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gle of arrival

검색결과 198건 처리시간 0.022초

평균방법에 근거한 DOA와 지연시간추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OA and Delay Time Presumption based on Average Method)

  • 이관형;송우영
    •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1-12
    • /
    • 2004
  • This paper estimated the arrival angle and electric wave delay time using the space method law and the directions of arrival (DOA) estimation algorithm in case of signal correlation. Space method law is the method used to repress cross correlation before applying the weight value to the receiving signal. The values of the diagonal elements in the correlation matrix were averaged to replace as the diagonal elements value. In the area of wireless communication or mobile communication, there are high correlations in case of low delay time difference in multiple waves. This causes the quality of the communication to drop due to interference with the desired signal elements. This paper estimated the arrival angle and electric wave delay time using the space method law and the MUSIC algorithm. With the arrival angle algorithm, the arrival angle cannot be estimated below 5 in case of signal correlations because the angle resolution capacity decreases accordingly. The super resolution capacity was estimated to determine the arrival angle below 5 in this paper. In addition, the proposed algorithm estimated the short delay time difference to be below 20ns.

  • PDF

ML-Based Angle-of-arrival Estimation of a Parametric Source

  • Lee, Yong-Up;Kim, Jong-Dae;Park, Joong-Hoo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제20권3E호
    • /
    • pp.25-30
    • /
    • 2001
  • In angle of arrival estimation, the direction of a signal is usually assumed to be a point. If the direction of a signal is distributed due to some reasons in real surroundings, however, angle of arrival estimation techniques based on the point source assumption may result in poor performance. In this paper, we consider angle of arrival estimation when the signal sources are distributed. A parametric source model is proposed, and the estimation techniques based on the well-known maximum likelihood technique is considered under the model. In addition, Various statistical properties of the estimation errors were obtained.

  • PDF

청취자 거리정보가 필요 없는 도달각 기반 실내 위치 추정기법 (An Indoor Positioning Algorithm Based on 3 Points Near Field Angle-of-Arrival Estimation without Side Information)

  • 김영문;유승수;김선용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5권11C호
    • /
    • pp.957-964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근접장 (near field) 실내측위환경에 적합한 도움정보가 필요 없는 도달각 기반 위치추정기법을 제안한다. 기존 도달각 기반 실내 위치추정기법은 청취자와 마이크 사이의 거리정보를 청취자와 마이크사이의 수신신호세기로 추정하고 이와 측정된 신호의 도달시간차를 이용해 위치를 추정한다. 하지만 수신선호세기는 실내구조 및 가구배치나 신호의 특성에 따라 많은 영향을 받으며, 이는 도달각 추정에 큰 오차를 야기한다. 본 논문에서는 청취자 거리정보 없이 위치를 알고 있는 3개 이상의 마이크에서 수신한 신호의 도달지연시간차이에 기반한 도달각 기반 위치추정기법을 제안하고, 그 성능을 근평균제곱오차의 누적분포함수로 보인다.

Short-range Visible Light Positioning Based on Angle of Arrival for Smart Indoor Service

  • Lee, Yong Up;Park, Seop Hyeong
    • Journal of Electrical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13권3호
    • /
    • pp.1363-1370
    • /
    • 2018
  • In visible light (VL) positioning based on angle of arrival (AOA) estimation for smart indoor service, the AOA parameters obtained at the receiver has sometimes a random and distributed angle form instead of a point angle form due to the multipath transfer of the actual visible light and short positioning distance. The AOA estimation of a VL signal with a random and parametric distributed angle form may give incorrect AOA parameter estimates, which may result in poor VL positioning performance. In this paper, we classify the AOA parameters of the received VL signal into three forms according to the actual positioning channel environment and consider the short-range VL positioning method. We propose a subspace-based AOA parameter estimation technique and a data fusion method, and analyzed the proposed method by simulation and the measurement of the real VL channel characteristics.

선형마이크로폰 어레이를 이용한 저격수 거리추정 개선방법과 실험 분석 (Improvement Method and Experiment Analysis of Sniper Distance Estimation Using Linear Microphone Array)

  • 정승우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447-455
    • /
    • 2018
  • If a hidden enemy is shooting, there is a threat against soldiers in recent conflicts. This paper aims to improve the localization of a muzzle using microphone array. Gunshot noise can provide information about the location of muzzle with two signals, the muzzle blast from the gun barrel and the projectile sound from the bullet. Two signals arrive to the microphone array with different arrival time and angle. If the arrival angles of the two signals are estimated, distance between sniper location and the microphone array can be calculated by using geometric principles. This method was established in 2003 by Pare. But this method has a limitation that it cannot calculate the distance when the arrival angles of the two signals are same. Also it has an error when the angle difference of arrival is small. In order to overcome this limitation, a new method is proposed that uses the change of characteristic of the projectile sound with respect to vertical distance from the trajectory. The proposed method estimates the distance correctly when the arrival angle of two signals are same, and when the angle difference between two signals is increased, the estimation error increases with respect to the angle. Therefore these two methods can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angle difference between two signals to estimate the distance of the muzzle. Below the threshold of the angle difference, the proposed method can be used to estimate distance with smaller error than the existing method. This was demonstrated by shooting tests using actual sniper rifles.

