moutan radix의 mouse sarcoma 180 cell로 유발한 mouse ascites cancer에 대한 항암효과 (Potent Anticarcinogenic Action of Moutan radix for Mouse Ascites Cancer Induced by Mouse Sarcoma 180 Cells)

  • 반경녀;이은주;양민석;김정옥;하영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8권4호
    • /
    • pp.364-369
    • /
    • 1995
  • 목단피의 mouse 복수암에 대한 항암성을 다른 생약제의 항암성과 비교하여 연구하였다. 천연생약제(목단피, 주목, 울금, 인경쓱, 여정실, 맥문동) methanol 추출물을 hexane, chloroform ($CHCl_3$), ethylacetate (EtOAc), butanol (BuOH)로 fractionation하여 mouse leukemia L1210 cell과 Sarcoma 180 (S-180) cell에 강한 독성을 나타낸 fraction에 대해 mouse 복수암 억제실험을 실시하였다. 복수형 종양세포 S-180을 ICR mouse (male, $6{\sim}7$주령, $23g{\pm}3g$, 처리당 7마리)의 복부에 주사 ($1{\times}10^{6}$ cells/0.1 ml PBS)한 1일 후 부터 10% DMSO에 용해한 시료 ($30{\mu}g/g$ body weight)를 매일 0.1ml씩 10일간 주사하고 수명연장 효과와 몸무게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처리 fraction 중에서 목단피의 EtOAc fraction이 가장 강한 항암성을 보였는데, 수명연장에서는 대조구의 17.2일 (100%)에 비하여 28.7일로서 167%로 연장되었으며, 체중 증가율도 대조구보다 낮았다 (p<0.05). 목단피의 농도별 (5, 10, 30, $60{\mu}g/g$ body weight) 항암효과는 $30{\mu}g$에서 가장 높았고, $60{\mu}g$처리구 에서는 독성이 나타났다. 목단피의 EtOAc fraction으로부터 GC-MS에 의해 잠정적으로 동정된 2-methoxyphenol, 1-(4-hydroxy-3- methoxyphenyl)-ethanone, 8-methyl-2,4(1H,3H)-pteridinedione, 2,5-furandicarboxylic dimethyl ester 가 mouse 복수암 억제에 관련이 있는 주요 화합물로 추정된다.

  • PDF

고양강 추출물의 암예방 활성 (Cancer Chemopreventive Activity of the Rhizome Extract of Alpinia officinarum)

  • 구강모;장영진;김민근;김길웅;송경식;강영화
    • 생약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95-99
    • /
    • 2007
  • In order to find novel cancer chemopreventive agents, quinone reductase (QR) inductive activity of methanol extract of herbal medicines was examined using murine hepatoma, hepa1c1c7 cells. QR has been used as an anticarcinogenic marker enzyme in cancer chemoprevention study. The methanol extract of Alpinia officinarum (Zingiberace) showed showed significantly strong quinone reductase inductive activity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methanol extract of Alpinia officinarum was successively fractionated with various solvents according to polarity. Hexane, ethyl acetate, buthanol and water fractions were obtained and theirs activities were assessed. The QR inductive effect was moved to the ethyl acetate fraction and was highly increased. The CD (concentration required to double the specific activity of QR) value of ethyl acetate fraction was 8.6 ${\mu}g/mL$. Alpinia officinarum also showed strong antioxidant activity. These results suggest that Alpinia officinarum can be developed as cancer chemopreventive agent.

Antibacterial Activity of Oleanolic Acid from Physalis angulata against Oral Pathogens

  • Hwang, Jae-Kwan;Shim, Jae-Seok;Park, Kyung-Min;Chung, Jae-Youn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7권2호
    • /
    • pp.215-218
    • /
    • 2002
  • A methanol extract of Physalis angulata exhibited in vitro antibarterial activity against oral pathogens such including Streptococcus mutans and Porphyromonas gingivalis. The methanol extract of Physalis angulata was further fractionated with ethyl acetate, n-butanol and water, in which the ethyl acetate fraction exclusively showed antibacterial activity. An active antibacterial compound from the ethyl acetate fraction was purified to a single compound using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and identified as oleanolic acid by $^{13}$ C-NMR, $^1$H-NMR and EI-MS. MIC of oleanolic acid against S. mutants and p. gingivalis were determined to be 50 and 25 ug/mL, respectively.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oleanolic acid from Physalis angulata suggested that it has potential as an anticarcinogenic and antiperiodontic ingredients in various foods and oral care products.

