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activities

검색결과 231건 처리시간 0.03초

식물생약(植物生藥)의 안지오텐신변환효소(變換酵素) 억제작용(抑制作用) 검색(檢索) (Screening of Plant Materials for the Inhibitory Activities Against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 윤혜숙;정성현;한병훈
    • 생약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51-54
    • /
    • 1981
  • Twenty-seven medicinal plants were selected on the basis of folkloric reputation for the treatment of hypertension or related deseases. Two solvent fractions were prepared from methanol extract of each plant and tested for their effects on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ACE) activities. Six solvent fractions showed more than 50% inhibition and four showed $40{\sim}50%$ inhibition at the conditions tested.

  • PDF

매생이 추출물의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및 α-glucosidase 활성 저해 효과 (Inhibitory Effects of Maesaengi (Capsosiphon fulvescens) Extracts on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and α-Glucosidase)

  • 조은경;유슬기;최영주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811-818
    • /
    • 2011
  • 해조류 매생이의 기능성을 증명하기 위하여 열수 또는 에탄올 추출하여 여러 가지 생리활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우선, 매생이 열수와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능을 조사하기 위하여 DPPH radical 소거능, SOD 유사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매생이 열수와 에탄올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낮은 증가율을 보였는데, 10 mg/ml에서 DPPH radical 소거능은 각각 10.8, 62.4%, SOD 유사활성은 각각 13.8, 27.1%로 나타났다. 항고혈압 활성 측정에서는 1 mg/ml의 매생이 열수와 에탄올 추출물이 각각 5.9, 49.7%의 활성을 보여 비교적 높은 효능이 매생이 에탄올 추출물에서 나타났다. 매생이 열수와 에탄올 추출물의 혈당 강하 효과는 ${\alpha}$-glucosidase 저해능 분석으로 측정하였는데, 1 mg/ml 농도의 매생이 열수와 에탄올 추출물은 각각 1.4, 67.3%로써 비교적 높은 효능을 매생이 에탄올 추출물에서 보였다. 매생이의 숙취해소 효능은 ADH와 ALDH 활성증진에 매생이 열수와 에탄올 추출물이 미치는 영향을 조사함으로써 증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매생이 열수와 에탄올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알콜 분해능 증가율이 낮게 나타났으며, 심지어 acetaldehyde 분해능은 관찰되지 않았다. Elastase 억제 효능 분석에서는 매생이 열수와 에탄올 추출물 10 mg/ml에서 각각 75.9, 51.2%로 나타났다.

소나무 새순 에탄올 추출물의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xanthine oxidase 및 nitrix oxide synthase 활성 (Inhibitory Effects of Ethanol Extracts from Pine Buds (Pinus densiflora) on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Xanthine Oxidase and Nitric Oxide Synthesis)

  • 조은경;송효주;조혜은;김미향;최인순;최영주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11호
    • /
    • pp.1629-1636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솔순의 기능성에 관한 연구를 위하여 에탄올 추출물로 여러 가지 생리활성과 아질산염 소거작용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우선, 솔순의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DPPH, SOD 유사활성, XO 저해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DPPH법을 통해 측정한 솔순의 항산화력은 1 mg/ml에서 88.9%의 radical 소거능을 나타내었으며, 동량의 BHA와 비교했을 때 유사한 항산화력이 측정되었다. 이것은 솔잎보다 항산화 활성이 높은 것으로 솔순의 항산화력에 관한 높은 이용가치를 의미한다. SOD 유사활성은 10 mg/ml 농도에서 47.9%로 비교적 높은 SOD 유사활성을 나타내었다.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 측정 실험에서는 1 mg/ml에서 71.9%의 높은 xanthine oxidase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다. Tyrosinase의 저해 효과는 시료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전체적인 활성은 4 mg/ml의 솔순 에탄올 추출물에서 15.2%로 나타났다. 솔순 추출물에 대한 항균력을 조사하기 위해 식중독균주인 S. aureus, E. coli, V. paraheamolyticus에 대한 성장저해 효과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E. coli와 V. paraheamolyticus에 대해 높은 항균력을 나타냈다. 항고혈압 측정실험에서는 시판되는 항고혈압제와 동일한 농도($1{\mu}g/ml$)에서 captopril은 93.0%, 솔순은 50.6%의 저해률을 나타냈으며, $100{\mu}g/ml$에서는 60.8%의 저해률을 나타내어 ACE 저해 활성이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LPS에 의하여 유도된 NO 합성은 $200{\mu}g/ml$ 농도의 솔순 에탄올 추출물을 처리함으로서 NO 합성률이 54.0% 정도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솔순 에탄올 추출물이 면역기능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솔순 에탄올 추출물의 우수한 생리활성을 증명하고 있고, 또한 솔잎 추출물에 비해 항산화력, 자유레디칼 소거활성능, 미백효과, 면역활성 및 항고혈압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기능성식품의 소재로서 그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오미자 발효음료의 알코올 분해능과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및 α-Glucosidase 저해효과 (Inhibitory Effects of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and α-Glucosidase, and Alcohol Metabolizing Activity of Fermented Omija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Beverage)

