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terior mandibular movement

검색결과 112건 처리시간 0.025초

성장기 환자에서 하악의 차등적 소구치 발치 (MANDIBULAR DIFFERENTIAL PREMOLAR EXTRACTI0N IN GROWING PATIENTS)

  • 김도훈;성상진;문윤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13
    • /
    • 2001
  • 성장기 환자에서 치아의 배열이나 입술의 외형을 개선하거나 경미한 악골 부조화에 의한 부정교합을 절충(camouflage)하기 위하여 발치가 적용될 수 있는데, 하악 치열궁에 총생의 양이 미약하거나 전치부 분절을 과도하게 후방견인 시킬 필요가 없는 경우 하악 제 2소구치 발치를 계획할 수 있다. 그러나, 성장기 환자에서 이러한 제 2소구치 발치의 기준과 치료에 의한 상, 하악 치아의 이동양상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상, 하악 소구치 발치를 통한 포괄적 교정치료를 시행한 성장기 환자를 대상으로 상악 제 1소구치와 하악 제 1 소구치를 발치한 군(4/4발치군, 14명)과 상악 제 1 소구치, 하악 제 2 소구치를 발치한 군(4/5발치군, 15명)의 치료 전, 후의 측모두부규격방사선사진을 비교하여 하악 제 2소구치 발치의 적응증에 대한 진단기준을 평가하고, 안정골 구조물을 참고한 중첩법을 이용하여 치아이동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4/4발치군과 4/5발치군은 치료 전 계측치에서 교합평면에 대한 상악전치의 치축각도, 구치부 교합관계, IMPA 그리고 interincisal angle에서 차이를 나타내었다. 2. 하악 제 1 대구치의 전방 이동량은 4/5 발치군에서 더 전방이동 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p<0.05). 3. 치료 전, 후의 상악 치아의 이동양상은 4/4 발치군과 4/5 발치군 사이에 차이가 없었다(p<0.05).

  • PDF

저작운동시 전측두근과 교근의 근활성 및 활성시기에 관한 연구 (Electromyographic Activity, Firing Time and Sequence of the Anterior Temporalis and the Masseter on Chewing Stroke)

  • 허문일;한경수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24권4호
    • /
    • pp.421-437
    • /
    • 1999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lectromyographic(EMG) activity, firing time and sequence of the mandibular elevator muscle on gum chewing. For this study, 28 patients with temporomandibular disorders(TMD), especially internal derangement of TM joint, and 16 dental students without any signs and symptoms in the masticatory system were selected as the patients group and as the normal group, respectively. The patients group was composed of 14 right and 14 left side affected patients. For recording of EMG activity(${\mu}V$) of the anterior temporalis(TA) and the masseter muscle(MM), and measuring of firing time(millisecond) from the start of mandibular opening movement to the firing of the muscles, BioEMG, BioEGN, and Combo program integrated in the Biopak system(Bioresearch Inc., Milwaukee, USA) were used. Gum chewing stroke was performed in both right and left side for several times, and the first and the second chewing strokes were analysed and compared with regard to EMG activity, firing time, firing sequence, correlation between EMG activity and firing time. The data obtained were analysed by SPSS windows program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In the patients group, chewing on the affected side showed higher EMG activities in the masseter of the side than those of the contralateral side, but chewing on the unaffected side showed higher EMG activity in the masseter and in the anterior temporalis of the side than those of the contralateral side. 2. There were no difference of firing time between both sides on chewing on the affected side, but firing time in the chewing side were earlier than that of contralateral side on chewing on the unaffected side in patients group. 3. In the normal group, EMG activities in the masseter and in the anterior temporalis in the chewing side were always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alateral side, and there were no difference of firing time between the two sides. 4. In general, firing sequence of four muscles of both sides were ipsilateral TA, ipsilateral MM, contralateral TA, and contralateral MM in earlier order of time in both groups.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EMG activity and firing time were negative value, and more significant correlation were appeared in the normal group than in the patients group.

  • PDF

자연치열에 설치한 pivot의 전후방 일치변화에 따른 하악의 moment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ANDIBULAR MOMENTS ACCORDING TO ANTERO-POSTERIOR PLACEMENT OF PIVOT ON LOWER NATURAL DENTITION)

