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d $TNF-{\alpha}$

검색결과 3,230건 처리시간 0.034초

Henoch-Sch$\"{o}$nlein 자반증에서 Tumor Necrosis Factor-${\alpha}$ 유전자 다형성 분석 (Analysis of the Tumor Necrosis Factor-${\alpha}$ Promoter Polymorphism in Children with Henoch-Sch$\"{o}$nlein Purpura)

  • 양혜란;고재성;서정기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10권1호
    • /
    • pp.11-19
    • /
    • 2007
  • 목 적: 본 연구에서는 Henoch-Sch$\"{o}$nlein 자반증으로 진단된 환아들에서 급성기와 관해기에 TNF-${\alpha}$ 농도를 측정함으로써 Henoch-Sch$\"{o}$nlein 자반증의 발병과 임상양상의 발현에 있어 TNF-${\alpha}$의 의의를 평가하고, 각 환자에서 TNF-${\alpha}$ -308, -238 유전자 다형성의 유전자형과 대립유전자 빈도를 분석함으로써 Henoch-Sch$\"{o}$nlein 자반증의 발병에 있어 TNF-${\alpha}$ 유전자 다형성이 갖는 의의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2004년 3월에서 2005년 11월까지 서울대병원 및 분당서울대병원 소아과에 내원하여 Henoch-Sch$\"{o}$nlein 자반증으로 진단받은 40명의 소아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고, 건강한 소아 환아 32명을 대조군으로 하였다. 후향적인 의무기록지 검토를 통해 환아들의 임상양상을 조사하여 임상 점수를 평가하였다. 환자군에서 급성기와 관해기에 혈청 TNF-${\alpha}$ 농도를 측정하였다. 환자군과 대조군에서 혈액을 채취하여 TNF-${\alpha}$ -308과 -238 유전자 다형성을 조사하였다. 결 과: Henoch-Sch$\"{o}$nlein 자반증으로 진단된 40명 (남아 20명, 여아 20명)의 환아에서 급성기에 측정한 혈청 TNF-${\alpha}$ 농도는 $23.17{\pm}11.31$ pg/mL였으며, 증세가 소실된 후에 측정한 혈청 TNF-${\alpha}$ 농도는 $10.56{\pm}5.59$ pg/mL로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00). 혈청 TNF-${\alpha}$와 Henoch-Sch$\"{o}$nlein 자반증의 임상 점수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는 없었다(r=0.310, p=0.070). TNF-${\alpha}$ -308 유전자형 빈도는 환자군에서 GG 80%, GA 20% 였으며, 대조군에서는 GG 93.8%, GA 6.2%로서 환자군에서 높은 GA 유전자형의 빈도를 보였지만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P=0.094). TNF-${\alpha}$ -238 유전자형 분포는 환자군에서 GG 97.5%, GA 2.5%였으며, 대조군에서는 GG 93.8%, GA 6.3%로서 두 군 사이에 통계적인 유의성이 없었다(p=0.429). 결 론: TNF-${\alpha}$는 Henoch-Sch$\"{o}$nlein 자반증의 발병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사이토카인으로 여겨지지만, TNF-${\alpha}$ -308, -238 유전자 다형성이 Henoch-Sch$\"{o}$nlein 자반증의 발병과 다양한 임상양상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뚜렷한 연관성이 확인되지 못하였기에 향후 지속적인 연구를 통하여 Henoch-Sch$\"{o}$nlein 자반증의 발병기전과 유전적 감수성을 밝히려는 시도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PDF

PDTC Inhibits $TNF-{\alpha}-Induced$ Apoptosis in MC3T3E1 Cells

  • Chae, Han-Jung;Bae, Jee-Hyeon;Chae, Soo-Wan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7권4호
    • /
    • pp.199-205
    • /
    • 2003
  • Osteoblasts are affected by TNF-${\alpha}$ overproduction by immune cells during inflammation. It has been suggested that functional $NF-{\kappa}B$ sites are involved in TNF-${\alpha}$-induced bone resorption. Thus, we explored the effect of pyrrolidine dithiocarbamate (PDTC), which potently blocks the activation of nuclear factor $(NF-{\kappa}B)$, on the induction of TNF-${\alpha}$-induced activation of JNK/SAPK, AP-1, cytochrome c, caspase and apoptosis in MC3T3E1 osteoblasts. Pretreatment of the cells with PDTC blocked TNF-${\alpha}$-induced $NF-{\kappa}B$ activation. TNF-${\alpha}$-induced activation of AP-1, another nuclear transcription factor, was suppressed by PDTC. The activation of c-Jun N-terminal kinase, implicated in the regulation of AP-1, was also down regulated by PDTC. TNF-${\alpha}$-induced apoptosis, release of cytochrome c and subsequent activation of caspase-3 were abolished by PDTC. TNF-${\alpha}$-induced apoptosis was partially blocked by Ac-DEVD-CHO, a caspase-3 inhibitor, suggesting that caspase-3 is involved in TNF-${\alpha}$-mediated signaling through $NF-{\kappa}B$ in MC3T3E1 osteoblasts. Thus,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PDTC, has an inhibitory effect on TNF-${\alpha}$-mediated activation of JNK/SAPK, AP-1, cytochrome c release and subsequent caspase-3, leading to the inhibition of apoptosis. Our study may contribute to the treatment of TNF-${\alpha}$-associated immune and inflammatory diseases such as rheumatoid arthritis and periodontal diseases.