Antioxidant and Antiproliferative Activities of Methanol Extracts from Leafy Vegetables Consumed in Korea

  • Kim, Hoi-Kyung;Bang, Chan-Sook;Choi, Young-Min;Lee, Jun-Soo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6권5호
    • /
    • pp.802-806
    • /
    • 2007
  • There has been growing interest in the antioxidative and anticarcinogenic effects of vegetables. This study was aimed at evaluating the antioxidative and antiproliferative activities of 13 leafy vegetables consumed in Korea. New-beet and ornamental kale contained >1,000 mg of polyphenolics/100g fresh weight (FW), which was the greatest amount among the test vegetable extracts. Ornamental kale also contained the greatest amount (232.84 mg/100g FW) of flavonoids. With the exception of chicory, values of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and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phonic aci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showed similar trends. New-beet was found to be the greatest antioxidant among the test vegetable extracts. New-beet exhibited the highest antiproliferative activity (>60%) against all tumor cells. No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antiproliferative activity and antioxidant contents or antioxidant activities among samples.

포항 부추의 생화학적 기능성 효과 (The Various biofunctional effects(anticarcinogenic, antioxidative and lypolytic activity) of Pohang buchu)

  • 황철원;신현길;도명술;김윤주;박종흠;최영섭;주우홍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279-281
    • /
    • 2001
  • 포항 지역에서 생산되는 부추를 중심으로 부추의 식품기능성 분석을 한 결과 암예방 지표 효소인 QR의 유도능을 확인하였고 항산화 효소의 유도능도 확인하였다. QR 유도능은 음성대조구에 비해 약 2배 이상의 활성을 보여 앞으로 더 많은 연구를 기대하게 한다. 지역에 따른 QR 유도능과 SOD 유사 활성 유도능의 차이는 각 지역의 토질과 환경에 의한 차이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는 토양분석 등 기후 특성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부추의 항비만 기능성 식품으로서의 가능성을 지방세포 분해능에 의해 측정한 결과 $50\;{\mu}g/{\mu}L$농도에서는 음성 대조구의 약 3배 이상의 분해능을 나타내어 항비만 기능성 식품으로서 효과가 큰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콩 함유 이소플라본의 생리활성과 가공적성 (Studies on Physiological Properties of Isoflavone from Soybean and Its Processing Properties)

  • 한진숙;하태열;김성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10호
    • /
    • pp.1427-1433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콩 식품의 품질 및 가공적성을 최적화하기 위해 대두 이소플라본 추출물의 생리활성과 가공적성에 대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메탄을 추출 이소플라본의 free radical 소거능이 가장 우수하였고, 아질산 소거능은 메탄올, 에탄올과 열수추출물의 순으로 나타났다. ACE 저해작용은 이소플라본이 가장 많이 추출된 메탄올 추출물보다 열수추출물에서 더 큰 효과를 보였다. 또한, 한국인에게 호발하는 위암세포(SNU-1)과 대장암세포(SNU-C4)에 대한 이소플라본 및 대두 추출물의 항종양활성을 확인하였다. 대두 이소플라본이 가공제품이나 특수영양식품으로 가공될 때 문제가 될 수 있는 여러 조건별 안정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분말상태의 대두 이소플라본 농축물$(20\sim40%)$, 99% 이소플라본 표준품, 대두상태의 이소플라본을 대상으로 열, pH, 살균조건에 따른 안정성을 조사하였다. 대두 이소플라본 농축물은 pH 3 이하와 pH 8 이상의 pH에서 크게 감소하였으나 대두 상태의 이소플라본은 pH에 따른 이소플라본의 함량 감소가 없이 거의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99% 이소플라본 표준품은 산성 pH에서는 안정하나 알칼리에서는 대두 이소플라본 추출물보다 감소폭이 컸다. 한편 이소플라본의 열안정성은 우수하여 이소플라본은 식품의 일반적인 가공 조건에서 안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식품, 영양과 암의 관계 (Food, Nutrition and Cancer)

  • 류태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305-313
    • /
    • 1985
  • There is a trend that the total number of cancer cases is steadily increasing as the population grows. It has been estimated that 85% of the cancer rate in the U.S. is attributed to environmental factors. Among the environmental factors, diet and nutrition appear to be related to the largest number of human cancers. Diet and nutrition might be related to cancer by several mechanisms. Food may contain a direct carcinogen or precursors that become carcinogens by spontanous reactions, or by host metabolism, or through the actions of microbial flora. Chemicals that cause cancers generally have reactive electrophilic centers which can combine with electron-rich atoms in nucleic acids and cause cancers by changing the genetic activity of the cells. A variety of factors in foods might be involved in the etiology of carcinogenesis. Chemicals in food that cause cancers include carcinogens of plants and animal origin and also those in drinking water. Other then these, fungal metabolites alcohol, asbestos, heavy metals, pesticides, and food additives might be included as food carcinogenesis. The method of cooking foods also might contribute to carcinogenesis. Some chemicals in foods act as promoters in carcinogenesis. Prevention of cancers by dietary practises have received much interest. Consumption of certain vegetables or cellulose can reduce carcinogenic activity of several compounds. A variety of antioxidants or micronutrients may be effective anticarciongens. Glutathione in the soluble fraction of the cells, is a major defense against oxidative and alkylating carcinogens. Recently anticarcinogenic activity of chlorophyll was demonstrated. Daily consumption of milk appears to effectively reduce stomach cance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