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d DMDS

검색결과 52건 처리시간 0.025초

도시의 환원 황 화합물의 이산화황으로의 광화학적 변환 (Photochemical Conversions of Reduced Sulfur Compounds to SO2 in Urban Air)

  • 손장호;김기현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647-654
    • /
    • 2004
  • This study examines the local oxidation chemistry of reduced sulfur compounds (RSC) in the urban air. The chemical conversion of RSC (such as DMS, $CS_2,\;H_2S,\;DMDS,\;and\;CH_3SH)\;to\;SO_2$ was modeled using a photochemical box model. For our model prediction of the RSC oxidation, measurements were carried out from an urban monitoring station in Seoul (37.6$^{\circ}$N, 127.0$^{\circ}$E), Korea for three separate time periods (Sep. 17~18; Oct 23; and Oct. 27~28, 2003). The results of our measurements indicated that DMS and $H_2S$ were the dominant RSC with their concentrations of 370${\pm}$140 and 110${\pm}$60 pptv, respectively. The conversion of DMDS to $SO_2$ can occur efficiently in comparison to other RSC, but it is not abundant enough to affect their cycles. The overall results of our study indicate that the photochemical conversion of the RSC can contribute ≶ 20% of the observed $SO_2$.

악취유발 황화유기화합물질의 광촉매분해에 따른 촉매 비활성화와 재생 평가 (Evaluation of Catalyst Deactivation and Regeneration Associated with Photocatalysis of Malodorous Sulfurized-Organic Compounds)

  • 조완근;신명희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1권11호
    • /
    • pp.965-974
    • /
    • 2009
  • 본 연구는 가시광선 조건에서 질소 및 황 도핑 $TiO_2$를 활용하여 악취유발 황화유기화합물질의 분해능을 평가하고, 광촉매 분해시 발생하는 촉매 비활성화와 비활성화된 촉매의 재생에 대해 조사하였다. 적외선 분광법을 이용하여 촉매 표면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가시광선을 이용한 광촉매 기술이 낮은 농도의 황화 이메틸(0.039 ppm)과 이황화 이메틸 (0.027 ppm)은 97% 이상의 높은 효율로 처리할 수 있으나, 촉매 비활성으로 인해 높은 농도(황화 이메틸, 7.8 ppm 및 이황화 이메틸, 5.4 ppm)에 대해서는 광촉매 공정 시간 5시간만에 처리 효율이 황화 이메틸은 84% 그리고 이황화 이메틸은 23%까지 매우 낮게 나타났다. 황화 이메틸에 비하여 황 원소가 하나 더 결합된 이황화 이메틸의 광촉매 분해시 촉매가 빠르게 비활성화되었다. 높은 유입 농도 조건에서 이황화 이메틸 또는 황화 이메틸의 광촉매 반응기의 출구 농도가 유 입농도와 비슷하거나, $CO_2$의 생성률이 제로에 가깝거나, FTIR 스펙트럼 상에서 촉매 표면의 비활성을 유발하는 황 이온 화합물의 피크들이 강하게 나타나, 촉매의 비활성화를 확인하였다. 광촉매 반응기의 유출구에서의 최대 $CO_2$ 농도인 8 ppm에 대해서 황화 이메틸의 광물화 효율을 계산한 결과 144%로서 100%를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건조-공기 및 습윤-공기 재생 방법에 비해 고온 소성에 의한 촉매의 재생효율이 높게(이황화 이메틸, 53% 그리고 황화 이메틸, 58%) 나타났으나, 이 또한 촉매 비활성을 유발시키는 황 이온 화합물과 같은 부산물들을 완전히 제거되지는 못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훈증성 약제 처리용 토양소독기의 클로버씨스트선충 방제 효과 (Efficacy of a Soil Disinfection Machine for Fumigants to Clover Cyst Nematode)

  • 고형래;이상희;강태경;김태형;김상수;이재국
    • 식물병연구
    • /
    • 제26권2호
    • /
    • pp.72-78
    • /
    • 2020
  • 클로버씨스트선충은 국내 고랭지배추 재배지에서 가장 문제되고 있는 식물기생선충 중 하나이다. 본 연구는 새로 개발한 훈증성 약제 처리기의 성능을 시험하기 위하여 고랭지배추 문제 클로버씨스트선충을 대상으로 훈증성 약제 2종(dimethyl disulfide [DMDS], metam sodium [MNa])의 살선충 활성을 검정하였다. 훈증성 약제의 방제 효과는 약제 처리 4주 후 처리구별 토양으로부터 씨스트를 채집하여 클로버씨스트선충 알 부화율을 조사하였고, 씨스트 내부의 알을 배추에 접종하여 얻은 암컷 증식 수를 조사하여 평가했다. DMDS (39 l/10 a)는 클로버씨스트선충 알 부화율과 암컷 증식 수를 각각 99.0% 이상 억제하였으나, MNa (29 l/10 a)는 알 부화율은 78.3-99.4%, 암컷 증식 수는 34.7-49.3% 정도 억제하였다. 훈증성 약제 2종의 처리 깊이에 따른 클로버씨스트선충 알 부화율과 암컷 증식수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토양 소독기를 이용하여 DMDS를 토양 처리하면 클로버씨스트선충 방제 효과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Structural Arrangement for Functional Requirements of Brain Recombinant 4-Aminobutyrate Aminotransferase