돼지 황체에서 TNFα-분비 대식세포와 내피세포에 관한 면역조직화학적 연구 (Immunohistochemical Study on the TNFα-Secreting Macrophages and Endothelial Cells in the Porcine Corpus Luteum)

  • 박창식;한승로;김수일;조근자;김원식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7권5호
    • /
    • pp.711-720
    • /
    • 2005
  • 황체내 TNF$\alpha$는 큰황체세포를 포함한 황체내 세포들의 사망을 일으키고, 황체내 혈관의 퇴화와 프로게스테론 농도의 감소를 초래하는 등 황체의 구조적 및 기능적 퇴화를 유발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반면 이와는 대조적으로 TNF$\alpha$는 황체발달의 초기에는 황체자극효과를 가지고 있다는 보고도 있다. 황체내에서 TNF$\alpha$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아직 이 물질의 분비원이 대식세포라는 보고들과 대식세포는 주된 분비원이고 내피세포에서도 소량 분비된다는 보고 등 이견이 있다. 이를 알아보기 위해 저자들은 돼지에서 비임신기와 임신기의 성숙황체와 용해황체를 이용하여 대식세포와 TNF$\alpha$ 면역조직화학을 실시한 결과, 성숙황체내에서 TNF$\alpha$의 주된 분비원은 대식세포이고 내피세포도 일부 분비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황체용해가 진행되면서 내피세포가 TNF$\alpha$의 분비와 반응에 다양성과 역동성을 보이고 있음을 추정할 수 있었다.

폐암세포주의 TNF-$\alpha$ 유발 apoptosis에서 NF-${\kappa}B$의 역할 (The Role of NF-${\kappa}B$ in the TNF-$\alpha$-induced Apoptosis of Lung Cancer Cell Line)

  • 김재열;이승희;황보빈;이춘택;김영환;한성구;심영수;유철규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8권2호
    • /
    • pp.166-179
    • /
    • 2000
  • 연구배경: 현재 사용되고 있는 많은 항암제는 암세포의 apoptosis를 유도함으로서 암세포를 사멸시키는 것이 주된 작용 기전이다. 항암제에 의한 치료 실패의 주된 원인은 암세포의 apoptosis에 대한 내성 획득에 의한 것으로 이해되고 있다. 최근의 보고에 의하면 많은 암세포주에서 apoptosis에 대한 내성 획득에 NF-${\kappa}B$의 활성화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지만 일부 세포에서는 상반된 결과를 보이고 있어 apoptosis에 대한 내성 획득과 NF-${\kappa}B$의 활성화와의 관련성은 세포에 따라 차이를 보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비소세포폐암 세포주가 TNF-$\alpha$ 유발 apoptosis에 저항을 나타내는 기전에서 NF-${\kappa}B$의 역할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방 법: 비소세포폐암세포주인 NCI-H157 세포에 TNF-$\alpha$ cycloheximide(CHX), TNF-$\alpha$와 CHX를 각각 투여하고 24시간 후 MTT assay로 세포생존율을 평가하였고 apoptosis의 발생 유무는 PARP에 대한 Westrn 분석으로 평가하였다. Ad5LacZ와 $Ad5I{\kappa}B{\alpha}SR$를 20시간 동안 감염시킨 각각의 세포를 1, 5, 10, 20, 50 ng/ml의 TNF-$\alpha$로 24, 48시간 자극 후 MTT assay를 시행하였고, 같은 농도의 TNF-$\alpha$로 24, 48시간 자극 후 PARP에 대한 Western 분석을 시행하였다. $I{\kappa}B{\alpha}$의 분해를 억제하는 proteasome inhibitor 인 MG132를 전처치하고 TNF-$\alpha$로 24, 48 시간 자극 후 MTT assay와 PARP에 대한 Westrn 분석을 시행하였다. $Ad5I{\kappa}B{\alpha}SR$를 감염시킨 세포를 TNF-$\alpha$로 자극한 후 NF-${\kappa}B$의 활성화를 EMSA로 평가하였다. 결 과: 1. TNF-$\alpha$ 단독 투여로는 세포 생존율의 감소와 apoptosis가 관찰되지 않았고 TNF-$\alpha$와 CHX를 같이 투여하였을 때는 세포 생존율의 감소와 함께 apoptosis가 유도되었다. 2. $Ad5I{\kappa}B{\alpha}SR$의 감염으로 $I{\kappa}B{\alpha}$가 과발현된 세포와 MG132를 전처치한 세포에서 TNF-$\alpha$ 자극에 의한 NF-${\kappa}B$의 활성화가 억제되었다. 3. $Ad5I{\kappa}B{\alpha}$ SR를 감염시킨 세포와 MG132를 전처치하여 NF-${\kappa}B$의 활성을 억제한 세포에서 TNF-$\alpha$ 자극 후 세포 생존율이 감소하고 apoptosis가 유도되었다. 결 론: 비소세포폐암 세포주의 TNF-$\alpha$ 유발 apoptosis에 대한 내성은 NF-${\kappa}B$의 활성화에 의해 생성되는 새로운 단백의 발현에 의한 것으로 생각되며, NF-${\kappa}B$ 활성화의 억제로 이를 극복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결핵성 및 비결핵성 흉막삼출액에서 TNF-$\alpha$ 농도의 진단적 의의 (Diagnostic Significance of TNF-$\alpha$ in Tuberculous and Non-Tuberculous Pleural Effusion)

