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terior dentition

검색결과 283건 처리시간 0.172초

정상교합인의 두부위치변화에 따른 교합접촉점의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F OCCLUSAL CONTACT VARIATON DUE TO CHANGE IN EACH HEAD POSITION IN NORMAL OCCLUSION)

  • 최희철;이성복;최대균;박남수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769-779
    • /
    • 1995
  • The understanding the nature of occlusal tooth contacts of natural dentition is important for correct diagnosis and treatment of diseases developed in stomatognatic system. Several investigator have studied the distribution of tooth contacts in maximum intercuspation and have repored contact locations with respect to the tooth position. However, there are few report the variation of the occlusal contact point with change in each head position. This study analysed the number of occlusal contact point with change in each head position. 30 subject(male 17, female 13), who ahad natural occlusion and no symptoms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 were selected. The numbers and patterns of tooth contact were recorded by silicone bite registration on stone model at four different head positions with head anguration gauge(from the supine to the upright position).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 1. The numbers of total occlusal contact point on teeth increased to average 25, 29, 35, 42 points as head angulation was changed from the supine to the upright position against the ala-tragus line, a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P<0.05). 2. In the 19 subject(65%)of total 30 subject, the perforated point of the silicone bite indicated that the locus for the prime contact point moved mesially as the head angulation was changed from the supine to the upright position. 3. On the basis of the fact that the anterior occlusal contact point increase as head angulation changed from the supine to the upright position, we could find that the mandibular position is moved anteriorly.

  • PDF

치주염환자에서 Indirect Bonding Technique를 이용한 교정치료 (Orthodontic treatment using indirect bonding technique in periodontitis)

  • 이영석;고은영;김진덕;김송욱;염창엽;김병옥;한경윤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28권1호
    • /
    • pp.177-185
    • /
    • 1998
  • 치주염환자에서는 치아의 회전이나 순측경사등으로 인한 상악 정중부 이개 등의 심미적, 기능적 문제들이 자주 수반되어 후속 적인 교정치료를 요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경우 보조적인 교정치료로도 치료가 가능한데, 안정된 후방구치에서는 교정력을 가하지 않고 고정 원으로써 작용하게 하고 해당 치아만을 이동시켜야만 한다. 그러나 성인교정에서는 제한점들이 많기 때문에 비교정전문의에게는 섣불리 교정치료를 하기가 어렵다. 더구나 정확히 브라켓을 장착하는 것이 중요한데 간단한 문제는 아니다. Silverman등이 indirect bonding technique을 소개하면서 이런 문제점들을 해결하는데 도움을 주게 되었다. 그후 여러 사람 들에서 다양한 방법들이 소개되었지만 기본적인 원리는 구강 외에서 이상적인 위치에 브라켓을 위치시키고 tray를 이용해서 구강내 치아면에 재현하는 방법이다. 이런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molar uprighting, forced eruption, 악교정술시 surgical arch wire 장착, 설측교정술 등에도 쉽게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비교정전문의들도 보다 쉽고, 정확하게 브라켓을 위치시킬 수 있는 indirect bonding technique를 이용한다면 보조적인 교정치료 뿐만 아니라 포괄적인 교정치료도 가능하리라 사료된다.

  • PDF

전위 매복된 상악 측절치와 상악 견치의 치험례 (TREATMENT OF TRANSPOSED AND IMPACTED MAXILLARY ANTERIOR REGION : A CASE REPORT)

  • 이기영;최형준;손흥규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630-635
    • /
    • 1999
  • 치아의 전위는 매우 드문 치아 기형의 하나로서 발생 또는 맹출중 인접한 2개의 영구치의 위치가 서로 바뀐것을 말한다. 전위는 상악과 하악 모두에서 발생 가능한데 그중에서 상악에서의 발생이 더 흔하며 상악견치는 가장 호발하는 치아이다. 상악에서는 상악 견치와 제 1 소구치와의 전위가 가장 빈도가 높고 그 다음으로 상악 견치와 측절치와의 전위가 많다. 전위는 완전 전위와 불완전 전위로 나눌수 있는데 완전 전위는 치관뿐 아니라 치근의 위치까지 전위된 경우를 말하고 불완전 전위는 치근의 위치는 정상이고 치관만 전위된 경우이다. 전위의 원인에 대하여 명확하게 밝혀진 것은 없으나 유치의 만기잔존이나 조기상실, 발생중의 전위나 정상 맹출 경로로부터의 이탈, 유치열시기의 안면외상 등이 제기되고 있고 이밖에 과잉치, odontoma 또는 odontogenic cyst, 염증성 병소 등을 그 원인으로 생각해 볼 수 있다. 본 증례는 유치열시기의 안면외상으로 인하여 상악 영구 견치와 측절치의 전위가 발생한 경우로서 치료후 전위된 위치로의 양호한 배열을 이루었다.