  • Sung, Bo-Kyung;Kim, Young-Tae
    • BMB Reports
    • /
    • 제33권1호
    • /
    • pp.43-48
    • /
    • 2000
  • 4-Aminobutyrate aminotransferase is a key enzyme of the 4-aminobutyric acid shunt. It converts the neurotransmitter 4-aminobutyric acid to succinic semialdehyde. In order to study the structural and functional aspects of catalytically active Cys residues of pig brain 4-aminobutyrate aminotransferase, we purified the active form in E. coli by coproduction of thioredoxin. The structural arrangement for functional requirements of a dimeric protein using a bifunctional sultbydryl reagent was then characterized, and the spatial proximity between the essential SH groups and a cofactor (pyridoxal-5'-phosphate) binding site was determined. The bifunctional sultbydryl reagent DMDS reacted with the enzyme at the ratio of one molecule per enzyme dimer. This resulted in an approximately 50% loss of enzymatic activity. The spatial proximity of the distance between the essential SH groups and the cofactor-binding site was determined by the energy transfer measurement technique. The result (approximate 20 ${\AA}$) suggested that cross-linking of two sulfhydryl groups with DMDS is not near a PLP binding site.

  • PDF

Head-space GC-MS를 활용한 마늘추출물 함유 유기농자재 중 Allylmethyl Sulfide, Dimethyl Disulfide 및 Dipropyl Sulfide 분석 (Quantitative Analysis of Allylmethyl Sulfide, Dimethyl Disulfide, and Dipropyl Sulfide in Biopesticides Containing Allium sativum Extract Using Gas Chromatography Mass Spectrometry-Head Space Sampler)

  • 임성진;오영탁;김진효;최근형;박병준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17-222
    • /
    • 2015
  • BACKGROUND: Garlic (Allium sativum) contains polyphenols and sulfur compounds that are recognized as antioxidant, antithrombotic, anticancer, antibacterial, antimicrobial, nematicidal, and insecticidal activity. For this reason, the Environmentally-friendly Agriculture Promotion Act allowed the garlic extract as commercial biopesticide material for crop protection, nine commercial biopesticides containing A. sativum extract have been marketed in Korea. METHODS AND RESULTS: The determination of allylmethyl sulfide (AMS), dimethyl disulfide (DMDS), and dipropyl sulfide (DPS) in biopesticides containing A. sativum extract was developed and validated by gas chromatography (GC) mass spectrometry (MS) with head-space sampler. The developed method was validated, and the limit of quantification (LOQ) and recovery rates of AMS, DMDS, and DPS were 0.08, 0.32, and 0.09 mg/L and 90.3-91.3, 86.2-88.3, and 87.6-89.5%, respectively. From the nine commercial biopesticide samples, contents of AMS, DMDS, and DPS were analyzed using the developed method and results showed

음식물의 악취 황화합물 발생특성 조사: 계란, 우유, 고기통조림, 딸기에 대한 사례 연구 (Emission Characteristics of Odorous Sulfur Gases from Food Types: A Case Study on Boiled Egg, Milk, Canned Meat, and Strawberry)

  • 김보원;안정현;김기현;조상희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615-624
    • /
    • 2013
  • In this study, the emission patterns of reduced sulfur compounds (RSC) were investigated using four different types of food samples (boiled egg, milk, canned meat and strawberry) between fresh and decaying stages. To this end, the concentrations of RSCs were measured at storage days of 0, 1, 3, 6, and 9 under room temperature. Four sulfur compounds ($H_2S$, $CH_3SH$, DMS and DMDS) were selected as target compounds along with two reference compounds ($CS_2$ and $SO_2$). Their concentrations were quantified using GC-PFPD equipped with thermal desorption (TD) system. The boiled egg showed the highest concentration of $H_2S$ (3,655 ppb) at D-1, while $CH_3SH$ reached its maximum value of 64.4~78.5 ppb after 3 days. In milk samples, concentration of $CH_3SH$, DMS, and DMDS went up to 487, 16.3, and 578 ppb, respectively with the progress of decay (D-9). In case of canned meat, concentration of $H_2S$ and $CH_3SH$ peaked in the beginning (D-0) such as 345 and 66.6 ppb. In case of strawberry, $CH_3SH$ and DMDS showed the maximum concentrations 135 and 50.5 ppb at D-1, respectively. The olfactometry dilution-to-threshold (D/T) ratio by air dilution sensory (ADS) test showed similar patterns when sum of odor intensity (SOI) was derived via conversion of odorant concentration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 that the time of strong RSC emissions is distinguished for each food type between fresh (e.g., strawberries) and decaying conditions (e.g., milk).