  • 이현식;박남수;최대균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394-410
    • /
    • 1993
  • This study was accomplished for appreciation of the mandibular moments according to antero- posterior movement of pivot placed on the lower natural dentition. For this study, 20 subjects(male, $21\sim30$ yrs., average age 24) in the category of normal occlusion were selected, and the intraoral Vitallium clutches were cast and fabricated for each subjects. A 2-dimension PSD(Position Sensitive Detector, Hamamatsu Photonics Co., Japan) was attached to maxillary clutch in a mode of three dimensional control and LED (Light Emit Diode, Hamamatsu Photonics Co., Japan) was set up on mandibular clutch. Both clutches were set into oral cavity of each subjects and adjusted. Then the subjects were allowed to intercuspated with maximal bite force while the pivoting ball in the mid-line moving from anterior toward posterior position. The displacement scales were recorded by CCD camera(Sony, CCD-TR-705) and VCR, The conclusions were as follows : 1. When the subject was allowed to bite the metal pivoting ball in the midline of lower dentition with maximal bite force voluntarily while moving from lower central incisor to canine, 1st premolar, End premolar, 1st molar and 2nd molar. The lever actions on the pivot were revealed in all subjects. The equilibrium of moment were revealed on the pivots of 1st premolar(14 subjects), End premolar(4 subjects), and canine(2 subjects) areas. 2. The changes of loading on the TMJ according to antero-posterior positional changes of metal pivoting ball were able to recognize as follow. Compression on the TMJ was increased when the pivot moves anteriorly from the equilibrium point, and tension on the TMJ was increased when posteriorly. 3. 13 subjects were recognized their habitual chewing sides(Rights, Left8), and 7 subjects were not. During maximal biting, mandible was displaced toward their habitual chewing sides on the metal pivoting ball in the frontal plane. 4. In cephalometric analysis, the average genial angle of 20 subjects was $116.75^{\circ}$ and the average mandibular body length was 79.77mm. The equilibrium points of mandibular moment were positioned more posteriorly in the subjects having larger Genial angle than in the smaller(p<0.05). Relationships among the angle between FH plane and occlusal plane, the angle between occlusal plane and mandibular plane , and mandibular body length were not significant(p>0.05).

  • PDF

En-masse retraction with a preformed nickel-titanium and stainless steel archwire assembly and temporary skeletal anchorage devices without posterior bonding

  • Jee, Jeong-Hyun;Ahn, Hyo-Won;Seo, Kyung-Won;Kim, Seong-Hun;Kook, Yoon-Ah;Chung, Kyu-Rhim;Nelson, Gerald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4권5호
    • /
    • pp.236-245
    • /
    • 2014
  • Objective: To evaluate the therapeutic effects of a preformed assembly of nickel-titanium (NiTi) and stainless steel (SS) archwires (preformed C-wire) combined with temporary skeletal anchorage devices (TSADs) as the sole source of anchorage and to compare these effects with those of a SS version of C-wire (conventional C-wire) for en-masse retraction. Methods: Thirty-one adult female patients with skeletal Class I or II dentoalveolar protrusion, mild-to-moderate anterior crowding (3.0-6.0 mm), and stable Class I posterior occlusion were divided into conventional (n = 15) and preformed (n = 16) C-wire groups. All subjects underwent first premolar extractions and en-masse retraction with preadjusted edgewise anterior brackets, the assigned C-wire, and maxillary C-tubes or C-implants; bonded mesh-tube appliances were used in the mandibular dentition. Differences in pretreatment and post-retraction measurements of skeletal, dental, and soft-tissue cephalometric variable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Results: Both groups showed full retraction of the maxillary anterior teeth by controlled tipping and space closure without altered posterior occlusion. However, the preformed C-wire group had a shorter retraction period (by 3.2 months). Furthermore, the maxillary molars in this group showed no significant mesialization, mesial tipping, or extrusion; some mesialization and mesial tipping occurred in the conventional C-wire group. Conclusions: Preformed C-wires combined with maxillary TSADs enable simultaneous leveling and space closure from the beginning of the treatment without maxillary posterior bonding. This allows for faster treatment of dentoalveolar protrusion without unwanted side effects, when compared with conventional C-wire, evidencing its clinical expediency.

Force changes associated with differential activation of en-masse retraction and/or intrusion with clear aligners

  • Zhu, Ye;Hu, Wei;Li, Shuo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32-42
    • /
    • 2021
  • Objective: To investigate the three-dimensional forces created by clear aligners on mandibular teeth during differential activation with en-masse retraction and/or intrusion in vitro. Methods: Six sets of clear aligners were designed for differential en-masse retraction and/or intrusion procedures in a first premolar extraction model. Group A0 was a control group with no activation. Groups A1-5 underwent different degrees of retractions and/or intrusions. Each group consisted of 10 aligners. Aligner forces were measured on a multi-axis force/torque transducer measurement system in real-time. Results: In the en-masse retraction groups (A1 and A2), lingual and extrusive forces were observed on the incisors; the canines mainly received distal forces; intrusive forces were seen on the second premolars; and the molars received mesial forces. In the en-masse retraction and intrusion groups (A3, A4, and A5), incisors also received lingual and extrusive forces; canines received distal and intrusive forces; mesial and extrusive forces were seen on the second premolars; and the second molars received distal and intrusive forces. The vertical forces on the incisors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among groups A1, A3, and A5. However, the vertical forces on the second premolars reversed from intrusion in group A1 to extrusion in groups A3 and A5. Conclusions: With clear aligners, the "bowing effect" is seen during en-masse anterior teeth retraction and can be partially relieved by performing en-masse retraction accompanied by anterior teeth intrusion. Vertical control of incisors remained unsolved during en-masse retraction, even when intrusive activation was added to the anterior teeth.

