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chor node

검색결과 102건 처리시간 0.024초

F-HMIPv6 지원을 위한 보안 아키텍처 (A Study on Security Architecture for F-MIPv6)

  • 손상우;김문기;이병호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6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
    • /
    • pp.7-8
    • /
    • 2006
  • F-HMIPv6 is protocol that supports fast handovers for Hierarchical Mobile IPv6. Unlike HMIPv6 (Hierarchical Mobile IPv6), it sends FBU(Fast Binding Update) by predicted Router's Information for a potential handover. But, The current version of this protocol doesn't ensure impeccably between mobile node and router. To make up for the weak points of the security, we propose the architecture for F-HMIPv6 protocol to structurally reinforce the security and improve weak security of among mobile node, MAP(Mobility Anchor Point), and routers for binding update when mobile node conducts handovers.

  • PDF

Proxy Mobile IPv6 환경에서 Fuzzy Logic 을 이용한 Local Mobility Anchor 선택 기법 연구 (A Study on Local Mobility Anchor selection mechanism using Fuzzy Logic for Proxy Mobile IPv6)

  • 이중희;최진영;임헌정;이종혁;정태명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941-945
    • /
    • 2007
  • 이동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프로토콜 중 현재 가장 주목 받고 있는 Proxy Mobile IPv6 (PMIPv6)에서 Mobile Node (MN)는 Local Mobility Anchor (LMA)와 Mobile Access Gateway (MAG)의 지원으로 무선 접속을 위한 기능 이외의 추가적인 동작 과정 없이 이동성을 가질 수 있다. PMIPv6 에서의 LMA 는 MN 에게 이동 서비스를 지원함에 있어서 가장 중추적인 역할을 하기 때문에 어떤 LMA 가 MN 에게 서비스를 지원하느냐에 따라 이동 서비스의 질은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동 서비스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소인 LMA 와 MAG 사이의 통신 비용과 LMA가 이동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MN 의 수를 고려하여 Fuzzy Logic 을 이용한 LMA 선택 기법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기법은 다수의 LMA 를 제공하는 사업자에게 있어서 적당한 LMA를 선택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MN 에게 항상 양질의 이동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 PDF

UWB 및 MEMS IMU 복합 센서 기반의 위치 추적 시스템 (Position Tracking System Based on UWB and MEMS IMU)

  • 권성근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2권9호
    • /
    • pp.1011-1019
    • /
    • 2019
  • In this paper, we propose a system that can more precisely identify and monitor the position of the tool used in the assembling workplace such as automobile production. The proposed positioning monitoring system is a combination of UWB communication module and MEMS IMU sensor. Since UWB does not need modulation and demodulation function and has low power density, UWB is widely used in indoor positioning field. However, it may cause positioning error due to errors in RF transmission and reception process, which may cause positioning accuracy. Therefore, in this paper, we propose an algorithm that uses IMU as an auxiliary means to compensate for errors that may occur in positioning using only UWB. The tag and anchor of UWB module measure the transmission / reception time by transmitting signals to each other and then estimate the distance between tag and anchor. The MEMS IMU sensor serves to provide positioning calibration information. The tag, which is a mobile node and attached to a moving tool, measures the three-dimensional position of the tool and transfers the coordinate data to the anchor. Thus, it is possible to confirm whether or not the specific tool is properly used according to the prescribed regulations.

Proxy Mobile IPv6 환경에서 동적 페이징 지원을 위한 이동성 관리기법 (A New Mobility Management Scheme in Proxy Mobile IPv6 Networks with Dynamic Paging Support)