  • 나현주;박석채;강광원;박형관;김영철;최인선;박경옥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4권3호
    • /
    • pp.611-620
    • /
    • 1997
  • 연구배경 : 결핵성 흉막염의 감별 진단 목적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검사는 adenosine deaminase와 INF-$\gamma$를 세포성 면역에 또다른 중요한 매개체로 알려진 TNF-$\alpha$의 진단적 의의를 조사하고, 현재 임상에서 유용한 지표로 사용되고 있는 adenosine deaminase와의 감별력을 비교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삼출성 흉막염 80예(결핵성 : 39예, 암성 : 31예, 부폐렴흉막염 : 10예)를 대상으로 흉수의 기본적인 세포조성, 화학 검사와 더불어 ADA와 TNF-$\alpha$(Medgenix IRMA kit)를 측정하였다. 결 과 : 흉수내 ADA농도는 결핵성 흉막염에서 $48.7{\pm}32.7U/L$로 비결핵성 흉막염 $26.0{\pm}41.3U/L$에 비해 유의한 차이로 높았고(p < 0.05), TNF-$\alpha$치 또한 결핵성 흉막염에서 $184.1{\pm}214.2pg/mL$로 비결핵성 흉막삼출액 $44.1{\pm}114.2pg/mL$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p < 0.01). ROC 곡선을 이용하여 ADA와 TNF-$\alpha$의 감별력을 가장 높일 수 있는 기준치를 정하였을 때, ADA는 30U/ml, TNF-$\alpha$는 15pg/ml로 측정되었고, 각각의 기준치를 이용하여 감수성과 특이도를 구하였을때, ADA는 감수성 66.7%, 특이도 85.0%, TNF-$\alpha$는 감수성 69.2% 특이도 87.1%를 보였다. 두 검사의 민감도와 특이도를 비교하기 위한 ROC 곡선에서, ROC 곡선아래의 면적(area under curve)은 ADA와 TNF-$\alpha$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ADA 0.83, TNF-$\alpha$ 0.82). 다중회귀분석(multiple stepwise regression)에서 ADA가 가장 유용한 지표로 계산되었으나 TNF-$\alpha$의 추가가 분별력에 더 이상의 기여함은 없었다. 결 론 : 결핵성 흉막염과 비결핵성 흉막염을 감별 진단하는데 ADA와 함께 TNF-$\alpha$도 유용한 지표로 이용될 수 있으나 두가지 검사를 함께 시행함에 따른 진단에 있어서의 잇점은 없었다.