II급 부정교합의 치료와 유지시 골격치성요소의 변화 (Skeletodental changes during treatment and retention in Class II division 1 malocclusion)

  • 김상철;김선영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687-698
    • /
    • 2000
  • 일반적이고 포괄적인 Edgewise방법으로 치료하고 유지시킨 II급 부정교합의 골격 및 치성요소의 변화를 치료 전, 후 및 유지시의 측모두부방사선사진을 비교하여 알아봄으로써 성인 II급 부정교합의 치료 양식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비발치로 치료한 II급 부정교합자 22명과 상하악 제1소구치 발치로 치료한 20명을 대상으로 치료 전, 후의 측모두부방사선사진을 비교하였으며, 발치치료군 4명과 비발치치료군 4명의 유지시 측모두부방사선사진을 채득하여 유지시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두개저 및 상,하악 기저골에 기준으로 서로 중첩시켜 골격양상의 변화 및 치아의 경사도와 수직적, 수평적 변화양상을 관찰하여 평가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발치군과 비발치군 모두에서 전,후방 안면고경과 하안면고경 등의 수직고경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교합평면의 유의한 경사를 보였다. 2. 비발치군에서 상악 중절치는 치료에 따른 후방견인과 정출을 보였으나 유지기간 동안 약간 순측경사 되었다. 상악 구치부는 수직적인 정출을, 하악 구치부는 원심경사를 보였으나, 근심이동은 보이지 않았다. 유지 기간 동안 상하악 구치는 약간의 근심경사를 보였다. 3. 발치군에서 상하악 중절치 모두 치료에 따른 후방견인과 정출을 보였으나 유지기간 동안 약간 순측경사되었다. 상악 구치부는 수직적인 정출과 동시에 유의한 근심이동을 보였으며, 하악 구치부는 원심경사와 수직적인 정출 및 근심이동을 보였으나 유지기간 동안 약간의 근심경사만을 보였다.

  • PDF

기능성 반대교합을 가진 초기 혼합치열기 어린이에서 FR III를 단기간 장착했을 때의 효과 (SHORT-TERM EFFECTS OF THE FUNCTIONAL REGULATOR III APPLIED TO ANTERIOR CROSSBITE PATIENTS IN EARLY MIXED DENTITION)

  • 우세은;남순현;김영진;김현정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293-300
    • /
    • 2012
  • 기능성 전치부 반대교합을 가진 성장기 환자의 경우, 조기에 원인을 제거함으로써 골격성으로 이행하는 것을 방지하고 성장 조절로 악골 관계를 개선함으로써 정상적인 기능과 안모를 유도할 수 있다. 1966년 R$\ddot{o}$lf Fr$\ddot{a}$nkel에 의해 소개된 Functional regulator(FR)의 한 종류인 FR III는 기능성 전치부 반대교합 및 상악의 열성장을 동반한 반대교합을 치료하기 위해 유치열기, 혼합치열기 초기, 및 영구치열기에 사용되고 있다. 이 장치는 비정상적인 근육력을 차단하여 구강 내 치열 및 악골에 대한 힘의 불균형 상태를 개선하여 정상적인 성장 발육을 할 수 있게 하는 악정형 장치이다. 이번 증례에서는 초기 혼합치열기에서 기능성 반대교합을 가진 환자의 임상 케이스를 선별하여 FR III 장치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양호한 결과를 얻었다. 1. 초기 혼합치열기 환아에서 FR III 장치를 5~6개월 정도 단기간 장착하여 전치부 반대교합을 치료하였으며, 협측 차폐판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상악의 횡적인 악골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2. 상, 하악 전치의 치성 변화와 하악의 후하방 회전의 효과를 통해 정상적인 치열관계의 회복과 심미적인 안모를 얻을 수 있었다.

