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aplastic

검색결과 175건 처리시간 0.026초

갑상선 유두상암의 핵산분석 (Flow Cytometric DNA Analysis of Thyroid Papillary Carcinoma)

  • 주형로;정도광;우정수;최종욱;김인선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02-105
    • /
    • 1994
  • The indolent course of most thyroid papillary carcinomas, even the presence of regional lymph node metastasis, make them unique among human malignant head and neck cancers. Age, sex, extracapsular invasion and anaplastic change are known to be correlated with prognosi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significance of DNA content analysis as a prognostic factor. Twenty five thyroid papillary carcinomas were possible to be examined by flow cytometric analysis using fresh surgical specimens and three nodular hyperplasias and seven follicular adenomas were included as control group. The results were as follows: l) All of twenty five thyroid papillary carcinomas showed diploidy. 2) S-phase fraction was $1.94{\pm}2.77%$ in normal control group and $2.60{\pm}2.66%$ in papillary carcinoma group. The proliferation index was $8.44{\pm}3.89%$ in normal control and $7.70{\pm}3.63%$ in papillary carcinoma group with even low value. 3) Age, sex, extracapsular spread and lymph node metastasi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onclusion, low proliferative activity of thyroid papillary carcinomas are thought to be related with good prognosis.

  • PDF

Creating Subnetworks from Transcriptomic Data on Central Nervous System Diseases Informed by a Massive Transcriptomic Network

  • Feng, Yaping;Syrkin-Nikolau, Judith A.;Wurtele, Eve S.
    • Interdisciplinary Bio Central
    • /
    • 제5권1호
    • /
    • pp.1.1-1.8
    • /
    • 2013
  • High quality publicly-available transcriptomic data representing relationships in gene expression across a diverse set of biological conditions is used as a context network to explore transcriptomics of the CNS. The context network, 18367Hu-matrix, contains pairwise Pearson correlations for 22,215 human genes across18,637 human tissue samples1. To do this, we compute a network derived from biological samples from CNS cells and tissues, calculate clusters of co-expressed genes from this network, and compare the significance of these to clusters derived from the larger 18367Hu-matrix network. Sorting and visualization uses the publicly available software, MetaOmGraph (http://www.metnetdb.org/MetNet_MetaOm-Graph.htm). This identifies genes that characterize particular disease conditions. Specifically, differences in gene expression within and between two designations of glial cancer, astrocytoma and glioblastoma, are evaluated in the context of the broader network. Such gene groups, which we term outlier-networks, tease out abnormally expressed genes and the samples in which this expression occurs. This approach distinguishes 48 subnetworks of outlier genes associated with astrocytoma and glioblastoma. As a case study, we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the genes of a small astrocytoma-only subnetwork. This astrocytoma-only subnetwork consists of SVEP1, IGF1, CHRNA3, and SPAG6. All of these genes are highly coexpressed in a single sample of anaplastic astrocytoma tumor (grade III) and a sample of juvenile pilocytic astrocytoma. Three of these genes are also associated with nicotine. This data lead us to formulate a testable hypothesis that this astrocytoma outlier-network provides a link between some gliomas/astrocytomas and nicotine.

분화성 갑상선암의 방사성옥소 치료 (Radioiodine Therapy For Differentiatd Thyroid Cancer)

  • 홍성운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265-275
    • /
    • 2000
  • The thyroid gland is an interesting endocrine organ where a spectrum of tumors with different behavior arise. At one end of spectrum there is differentiated thyroid carcinoma (DTC) with excellent prognosis, whereas at the other end of the spectrum is anaplastic thyroid cancer which has universally poor outcome. Radioiodine (I-131) therapy has been in use for the treatment of thyroid diseases since 1946. It was introduced by Seidlin et al. 1) Although the use of I-131 has been vouge for a long time, its use in therapy for well differentiated thyroid cancer is still controversial 2). This is because, thyroid cancers (TC) are generally slow growing tumors, with low mortality and normal spans of survival. To record recurrence and mortality, long term follow up studies over a period of two to three decades are needed to establish definite conclusions on the acceptable mode of treatment The incidence of the disease being very low a large number of cases needed to establish a meaningful statistical data is lacking as most published reports feat with small series. Here again in the problem encountered are the differing protocols for treatment with I-131, the indications for treatment which may include or exclude ablation of residual thyroid tissue, cervical nodal and distal metastases. The dosage of I-131 used for ablation of residual thyroid tissue and metastatic disease also vary. The most reliable conclusion regarding I-131 treatment are obtained from studies reported on a large series of patients followed over a period of 2 decades or more from a single institute with a more or less unchanged protocol of management.