  • 이명규;김철중;박석천;양영규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4권9호
    • /
    • pp.1999-2007
    • /
    • 2010
  • Proxy Mobile IPv6(PMIPv6)는 이동 노드에게 이동성 관리 기능을 요구하지 않는 네트워크 기반의 이동성 관리 프로토콜이다. PMIPv6에서 Mobile Access Gateway(MAG)는 이동노드가 이동 할 때마다 원거리에 위치한 Local Mobility Anchor(LMA)에 위치등록을 수행해야 하며, 이러한 위치등록은 네트워크의 과도한 트래픽과 LMA 부하를 증가시키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PMIPv6 환경에서 동적 페이징 지원을 위한 이동성 관리기법을 제안하였다. 제안기법에서는 위치등록비용을 감소하기 위해서 페이징 기법을 적용하였으며, 페이징 영역의 크기는 이동노드의 이동 및 통신 패턴에 따라 동적으로 조정된다. 제안기법의 성능을 분석하기 위하여 유체유동(fluid flow) 모델을 이용한 비용 계산식을 구하였으며, 수학적인 비용 분석 결과를 통하여 제안기법이 PMIPv6보다 우수한 성능을 제공함을 알 수 있다.

센서 네트워크에서 모바일 앵커 노드(헬기)를 이용한 위치인식 알고리즘 (A Range-Free Localization Algorithm for Sensor Networks with a Helicopter-based Mobile Anchor Node)

  • 이병화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9권8호
    • /
    • pp.750-757
    • /
    • 2011
  • 센서 네트워크는 보통 넓은 지역에 조밀하게 센서 노드들이 분포되어 있는 형태로 구성된다. 이런 센서 노드들은 광활한 지역에 분포되는 관계로 초기에 헬기 등 기타 항공기를 이용해서 뿌려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각 센서 노드들은 특정 임무를 수행하며 획득된 정보를 자신의 위치 정보와 함께 최종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형태로 운용된다. 여기서 노드들의 위치 정보가 필요하다. 본 논문은 센서 네트워크에서 헬기의 비콘 신호를 이용하여 센서 노드 사이의 거리정보를 필요로 하지 않는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센서 노드들은 위치를 계산하기 위해 헬기가 보내주는 주기적인 비콘 신호를 수신한다. 비콘 신호를 메모리에 저장하고 있다가 조건에 만족하는 다른 비콘 신호가 수신되면 이를 통해 자신의 위치를 추측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기하학적 성질(현의 수직이등분)을 이용하였다. 기존에 존재하는 range-free 방식의 알고리즘과 비교 분석을 통해 제안하는 알고리즘의 정밀성을 입증하였다.

사물 인터넷 환경에서 Radical Line을 이용한 센서 노드간의 지역화방법 (The Method of Localization using Radical Line among Sensor Nodes under the Internet Of Things)

  • 신봉희;전혜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7호
    • /
    • pp.207-212
    • /
    • 2015
  • 사물 인터넷을 구성하는 센서 네트워크는 주변 환경의 여러 정보들을 효율적으로 수집하여 앵커 노드로 보내기 위해서 최적의 경로를 선택하여 센서 간의 통신비용 및 수명 연장을 위해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센서 네트워크에서 센서노드는 저전력, 저용량을 갖는 확장 장치이다. 이들 노드들 간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라우팅 방법을 위해 인접한 지역에 있는 앵커와 노드간의 연결은 적은 오류로 비교적 정확해야 한다. 이러한 지역화를 위한 기존의 방법 중 CA(Centroid Algorithm)는 자주 사용하는 방법이기는 하지만 오류가 자주 일어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오류 발생의 문제점을 최소화하기 위해 Radical Line을 기반으로 한 센서 노드 간에 range-free 지역화 방법을 제안한다.

Proxy Mobile Ipv6 네트워크에서의 적응적 경로 최적화 (Adaptive Route Optimization for Proxy Mobile IPv6 Networks)

