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ti-bacterial activity

검색결과 348건 처리시간 0.031초

의류용 크롬유혁의 제조공정에 따르는 항미생물 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tibacteria Effect by Manufacturing Processes of Chrome-Tanned Garment Leather)

  • 조승식;심미숙;김운배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33-39
    • /
    • 1993
  •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nti-bacteria effect of chrome-tanned garment leathers by various processes to article from hide. Anti-bacterial test by halo test and shake flask method, and pH value measurment are carried out in this study. The results can be obtained as follows: 1. In the soaking process of chrome-tanned garment leathers, it needs more effective anti-bacterial treatment. 2. pH value of samples by various processes has affected to anti-bacteria effect. 3. Chrome used by the tanning and the neutralization process have been found to be the anti-bacteria activity. 4. The dyeing, the fatliquoring and the finishing process has required anti bacteria treatment.

  • PDF

등수국 잎 추출물 유래 항염 및 항균 활성 성분 (Anti-inflammatory and Anti-bacterial Active Ingredients Derived from the Extract of the Leaves of Hydrangea Petiolaris)

  • 조성미;김정은;이남호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207-218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등수국 잎 추출물의 항염 및 항균 활성을 확인하고 유효성분을 분리하여 화학구조를 동정하였다. RAW 264.7 세포를 이용한 항염 활성 실험 결과, n-hexane (Hex) 및 ethyl acetate (EtOAc) 분획물이 세포 독성 없이 nitric oxide (NO)의 생성 및 iNOS 단백질의 발현을 농도의존적으로 억제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추가적인 항염 기전 연구 결과, n-Hex 및 EtOAc 분획물이 전염증성 cytokine (TNF-α, IL-1β, IL-6)의 생성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표피포도상구균과 여드름균을 이용한 활성 실험 결과, 추출물 및 n-Hex, EtOAc, n-butanol (BuOH) 분획물에서 항균 활성이 나타났다. n-Hex 및 EtOAc 분획물의 활성 성분을 규명하기 위해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4 개의 화합물을 분리하였다; phytol (1), corosolic acid (2), asiatic acid (3) 및 1-O-p-coumaroyl-β-D-glucopyranoside (4). 이들 화합물은 모두 등수국에서 처음으로 분리된 물질이다. 또한 HPLC 분석을 통해 등수국 잎 추출물에서 분리된 화합물의 함량을 측정한 결과 phytol (1) 이 27.8 mg/g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등수국 잎 추출물을 이용한 항염 및 항균 효과를 갖는 천연 화장품 소재로의 개발이 가능할 것이라 사료된다.

오배자(Schlechtendalia chinensis)로부터 수박 과실썩음병 병원균(Acidovorax avenae subsp. citrulli)에 대한 항균 활성물질 탐색 (Isolation of Antimicrobial Active Substances from Chinese Gall Nut (Schlechtendalia chinensis) against Watermelon Fruit Rot Pathogens (Acidovorax avenae subsp. Citrulli))

  • 김현우;최용화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323-334
    • /
    • 2015
  • 본 연구는 수박 과실썩음병의 원인균인 A. avenae subsp. citrulli에 대해 항균활성을 갖는 친환경 유기농자재를 개발할 목적으로 오배자(S. chinensis)를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오배자를 MeOH로 추출하여 용매분획을 하였고, 용매분획 중에서 가장 강한 활성을 나타낸 hexane fraction을 column chromatography로 분리하여 활성이 강한 분획들을 GC-MS로 분석하였다. GC chromatogram 상의 주요 peak에 해당하는 mass spectrum과 Wiley library를 비교하여 profiling한 결과, 지방산인 myristic acid, palmitic acid와 3-n-pentadecylphenol이 주요 물질로 검출되었다. 이들 검출 화합물의 항균활성을 검정하기 위하여 표준품을 사용하여 bioassay한 결과, myristic acid와 3-n-pentadecylphenol 화합물이 강한 활성을 보였다. 따라서 오배자로부터 분리한 myristic acid와 3-n-pentadecylphenol 화합물이 항균 활성물질인 것을 구명하였다.

數種 韓藥材의 齒牙美白 效果에 관한 實驗的 硏究 (Study on the effects of herbal extracts on tooth whitening, antioxidant, nitric oxide synthesis and Streptoccocus mutans.)

