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algesia

검색결과 640건 처리시간 0.04초

Evolution of Process and Outcome Measures during an Enhanced Recovery after Thoracic Surgery Program

  • Lee, Alex;Seyednejad, Nazgol;Lawati, Yaseen Al;Mattice, Amanda;Anstee, Caitlin;Legacy, Mark;Gilbert, Sebastien;Maziak, Donna E.;Sundaresan, Ramanadhan S.;Villeneuve, Patrick J.;Thompson, Calvin;Seely, Andrew J.E.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55권2호
    • /
    • pp.118-125
    • /
    • 2022
  • Background: A time course analysis was undertaken to evaluate how perioperative process-of-care and outcome measures evolved after implementation of an enhanced recovery after thoracic surgery (ERATS) program. Methods: Outcome and process-of-care measures were compared between patients undergoing major elective thoracic surgery during a 9-month pre-ERATS implementation period to those at 1-3, 4-6, and 7-9 months post-ERATS implementation. Outcome measures included length of stay, the 30-day readmission rate, 30-day emergency department visits, and minor and major adverse events. Process measures included first time to activity, out-of-bed, ambulation, fluid diet, diet as tolerated, as well as removal of the first and last chest tube, epidural, patient-controlled analgesia, and Foley and intravenous catheters. Results: In total, 704 patients (352 pre-ERATS, 352 post-ERATS) were included. Mobilization-related process measures, including time to first activity (16.5 vs. 6.8 hours, p<0.001), out-of-bed (17.6 vs. 8.9 hours, p<0.001), and ambulation (32.4 vs. 25.4 hours, p=0.04) saw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s by 1-3 months post-ERATS implementation compared to pre-ERATS. Time to Foley removal improved by 4-6 months post-ERATS (19.5 vs. 18.2 hours, p=0.003). Outcome measures, including the 30-day readmission rate and emergency department visits, steadily decreased post-ERATS. By 7-9 months post-ERATS, both minor (18.2% vs. 7.9%, p=0.009) and major (13.6% vs. 4.4%, p=0.007) adverse events demonstra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s. Length of stay trended towards improvement from 6.2 days pre-ERATS to 4.8 days by 7-9 months post-ERATS (p=0.06). Conclusion: The adoption of ERATS led to improvements in multiple process-of-care measures, which may collectively and gradually achieve optimization of clinical outcomes.

Effects of Scalp Nerve Block on the Quality of Recovery after Minicraniotomy for Clipping of Unruptured Intracranial Aneurysms :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 Seungeun Choi;Young Hoon Choi;Hoo Seung Lee;Kyong Won Shin;Yoon Jung Kim;Hee-Pyoung Park;Won-Sang Cho;Hyongmin Oh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66권6호
    • /
    • pp.652-663
    • /
    • 2023
  • Objective : This study compared the quality of recovery (QoR) after minicraniotomy for clipping of unruptured intracranial aneurysms (UIAs) between patients with and without scalp nerve block (SNB). Methods : Patie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SNB (SNB using ropivacaine with epinephrine, n=27) and control (SNB using normal saline, n=25) groups. SNB was performed at the end of surgery. To assess postoperative QoR, the QoR-40, a patient-reported questionnaire, was used. The QoR-40 scores were measured preoperatively, 1-3 days postoperatively, at hospital discharge, and 1 month postoperatively. Pain and intravenous patient-controlled analgesia (IV-PCA) consumption were evaluated 3, 6, 9, and 12 hours and 1-3 days postoperatively. Results : All QoR-40 scores, including those measured 1 day postoperatively (primary outcome measure; 155.0 [141.0-176.0] vs. 161.0 [140.5-179.5], p=0.464), did not significantly differ between the SNB and control groups. The SNB group had significantly less severe pain 3 (numeric rating scale [NRS]; 3.0 [2.0-4.0] vs. 5.0 [3.5-5.5], p=0.029), 9 (NRS; 3.0 [2.0-4.0] vs. 4.0 [3.0-5.0], p=0.048), and 12 (NRS; 3.0 [2.0-4.0] vs. 4.0 [3.0-5.0], p=0.035) hours postoperatively. The total amount of IV-PCA consumed was significantly less 3 hours postoperatively in the SNB group (2.0 [1.0-4.0] vs. 4.0 [2.0-5.0] mL, p=0.044). Conclusion : After minicraniotomy for clipping of UIAs, SNB reduced pain and IV-PCA consumption in the early postoperative period but did not improve the QoR-40 scores.

