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tibacterial activity

검색결과 2,159건 처리시간 0.029초

수용성 고분자를 이용한 항균 필름의 제조 및 특성 연구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ntimicrobial Films Using Water Soluble Polymer)

  • 최준호;최유성;오일홍;김맹수;이인화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9권4호
    • /
    • pp.449-455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 PVA)와 메틸셀룰로오스(Methyl cellulose: MC)를 사용하여 항균성을 갖는 필름을 제조하였다. 메틸셀룰로오스와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에 항균성을 부여하기 위해 ampicillin(0.025~1wt%)과 streptomycin(0.1~1.0 wt%)을 첨가하여 함량에 따른 기계적인 물성과 항균활성을 확인하였다. 중합도와 검화도에 따른 PVA 필름의 기계적인 물성을 보면 중합도와 검화정도에 따라 필름의 인장강도가 20.2~51.5 $N/mm^2$이었고, 메틸셀룰로오스 필름의 경우 점도에 따라 15.44~21.70 $N/mm^2$이었다. 사용한 균주와 항균제의 함량정도에 따라 그 기계적인 물성과 항균활성에 차이를 보였지만 함량이 늘어날수록 전체적으로 기계적인 물성은 약간 저하되는 경향을 보였지만 항균필름의 항균활성은 우수하였다. Ampicillin과 streptomycin을 사용하여 제조한 항균필름의 항균활성은 포도상 구균과 대장균을 disc diffusion test로 확인하였다. 메틸셀룰로오스와 폴리비닐알코올 필름 모두 streptomycin보다 ampicillin을 함유할 때 항균활성이 우수한 경향을 보였다.

세자리 리간드의 전이금속 착물에 대한 합성과 전위차 및 분광학적 확인 그리고 미생물학적 연구 (Synthesis, Potentiometric, Spectral Characterization and Microbial Studies of Transition Metal Complexes with Tridentate Ligand)

  • Jadhav, S.M.;Munde, A.S.;Shankarwar, S.G.;Patharkar, V.R.;Shelke, V.A.;Chondhekar, T.K.
    • 대한화학회지
    • /
    • 제54권5호
    • /
    • pp.515-522
    • /
    • 2010
  • o-phenylene diamines, dehydroacetic acid (DHA) 및 p-chloro benzaldehyde에서 유도된 세자리 Schiff 염기 리간드인 4-hydroxy-3(1-{2-(benzylideneamino)-phenylimino}-ethyl)-6-methyl-2H-pyran-2-one (HL)의 Cu(II), Ni(II), Co(II), Mn(II) 및 Fe(III) 착물의 형성상수와 항미생물 활성과의 관계를 연구하였다.리간드와 착물은 원소분석, 전도도, 자기수자율, 열분석, X-선 회절, IR, $^1H$-NMR, UV-vis 및 질량 스펙트럼으로 특성조사를 하였다. 분석데이터로부터 착물들의 화학량론비가 1:2 (금속:리간드)임을 알았다. 금속 착물들의 몰 전도도 값은 이들의 비전해질 성질을 의미한다. X-선 회절 데이터에서 Ni(II) 착물은 단사정계 그리고 Cu(II) 및 Co(II) 착물은 삼사정계 결정계임을 규명하였다. IR 스펙트럼 데이터로부터 리간드는 중심금속에 대해 ONN 주개원자 배열의 세자리 리간드로 행동함을 알았다. 열적 행동 (TG/DTA)과 Coats-Redfern 법에 의해 계산한 반응속도 파라메터는 착물형성 과정에서 좀 더 질서 있는 활성화 상태를 제안하고 있다. 착물의 양성자화 상수를 THF:물 (60:40) 용액, $25^{\circ}C$ 및 이온세기 ${\mu}=0.1\;M$ ($NaClO_4$)에서 전위차법으로 측정하였다. Staphylococcus aureu 및 Escherichia coli.에 대한 항박테리아 활성을 시험관에서 조사하였다. 또한 Aspergillus Niger 및 Trichoderma에 대한 항세균 활성도 조사하였다. 금속 이온 및 착물의 안정도가 항미생물학적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비방탈명산(秘方奪命散)의 항산화 ${\cdot}$ 항암 ${\cdot}$ 항균 효과 연구 (Study on the Anti-oxidative, Anti-microbial and Anti-cancer effect of Bibangtalmyungsan.)