  • PDF

알렉티닙과 삼칠충초정을 병용하여 호전된 진행성 비소세포성 폐암환자 1례 (A Case Report of Advanced Non-Small Cell Lung Cancer Patient Treated with Samchilchoongcho-Jung in Conjunction with Alectinib)

  • 고명현;명지수;박소정;전형준;이연월;조종관;유화승
    • 대한암한의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9
    • /
    • 2019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port the clinical effectiveness of advanced non-small cell lung cancer (NSCLC) with Samchilchoongcho-Jung (HAD-B1) in conjunction with Alectinib. Methods: The patient was diagnosed with Anaplastic lymphoma kinase (ALK) mutated (2+) non-small cell lung cancer adenocarcinoma stage IV, suffering from edema of lower extremities, dyspnea, pleural effusion, general weakness, insomnia. The patient being treated with Alectinib was treated with Samchilchoongcho-Jung (HAD-B1) for disease control and symptom management. The clinical outcomes were measured by National Cancer Institute Common Terminology Criteria for Adverse Event (NCI-CTCAE), Numeral rating scale (NRS) and Eastern Cooperative Oncology Group (ECOG). Results: After treatment, dyspnea and edema of lower extremities was relieved from NRS 7 to 5, and 6 to 1 respectively. And ECOG score of the patient was improved from grade 3 to 2. During and after treatment, we didn't find any severe toxicities on laboratory findings. Conclusion: This case study suggests that Samchilchoongcho-Jung (HAD-B1) may improve symptom relief and life quality of NSCLC patient in conjunction with Alectinib.

비소세포폐암 환자에서 크리조티닙 치료 후 발생한 급속 파괴형 슬관절증 (Rapidly Destructive Arthrosis of Knee Following Treatment of Crizotinib in a Patient with Non-Small-Cell Lung Cancer)

  • 황진태;최재형;박철현;윤경재;이용택;도종걸
    • Clinical Pain
    • /
    • 제19권2호
    • /
    • pp.120-123
    • /
    • 2020
  • Rapidly destructive arthrosis is a rare syndrome characterized by narrowing of the joint space and rapid joint destruction within 6~12 months. A 62-year-old woman with anaplastic lymphoma kinase rearranged non-small-cell lung cancer presented with both knee pain and varus deformity. She was treated with crizotinib 500 mg/day for more than 2 years, with partial tumor response. Initial plain radiography showed Kellgren and Lawrence (K-L) grade 1. After 10 months, varus deformity was worsened and plain radiography aggravated to K-L grade 4 despite conservative treatment including activity modification. Diffuse synovitis with massive joint effusion and destruction of anterior cruciate ligament, medial meniscus, medial collateral ligament, and lateral collateral ligament were shown in magnetic resonance imaging. The patient was diagnosed with rapidly destructive arthrosis of knee and underwent a both total knee arthroplasty.