  • PDF

한국산 겨우살이 추출물 M11C (렉틴 구성물질)가 단구세포의 $TNF-\alpha$ 유전자 발현유도 및 분비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Korean Mistletoe Extract M11C (Non-lectin Components) on the $TNF-\alpha$ Expression and Secretion from Human Peripheral Blood Monocytes)

  • 전명하;강태봉;장성호;최완수;성낙술;허억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30-37
    • /
    • 2007
  • 한국산 겨우살이 (Viscum album)는 면역 활성효과와 항암효과가 있다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산 겨우살이 추출물 M11C (비렉틴 구성물질)가 사람의 말초혈액 단구를 활성화시켜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alpha)$를 생산 분비하게 하는지를 규명하기 위해 실험에 이용되었다. 단구로부터 $TNF-\alpha$의 생산에 있어 M11C의 효과를 알기 위해 단구를 여러 농도 $(0-2000{\mu}g/m\ell)$의 M11C로 0.5-24시간 동안 자극한 후 배양액 MCM을 수거했다. 수거한 배양액 MCM을 $TNF-\alpha$에 민감한 L929 세포에 첨가한 후 L929 세포의 독성 정도를 MTT 기법으로 검사하였는데, 배양액 MCM이 L929 독성효과를 가졌으며, 이 MCM의 L929 세포 독성효과는 $TNF-\alpha$ 항체에 의해 거의 완전하게 억제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배양액 MCM에 $TNF-\alpha$가 존재함을 지적했으며, 또한 M11C가 단구를 자극해 $TNF-\alpha$를 생산하리라고 암시했었다. 이러한 암시를 확인하기 위해 immunoblotting 기법을 사용해 배양액 MCM에 존재하는 $TNF-\alpha$을 검사를 수행했다. 검사결과 배양액 MCM에 많은 량의 $TNF-\alpha$가 검출되었다. 이러한 $TNF-\alpha$ 검출량은 단구를 자극한 M11C의 농도와 자극시간에 비례해서 증가했다. 즉, 단구로부터 $TNF-\alpha$의 생산 분비량은 M11C의 농도와 자극시간에 의존적이었다. 이러한 M11C의 농도와 자극시간의 의존적 효과는 단구로부터 $TNF-\alpha$ mRNA 발현에도 같은 경향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한국산 겨우살이로부터 열탕 추출한 M11C가 면역활성제로 작용할 수 있음을 시사함과 동시에 한방탕제로 사용되는 한국산 겨우살이가 면역학적 효능을 가지고 있음을 말해주고 있다.

Cell Surface Expression of Tumor Necrosis Factor-Alpha by Activated Rat Astrocytes

  • Chung, Il-Yup;Benveniste, Etty N.
    • BMB Reports
    • /
    • 제29권6호
    • /
    • pp.530-534
    • /
    • 1996
  • Astrocyte are the major glial cell type in the central nervous system (CNS), and analogous to macrophage, mediates the number of immune responses such as production of cytokines including tumor necrosis factor alpha ($TNF-{\alpha}$) upon activation. $TNF-{\alpha}$ has been implicated in neuroimmunological disorders through killing oligodendrocytes and thus causing demyelination. It has been previously demonstrated that mitogen-activated T cells synthesized a 26 kDa precursor form of $TNF-{\alpha}$ which is bound to the surface of a membrane, and is later secreted as a 17 kDa mature version. In order to examine whether astrocytes would produce the transmembrane form of $TNF-{\alpha}$, astrocytes were stimulated with biological stimuli and the membrane form of $TNF-{\alpha}$ was analyzed by Western blot and FACS analysis. When astrocytes are stimulated with lipopolysaccharide (LPS), $IFN-{\gamma}/LPS$, or $IFN-{\gamma}/IL-1{\beta}$, they were able to express a membrane-anchored $TNF-{\alpha}$ of approximately 26 kDa protein which was immunoreactive to an $anti-TNF-{\alpha}$ antibody, whereas unstimulated astrocytes or astrocytes treated with $IFN-{\gamma}$ or $IL-1{\beta}$ alone was not. Our FACS data were also consistent with the immunoblot analysis. Our result suggests that the membrane form of $TNF-{\alpha}$ expressed by activated astrocytes may cause local damage to oligodendrocytes by direct cell-cell contact and contribute to demyelination observed in multiple sclerosis (MS) and experimental allergic encephalomyelitis (EAE).

