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ti-browning

검색결과 58건 처리시간 0.029초

천연 갈변저해제로서 황금 추출물의 효소적 갈변 저해 효과 (Scutellaria baicalensis Extracts as Natural Inhibitors of Food Browning)

  • 박미지;장민선;정문철;김건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5호
    • /
    • pp.792-799
    • /
    • 2013
  • 천연 갈변저해 소재 발굴을 위해 황금을 열수와 EtOH로 추출한 후, 각각의 추출물에 사과 슬라이스를 침지하여 외관의 변화를 관찰한 결과 황금의 열수와 에탄올 추출물이 사과의 갈변억제에 효과적이었다. 이에 열수와 EtOH 추출물을 각각 상법에 따라 분획하여 $CHCl_3$, EtOAc, $H_2O$ 분획물로 총 6가지 분획물을 얻었다. 이 분획물에 대한 총 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라디칼 소거능과 환원력 측정, 금속이온 chelating 등을 통하여 항산화 효과와 PPO(polyphenol oxidase) 저해 활성을 측정하였다. 대체적으로 EtOH 추출의 분획물이 열수 추출의 분획물보다 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항산화 활성이 뛰어났다. 총 페놀의 경우 EtOAc 분획물에서, 플라보노이드의 경우 $CHCl_3$ 분획물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DPPH와 ABTS radical 소거능, FRAP assay 결과 EtOAc 및 $CHCl_3$ 분획물에서 높은 항산화능을 보여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금속이온 chelating 활성은 특이적으로 $H_2O$ 분획물에서 높은 활성이 나타났으나 다른 분획물들 또한 ascorbic acid에 비해 약 3배 이상의 우수한 활성을 나타냈다. PPO 저해 활성의 경우 $CHCl_3$ 분획물에서 높은 저해활성을 나타내어 다른 항산화 측정 결과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으며, ascorbic acid에 비해 우수한 PPO 저해 활성을 보였다. 따라서 황금의 EtOAc 및 $CHCl_3$ 분획물은 우수한 항산화 및 PPO 저해 활성으로 인해 갈변저해제로서 효과적이라 판단된다.

만수 품종 배의 과피 갈변 원인 구명 (Occurrence of Skin Browning by Mechanical Injuries on the Fruits of 'Mansu' Pear)

  • 이중섭;서형호;윤익구;최장전;최진호;김점국
    • 식물병연구
    • /
    • 제14권3호
    • /
    • pp.205-209
    • /
    • 2008
  • 배 만수 품종에서 발생되는 수확 후 과피 갈변 발생원인을 구명하기 위해 2년간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배 만수 품종의 과피 갈변은 수확 후 선과시 발생되는 미세한 물리적 상처 부위에서 갈변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과피에 인위적 상처를 낸 후 품종간 과피 갈변 정도를 비교한 결과 신고 품종에 비해 만수 품종이 과피 갈변 발생정도가 심하여 품종간 차이를 나타내었다. 또한 만수 품종은 신고 품종에 비해 과피 조직이 얇았으며, 과피내황산화능이 높고 함량이 많을수록 과피 갈변 발생이 적었다. 결과적으로 만수 품종의 과피 갈변은 수확후 선과주에 발생하는 물리적인 미세상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 수확 후 봉지를 씌운채 선과하면 과피의 상처 발생감소로 갈변 발생이 현저히 억제되었다.

Efficacy of Sodium Hypochlorite and Acidified Sodium Chlorite in Preventing Browning and Microbial Growth on Fresh-Cut Produce

  • Sun, Shih-Hui;Kim, Su-Jin;Kwak, Soo-Jin;Yoon, Ki-Sun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7권3호
    • /
    • pp.210-216
    • /
    • 2012
  • The use of suitable sanitizers can increase the quality of fresh-cut produce and reduce the risk of foodborne illness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washing effects of 100 mg/L sodium hypochlorite (SH) and 500 mg/L acidified sodium chlorite (ASC) on the prevention of enzymatic browning and the growth of microbial populations, including aerobic plate counts, E. coli, and coliforms, throughout storage at $4^{\circ}C$ and $10^{\circ}C$. Fresh-cut zucchini, cucumbers, green bell peppers, and root vegetables such as potatoes, sweet potatoes, carrots, and radishes were used. Compared to SH washing, ASC washing significantly (p<0.05) reduced microbial contamination on the fresh-cut produce and prevented browning of fresh-cut potatoes and sweet potatoes during storage. More effective inhibition of aerobic plate counts and coliforms growth was observed on fresh-cut produce treated with ASC during storage at $10^{\circ}C$. Polyphenol oxidase (PPO) activity of fresh-cut potatoes and sweet potatoes was more effectively inhibited after washing with ASC. The use of 500 mg/L ASC can provide effective antimicrobial and anti-browning treatments of fresh-cut produce, including processed root vegetables.