  • 조은경;조혜은;최영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655-661
    • /
    • 2010
  • 전통발효식품의 기능성을 증명하기 위하여 경상남도 거창 농가로부터 구입한 오미자를 발효시켜 오미자 발효액을 제조하였으며, 여러 가지 생리활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우선 오미자 발효액의 혈전분해능에 대해 분석한 결과, 혈전용 해제로 알려져 있는 plasmin보다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항고혈압 활성 측정 실험에서는 현재 시판되고 있는 항고혈압제인 captopril은 93.4%의 ACE 억제효과가 나타났고, 5배 희석한 오미자 발효액(20%)에서는 94.8%의 높은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오미자 발효액은 인체에 부작용이 적은 천연 항고혈압소재로서 이용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사료된다. 혈당 강하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alpha$-amylase와 $\alpha$-glucosidase 활성억제 효과를 측정하였다. 오미자 발효액의 pancreatin $\alpha$-amylase에 대한 저해 효과를 검토한 결과 오미자 발효액 25%의 농도에서 7.4%의 저해효과가 나타났고 오미자 발효원액인 100%에서는 100%의 높은 $\alpha$-amylase 저해효과를 나타냈다. 따라서 오미자 발효액의 $\alpha$-amylase 저해활성은 우수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오미자 발효액의 $\alpha$-glucosidase 활성억제를 조사한 결과 30%의 농도에서 15.8%, 60%의 농도에서 49%의 저해활성을 나타냈다. 아질산염 소거능 측정 실험에서는 positive control인 Vit. C 0.1%의 경우 pH 1.2와 3.0에서는 61~76%, pH 6.0에서는 49%의 소거능을 보인 반면 오미자 발효원액(100%)의 경우 pH 1.2와 3.0에서는 72~96%, pH 6.0에서는 68%의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오미자 발효액의 숙취해소 효능은 ADH와 ALDH 활성증진에 오미자 발효액이 미치는 영향을 조사함으로써 증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오미자 발효액은 acetaldehyde 분해능은 없는 반면, 알코올 분해능은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들은 오미자 발효액의 우수한 기능성식품으로서의 이용 가능성에 대한 기초자료로 그 가치가 기대된다.

Antioxidant Activities of Mulberry (Morus alba L.) Leaf Extracted with Different Concentrations of EtOH

  • Kim, Bum-Keun;Park, Kee-Jai;Lim, Jeong-Ho;Jeong, Jin-Woong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8권6호
    • /
    • pp.1476-1480
    • /
    • 2009
  • Antioxidant activities of mulberry leaf extracted with different concentrations of EtOH were investigated. Total phenolic content and electron donating abilities of extract from 70% EtOH were the highest. Extracts obtained from EtOH-water mixture were shown to be significantly higher superoxide dismutase (SOD)-like activities than other treatment (p<0.05).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ACE) inhibition was the greatest at 50% EtOH concentration (p<0.05). The extracts from 30-70% EtOH exhibited higher ferric reducing ability of plasma (FRAP) value than rest of the concentration (p<0.05). In case of nitrite scavenging activity, much higher scavenging activities were observed when the extraction was performed with EtOH or EtOH-water mixture (p<0.05). The results indicate that concentration of EtOH as extraction solvents can affect the antioxidant activity of mulberry leaf, which may provide useful information on the optimal solvent conditions for the extraction.

적포도주들의 발효와 후 발효 중 심혈관 관련 Angiotensin I 전환효소 저해활성과 혈전용해활성 및 $\beta$-secretase 저해 활성의 변화 (Changes of Angiotensin I-Converting Enzyme Inhibitory Activity, Fibrinolytic Activity and $\beta$-Secretase Inhibitory Activity of Red Wines During Fermentation and Post-Fermentation)

  • 노재덕;이은나;서동수;천종필;최신양;이종수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291-298
    • /
    • 2008
  • 본 연구는 4종류의 한국산 포도를 이용하여 포도주를 제조한 후 이들의 발효와 후 발효중의 심혈관 관련 angiotensis I 전환효소 저해 확정과 혈전 용해 활성 및 항치매성 $\beta$-secretase 저해활성을 조사하였다. 발효 10일 후 모든 시료 포도주들의 항고혈압성 엔지오텐신 전환효소(ACE)저해활성은 $38.6%{\sim}58.8%$ 이었다. 그러나 후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ACE저해활성은 증가하여 세리단(Vitis hybrid) 포도주가 후발효 120일 후 최고인 76.9%에 도달하였다. 혈전용해활성은 모든 시료 포도주들에서 미약하거나 없었다. 발효 10일 후, 켐벨어리(Vitis labrusca B) 포도주가 54.8%의 가장 높은 항치매성 $\beta$-secretase저해 활성을 보였으나 후발효 120일 후에는 10% 미만으로 현저하게 감소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세리단 포도를 S. cerevisiae K-7 효모로 $25^{\circ}C$에서 10일간 발효 시킨 후 $4^{\circ}C$에서 120일간 후발효 시켜서 고부가가치의 생리 기능성을 가진 세리단 적포도주를 제조하였다.