  • PDF

종양괴사인자-α -308과 -238 promoter 다형성과 만성 B형 간염 바이러스 감염 간의 연관성 결여 (Lack of Association between Tumor Necrosis Factor-α -308 and -238 Promoter Polymorphisms and Chronic Hepatitis B Virus Infection)

  • 장원희;양영일;이연재;전진호;예성수;석대현;김형인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9호
    • /
    • pp.1207-1211
    • /
    • 2008
  • Pro-inflammatory cytokine인 종양괴사인자-$\alpha$ (TNF-$\alpha$)는 B형 간염바이러스(HBV) 감염에 대한 면역반응의 중요한 매개인자이다. TNF-$\alpha$의 생산은 전사수준에서 주로 조절되며, TNF-$\alpha$ promoter 다형성은 TNF-$\alpha$ 유전자 발현을 변화시키기 때문에, TNF-$\alpha$ promoter 다형성이 만성 HBV 감염의 병태생리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TNF-$\alpha$ promoter 다형성과 만성 HBV 감염의 연관성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는 만성 HBV 감염환자 181명, HBV 감염이 자연적으로 치유된 201명, 그리고 건강한 대조군 17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TNF-$\alpha$ promoter의 -308G/A와 -238G/A 다형성은 PCR-RFLP법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환자군에서 -308과 -238 유전자형의 분포는 자연치유군 및 건강대조군에서의 분포와 통계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또한, 그룹 간에 allele frequency도 통계적 차이가 없었다(p>0.05).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한국인에서 TNF-$\alpha$ -308과 -238 promoter 다형성은 만성 B형 간염 바이러스 감염의 발생과 연관성이 없음을 시사한다.

백출추출물이 TNF-α 유도 지방세포염증과 인슐린저항성 회복에 미치는 영향 (Ameliorating Effects of Atractylodes macrocephala Koidzumi on TNF-α-induced 3T3-L1 Adipocyte Dysfunction)

  • 빈창현;송춘호
    •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 /
    • 제32권3호
    • /
    • pp.116-123
    • /
    • 2015
  • Objectives :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effects and molecular mechanisms of Atractylodes macrocephala Koidzumi extracts(AMK) on the improvement of adipocyte dysfunction induced by TNF-${\alpha}$ in 3T3-L1 adipocytes. We examined whether AMK could directly influence the inflammation and insulin resistance in 3T3-L1 adipocytes. Methods : Potential roles of AMK in the lipolysis, production of inflammatory adipokines and ROS, expression and phosphorylation of ERK, JNK, and $I{\kappa}B{\alpha}$ protein, and expression of $PPAR{\gamma}$ and C/EBP${\alpha}$ were investigated in this study. Results : Our data demonstrated that TNF-${\alpha}$ significantly increased lipolysis, levels of MCP-1, IL-6, and ROS and phosphorylation of ERK, JNK, and $I{\kappa}B{\alpha}$ protein, while TNF-${\alpha}$ reduced the expression of $PPAR{\gamma}$ and C/EBP${\alpha}$ in adipocytes, suggesting that TNF-${\alpha}$ induced a condition with the occurrence of inflammation and insulin resistance. Those alterations induced by TNF-${\alpha}$ were prevented by the treatment of AMK. AMK down-regulated the phosphorylation of ERK, JNK, and $I{\kappa}B{\alpha}$ protein and up-regulated the expression of $PPAR{\gamma}$ and C/EBP${\alpha}$ on TNF-${\alpha}$-induced inflammation and insulin resistance. Conclusions : Thus, our results indicate that AMK can be used to prevent from the TNF-${\alpha}$-induced adipocyte dysfunction through MAPK, $NF{\kappa}B$ and $PPAR{\gamma}$ pathways.

Retroviral vector를 이용한 종양괴사인자 (TNF-$\alpha$) 유전자 이입 암세포에서 종양괴사인자 수용체의 발현 (The TNF Receptor Expressions in Cancer Cells Transfected with TNF-$\alpha$ cDNA Using Retroviral Vector)

  • 이혁표;유철규;김영환;심영수;한성구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4권6호
    • /
    • pp.1271-1284
    • /
    • 1997
  • 연구배경 : 종양괴사인자(tumor necrosis factor ; TNF)는 다양한 생물학적 기능을 가지고 있는 바, 그 중 생체 외에서 증명된 뚜렷한 항암 효과로 말미암아 최근 항암 유전자요법의 중요한 대상으로 관심을 모으고 있다. 현재 유전자 이입의 기술적 문제로 생체 외에서 암세포에 유전자 이입을 시행한 후 이를 다시 환자의 생체내로 이식하는 방법이 연구의 주종을 이루고 있다. 그러나 저자들의 과거의 연구를 포함한 여러 연구에서 TNF가 이입된 암세포는 TNF에 대해 내성을 보이는 것으로 증명되었고 이에는 새로이 방어 단백질을 합성하는 것이 관여할 것이라는 시사가 있었다. 이 획득내성의 기전을 밝히는 것이 종양생물학의 이해를 넓히고 보다 효과적인 항암 유전자요법을 개발하기위한 매우 중요한 과제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