악성 성상세포종과 다형성 교아종 치료에 있어서 다분할 방사선 치료와 단순분할 방사선치료에 대한 성적비교 (Multiple Daily Fractionated RT for Malignant Glioma)

  • 양광모;장혜숙;안승도;최은경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2권2호
    • /
    • pp.151-158
    • /
    • 1994
  • 본 연구는 1989년 1월부터 악성성상세포종과 다형성 교아종에 대해 시행된 방사선 치료에 다분할 방사선 치료와 단순분할 방사선 치료와 단순분할 방사선 치료에 대한 효과를 비교하고 이들 뇌종양의 방사선치료후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확인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뇌간의 교종 환자를 제외한 전체 43명의 환자는 조직학적으로 악성성상세포종과 다형성교아종으로 확인되었고, 모두 방사선치료를 받았다. 환자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예후인자인 연령, 성별, 수행능력, 조직학적 형태, 종양의 절제정도에 따라 분류하였다. 정위적 조직 생검만 시행한 경우는 13명으로 다분할 방사선 치료군과 단순분할 방사선 치료군에서 각각 8명, 5명이었고 개두술에 의해 종양절제술을 받은 경우는 30명으로 다분할 방사선 치료군과 단순분할 방사선 치료군에서 각각 16명과 15명이었다. 조직학적 소견에 따라 악성성상세포종은 15명으로 다분할 방사선 치료군과 단순분할 방사선 치료군에서 각각 6명, 9명이었고 다형성교아종은 25명으로 다분할 방사선 치료군과 단순분할 방사선 치료군에서 각각 16명, 10명이었다. 수행 능력이 70이하인 경우는 8명으로 다분할 방사선 치료군과 단순분할 방사선 치료군에서 각각 4명이었으며 대부분이 수행능력 70이상이었다. 50세 이상인 경우 26명이었고 50세 이하인 경우가 18명이었다. 환자의 중앙연령은 52.5세이고, 범위는 2에서 78세였다. 방사선 치료는 1989년 1월부터 1991년 12월까지 단순분할 방사선이 19명의 환자에게 시행되었고 1992년 1월부터 1993년 1월까지 24명의 환자에서는 다분할 방사선 치료가 시행되었다. 단순분할 방사선치료는 종양부위에 하루 일회 1.8Gy씩 조사되어 7주에 걸쳐 총 63Gy가 조사되었다. 그리고 다분할 방사선 치료는 종양 부위에 1.6Gy씩 1일 6시간 간격으로 2회씩 조사하여 4주에 걸쳐 총 64Gy가 조사되었다. 중앙추적 관찰기간은 9개월이었고 범위는 7개월부터 4년이었다. 전체 환자의 중앙생존 기간은 9개월 이었고 단순분할 방사선 치료군과 다분할 방사선 치료군에서 각각 9개월, 10개월 다형성교아종파 악성성상 세포종에서 각각 10개월 9.5개월이었다. 방사선 조사방법에 따른 비교와 조직학적 형태에 따른 비교에서 의미있는 통계적 차이는 발견할 수 없었다. 컴퓨터 단층촬영이나 핵자기 공명촬영으로 추적 관찰이 가능했던 36명의 환자에서 질병의 상태를 평가하였으며 다분할 방사선 치료군에서 21명중 4명이 무병상태로 생존해 있었고 단순분할 방사선 치료군에서는 13명중 무병상태로 생존한 환자는 없었다. 20명의 환자에서 질병이 진행되거나 재발하였는데 이들중 8명은 방사선이 조사되지 않은 새로운 부위에서 재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으로 예후 인자로 알려진 연령, 수행능력, 조직학적 형태, 종양의 절제정도가 예후에 영향 미치는 지를 확인할 수 없었다. 본 연구에서 추적기간이 짧기 때문에 정확한 결론을 도출하기 어려우나 고등급 교종에서 다분할 방사선 치료 방법으로 1.6Gy씩 1일 2회로 총 64Gy 조사는 단순분할 방사선 치료방법에 의한 결과보다 더 나은 결과를 보여주지는 못하였다. 그러나 단순분할 방사선 치료와 비교해서 치료에 큰 장애 없이 치료기간을 약 3주 정도 단축시킬 수 있었다. 정확한 결론을 얻기위해 지속적인 추적관찰이 필요하며 치료결과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방사선 조사 방법에 있어서 총 방사선량, 1회 방사선 조사량의 조정을 고려한 연구가 필요하며 총 방사선량을 증가시키는 한 방법으로 다분할 방사선 치료와 감마 나이프나 침입형 근접치료를 병용하는 방법도 고려될 수 있겠다.

