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d allergenicity

검색결과 92건 처리시간 0.019초

Changes in Allergenicity of Porcine Serum Albumin by Gamma Irradiation

  • Kim, Koth-Bong-Woo-Ri;Lee, So-Young;Song, Eu-Jin;Park, Jin-Gyu;Lee, Ju-Woon;Byun, Myung-Woo;Kim, Kyu-Earn;Ahn, Dong-Hyun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397-402
    • /
    • 2010
  • Pork is an excellent source of essential nutrients such as protein. However, pork can trigger hypersensitivity and serum albumin of pork is known as major allergen. In this study, to evaluate the effect of gamma irradiation on the allergenicity of porcine serum albumin (PSA), PSA solution was irradiated at 3, 5, 7, 10, 15, and 20 kGy. The changes in the ability of PSA to bind IgG and patient's serum caused by gamma irradiation were observed by ci-ELISA and immunoblotting. SDS-PAGE was used for measuring the conformational change of gamma-irradiated PSA. The ability of 3-kGy-irradiated PSA to bind p-IgG and patient's serum was decreased to 30% and 15%, respectively. The binding ability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all irradiated samples. SDS-PAGE showed that the irradiated PSA bands were degraded and aggregated. Immunoblotting of irradiated PSA revealed that IgG and patient's serum were rarely recognized at 3 kGy. Therefore, gamma irradiation could be applied to less-allergenic pork products.

Changes in the Allergenicity of Saeujeot by Fermentation

  • Kim, Seong-Mi;Park, Jin-Gyu;Kim, Koth-Bong-Woo-Ri;Saeki, Hiroki;Nakamura, Atsushi;Lee, Ju-Woon;Byun, Myung-Woo;Ahn, Dong-Hyun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7권5호
    • /
    • pp.919-924
    • /
    • 2008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observe the changes in allergenicity of saeujeot (salted and fermented shrimp) using a competitive indirect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Ci-ELISA). The fermentation conditions tested for saeujeot consisted of various temperatures (25, 15, and $5^{\circ}C$) and salt concentrations (25, 15, and 10%). When saeujeot was fermented at a low salt concentration and high temperature, the binding ability of mAb and shrimp-allergic patient serum to allergen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particular, the binding ability of mAb to allergen in saeujeot fermented with 10% salt at $25^{\circ}C$ for 5 days decreased to 5%. Also, the binding ability of shrimp-allergic patient serum to allergen in saeujeot fermented for 5 days with 10% salt at $25^{\circ}C$ was 8%. In conclusion, the binding of mAb and shrimp-allergic patient serum to tropomyosin in saeujeot decreased with longer fermentation periods, lower salt concentrations (10%), and higher temperatures ($25^{\circ}C$).

Quality of Irradiated Plain Yogurt during Storage at Different Temperatures

  • Ham, J.S.;Jeong, S.G.;Lee, S.G.;Han, G.S.;Jang, A.;Yoo, Y.M.;Chae, H.S.;Kim, D.H.;Kim, H.J.;Lee, W.K.;Jo, C.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2권2호
    • /
    • pp.289-295
    • /
    • 2009
  • To develop a safer yogurt for immuno-compromised or allergy patients and to extend shelf-life, a plain yogurt was irradiated with doses of 0, 1, 3, 5, and 10 kGy using a gamma ray and the chemical and microbiological quality and allergenicity change were investigated.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content of protein, total solid, and amino acids of the plain yogurt by irradiation treatment and different storage temperatures (4, 20, and $35^{\circ}C$). The lactic acid bacterial counts of irradiated plain yogurt had approximately 3-decimal reduction at 3 kGy, and no viable cell at 10 kGy regardless of storage time and temperature. The binding ability of rabbit antiserum to milk proteins in irradiated plain yogurt showed that 10 kGy of irradiation produced significantly higher binding ability than other treatments. Sensory evaluation indicated that only appearance of the plain yogurt irradiated at 3 kGy or higher had a lower value than the non-irradiated control when stored at $20^{\circ}C$. Results suggest that irradiation of plain yogurt does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chemical and sensory quality of plain yogurt, but can extend the shelf-life, possibly reduce allergenicity, and provide a safer product.