  • 한홍준;최정화;박수연;김종한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20권1호통권32호
    • /
    • pp.115-129
    • /
    • 2007
  • Objectives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anti-oxidative, anti-microbial and anti-cancer effect for clinical application of Bibangtalmyungsan (BTS) Results : 1. The oxidative effects were measured by polyphenol,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BTS water extract was showed more effective than ethanol extract and also various solvent fractions from BTS water extract showed effective in the following order : ethyl acetate fraction > butanol fraction > hexane fraction ${\fallingdotseq}$ chloroform fraction ${\fallingdotseq}$ aqueous fraction 2. The results of anti-microbial effects were as follows. 1) Antibacterial activities of BTS extracts against Gram's negative and positive bacteria were ineffective 2) Antifungal activities of the BTS extracts against Aspergillus spp. , Trichohyton mentagrophyte KTCC 1077 were not effective. 3. The result of anti-cancer effects were as followings: 1) BTS ethanol extract was more effective than water extract against Caco-2, Calu-6, but it had cytotoxic effect against NIH3T3. 2) On the Caco-2, effective only in ethyl acetate $fraction(IC_{50}:$ 35.81 ${\mu}g/ml)$. 3) On the Calu-6, the most effective in ethyl acetate $fraction(IC_{50}:$ 189.65 ${\mu}g/ml)$ and effective In butanol $fraction(IC_{50}:$ 299.74 ${\mu}g/ml)$ and hexane $fraction(IC_{50}:$ 345.13 ${\mu}g/ml)$ 4) On the SUN-601, $IC_{50}$ value was within 80 ${\mu}g/ml$ in ethyl acetate fraction and hexane fraction. 5) On the HCT-1l6, the most effective in ethyl acetate $fraction(IC_{50}:$ 82.94 ${\mu}g/ml)$ and effective in hexane $fraction(IC_{50}:$ 374.56 ${\mu}g/ml)$. 6) On the AML-2/WT, the most effective in ethyl acetate $fraction(IC_{50}:$ 41.44 ${\mu}g/ml)$ and effective In hexane $fraction(IC_{50}:$ 303.01 ${\mu}g/ml)$. 7) On the NIH3T3, effective only in ethyl acetate $fraction(IC_{50}:$ 203.42 ${\mu}g/ml)$, but it was more ineffective than other cancer cells. Conclusion : These result suggest that BTS has antioxidative, antifungal activities and cytotoxic effects against Caco-2, Calu-6, SUN-601, HCT-116, AML-2/WT and NIH3T3, especially ethyl acetate fraction from water extract has more effective in antioxidative and anticancer effects.

  • PDF

무기물성 및 식물성 생리활성 물질이 반추위 미생물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Prepared for Several Minerals and Plants on the Growth of Rumen Microbes)

  • 신성환;이신자;옥지운;이상민;임정화;김경훈;문여황;이성실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11호
    • /
    • pp.1555-1561
    • /
    • 2007
  • 본 연구는 무기물성 및 식물성 유래 생리활성물질로서 scoria, germanium, charcoal, 생강, stevia 및 CLA(conjugated linoleic acid)가 병원성 미생물 및 반추위 미생물에 대한 작용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병원성 균으로서 Escherichia coli O157, Salmonella paratyphi, Listeria monocytogenes 및 Staphylococcus aureus에 적용하여 항균활성을 측정하고, in vitro 발효 시 반추위 미생물 성장률, 가스 생성량, 암모니아 농도, CMCase 활성 및 미생물의 수를 측정하였다. 병원성 미생물 배양액에 생강을 0.1% 첨가한 구에서만 항균활성이 나타났으나, paper disc법에 의한 항균활성 시험에서는 stevia 10%첨가구와 CLA 10% 첨가구에서 E. coli에 대해서 항생제 첨가구인 positive control 구와 비슷한 크기의 clear zone을 형성하였다. in vitro 반추위 미생물 발효시험에서는 생강, stevia 및 CLA가 반추위 박테리아와 프로토조아의 증식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생강 첨가구의 경우 메탄 생성균의 서식지로 알려져 있는 프로토조아를 크게 억제함으로써 메탄생성 억제제로서 개발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우루시올을 활용한 폴리우루시올(PUOH)제조 및 LDPE/PUOH 복합필름 특성에 관한 연구 (Preparation of Polyurushiol (PUOH) Using Urushiol and Property of LDPE / PUOH Composite Films)