  • PDF

원발성 안와 림프종의 방사선치료 성적에 관한 후향적 분석 (Primary Orbital Lymphoma : A Retrospective Analysis of Results of Radiation Therapy)

  • 김수산;안승도;장혜숙;김경주;이상욱;최은경;김종훈;허주령;서철원;김성배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0권2호
    • /
    • pp.139-146
    • /
    • 2002
  • 목적 : 원발성 안와 림프종로 진단 받고 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치료 반응, 재발 양상, 생존률 및 치료 부작용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1년 2월부터 2001년 4월까지 서울중앙병원에서 원발성 안와 림프종으로 진단 받고 방사선치료를 받은 3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성별분포는 남자가 18명, 여자가 13명이었다. 연령은 3세에서 73세까지 분포하였으며 중앙값은 44세였다. 원발 부위는 결막이 9명, 안검이 12명, 안와가 10명이었다. 병리학적 소견은 MALT (low-grade B-cell lymphoma of mucosa-associated lymphoid tissue type) 림프종이 28명, diffuse large B-cell 림프종이 1명, anaplastic large cell 림프종이 1명이었으며 lymphoblastic 림프종이 1명이었다. Ann Arbor staging에 따른 병기 분포를 살펴보면 1기가 31명으로 전부를 차지하였으며 각각 비장, 신장, 골수와 맥락얼기(choroid plexus)에 병변이 있었던 환자 4명은 연구에서 제외하였다. 전체 환자 중, 양측 안와 침범이 있는 환자는 6명이었다. 방사선치료는 결막과 안검 부위는 $6\~16\;MeV$의 전자선을 이용하여 전방 1문 치료로 30 Gy/10 fractions을 조사하였고, 안와 부위는 4 MV, 6 MV의 광자선을 이용하여 쐐기를 이용한 전사방 2문 치료로 $20\~28$회에 걸쳐 총 $40\~50.4\;Gy$를 조사하였다. 특히 결막과 안검 부위는 수정체를 보호하기 위한 납차폐물이 사용되었다. 항암화학요법은 12명의 환자에서 시행되었다. 중앙 추적 관찰기간은 53개월이었다. 결과 : 전체 환자의 5년 생존율은 $90.7\%$이었으며, 2명이 질병과 무관하게 폐렴과 비소세포성 폐암으로 사망하여 질병관련(cause-specific) 5년 생존율은 $96.0\%$이었으며 5년 무병 생존율은 $80.0\%$, 5년 국소제어율은 $90.5\%$였다. 방사선치료를 받은 31명 모두가 치료 후 6개월 이내에 완전관해를 보여 완전관해율은 $100\%$였다. 이 중 국소 재발은 방사선치료 후 16개월과 18개월에 2명의 환자에서 보였고 구제 방사선치료 후 모두 완전관해를 보였다. 2명이 조사 영역 밖에서 재발하였고 lymphoblastic 림프종 환자가 방사선치료 후 18개월에 골수에서 재발하여 사망하였고 MALT 림프종 환자가 방사선치료 후 41개월에 폐에 재발하여 구제 방사선치료 후 완전관해를 보였다. 12명의 환자가 방사선치료 전에 항암화학요법을 받았으며 부분관해가 11명에서 나타났고 1명은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 방사선치료 당시 시력이 있었던 29명 중 5명에서 방사선유발 백내장이 발생하였으며 2명에서 안구건조증이 발생하였다. 결론 : 원발성 안와 림프종의 대부분이 MALT 림프종이었다. 방사선치료는 매우 좋은 치료 반응과 국소 제어율을 보였으며 높은 생존율을 보였다. 국소 재발한 경우에도 방사선치료가 구제치료의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대부분의 환자에서 심각한 후유증을 보이지 않는 안전한 치료로 생각된다.