  • 김민기;이수경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정보통신
    • /
    • 제36권3호
    • /
    • pp.204-211
    • /
    • 2009
  • Proxy Mobile IPv6(PMIPv6)은 이동노드를 대신하여 액세스 망에서 노드의 이동성을 지원하기 위한 네트워크-기반 이동성 관리 프로토콜이다. 기존의 PMIPv6 프로토콜에서는 이동 노드가 통신하고자 하는 상대 노드가 동일한 Mobile Access Gateway(MAG)내에 있더라도 데이터 패킷은 이동노드의 Local Mobility Anchor(LMA)를 통과하여 전송되기 때문에 패킷 전송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경로 최적화 기법이 제안되었다. 하지만, 기존의 경로 최적화기법들은 이동 노드가 핸드오버 할 때 마다 신호전송비용이 발생한다. 만약 이동노드가 빈번하게 핸드오버 하는 경우 신호전송비용이 높아진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LMA에서 MAG내 이동노드의 이동률 및 상대노드와 이동노드간의 패킷전송률을 고려하여 선택적으로 경로최적화를 수행할 수 있는 선택적 경로 최적화를 제시한다. 제안된 기법의 성능을 수식분석 및 모의실험을 통하여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제안된 기법이 기존의 경로최적화보다 우수한 성능을 제공함을 알 수 있었다.

HMIPv6의 중첩된 이동 네트워크에서 MAP의 캐시 정보를 이용한 명시적 경로 지정(Explicit Path Assignment) 알고리즘 (Explicit Path Assignment(EPA) Algorithm using the Cache Information of MAP in Nested Mobile Network of HMIPv6)

  • 송지영;김병기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정보통신
    • /
    • 제33권6호
    • /
    • pp.451-460
    • /
    • 2006
  • HMIPv6는 노드와 라우터의 이동성으로 중첩된 형태의 이동 네트워크가 형성될 수 있다. 중첩된 이동 네트워크에서는 여러 개의 서브넷이 존재하고 또 여러 개의 이동 라우터(MR)와 이동 노드(MN)가 활동한다. 중첩의 깊이가 커지면 패킷이 경유하는 이동 라우터의 수가 증가하고, 이로 인해 데이터의 전송지연이 커질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Mobility Anchor Point(MAP)의 바인딩 캐시 정보를 활용하여 MAP에서 목적지 이동 노드까지의 경로를 구하고, 그 경로 정보를 패킷의 헤더에 포함하여 처리하는 EPA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EPA 알고리즘을 적용하면 MAP 도메인내의 불필요한 패킷의 양을 줄일 수 있다. 또 중간 이동 라우터에서는 간단한 패킷 치환 작업만으로 패킷의 재전송을 지원할 수 있어 전송지연을 줄일 수 있다.

확장성과 비용을 고려한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위치 추정 기법 (Scalable and Low Cost Localization Method for Wireless Sensor Networks)

  • 최재영;권욱현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3년도 학술회의 논문집 정보 및 제어부문 A
    • /
    • pp.139-142
    • /
    • 2003
  • Location information of individual nodes is useful for routing and some other functions in wireless sensor networks. Each node can use GPS to know its position. However, the GPS service can not be practical to use due to cost efficiency, power, and computing capability. This paper proposes the localization method to make nodes know their location in case of a few nodes knows their position information. The proposed method is named as VALT (Virtual Anchor based Localization using Triangulation method). It uses the virtual anchor concept and calculates the location of individual nodes by means of the triangulation method. This method helps all nodes to determine their position with low cost and high scalability.

  • PDF

4대의 이동형 로봇을 활용한 센서 노드 위치확정 방법 (Sensor Node Localization Scheme using Four Mobile Robots)

  • 이우식;김남기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6권5A호
    • /
    • pp.521-528
    • /
    • 2011
  • 센서 네트워크 환경에서 센서 노드의 위치를 추정하는 일은 매우 중요하다. 센서 네트워크에서 GPS 신호 없이 노드의 위치 알아내기 위한 방법으로는 앵커 로봇을 활용하는 방법이 대표적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4대의 이동형 앵커 로봇을 활용하여 빠른 시간 안에 효율적으로 센서 노드의 위치를 확정하는 4-Robot Localization Scheme(4RLS)방법을 제안한다. 그리고 실제 구현과 분석을 통해 4RLS 기법이 3 대의 이동로봇을 활용하는 기존 방법에 비해 성능이 개선됨을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