  • 정현아;;임석인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19
    • /
    • 2002
  • Fifteen herbs used in oral medicine were extracted in ethanol and screened for tooth whitening effect,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nhibition of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activity and anti-bacterial activity on Streptoccocus mutans. The results are as followed: 1. The tooth whitening effect of toothpaste containing 1 $\%$ ethanol extracts of 15 herbs was tested in brushing method using artificially stained HAT tablet and bovine tooth specimens. Toothpaste containing 1$\%$ of Vucia unijuga, Illicium verum, Angelica dahurica and Piper longum extracts showed tooth whitening effects on both HAT tablet and bovine tooth specimens. But the others did not show a considerable activity. 2. The antioxidant activity of ethanol extracts of 15 herbs was tested using the method of 1,1-diphenyl-2-picryl hydrazyl (DPPH) reactivity. Two ethanol extracts of Cimicifuga heracleifolia and Phyllostachys nigra var. henonis were found to be the most effective on radical scavenging activity. C. heracleifolia and P. nigra var. henonis extracts removed 86$\%$ and 81 $\%$ of DPPH radical at 0.01$\%$, compared with butylated hydroxy toluene as positive control. 3. The inhibition activity of ethanol extracts on nitrate production In RAW264.7 cell stimulated by lipopolysacchride was tested using the Griess reagent. But all extracts did not inhibit nitrate production. 4. The antibacterial activity on Streptoccocus mutans was tested by paper disk method. But no one extract showed any anti - bacterial activity.

  • PDF

견사와 폐 우유팩으로부터 분리한 셀룰로오스가 함유된 복합 위생포 제작 (Preparation of Multi Skin Care Gauze by Blending of Silk Fiber and Separated Cellulose from Waste Milk Pack)

  • 여주홍;이광길;이용우;김종호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09-113
    • /
    • 2000
  • The preparation of skin care gauze could be make to mixing separated cellulose from waste milk pack and degummed silk fibroin fiber. Also, its wound covering and anti-bacterial activity were investigated in order to find out the enhancement of their functionality. By the 30% silk fibroin fiber including skin care gauze, the anti-bacterial activity values of Staphylococcus strain are much 4 times higher than of 0∼10% silk fibroin fiber including skin care gauze. The average yield of cellulose from waste milk pack was obtained 50-60%, and their morphologies, physical properties, modulus and biodegradation ratios are studies, respectively.

  • PDF

Streptococcus mutans와 Porphyromonas gingivalis에 대한 Basil Oil의 항균효과 (Anti-Bacterial Effects of Basil Oil on Streptococcus mutans and Porphyromonas gingivalis)

  • 윤현서;박충무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131-139
    • /
    • 2018
  • Purpose : The study objective was to assess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essential oil of basil against S. mutans and P. gingivalis and to explore its potential to prevent dental caries and peridontal disease. Method : Essential oil of basil, extracted using steam distillation, was diluted with triple distilled water and Tween 20 to generate samples at various concentration, that is 30%, 50%, and 70% (v/v). Strains of S. mutans and P. gingivalis were incubated in the medium under anaerobic condition. Broth microdilution susceptibility testing and plate incubation diffusion were utilized to determine the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and to measure antibacterial activity, respectively. Result : An upsurge in antibacterial activity was seen to correlate with and increase in the concentration used for both bacterial strains, but was more significant with S. mutan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growth inhibition effect and reduction in the number of colonies was also observed with both strains dependent on the concentration used following 24 hours of incubation. Conclusion : Thus, the current study finding was that essential oil of basil was effective against dental caries and periodontal disease and could be used in dentifrice to help prevent oral disease.