각도 및 거리 유효성 검사를 적용한 블루투스 도래각 기반의 측위 방식 (Bluetooth AoA based Positioning Scheme using Angle and Distance Validation Test)

  • 송경희;백정훈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6권6호
    • /
    • pp.790-798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도래각을 활용한 블루투스 기반의 측위방식에 각도 및 거리 유효성 검사를 추가하여 측위의 정확도를 개선하는 방식을 제안한다. 기존의 측위방식은 비 가시거리 환경에서 유발되는 다중경로 현상 등에 의하여 측위 값에 오차가 발생하는 현상이 발생한다. 제안된 방식은 피 측위 장치의 이동속도를 고려하여 측정될 수 있는 최대 도래각과 최소 도래각을 도출한 후 측정된 도래각이 최대 도래각과 최소 도래각 범위를 초과하는지를 검사하는 각도 유효성 검사와 측정된 피 측위 장치의 위치 및 측위 장치와의 거리가 유효거리를 초과하는지 검사하는 거리 유효성 검사를 시행하여 측위의 정확성을 제고한다. 제안된 방식과 기존 방식과의 측위 성능을 분석하기 위하여 모의실험을 실시하고, 모의실험 결과를 통해 측위 오차가 증대되는 상황에서는 기존의 방식에 비하여 각도 및 거리 유효성 검사를 통해 측위 성능이 개선됨을 확인한다.

실내와 실외 무선통신 환경에서 초광대역 클러스터 신호의 도착 방향 추정 (Estimating Angle-of-Arrival of UWB Cluster signals in an Indoor-to-Outdoor Wireless Communication)

  • 이용업;서영준;최진규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1권5C호
    • /
    • pp.556-561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불규칙한 각도 퍼짐을(Random Angle Spread) 가지는 실내와 실외 무선통신환경에서의 초광대역(UWB) 클러스터 신호들의 도착 방향을(Angle-of-Arrival) 추정하기 위하여 초광대역 신호 모형을 고려한다. 기존의 UWB 방향 추정 알고리즘은 다중경로 신호와 클러스터 방향을 모두 추정하는 과정으로 복잡한데, 이를 극복하기 위해 클러스터 자체 방향만을 따로 추정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잘 알려진 다중신호분류(MUSIC)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한 추정 기술을 제안하고 제안된 추정 기술에 의하여 수신 클러스터에 대한 도착 방향 추정치가 얻어진다. 제안한 신호 모형과 추정 기술은 컴퓨터 모의실험에 의하여 증명된다.

마이크로셀 구조에서 퍼지 이론을 이용한 이동체 위치 추정 방법 (Mobile Location Estimation scheme Using Fuzzy Set Theory in Microcell Structure)

  • 이종찬;이문호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37권10호
    • /
    • pp.1-8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AOA(Angle of Arrival)와 TOA(Time of Arrival) 그리고 TDOA(Time Difference of Arrival)의 추정값을 이용한 위치 추정 기법들을 설명하고 분석하였다 이들 기법들을 다중경로 페이딩 (mutipath fading)과 shadowing을 갖는 마이크로셀 환경에 적용한다면, 빠르고 예측할 수 없는 신호 레벨 의 변화로 인하여 이동체의 위치를 정확히 추정하는 것은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신 신호 세기 (RSS: Received Signal Strength) 이외에 이동체와 기지국간의 거리, 이동체의 이동방향, 이동체의 이전위치와 같은 부정확한 다수의 파라미터를 동시에 고려하는 퍼지 다기준(multi-criteria) 의사 결정 방법을 이용하여 이동체의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이동체의 방향과 속도의 영향을 분석한다.

  • PDF

3D 위상 배열 안테나를 이용한 DoA 추정과 빔 형성시 각도 퍼짐에 의한 BER 성능 분석 (BER performance analysis by angle spreading effect in the DoA estimation and beam-forming using 3D phase array antenna)

  • 임승각;강대수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137-144
    • /
    • 2009
  • 본 논문은 GPS 신호를 기반으로하여 3D 배열 안테나를 사용한 전파의 도래각 (DoA : Direction of Arrival)을 추정한 후 빔 형성시의 재머 신호의 각도 퍼짐에의한 성능 비교에 관한 것이다. 배열 안테나를 사용하여 도래각을 추정한 후 공간 필터링에의해 도래 방향으로 빔을 형성하고, 다른 방향으로는 널링시킴으로서 수신 신호의 강도와 품질을 개선할 수 있지만 이 과정에서 다중 재머 신호에의한 각도 퍼짐으로 열화되는 성능이 얻어진다. 논문에서는 열화되는 성능의 비교를 위해 5 가지의 3D 배열 안테나를 제안하였고 도래각 추정은 MUSIC 알고리즘을, 빔 형성은 LCMV 알고리즘을 이용하였다. 또한 도래되는 재머 신호의 방위각과 앙각을 변화시키면서 BPSK 모뎀을 적용할 때 비트 오율을 계산하여 성능 비교를 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 Curved (B) 7-Element 형 3D 배열 안테나가 다른 안테나보다 성능이 가장 우월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위상비교모노펄스를 이용한 근접한 두 표적 분리에 관한 연구 (Two Unresolved Target Angle Estimation in Phase Comparison Monopulse Radar)

  • 이승필;조병래;김영수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7권6호
    • /
    • pp.539-544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위상비교모노펄스에서 근접한 두 표적의 위치를 추정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제안한 방법은 Sherman의 기법을 근간으로 하기 때문에 기존 다른 기법들과 달리 단일표적상황에서도 사용할 수 있으며, 오직 단일 펄스만을 사용하여 근접한 두 표적의 위치를 추정하기 때문에 기존 Sherman이 제시한 기법의 단점도 개선할 수 있었다. 제안한 방법의 각도 추정 정확도는 시뮬레이션을 통해 증명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