성장기 아동에서 Cervical Headgear사용시 골격적 변화 양상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PATTERN OF SKELETAL CHANCE FOLLOWING CERVICAL HEADGEAR THERAPY IN GROWING CHILDREN)

  • 현하영;이진우;차경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523-534
    • /
    • 1996
  • 성장기 아동의 ClassII 부정교합에서 과도한 성장의 억제, 미약한 성장의 촉진으로 성장 시기에 적절히 치료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며 좋은 치료 방법이다. 이러한 방법중 가장 적절히 쓰이는 장치 중 Cervical headgear의 사용을 들수 있으며 악골에 효과적으로 적용된다. 그러나 장치의 부작용이라 할 수 있는 수직적 성장의 과잉을 볼 수 있는데 이에 대해 많은 선학들의 연구가 시행되어 왔다. 본 연구는 Cervial headgear의 상하악골에 대한 효과를 분석하고 Lover facial height를 기준으로 증가군(>0)과 증가하지 않은 군 (${\leq}0$)으로 나누어 골격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단국대학교 부속 치과병원에 내원한 성장기 아동의 II급 부정교합환자 25명을 대상으로 cervical headgear를 사용한 결과 다음과 같이 다소의 지 견을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1. 상악골의 전방 성분이 억제되었고, 구개 평면의 전방이 하방으로 tipping되었으며 상악 제 1대구치의 후방 이동이 있었다. 2. 하악골의 두개저에 대한 상대적인 전방 이동이 있었으며 상악에 대한 하악 제 1대구치의 상대적인 전방 이동이있었고 하악골의 alveolar growth에 의한 수직적인 증가가 있었다. 3. 전안면 고경과 후안면 고경이 각기 유의하게 증가했으나 안면 고경 비율에는 유의성이 없었다. 4. Lower facial height가 증가한 group이 증가하지 않은 group보다 ramus의 길이가 짧고 palatal plane angle이 더 작았으며 상악 제 1대구치의 후방 이동량이 더 많았다

  • PDF

비골이식을 받은 하악골절제술 환자에서 스캔중첩법을 이용한 기능적 고정성 보철물 제작: 증례 보고 (Fabrication of functionally customized fixed prosthesis in a hemimandibulectomy patient with fibular graft using double scan technique: A case report)

  • 타우 타우 윈;이두형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60권2호
    • /
    • pp.195-201
    • /
    • 2022
  • 편평세포암으로 하악골 절제술과 비골 피판 이식을 받은 경우 하악의 기능적 움직임이 저해될 수 있다. 하악골이 절제된 측은 근육부착의 소실로 인해 근기능이 약화되어 중심교합 및 편심교합에서 불안정한 교합접촉을 초래한다. 본 증례는 하악골절제술과 비골이식 재건술을 받은 63세 남성에서 전치부의 상실된 치아를 수복하기 위해 고정성 보철물이 필요했던 경우이다. 중심 및 편심교합에서 교합력의 크기에 따라 교합접촉 양상의 변화가 관찰되었다. Functionally generated path 기법과 디지털 영상기술을 적용하여 환자의 하악운동과 조화되고 적절한 수직고경이 있는 기능적으로 최적화된 고정성 보철물을 제작할 수 있었기에 보고하고자 한다.

심미치의학 영역에서 동적 교합을 나타내는 가상 환자의 형성을 통한 전치부 보철 수복 증례 (Creation of the dental virtual patients with dynamic occlusion and its application in esthetic dentistry)

  • 안세준;신수연;최유성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60권2호
    • /
    • pp.222-230
    • /
    • 2022
  • 디지털 기술은 점차 그 영역을 넓혀 치의학의 여러 분야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최근 디지털 치의학에서는 다양한 삼차원적(3D) 이미지 데이터를 하나로 중첩시켜 진단 및 보철물 제작에 활용하는 것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안면 스캔, 구내 스캔, 하악 운동 기록(mandibular movement recording) 등의 데이터를 통합하면 가상 환자 모델을 구성할 수 있다. 가상 환자(Virtual patient)란 구내 및 구외 연조직, 잔존 치열, 동적 교합 등 디지털 3D 진단 데이터를 통합하여 형성되며 이를 통해 보철 치료의 결과 등을 가상으로 시뮬레이션을 시행할 수 있다. 본 증례에서의 환자는 37세 여성 및 55세 여성 환자로 각각 기존 보철물의 외형이 틀어진 것 같다는 주소와 근관치료 후 전치부 보철물의 재제작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각 환자에서 3D 안면 스캔을 채득하였으며, ARCUS Digma 2 (KaVo Dental GmbH, Biberach an der Riss, Germany)를 통해 환자의 하악 운동을 기록하였다. 수집한 데이터를 computer-aided design (CAD) 소프트웨어(Exocad dental CAD; exocad GmbH, Darmstadt, Germany) 상에서 하나로 통합하여 가상 교합기에 옮겨 디지털 가상 환자를 형성하였다. 이를 통해 임시 고정성 보철물을 디자인하고 수복하여 평가하였으며, 최종수복물로 옮겨 심미적, 기능적으로 만족할 만한 결과를 보였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