Efficacy of sucrose application in minimizing pain perception related to dental injection in children aged 3 to 9 years: a randomized control trial

  • Ishani Ratnaparkhi;Jasmin Winnier;Divya Shetty;Sanjana R. Kodical;Reema Manoj;Shilpa S Naik
    • Journal of Dental Anesthesia and Pain Medicine
    • /
    • 제24권2호
    • /
    • pp.109-117
    • /
    • 2024
  • Background: Dental fear and anxiety are significant challenges in managing behavior in children. Oral administration of sucrose or sweet-tasting solutions has shown effectiveness in reducing procedural pain in infants and neonate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whether pre-application of sucrose solution had an effect on minimizing pain perception during injection and to assess the potential impact of the child's age and sweet preference. Methods: A randomized control clinical trial was conducted on 60 children aged 3-9 years requiring buccal infiltration injections. Following parental consent, demographic data of the children were recorded. Sweet preferences was assessed using a modified forced-choice test. Children were equally and randomly allocated into study (sucrose) and control groups using a lottery method. Sucrose solution or distilled water, respectively, was applied to the lateral surface of the tongue for 2 min. Topical anesthetic was applied at the site of injection, followed by local anesthesia administration. The children rinsed their mouths thrice with water immediately after anesthetic injection. A video was recorded during injection which was then scored by three blinded examiners on the Sound Eye Motor (SEM) scale. The children also self-evaluated using Wong-Baker Faces Pain Rating Scale (WBFPS). Results: The mean SEM scores and WBFPS scores were analyzed using the Kruskall-Wallis test. The mean SEM score in the study group was 1.37 ± 0.61, compared to 3.17 ± 0.87 in the control group, showing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 < 0.001). Mean pain scores assessed by WBFPS in the study group were 0.60 ± 1.4, while in the control group, they were 6.27 ± 2.33, also showing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 < 0.001). Children with a sweet preference demonstrated a subjective reduction in pain perception. Conclusion: Application of sucrose before dental injections in children helps to minimize pain upon injection across all age groups.

곰팡이 Fusarium 속을 이용한 독활 뿌리 추출물로부터 디테르페노이드의 생물전환 (Biotransformation of Diterpenoids From Aralia continentalis Roots by the Genus Fusarium)

  • 문금옥;이설아;조은혜;이아름;차재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215-226
    • /
    • 2024
  • 독활 뿌리 추출물은 한국을 포함한 극동아시아 국가에 널리 분포하고 있다. 이 추출물은 한국에서 두통, 염증, 허리통증 및 치과질환 등 다양한 질환에 오랫동안 사용되어져 왔다. 활성물질은 에피-콘티넨탈산, 콘티넨탈산 그리고 카우레노산으로 동정되었다. 생체이용능을 향상시킨 디테르페노이드 유도체의 합성을 위해, Fusarium fujikuroi가 생물전환용 균주로 선발되었다. 생물전환을 통하여 16α-hydroxy-ent-kauran-2-on-19-oic acid 와 2β, 16α-dihydroxy-ent-kauran-19-oic acid의 두 가지 유도체가 얻어졌으며, 이들의 화학구조는 HPLC, MS 및 NMR 분석을 통해 확인되었다. 이러한 유도체들은 HPLC에서의 산물 유출시간과 구조적 특성을 통해 카우레노산에 비해 증가된 극성을 나타내었다. 인슐린 신호전달경로의 음성조절자인 PTP1B를 대상으로 한 항당뇨 활성을 평가한 결과, 4 ㎍/ml 농도에서 각각 30.8% 및 27.6%의 억제율을 나타냈으며, 두 유도체는 기존의 카우레노산 보다 18배 높은 IC50 값을 갖는 낮은 세포독성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F. fujikuroi에 의한 생물전환으로 인해 증가된 수용성과 감소된 독성을 갖는 두 카우레노산 유도체는 산업적 응용을 위한 유망한 후보물질로 평가된다.