Serum Carcinoembryonic Antigen Levels before Initial Treatment are Associated with EGFR Mutations and EML4-ALK Fusion Gene in Lung Adenocarcinoma Patients

  • Wang, Wen-Tao;Li, Yin;Ma, Jie;Chen, Xiao-Bing;Qin, Jian-Ju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9호
    • /
    • pp.3927-3932
    • /
    • 2014
  • Background: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EGFR) mutations and echinoderm microtubule associated protein like 4-anaplastic lymphoma kinase (EML4-ALK) define specific molecular subsets of lung adenocarcinomas with distinct clinical features. Our purpose was to analyze clinical features and prognostic value of EGFR gene mutations and the EML4-ALK fusion gene in lung adenocarcinoma. Patients and Methods: EGFR gene mutations and the EML4-ALK fusion gene were detected in 92 lung adenocarcinoma patients in China. Tumor marker levels before first treatment were measured by electrochemiluminescence immunoassay. Results: EGFR mutations were found in 40.2% (37/92) of lung adenocarcinoma patients, being identified at high frequencies in never-smokers (48.3% vs. 26.5% in smokers; P=0.040) and in patients with abnormal serum carcinoembryonic antigen (CEA) levels before the initial treatment (58.3% vs. 28.6%, P=0.004). Multivariate analysis revealed that a higher serum CEA level before the initial treatment was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EGFR gene mutations (95%CI: 1.476~11.343, P=0.007). We also identified 8 patients who harbored the EML4-ALK fusion gene (8.7%, 8/92). In concordance with previous reports, younger age was a clinical feature for these (P=0.008). Seven of the positive cases were never smokers, and no coexistence with EGFR mutation was discovered. In addition, the frequency of the EML4-ALK fusion gene among patients with a serum CEA concentration below 5ng/ml seemed to be higher than patients with a concentration over 5ng/ml (P=0.021).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for time to progression and overall survival between EML4-ALK-positive group and EML4-ALK-negative group or between patients with and without an EGFR mutation. Conclusions: The serum CEA level before the initial treatment may be helpful in screening population for EGFR mutations or EML4-ALK fusion gene presence in lung adenocarcinoma patients.

악성신경교 분화를 보이는 재발성 뇌실외 신경세포종 - 증례보고- (Recurrent Extraventricular Neurocytoma with Malignant Glial Differentiation - Case Report -)

  • 장인복;박세혁;황형식;김덕환;남은숙;조병문;신동익;오세문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30권4호
    • /
    • pp.522-527
    • /
    • 2001
  • 37세 남자 환자로 경련발작을 주소로 본원에 내원하였고, 조직검사상 뇌실외 신경세포종으로 진단 받았으며, 방사선 치료를 받고 퇴원하였다. 11년후 언어장애, 우측 편마비를 주소로 다시 내원 하였다. 뇌 전산화 단층촬영과 뇌 자기공명영상에서 좌측 두정엽과 측두엽에 종양 크기의 증가, 뇌부종 및 석회화가 동반된 소견을 보여 종양 절제술을 시행 받았다. 조직검사상에서 1987년 처음 입원 시에는 투명세포질을 가진 작은 원형세포와 원섬유가 풍부하고 가유두상 양상을 보이는 중심 신경세포종으로 진단되었다. 그러나, 1998년 두 번째 조직 검사상에서 대부분의 종양세포는 심한 이형성을 보이는 신경교세포로 구성되었으며, 유사분열, 다형성핵 등이 관찰되었고, 면역염색상 glial fibrillary acidic protein에서 양성을 보였다. 일부에서는 작고 둥근 세포들의 군집이 보였으며, synaptophysin에 양성을 보였다. 중심 신경세포종은 젊은 성인에서 호발하고 주로 측뇌실이나 제 3 뇌실의 몬로공 주위에서 발생하는 비교적 드문 종양으로, 신경교 분화를 보이는 경우는 있으나 악성분화를 보이는 경우와 뇌실외 발생은 드물다. 본 교실에서는 11년전 중심 신경세포 종으로 진단 받은 후 악성 신경교 분화를 보이는 뇌실외 신경세포종을 경험하였기에 보고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