삼신환(三神丸) 에탄올 추출물(SSH)의 MRSA에 대한 항균활성 연구 (A study on Antibacterial Activity of Samsinhwan Ethanol Extract against MRSA)

  • 우학식;이영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8호
    • /
    • pp.271-282
    • /
    • 2019
  • 이번 연구의 목적은 MRSA에 대하여 삼신환(三神丸)의 항균효과와 기존 항생제인 Oxacillin과 Ciprofloxacin과의 synergy effect를 확인하고 그 기전을 밝히는 것이다. 이에 삼신환(三神丸)의 Disc 확산 실험 및 최소억제농도(MIC)를 측정하여 MARA에 대한 항균 활성 및 활성농도를 검증하고, 항생제와 삼신환(三神丸) 에탄올 추출물을 병행 처리하여 병용 효과를 확인하고, 시간에 따른 생장 억제 효과를 확인하는 절차와 방법을 통해 삼신환(三神丸)이 MARA에 대한 항균 활성으로 oxacillin 또는 ciprofloxacin과 결합 되었을 때, 시너지 및 부분 시너지 효과를 보임으로써 in vitro에서 우수한 항균물질임이 연구 결과로 나타났음을 시사하는 바이다. 아울러 MARA 내성의 제어를 위한 신약 개발에 본 연구가 의미있는 자료가 되기를 기대할 뿐 아니라, 내성 균주를 극복하기 위한 항생물질의 연구와 개발에 더욱 박차를 가하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

두충나무, 황벽나무 등을 포함하는 수목추출물의 항여드름 및 항아토피 효과 (Anti-acne and Anti-atopic Dermatitis Effect of Plant Extracts Including Eucommia ulmoides Oliv and Phellodendron amurense)

  • 김기은;김진홍;홍슬기;김타곤;김동욱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8권6호
    • /
    • pp.700-703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두충나무, 황벽나무 등을 포함하는 수목추출물의 소재특성을 시험하여 화장품 및 피부질환 치료소재로서의 응용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수목추출물의 항산화력은 DPPH 자유라디칼 소거법으로 측정되었으며 저농도에서는 항산화력이 낮았으나, $1000{\mu}g/ml$의 고농도에서는 우수한 항산화제인 비타민 C와 유사하였다. 항균력은 원판확산법으로 측정되었으며, 수목추출물은 피부상재균인 Staphylococcus epidermidis에 대해서는 낮은 항균력을 보이지만, 여드름 유발균인 Propionibacterium acne에 대해서는 높은 항균력을 보여주는 선택성 항균력이 있어, 여드름소재로서 매우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었다. 무모생쥐를 이용한 항아토피 시험결과, 수목추출물은 DNCB에 의해 유도된 피부염증을 14일 째 거의 정상상태로 회복시켰으며, 피부내 항체인 IgE의 농도도 대조군에 비해 16% 낮추어주어 항아토피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수목추출물은 항여드름효과 및 항아토피 효과가 뛰어나서 화장품 혹은 피부질환 치료소재로서 응용 가능성이 매우 높음을 알 수 있었다.

Anti-Biofilm Activities of Manuka Honey against Escherichia coli O157:H7

  • Kim, Su-Yeon;Kang, Seok-Seong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668-674
    • /
    • 2020
  • Manuka honey (MH) has been shown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several pathogenic bacteria. However, the inhibitory effect of MH on biofilm formation by Escherichia coli O157:H7 has not yet been examined. In this study, MH significantly reduced E. coli O157:H7 biofilm. Moreover, pre- and post-treatment with MH also significantly reduced E. coli O157:H7 biofilm. Cellular metabolic activities exhibited that the viability of E. coli O157:H7 biofilm cells was reduced in the presence of MH. Further, colony forming unit of MH-treated E. coli O157:H7 biofilm was significantly reduced by over 70%. Collectively, this study suggests the potential of anti-biofilm properties of MH which could be applied to control E. coli O157:H7.

중심부에 주입구가 존재하는 플레이트를 통한 방사성동위원소의 항균능력 측정 (Antibacterial Activity Evaluation of Radioisotope Lu-177 with a Modified Tube on Plate Core)

  • 조은하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469-471
    • /
    • 2013
  • 본 연구를 통하여 우리는 새로운 실험기구를 사용하여 방사성동위원소(Lu-177)의 항균능력을 측정하였다. 기존에 약물의 항균능력을 측정하는데 사용되었던 디스크법은 배지로의 약물 확산에 의해서 항균능력을 측정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방사성동위원소에 적용하기는 적합하지 않아 새로운 실험 방법이 요구된다. 방사성동위원소의 항균능력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배지로의 약물 확산을 막고 한점에 머무르게 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우리는 새로운 실험도구를 이용하여 Lu-177의 방사능량이 증가할수록 항균능력이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실험방법을 통해 다른 방사성동위원소의 항균능력도 쉽게 측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