한반도 지역에서 관측된 꽃가루 농도 특성에 관한 연구 (Characteristics of Regional Distribution of Pollen Concentration in Korean Peninsula)

  • 박기준;김헌애;김규랑;오재원;이선영;최영진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167-176
    • /
    • 2008
  • Airborne pollen is known as one of the major causal agents to respiratory allergic reactions. Daily number of pollen grains was monitored using Burkard volumetric spore traps at seven locations including Seoul and Jeju during 1997-2007. Pollen grains were observed throughout the year especially from February to November. They showed similar distribution patterns of species among locations except in Jeju, where Japanese cedar vegetation is uniquely found. Peak seasons for pollen grains from trees and weeds were March to May and August to October, respectively. Tree pollens were mainly composed of pine, oak, alder, and birch. Weed pollens were mainly from Japanese hop, Worm wood, and ragweed. Diameter of pollen grains, which has a typical range of $20{\sim}60{\mu}m$, has close relationship with allergenicity. Allergenicity of tree and weed pollens is higher than that of grass pollens in general. In the case of trees and shrubs, pine trees account for about 70% of all tree pollens. However, pine pollens are weak allergens. The remaining 30% of tree pollens, including alder trees, white birches, and oaks, are moderate to strong allergens despite the smaller numbers. Grass and weeds are also highly likely to cause allergies. Especially, the pollens of Wormwood and Japanese hop are highly likely to cause allergies. Daily fluctuations in the number of pollens have to do with a variety of meteorological factors, such as temperature and rainfall.

품종에 따른 콩의 알레르기성 (Allergenicity of Soybeans Depending on Their Variety)

  • 손대열;김예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2권5호
    • /
    • pp.627-631
    • /
    • 2010
  • 국내에서 소비되는 콩 14품종에 대한 항원성 검사를 토끼에서 생산된 다클론 항체와 콩 알레르기 환자 혈청을 이용하여 검사하였다. 그 결과 콩 특이성을 갖는 다클론 항체를 이용한 연구에서는 일부 콩 품종에서 항원성을 나타내는 단백질이 추가적으로 존재하거나 결여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14품종 중 특히 진품콩에서는 다른 품종보다 항원성이 강한 단백질이 확인되었다. CAP검사에 의해 콩 항원에 대한 특이 항체 값이 65 U/mL 이상인 콩 알레르기 환자 4명의 혈청을 이용한 반응성 비교에서는 다른 품종에 비해 단백콩과 신팔달2호에서 조사된 모든 콩 알레르기 환자혈청과 상대적으로 뚜렷이 높은 반응성을 나타냈고, 대원콩에서 제일 낮은 반응성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콩 품종에 따라 포함된 단백질의 알레르기성 차이가 있음을 의미하며 콩을 원료로 식품을 제조할 때 콩 품종을 고려함으로써 알레르기 반응으로 인한 문제를 줄일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제초제저항성 GM 잔디에서 발현된 PAT 단백질의 알레르겐 유발 가능성 및 독성 평가 (Allergenicity and toxicity evaluation of the PAT protein expressed in herbicide-tolerant genetically modified Zoysia japonica)

  • 정혜린;선현진;강지남;강홍규;이효연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7권4호
    • /
    • pp.316-323
    • /
    • 2020
  • 본 연구는 제초제저항성 GM 들잔디에서 발현된 PAT 단백질의 잠재적인 알레르기성 및 독성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PAT 단백질의 in silico 분석에서 PAT 단백질은 알려진 알레르겐 또는 독성 단백질과 유사성을 보이지 않았다. PAT 단백질은 80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절편에 걸쳐 기지의 알레르겐과 35% 미만의 아미노산 서열 상동성을 보였고, 기지의 알레르겐과 연속한 8개의 아미노산에서 일치하는 서열도 확인되지 않았다. 또한 제초제저항성 GM 들잔디에서 발현된 PAT 단백질은 펩신 존재 하의 인공위액에서 매우 빠르게 분해되었고, GM 들잔디에서 발현된 PAT 단백질은 번역 후 수식(glycosylation)도 일어나지 않았음이 확인되었다. 경구투여 독성 시험에서는 체중 1 kg 당 4,000 mg 을 투여한 실험구에서도 PAT 단백질 투여 후 마우스에서 사망이나 독성 영향은 관찰되지 않았다. 이들 결과는 제초제저항성 GM 들잔디에서 발현된 PAT 단백질이 잠재적 알레르겐이나 독소로 작용할 가능성이 없음을 시사한다.