Hibiscus manihot leaves Attenuate Accumulation of Lipid Droplets by Activating Lipolysis, Browning and Autophagy, and Inhibiting Proliferation of 3T3-L1 Cells

  • Na Gyeong Geum;Jeong Won Choi;Hyeok Jin Choi;Gwang Hyeon Ryu;Jin Boo Jeong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541-548
    • /
    • 2023
  • In the present study, the effects of HML on lipolysis, adipocyte browning, autophagy, and proliferation were investigated. HML affected lipolysis by increasing the protein levels of ATGL and HSL, and phosphorylation levels of HSL and AMPK. Furthermore, HSL decreased the perilipin-1 levels. In addition, free glycerol content was increased by HML treatment. HML affected adipocyte browning by increasing the protein levels of UCP-1, PGC-1α, and PRDM16. In addition, HML affected autophagy by increasing the levels of LC3-I and LC3-II, and decreasing those of SQSTM1/p62. Moreover, HML affected adipocyte proliferation by suppressing the proliferation of 3T3-L1 cells due to arrest of the cell cycle via blocking the expression of β-catenin and cyclin D1. These results suggest that HML induces lipolysis, adipocyte browning, autophagy, and inhibits excessive proliferation of adipocytes.

갈변 방지제 처리가 최소 가공한 배 절편의 저장성 향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nti-Browning Agent Application on the Improvement of Quality Maintenance for Minimally Processed Pear Slices)

  • 박용서;임명희;코삭;이건순;오대민;정규진;허북구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239-247
    • /
    • 201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crease the keeping quality of the minimally processed pear slices during the cold storage. Korean pears, 'Shin-go (Niitaka)', 'Chu-hwang' and 'Won-hwang’ were immersed in 1% ascorbic acid, 0.1% calcium propionate, 1% citric acid, 0.2% N-acetyl cysteine and 0.5 M 4-hexylresorcinol solution for 3 three minutes and then stored at $1{\pm}0.5^{\circ}C$ for 10 days. We have also examined into the firmness and the color difference of pears slices as affected by the application of the anti-browning agents. The firmness of pears slices which that were immersed in 0.1% calcium propionate and 0.2% N-acetyl cysteine solution were not significant at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after 10 days after of cold storage. However, the ${\Delta}E^*$ values of 'Shin-go' slices which that were treated with 0.1% calcium propionate and 0.2% N-acetyl cysteine solution and stored for 10 days decreased by 3.18 and 3.83, when compared with that in of the control, which decreased by 6.36. The ${\Delta}E^*$ values of 'Chu-hwang' slices which that were treated with 0.2% N-acetyl cysteine and 0.1% calcium propionate solution had the slight difference by differed by only 2.09 and 2.14, when compared with that in of the control, which differed by 3.04. The ${\Delta}E^*$ values of 'Won-hwang' slices which that were treated with 1% citric acid and 0.5 M 4-hexylresorcinol were 4.49 and 5.83, respectively, while that in of the control decreased by 8.95. It was assumed that the anti-browning agent treatment had the different activities among varieties of the pear varieties slices, however, application of 0.2% N-acetyl cysteine and 0.1% calcium propionate application had greater the higher antibrowning activity.