Ginsenosides Attenuate Formalin-Induced Pains Through Spinal and Supraspinal Sites

  • Yoon, So-Rah;Park, Seok;Jung, Se-Yeon;Kim, Seok-Chang;Ko, Sung-Ryong;Nam, Ki-Yeul;Nah, Seung-Yeol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24권3호
    • /
    • pp.143-147
    • /
    • 2000
  • 앞의 연구에서 우리는 진세노사이드 Rc, Rd, Re 및 Rr를 복강내 전 처리할 경우 포르말린으로 유도된 통증을 억제하다는 것을 보고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진세노사이드가 어느 위치에서 항통증작용을 발휘하는가에 대하여서는 아직 알려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 진세노사이드를 뇌실내, 척수강내 혹은 피하내 전처리한 다음 포르밀린에 의하여 유도되는 통증이 어느 위치에서 억제되는가를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이들 진세노사이드는 척수강내 전처리할 경우 포르말린에 의하여 유도되는 통증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급성 통증 phase에서 ED$_{50}$는 Rc가 1.0 (0.SS~l.75mg/kg)이었고, Rd가 1.15 (0.6~2.25 mg/kg)이었고, Re가 8.9(3.9~20.5 mg/kg)이었다. 지속성 통증 phase에서 ED$_{50}$는 Rc가0.3 (0.1~0.85 mg/kg)이었고, Rd가 0.6 (0.35~l.1 mg/kg)이었고, Re가 2.45 (1.2s~4.65 mg/kg)이었고, Rf가 1.9(1.5~4.25 mg/kg)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뇌실내 전처리할 경우에도 이들 진세노사이드들은 포르말린에 의하여 유도되는 통증을 억제하였다. 급성통증 phase에서 ED$_{50}$는 Rc가 0.9 (0.55~l.4 mg/kg)이었고, Rd가0.9 (0.45~l.7 mg/kg)이었고, Re가 0.93 (0.Sol.75 mg/kg), Rf가1.85 (0.95~3.5 mg/kg)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속성 통증 phase에서는 ED$_{50}$는 Rc가 0.7 (0.45~l.05 mg/kg)이었고, Rd가 1.25(0.7~2.2 mg/kg)이었고, Re가 0.85 (0.45~l.6 mg/kg)이었고, H의 경우에는 0.8 (0.4~l.45 mg/kg) 이었다. 항통증 효능 potency는 두 가지 투여 경로에 있어서 Rc$\geq$Rd>Re>Rf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피하내 주사는 포르말린에 의하여 유도되는 통증을 억제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진세노사이드에 의한 항통증 작용은 척수 수준 및 척수위 수준에서 이루어진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보여주고 있다.

  • PDF

신생아에서 비약물적 통증조절을 위한 25% 경구 포도당과 인공 젖꼭지 사용의 효과 (Nonpharmacologic Pain Relief with Oral 25% Dextrose or/and Pacifier for Newborn Infants)