  • PDF

유전치 치근단 병소에 의한 계승 영구치배의 변위 (CASE REPORT : THE DISPLACEMENT OF PERMANENT TOOTH BUDS BY PERIAPICAL LESIONS OF ANTERIOR PRIMARY TEETH)

  • 최선아;이난영;이상호;이창섭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224-228
    • /
    • 2005
  • 유치의 치수 감염을 적절히 치료하지 않으면 영구 계승치의 저형성이나 저석회화 같은 법랑질 형성부전, 치배의 위치변화, 맹출 부진이나 맹출 정지 같은 많은 합병증을 초래할 수 있다. 이 중에서도 계승 영구치배의 위치변화는 선행 유치의 변성된 치수로 인한 위치변화가 가장 많다. 본 증례는 조선대학교 치과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한 환아 중 유전치의 치근단 병소로 인해 계승영구전치 치배의 위치변화가 초래된 것으로 사료되어 유치 치료의 중요성을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Porcelain laminate veneer의 수복 (Porcelain Laminate Veneer Restoration)

  • 신수연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8권2호
    • /
    • pp.191-200
    • /
    • 2012
  • 도재 라미네이트 비니어(Porcelain laminate veneer, PLV)는 아주 얇은 도재를 치면에 직접 적용시키는 술식으로 전치부 심미 개선을 목적으로 전부피개관 대신에 보존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PLV의 성공을 높이기 위해 치질 삭제량을 적절히 조절하는 것은 어려울 뿐만 아니라, 각 치아마다 법랑질 두께가 다양하고 증령에 따라 치관구조 역시 변화하기 때문에 치아 삭제시 주의가 필요하다. 즉 치아 순면을 따라 일관되게 삭제하는 기존의 방법을 이용할 경우 법랑질이 얇아진 부위에서는 상아질이 노출될 위험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다양한 치아 삭제 방법들이 소개되고 있는데 진단 납형제작을 통한 실리콘 인덱스와 아크릴릭 레진 mock-up을 이용한 방법은 최종적인 수복물의 형태에 기초하여 치아를 삭제할 수 있어 불필요한 법랑질 삭제를 줄이고 상아질 노출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비정상적으로 배열된 치아 삭제시에도 적절한 삭제량 결정이 어려워 삭제량이 과도해지거나 부족해지기 쉬운데, 최종 보철물의 형태를 기준으로 실리콘 인덱스를 제작하면 이를 방지할 수 있다.

한국산 바다뱀과 어류 1미기록종 Muraenichthys gymnopterus (Anguilliformes: Ophichthidae: Myrophinae) (New Record of a Worm Eel Muraenichthys gymnopterus (Anguilliformes: Ophichthidae: Myrophinae) from Korea)

  • 김병기;정충훈;한경남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318-323
    • /
    • 2008
  • 인천 연안에서 뱀장어목 바다뱀과 어류 1개체(전장 254.6 mm)가 채집되었다. 한국에서는 미기록 종인 Muraenichthys gymnopterus로 동정되었고, 본종이 포함되는 속(Muraenichthys), 아과(Myrophinae) 역시 한국 미기록으로 확인되었다. 본 종은 아가미구멍이 수축되었고, 체측면의 중앙에 열려있으며, 등지느러미 기부는 항문보다 전방에 위치하고, 아가미구멍보다는 항문에 더 가깝다. 모든 이빨은 끝이 뭉툭하며, 하악치는 띠를 형성하고, 상악치, 하악치, 서골치의 치열은 다열형이다. 세번째 preopercular pore (전새개골공)가 있으며, 전비공과 후 비공 사이에 하나의 infraorbital pore (안하골공)가 있다. 체색은 갈색을 띠고, 아가미구멍에서의 체고에 대한 전장은 43.2배, 체폭에 대하여는 33.7~65.3배, 두장은 눈 지름의 15.0~31.0배이다. 척추골수는 154~161개이다. Subfamily Myrophinae는 "갯물뱀아과", genus Muraenichthys는 "갯물뱀속", M. gymnpopterus는 "갯물뱀"으로 각각 국명을 신칭한다.

안골격형과 교합과의 상호관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RELATONS BETWEEN FACIAL SKELETAL PATTERNS AND DENTAL OCCLUSION)

  • 장영일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21-26
    • /
    • 1982
  •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document relations between facial skeletal pattern and dental occlusion. The data in .this study were collected from pretreatment cephalometric radiographs and study models of patients' records present in the files of Orthodontic Department,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Patients were selected on the basis of a mandibular plane-sella nasion angle equal to or greater than $38^{\circ}$ (high SN-MP angle) or equal to or less than $26^{\circ}$ (low SN-MP angle). Patients in the mixed dentition and with missing permanent teeth were excluded for ease of assessing tooth size / arch circumference relationships and then 30 high SN-MP and 11 low SN-MP patients were selected among them. The mean age of these two groups of patients was high SN-MP, $12.8{\pm}1.23$ years and low SN-MP, $13.0{\pm}1.48$ year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1. In the maxilla and mandible the mean tooth size of high SN-MP patients was nearlly identical to the low SN-MP patients. 2. The mean maxillary arch circumference was increased in low SN-MP group compared with high SN-MP group and a smilar, but smaller, mean increase was present in mandible. 3. The difference between the mean maxillary circumference required and the mean maillary circumference present ranged from -4.8mm in the high SN-MP group to -1.3mm in the low SN-MP group. A small range of means occurred in the mandible (high SN-MP: -4.0mm to low SN-MP: -1.8mm). 4. In the maxilla and mandible the mean arch length was nearly identical in the high and low SN-MP groups. 5. The mean incisor inclination was increased as the SN-MP angle decreased in the maxilla and mandible. 6. The men distance of the maxillary first molar from anterior border of the pterygomaxillary fissure was nearly similar between high and low groups. 7. The mean mandibular intermolar width was increased from high SN-MP to low SN-MP patients.