다양한 배지종류, sucrose 농도 및 갈변억제물질 처리에 의한 팔레놉시스 PLB 증식 및 재분화 체계확립 (Establishment of proliferation and regeneration system of PLBs in Phalaenopsis by treatments of a variety of types of medium, sucrose concentrations and anti-browning agents)

  • 노희선;김종보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1권4호
    • /
    • pp.223-228
    • /
    • 2014
  • 팔레놉시스 PLB (protocorm-like bodies) 조직을 이용하여 대량증식 및 신초재분화 체계 확립을 위하여 다양한 증식배지, 액체배지와 고체배지의 효과, sucrose 농도 등이 PLB 증식과 신초 재분화에 효과가 있는지 그리고 활성탄소, citric acid 및 ascorbic acid 등이 팔레놉시스 PLB 배양시 갈변화 현상을 감소하는데 효과가 있는지 알아 보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난과 식물에서 증식배지로 널리 사용되는 VW, HCa, Orchimax 및 Kudson C 배지 중 VW 배지가 PLB 증식에서 타 배지와 비교해서 최소 1.3배에서 최대 2배의 증식효율 그리고 신초 재분화에서도 50% 이상 높은 효율을 보여 주었다. 최적 배지로 선정된 VW배지에 apple powder 및 banana powder를 첨가한 VWAB 배지를 기반으로 액체 및 고체배양에서 PLB 증식효율과 신초재분화율을 비교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Sucrose 농도를 0 ~ 50 g 처리한 실험에서는 PLB 증식과 재분화 효율 둘 다 10 g 처리구에서 가장 좋은 결과를 보여 주었다. 마지막으로 팔레놉시스 PLB 증식 및 재분화 과정에서 자주 발생하는 갈변화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활성탄소, citric acid와 ascorbic acid를 처리한 실험에서는 활성탄소 1 g이 1.5%의 가장 낮은 갈변율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실험결과는 향후 팔레놉시스 PLB를 이용한 대량증식 및 재분화 체계 확립에 크게 기여하리라 판단된다.

모의 수출 조건에서 수확 후 CO2와 부직포 패드 처리가 느타리버섯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ostharvest High CO2 Treatment and Anti-moisture Pad on the Quality of Fresh Oyster Mushroom during Export Simulation)

  • 황용수;이경민;김민경;서건식
    • 한국균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215-223
    • /
    • 2012
  • 느타리버섯 수출력 증진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선적전 고농도 $CO_2$ 및 흡습지 처리가 모의 수출과정에서 버섯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수출과정의 온도 변화는 표장용기 내부에 응축수를 만들어 품질을 떨어뜨리는 원인이 되며 흡습지는 경도 유지, 갈변 예방 등에서 효과적이었다. 그러나 모의소매과정에서의 고온($15^{\circ}C$) 노출은 그 효과를 크게 감소시켰다. 선적전 고농도의 $CO_2$ 처리는 경도에 대한 영향은 뚜렷하지 않았지만 버섯의 색택변화를 지연시켰다. 총당, 페놀 등 내적성분은 처리간 일정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다. 전반적 수출잠재력은 현행 수출용 규격인 작은 버섯에서 높았다. 수출용 버섯의 품질저하는 포장용기내 응축수 발생과 온도변화의 영향을 크게 받아 이를 개선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한란의 급속증식을 위한 생장조절물질과 항산화제 처리효과 (Effects of Plant Growth Regulators and Anti-oxidants on Rapid Multiplication of Cymbidium kanran)

  • 소인섭;최지용;고태신;이종석
    • 생명과학회지
    • /
    • 제8권5호
    • /
    • pp.520-525
    • /
    • 1998
  • 한란(Cymbidium kanran)의 급속증식을 위한 식물생장 조절물질과 항산화제의 처리결과, 2.5 g/1 gelrite가 생장과 경제적인 면에서 우수하였는데, 9 g/1 시약한천보다 적은 약 28% 정도의 양과 절반 정도의 가격으로 우수한 결과를 나타났다. 식용한천은 시약한천에 비해 절반 정도의 가격으로 거의 비슷한 생육을 보였다. BA와 NAA의 농도가 높을수록 배지의 갈변도가 심하였으며, 식물생장조절물질의 작용을 억제하였다. polyvinylpyrrolidone (PVP, M.W. 40,000)이 ascorbic acid, aspartic acid, rutin 보다 우수 항산화제인 것으로 나타났다. 식물생장조절물질 처리에서는 0.1-1.0 mg/1 BA와 0.1 mg기 NAA, 1 g/1 PVP 처리구가 가장 좋은 생육을 보였다. 따라서 한란의 경우 급속한 개체 증식을 위해서는 MS 기본배지에 2.5 g기 gelrite를 불활성 지지물로 사용하고, 0.1-1.0 mg/1 BA 수준에 0.1 mg/1 NAA를 처리하고, 1 g/1 PVP 첨가를 통해 배지의 산화를 억제하여 배양기간을 연장하고, 식물생장조절물질의 역할이 정상적으로 작용하도록 하여 적은 양의 식물생장조절물질의 사용으로 강건한 묘를 확보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추황배 청징배즙의 제조 및 항산화 활성 (Easy production techniques for clear pear juice and its antioxidant activities of 'Chuwhangbae' pear)