구증구포 처리 대두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Angiotensin-I Converting Enzyme 저해 효과 (Effect on Angiotensin-I Converting Enzyme Inhibition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Soybean (Glycine max L.) following Steaming and Drying Nine Times)

  • 김현영;서혜영;서우덕;이미자;최만수;함현미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67-173
    • /
    • 2020
  • To increase the functional material content of soybean, a repetitive steaming and drying process was used. We investigated the changes in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the angiotensin-I converting enzyme (ACE) inhibition in soybean following nine rounds of steaming and drying. Soybean was steamed 9 times for 2 h and then dried 9 times from 55℃ to 73℃ for 3 h.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in the soybean reached a maximum value of 60.47 mg GAE eq./100 g at 73℃ while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in the raw soybean reached 25.17 mg GAE eq./100 g. In the raw soybean samples,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5 mg/mL) was 8.04% but it increased by 43.29% after drying 9 times to 73℃.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lso improved following 9 rounds of steaming and drying. ACE inhibitory activity of the soybean dried 9 times at 73℃ was 58.94% at 10 mg/mL. These results showed that steaming and drying soybean 9 times enhanced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the ACE inhibitory activity of soybean. Therefore, more research on the biological and anti-hypertensive activity of soybean using this steaming and drying method is necessary.

안지오텐신 변환효소 억제작용물질의 합성 (II) (Synthesis of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Inhibitors (II))

  • 윤혜숙;이종란;이희주;윤성미;이선
    • 약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9
    • /
    • 1987
  • The preparation of substituted benzoylamino acids and mercaptoacylariaino acids as inhibitors of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is described. The bulky phenyl ring directly attacted to an amino acid as of benzoylamino acid seemed unsuitable for the inhibitory activities. Among the mercaptosuccinylamino acids, /sub L/-proline was more favorable than /sub L/-phenylalanine while S-acetylation was unfavorable.

  • PDF

안지오텐신 변환효소(變換酵素) 억제(抑制) 작용(作用) 물질(物質)의 합성(合成) (Synthesis of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Inhibitors)

  • 이희주;김영숙;장영;이종란;윤혜숙
    • 약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313-319
    • /
    • 1984
  • Phenylurea, phenylthiourea, benzylcarbamate and toluenesulfonate of L-alanyl-L-proline(comp. $3{\sim}6$) were synthesized and their effects against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ACE) were tested. Comp. 3 showed only mild inhibitory activities against ACE while comp. $4{\sim}6$ were inert indicating that those functional groups were not suitable for interactions with ACE. Ortho-hydroxy- or ortho-carboxy-benzamide of proline (comp. 7) and phenylalanine (comp. 8 and 9) were also tested. Of the benzamides, ortho-hydroxy function was unsuitable to exert inhibitory activities against ACE. Ortho-carboxy group of 9 seemed to have mild interactions with active site of ACE possibly because of the shorter distance between the amide and ortho-carboxyl group of the compound than the corresponding two active sites of the enzyme.

  • PDF

항고혈압성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저해제를 생산하는 새로운 효모의 선별 및 저해물질 최적 생산조건 (Screening New Antihypertensive Angiotensin I-Converting Enzyme Inhibitor -Producing Yeast and Optimization of Production Condition)

  • 강민구;김하근;이성훈;임성일;이종수
    • 한국균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194-197
    • /
    • 2011
  • 항고혈압 효능이 우수하며 부작용이 없는 새로운 고혈압 예방 소재를 개발하고자 한국 식품연구원에서 분리, 동정한 48종의 효모들의 PD broth 배양 농축물들을 대상으로 angiotensin 전환효소(ACE) 저해활성을 조사하여 활성이 우수한 효모들을 선정한 다음 ACE 저해물질의 생산 최적 조건을 검토하였다. ACE 저해활성은 Saccharomyces cerevisiae Y183-3 균주의 PD broth 배양 농축물이 71.8%의 가장 높은 ACE 저해활성을 보여 최종 우수 균주로 선발하였다. 그리고 이 Y183-3 효모를 $30^{\circ}C$에서 36시간 PD broth에 배양했을 때 ACE 저해물질이 가장 많이 생산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