  • PDF

T-Scan System을 이용한 성인 정상교합자의 교두감합위에서 교합안정에 관한 연구 (THE BALANCE OF OCCLUSAL CONTATS IN NORMAL OCCLUSION DURING INTERCUSPAL POSITION ON T-SCAN SYSTEM)

  • 방원동;우이형;최부병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23-37
    • /
    • 1991
  • The understanding the natureof occlusal tooth contacts of natural dentition is important for correct diagnosis and treatment of diseases developed in stomatognatic system. Several investigator have studied the distribution of tooth contacts in maximum intercuspation and have reported contact locations with respect to the tooth position. Many methods have been clinically applied for the occlusal analysis in the intercuspal position. However, there are few quantative methods. This study analyzed the new software version of the T-Scan system to record and analyze occlusal contact balance in the anterior-posterior and right-left directions. Six time moment statistics and five moment statistics were calculated in the midsagittal and the incisal axes of the occlusal plane. In the present study, informed consent was obtained from 100 subjects with natural dentition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mean of the dental arch length & width were 48.78, 65.32mm in whole population, 49.09mm, 65.50mm in males, 48.78mm, 64.63mm in females, respectively. 2. The mean of TLR & PLR were 0.193mm(left), 0.311mm(left), respectively. Therefore, the distribution of tooth contacts was bilaterally symmetric. 3. The mean of TFB & PFB were 29.168mm, 29.055mm, and that of LFB & RFB were 29.627mm, 29.587mm, respectively, and the qualitative center of occlusal contacts was the firtst molar. 4. The mean of LL & RL were 31.666mm, 31.377mm, respectively, and the quantitative center of occlusal force was the first molar. 5. The mean of LF & RF were 60.237N, 59.276N, respectively and Left-right moment was 72.491Nmm. Therfore, the distribution of occlusal force was bilaterally balanced.

  • PDF

과도한 치아 마모를 보이는 환자에서 수직고경 증가를 동반한 전악 수복 증례 (Full mouth rehabilitation with vertical dimension increase in patient with severely worn out dentition: A case report)

  • 김대성;정창모;윤미정;허중보;이현종;이소현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9권2호
    • /
    • pp.210-219
    • /
    • 2021
  • 치아의 과도한 마모는 저작 효율 감소, 교합평면 붕괴 및 안모 변화를 일으킬 수 있다. 수직고경 변화를 동반한 전악 수복의 경우 측두하악관절, 저작근 및 치아의 동통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정밀한 진단과 치료 계획이 요구된다. 본 증례는 69세 남성으로 구치부 지지가 상실된 상태로 과도한 치아 마모 증상을 보이는 상태였다. 가철성 교합안정장치 및 임시보철물로 증가된 수직고경의 적응 정도를 평가하였고, 임플란트를 동반한 지르코니아 고정성 보철물을 이용하여 최종 보철 수복을 진행하였다. 안정적인 전방유도 설정, 적절한 구치부의 이개, 중심위에서 균등한 치아 접촉을 부여하여 기능 및 심미적으로 만족스러운 치료 결과를 보였기에 보고하고자 한다.

심한 부식 환자의 디지털 치관연장술 가이드를 이용한 전악 수복 증례 (Full mouth rehabilitation of a patient with severe tooth erosion with a digital crown lengthening guide)

  • 박윤재;홍성진;백장현;배아란;김형섭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7권3호
    • /
    • pp.280-287
    • /
    • 2019
  • 구강이라는 특수한 환경 속에서 치아는 평생을 거쳐 마모, 부식 등을 겪게 된다. 점진적이며 일정한 치아의 마모는 노화의 자연스러운 현상이나, 특정 요소에 의한 마모나 부식 등은 병적인 요소이며 교합면의 병리적 손상과 이에 따른 교합 부조화, 심미적 문제, 턱관절 장애 등을 야기할 수 있다. 본 증례는 26세의 젊은 여성 환자로 전반적인 치아의 마모와 부식이 동반된 상태였다. 디지털 안모 분석, 생리적 안정위, 전치부 치관 길이 평가 등을 통해 진단 납형을 제작하였다. 디지털 분석을 통해 치관연장술에 필요한 가이드를 제작하여 수술을 진행하였고 임시 보철물을 통하여 저작 기능 및 심미성을 회복하였다. 지르코니아 최종 보철로 수복하여 심미적, 기능적으로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었으므로 이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