  • 최진호;임순희;최장전;김성종;남승희;강삼석;김윤경;이한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720-726
    • /
    • 2013
  • 본 연구는 배 과즙의 가공조건을 최적화하기 위해 여과, 청징 및 갈변 방지 방법 및 가공 조건에 따른 항산화능을 조사하였다. 배를 분쇄 착즙 후 면포여과, 감압여과 및 원심분리를 실시한 결과 원심분리(3000 rpm, 10분간)를 할 경우 colorimetry value가 높은 'L'값(34.31)과, 낮은 'a'값(-0.13)을 보여 가장 좋은 청징 효과를 나타냈으며, 그 다음으로 감압여과(31.8%) 및 면포여과(11.0%) 순이었다. 청징제 종류에 따른 청징 효과는 1%의 gelatin이나 bentonite가 우수하였으며, tannin과 egg albumin은 효과가 없었다. 갈변저해제 처리에 따른 갈색도 측정결과 0.1% L-ascorbic acid 처리 시 11.5%의 갈변억제 효과를 보였다. 유리당은 fructose, sucrose, glucose, sorbitol이 검출되었으며, 가열배즙에서 fructose와 glucose는 증가되는 반면 sucrose는 감소되었다. 가공 조건에 따른 항산화능 조사 결과 총폴리페놀 함량은 가열배즙이 청징배즙에 비해 유의하게 많아졌으나 총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청징배즙과 가열배즙이 유사하게 증가하였다. DPPH radical 소거활성과 아질산염 소거능은 가열배즙과 청징배즙에서 착즙액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저온 blanching 및 갈변저해물질의 처리에 따른 최소가공 감자의 저장 중 품질변화 (Quality Changes in Fresh-Cut Potato (Solanum tuberosum var. Romano) after Low-Temperature Blanching and Treatment with Anti-Browning Agents)

  • 황태영;장지현;문광덕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499-505
    • /
    • 2009
  • 신선절단 감자의 저장 중 갈변저해 및 일정 유통기한 확보를 목적으로 신선절단 감자에 갈변저해 물질과 blanching 처리를 적용 하였다. 사용된 갈변저해 물질은 다양한 갈변저해 물질을 조사하여 그 중 효과적인 갈변저해 현상을 나타내는 화합물 중 일부를 선정, 조합하여 갈변저해 용액(0.5% ascorbic acid+0.5% citric acid+0.5% sodium chloride+0.1% trehalose)으로 조제하고 침지 처리 하였다. 또한 이 갈변저해용액을 $60^{\circ}C$로 가온하여 저온 blanching 처리를 병행한 후 뚜껑이 있는 플라스틱(PET) 용기에 포장하여 $4^{\circ}C$에서 냉장저장 하면서 저장 중 품질 특성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저장기간의 경과에 따라 포장용기 내부의 산소 농도가 감소하고 이산화탄소의 함량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신선절단 감자의 갈변을 가장 효과적으로 저해하는 구는 C.S.구(갈변저해용액에만 처리한 경우)로써 저장 14일 경까지도 매우 좋은 외관품질 상태를 유지하고 있었다. PPO 활성은 저장 초기 및 후기 모두 C.S.구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총페놀 함량은 모든 처리구에서 저장 후기로 갈수록 감소하였으나 저장 7일경 일시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저장 기간 경과에 따라 가용성 고형분의 함량은 증가하고 있었으며 pH와 적정산도는 각각 처리구 및 저장 기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즉, 외관품질을 중심으로 C.S.구가 가장 효과적인 갈변저해 효과 및 저장품질을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