  • 김도완;김인수;서종철;서정상
    • 공업화학
    • /
    • 제23권6호
    • /
    • pp.546-553
    • /
    • 2012
  • 옻나무에서 추출한 우루시올은 우수한 열안정성, 항균성 및 항산화 특성을 가지고 있으나, 알러지를 유발한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알러지 유발원을 가지고 있는 우루시올을 안전하고 편리하게 사용하기 위하여 폴리우루시올 (Polyurushiol, 이하 PUOH) 분말을 제조하였다. 우선, 제조한 분말에 대한 FTIR, SEM, 항산화 및 항균성에 대한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Twin screw extruder system을 이용하여 PUOH 분말의 함량 변화에 따른 LDPE/PUOH 복합필름을 제조하였고 액티브 패키징(active packaging) 소재로서의 실현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제조한 LDPE/PUOH 복합필름에 대한 화학적 구조, 모폴로지, 열적특성, 광학적 특성 그리고 항균성 테스트를 PUOH함량 변화에 따라 실시하였다. FTIR과 SEM 결과 PUOH 분말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LDPE와 PUOH 분말 사이에 화학적 결합이나 상호작용이 약하며, 분산성 및 혼화성이 좋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열적특성은 PUOH의 함량이 3%까지만 향상시켰다. Pure LDPE와 비교해보면, PUOH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LDPE/PUOH 복합필름의 자외선 흡수성과 E. coli에 대한 항균성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LDPE/PUOH 복합필름을 패키징 소재로서 성능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PUOH 분말과 필름의 분산성 향상에 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ICR 마우스를 이용한 Bacillus subtilis JNS 균주의 단회경구투여 독성시험 (Single Dose Oral Toxicity of Bacillus subtilis JNS in ICR Mice)

  • 김경훈;정창화;주성제;박종훈;문지영;조은지;이현태;권현주;김병우;엄성환;이은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24-28
    • /
    • 2015
  • 청국장에서 분리한 항균활성이 우수한 Bacillus subtilis JNS의 probiotics로서의 활용성을 검증하기 위해 단기투여에 의한 안전성을 확인하고자 실험을 실시하였다. 경구투여용 존데를 이용하여 임상적용 경로인 경구로 투여하였으며, 최고투여용량은 2,000 mg/kg으로 설정하였다. ICR계 암수 마우스에서 14일간 관찰한 결과 일반증상, 사망률, 체중, 임상증상 및 육안적 소견 등에서 무처리 대조군과 비교해서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부검 후의 주요 장기에 대한 육안적 검사에서 또한 대조군과 비교하여 이상소견이나 병변이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시험물질인 B. subtilis JNS는 경구투여 시 ICR계 암수 마우스에서 독성학적인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으며, 경구투여가 2,000 mg/kg 이상인 저독성의 안전한 물질로 사료된다.

Tiamulin이 Streptococcus parauberis HFTC0083에 감염된 강도다리(Platichthys stellatus)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iamulin on Starry Flounder, Platichthys stellatus Infected with Streptococcus parauberis HFTC0083)

  • 주민수;김보성;김도형;서정수;권문경;지보영;박찬일
    • 한국해양생명과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29-37
    • /
    • 2019
  • 수산 양식 산업에서 발생하는 다제내성균에 의한 질병을 통제하기 위해 기존에 사용하던 수산용 의약품 대신 어류에 사용이 금지된 동물용 의약품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그 중, 티아물린은 그람 양성균에 효과적인 항균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일부 양식 어가에서 불법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불법적 사용을 막기 위해서는 티아물린의 수산동물에 대한 연구를 통해 수의사나 수산질병관리사의 처방전에 따라 수산생물의 치료행위가 수반되어야 한다. 연쇄구균에 감염된 강도다리에 대해 티아물린을 5, 10, 15 mg kg-1의 농도로 근육주사 하였으나 치료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고 15, 30 mg kg-1의 농도로 경구투여 하였으나 마찬가지로 치료 효과가 미비하였다. 안전성 확인을 위해 30, 60 mg kg-1의 농도로 근육주사와 경구투여한 경우 항생제의 독성에 의한 폐사가 발생하였고 따라서 연쇄구균에 감염된 강도다리에 티아물린으로 항생제 처리를 하는 것은 부적절하다고 할 수 있다.

발효 된장의 바이오제닉 아민 함량에 영향을 미치는 바실러스균의 분리 동정 및 프로바이오틱 특성 (Isolation, identification, and probiotic characteristics of Bacillus strains affecting the biogenic amine content in fermented soybean paste)

  • 임은서
    • 미생물학회지
    • /
    • 제55권2호
    • /
    • pp.131-142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전통 발효 된장 내 바이오제닉 아민 함량을 측정하고 이들 아민의 축적을 억제할 수 있는 프로바이오틱 바실러스균을 분리하였다. 된장 내 세균수, pH, 적정산도, 염도 및 바이오제닉 아민 함량은 시료마다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된장에서 분리된 바실러스균 중에서 Bacillus (B.) licheniformis DB102, B. subtilis DB203, B. stearothermophilus DB206, Bacillus sp. DB209, Bacillus sp. DB310, B. coagulans DB311, B. cereus DB313, B. amyloliquefaciens DB714, Bacillus sp. DB917, B. cereus DB 915, B. subtilis DB1020 및 Bacillus sp. DB1022는 바이오제닉 아민 생성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바이오제닉 아민 분해균은 Bacillus sp. DB403, Bacillus sp. DB407, B. subtilis DB517, B. licheniformis DB612 및 B. subtilis DB821로 동정되었다. 특히, Bacillus sp. DB407과 B. subtilis DB821은 인공 소화액에 대한 저항성, 장관 상피세포에 대한 부착능, 항생제에 대한 내성 및 바이오제닉 아민 생성균에 대한 항균 활성 등의 프로바이오틱 특성을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이들 두 프로바이오틱 바실러스균은 바이오제닉 아민이 낮은 대두 발효 식품 제조에 적합한 스타터로 사료된다.