수동피부아나필락시스 시험, immunoblot, 식품알레르기 생쥐모델에 의한 난백 처리물의 알레르기성 평가 (Allergenicity of Treated Chicken Egg Whites as Determined by a Passive Cutaneous Anaphylaxis Test, Immunoblot Analysis, and a Mouse Model of Food Allergy)

  • 김현정;류주현;이수영;손동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568-573
    • /
    • 2008
  • 난백의 알레르겐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여러 가지 처리를 실시하고 처리난백의 알레르기성의 변화를 평가하고자 passive cutaneous anaphylaxis(PCA) test, immunoblot, 생쥐모델에 의한 알레르기 유발시험을 실시하였다. PCA test결과 열처리($121^{\circ}C$, 30 min)한 난백은 처리하지 않은 난백에 비하여 그 항원성이 1/8 정도로 감소되었으며, NaOH처리군은 0.3%와 1%에서 각각 1/4, 1/8로 항원성의 감소를 보였다. 특히, NaOH처리 후 열처리(70oC, 15 min)를 추가적으로 복합처리한 난백의 경우, NaOH 0.3%(w/v)에서는 1/8 정도로, NaOH 1%(w/v)에서는 1/32 정도로 강력하게 항원성이 감소되었다. 계란 알레르기 환자의 IgE 항체를 이용하여 immunoblot을 실시한 결과 121oC로 열처리한 시료에서 난백의 주요 단백질 band가 흐려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NaOH와 열로 복합처리한 난백의 경우에도 NaOH 0.1%(w/v) 이상에서 band들이 대부분 소실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쥐모델에 의한 시험을 실시한 결과, 난백으로 유도한 전신알레르기 증상의 평균점수는 1.85이었으나 복합처리한 난백의 경우 그 점수가 0.20로 현격하게 감소되었다. 결론적으로, 상기 3종의 시험에서 공통적으로 가장 효과적인 난백의 알레르기성 저감화 방법은 복합처리(NaOH(1%, w/v) 및 열($70^{\circ}C$, 15min))임이 확인되었다.

Microwave, 초음파 및 초고압 처리에 의한 돼지 혈청 알부민의 항원성 변화 (Changes in Allergenicity of Porcine Serum Albumin by Microwave, Sonication, and High Hydrostatic Pressure)

  • 김꽃봉우리;김서진;이소영;송유진;안동현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499-504
    • /
    • 2008
  • Microwave,초음파 및 초고압 처리에 의한 PSA의 항원성 변화를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microwave처리에 의한 변화를 알아본 결과 처리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PSA와 항체와의 결합력이 감소하였으며 특히 10분 처리 시에 약 30% 정도로 가장 낮은 결합력을 나타내었다. SDS-PAGE 결과에서는 5, 10분 처리 시에 PSA band가 많이 약화되었으며 immunoblotting에서도 5, 10분 처리한 PSA가 항체와 거의 반응하지 않았다. 하지만 열을 배제하고 microwave 처리한 경우에는 처리구 모두 큰 변화 없이 높은 결합력을 유지하였다. 초음파 처리(5, 10, 30 및 60분)에 의한 PSA의 항원성 변화를 살펴본 결과에서는 초음파 처리구 모두 약 78% 정도의 높은 결합력을 보였으나 immunoblotting에서는 초음파 처리한 PSA가 항체와 거의 반응하지 않았다. PSA에 초고압 처리(200, 300 및 400 MPa)한 후 항원성 변화를 살펴본 결과 초고압 처리구 모두 PSA와 항체와의 결합력이 약 98%로 높은 결합력을 유지하였으며 immunoblotting에서도 초고압 처리구의 PSA가 항체와 강하게 결합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열을 배제한 microwave, 초음파 및 초고압 처리는 PSA의 항원성을 감소시키지 못하였으나 열을 배제하지 않은 microwave 처리는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PSA의 항원성을 크게 감소시켰으므로 이를 저 알레르기 돼지고기 식품 개발에 응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