Monitoring of Atmospheric Reduced Sulfur Compounds and Their Oxidation in Gunsan Landfill Areas

  • Kim, Seong-Cheon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66-173
    • /
    • 2007
  • 이 연구에서 환원성 황 화합물의 시간적, 공간적 분포 패턴들이 매립과정에 크게 영향 받는 지역에서 조사되었다. 이러한 측정 연구에 기초하여 환원성 황 화합물이 이산화황으로 변환되는 광화학적 작용 규모를 광화학적 상자모델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이 연구는 2004년 3월에서 12월까지 대기 중 환원성 황 화합물 농도를 군산시의 매립장 내부와 인근에서 평가했다. 환원성 황 화합물의 분포가 일반적으로 $H_2S$, DMS, 또는 DMDS들이 대부분인 반해, 그 패턴들은 시료채취 지역과 기간에 따라 다양했다. 군산 매립장에서 $H_2S$, DMS는 연구기간 동안 가장 높은 농도를 나타냈다. 이 지점에서 DMS의 농도는 매립 과정 뿐만 아니라 해양 오염원에 영향을 받는다고 사료되었다. 모든 환원성 황 화합물이 아황산가스의 광화학적 부산물에 대한 상대적 기여도를 비교할 때, 세가지 환원성 황 화합물(DMDS, $H_2S$, 그리고 DMS)이 가장 중요한 물질로 조사되었다.

Photocatalysis of Dimethyl disulfide in a Continous Flow Reactor : Deactivation and Regeneration

  • 신명희;김종태;장종대;김모근;이진우;권기동;조완근
    • 한국환경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과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발표회 발표논문집
    • /
    • pp.96-99
    • /
    • 2008
  • 악취물질 중 특히 황계열 물질인 Dimethyl disulfide(DMDS)는 광촉매 산화 시 촉매비 활성에 의해 촉매의 효율이 떨어진다. 이는 Dimethyl disulfide(DMDS) 분해과정에서 발생되는 중간생성물이 촉매 표면에 강하게 흡착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비활성을 해결하기 위해 촉매를 재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Burning out'에 의한 재생은 촉매 표면에 흡착된 일부 유기 종들을 배출시켜 촉매능을 53% 회복시켰다.

  • PDF

글래스 파이버 필터를 이용한 가스상 황화합물들의 여과제거특성 비교연구 (A test of the filtering efficiency of glass fiber filter against atmospheric sulfur gases)

  • 김기현;최여진
    • 분석과학
    • /
    • 제19권1호
    • /
    • pp.65-72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필터를 이용하여 가스상 황화합물들을 필터 방식으로 제거하는 특성을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이산화황으로 대표되는 산화황화합물과 황화수소를 위시한 5가지 환원황화합물 ($H_2S$, $CH_3SH$, DMS, $CS_2$, 와 DMDS)을 동시에 함유한 표준가스를 준비하였다. 그리고 이 가스를 연구대상으로 정한 글래스파이버 필터에 흘려주면서, 필터 통과 유무에 따른 농도차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자료를 토대로 황성분들의 제거특성을 각각의 황성분에 대비하여 해석하였다. 그 결과에 의하면, 이산화황은 필터에 의해 거의 완전하게 제거되지만, 환원황성분들은 각자의 반응성에 따라 상당히 차별화된 결과를 보였다. 반응성이 가장 강한 황화수소는 60% 가까이 제거되었다. 그러나 이에 반해, 분자량이 큰 성분들(DMS, $CS_2$, DMDS)은 필터에 제거되지 않고 거의 통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월공단의 대기배출시설을 대상으로 한 악취성 황화합물의 측정과 배출특성에 대한 연구 (The Emission Characteristics of Reduced Sulfur Compounds in the Ban Wall Industrial Complex)

  • 최여진;전의찬;김기현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515-524
    • /
    • 2005
  • In this study, the concentrations of major reduced sulfur compounds (RSC: $H_{2}S,\;CH_{3}SH$, DMS, $CS_2$ and DMDS) were determined from various emission sources of individual companies located within the Ban Wal industrial complex of Ansan city, Korea. We investigated the emission concentration levels of RSC from a total of 47 individual companies during June 2004 to January 2005. The results of our study indicate that the emission concentration levels of RSC vary in a highly complicated manner in relation with industrial sectors and emission source types. It was found that both $H_{2}S\;and\;CH_{3}SH$ make the highest contribution to nuisance in the leather industry. Likewise, DMS showed its maximum contribution from food production sector, while DMDS for chemical production sector. When the emission data sets were compared between different emission sources, regardless of industrial types or activities, $H_{2}S\;and\;CH_{3}SH$ concentrations were seen most significant at waste treatment process. The overall results of our study suggest that the emission concentrations of sulfur compounds can be used to distinguish different sources of malodor released by different industrial activ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