표고버섯 수확 후 배지의 유용 생리활성 평가 (Evaluation of the Useful Bioactivities of Spent Mushroom Substrate of Shiitake)

  • 성화정;표수진;박종이;손호용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64-172
    • /
    • 2019
  • 국내 표고버섯은 참나무 톱밥을 주 원료로 한 인공배지를 이용하여 재배하고 있으며, 표고버섯 재배 후 부산물로 발생하는 [수확 후 배지](Spent Mushroom Substrate: SMS)는 약 50,000톤으로 추정된다. 본 연구에서는 별도의 용도 없이 폐기되고 있는 표고버섯 SMS를 유용 생물자원으로 이용하기 위해, 1회 수확 후 SMS 및 3회 수확 후 SMS의 열수 추출물을 조제하여 이들의 항산화, 항균, 항당뇨, 항응고 및 혈소판 응집저해활성을 평가하였다. 대조구로는 재배용 살균배지 및 표고버섯의 열수 추출물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 표고버섯 SMS 추출물은 표고버섯 및 살균배지 추출물보다 우수한 DPPH 음이온, ABTS 양이온 nitrite 소거능 및 환원력을 나타내었다. 1회 및 3회 SMS 추출물들은 0.5 mg/disc 농도에서는 사용된 세균 및 진균에 대한 항균력이 나타나지 않았으나, 0.5 mg/ml 농도에서 우수한 ${\alpha}$-glucosidase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thrombin time, prothrombin time, activated partial thromboplastin time 및 혈소판 응집저해 활성 측정 결과, SMS 추출물들은 혈소판 응집에는 미미한 영향을 나타내었으나, 강력한 혈액응고저해 활성을 나타내어 항혈전 조성물로 개발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SMS를 폐기 대상이 아닌, 표고버섯 균사체가 대량 배양된 생물자원으로 고려하는 것이 필요함을 제시하며, SMS를 이용한 항산화, 항당뇨, 항혈전 조성물 개발이 가능함을 제시하고 있다.

Artemisia princeps Pampanini의 complete freund's adjuvant 유발 관절염에 대한 개선 효과 (Anti-arthritic Activity of Artemisia princeps Pampanini on Complete Freund's Adjuvant-induced Arthritis)

  • 김하림;김솔;김선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31권8호
    • /
    • pp.736-744
    • /
    • 2021
  • 강화사자발쑥(Artemisia princeps Pampanini)은 항산화, 항염증 및 항균제와 같은 면역 기능 관련 질병에 널리 사용되는 약초이다. 이 연구에서 우리는 RAW 264.7 세포에서 AP 추출물의 항염증 효과를 조사하고 관련 메커니즘을 평가하였다. AP 추출물의 효과는 complete Freund's adjuvant (CFA) 유도 관절염 및 lipopolysaccharide(LPS) 유도 마우스 모델에서도 평가되었다. RAW 264.7 세포에서 AP 추출물은 LPS에 의해 유도 된 산화질소(NO) 생성과 inducible NO synthase 및 cyclooxygenase-2 단백질 발현을 현저하게 억제했다. RAW 264.7 세포에서 LPS로 유도된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와 nuclear factor-κB의 인산화 또한 AP 추출물에 의해 유의하게 억제되었다. AP 추출물의 경구 투여는 CFA 처리 마우스 그룹에 비해 발의 부종 및 비장 지수 증가를 억제하였다. 조직학적으로 CFA 처리 마우스 군에서는 cartilage와 synovium에서 염증 세포의 침윤이 증가한 반면 AP 추출물 투여군에서는 억제되었다. 더욱이, AP 추출물은 염증성 사이토카인으로 알려진 tumor necrosis factor-α 수준을 CFA 및 LPS 처리 마우스 모델에서 현저하게 감소시켰다. 결론적으로, AP 추출물의 항염증 및 항 관절염 효과는 in vitro 및 in vivo 모델 모두에서 확인되었으며, 이는 Artemisia princeps Pampanini가 관절염 치료의 후보 물질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