  • 김민경;김인아;정민희;한명기;박기영;김봉성;진현승
    • Neonatal Medicine
    • /
    • 제18권2호
    • /
    • pp.353-358
    • /
    • 2011
  • 목적: 건강한 신생아를 대상으로 B형 간염 예방접종 시 25% 경구 포도당과 인공젖꼭지의 진통효과를 알아보고자 전향적 부분적 무작위 임상실험을 시행하였다. 방법: 132명의 신생아를 대상으로, 출생 6시간 이후 B형 간염 예방접종을 근육 내 주사하여 비약물적 통증조절 방법을 비교하였다. 4가지 번호가 담긴 성별에 따라 구분된 상자를 통해 무작위 추첨으로 각 실험군을 정하였고, 주사 투여 2분 전에 증류수를 먹인 군을 대조군으로 25% 경구 포도당을 먹인 군(포도당 처치군), 주사 투여 전 2분 동안 인공젖꼭지만 물린 군(인공젖꼭지 처치군) 및 25% 경구 포도당을 인공젖꼭지에 묻혀 물린 군(포도당+인공젖꼭지 처치군)으로 총 4개의 군으로 구분하여 진행되었다. 모든 군에서 접종 전, 접종 시, 회복 시의 Neonatal Infant Pain Scale (NIPS), Neonatal Facial Coding System (NFCS), Premature Infant Pain Profile (PIPP) 점수를 구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산모와 대상아의 임상적 특징은 4개의 군 사이에 차이가 없었고, 대조군과 비교하여 포도당 처치군에서 NIPS 점수상 접종 시(6.4${\pm}$0.9 vs. 5.5${\pm}$1.7, P=0.01)와 회복 시(1.6${\pm}$2.0 vs. 0.6${\pm}$0.9, P=0.01), NFCS 점수상 회복 시(1.5${\pm}$2.3 vs. 0.7${\pm}$0.8, P=0.04)에 통증점수가 유의하게 낮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각 통증평가 점수상 통증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대상(NIPS점수${\geq}$ 4점, NFCS점수${\geq}$3점)의 숫자가 의미 있게 감소하였다(9명 (23.1%) vs. 0명(0%), P=0.04 via NIPS, 7명(17.9%) vs. 0명(0%), P=0.02 via NFCS). 반면 모든 군 사이 PIPP 점수 혹은 중등도 혹은 심한 통증 PIPP 점수 대상수(PIPP점수${\geq}$7점)의 비교에서는 통계상 의미가 없었다. 그러나 대조군과 비교하여 인공젖꼭지 처치군에서 오히려 NIPS와 NFCS 점수가 각각 회복 시 통계상 유의하게 증가하였고(1.6${\pm}$2.0 vs. 2.7${\pm}$2.6, P=0.003 via NIPS, 1.5${\pm}$2.3 vs. 2.9${\pm}$2.6, P=0.023 via NFCS), 포도당+인공젖꼭지 처치군에서는 통계상 유의하지 않았다. 결론: 25% 경구 포도당을 이용한 통증조절은 효과가 있어 보이나 인공젖꼭지 혹은 25% 포도당을 묻힌 인공젖꼭지의 경우에는 효과가 없었다. 저자들은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신생아의 비약물적 통증조절에 대한 추가적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Triptolide의 말초와 중추투여에 의한 흰 쥐의 안면부 통증경감효과 (Analgesic Effects of Triptolide via Peripheral and Central Administration in Rat Model of Inflammatory Orofacial Pain)

  • 김윤경;최자형;이현정;손유진;윤소영;이정화;이민경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424-429
    • /
    • 2015
  • 본 연구는 trtiptolide의 안면부 통증 조절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포르말린으로 유도된 실험동물의 안면부 통증모델에서 말초와 중추로 투여한 trtiptolide의 농도별 차이를 확인하였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먼저, 안면부 피하로 triptolide 투여 후 포르말린 주입군에서 포르말린 주입 후 11~45분에 발생하는 2차 통증행위반응은 25, $50{\mu}g/50{\mu}l$의 각 농도에 따라 $179.17{\pm}15.36$회, $114.33{\pm}16.65$회로 나타났고 $299.00{\pm}28.14$회로 나타난 포르말린 주입군과 비교시 통증행위반응이 유의하게 경감되었다. 시간의 경과에 따른 변화에서 $50{\mu}g/50{\mu}l$의 투여군에서 포르말린 주입 후 20분, 30분에 통증행위반응이 포르말린군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감소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안면부 피하로 투여한 triptolide는 포르말린으로 유도된 통증행위반응을 감소시킴으로써 안면부 통증조절효과를 나타내었다. 다음으로, 소뇌연수조 내로 triptolide 투여 후 포르말린 주군에서 2차 통증행위반응은 $1{\mu}g/10{\mu}l$$134.00{\pm}23.03$회로 나타났고, $289.50{\pm}44.30$회로 나타난 포르말린군과 비교 시 통증행위 반응이 경감되었다. 시간의 경과에 따른 변화에서, $1{\mu}g/10{\mu}l$의 triptolide 투여군에서 포르말린 주입 후 25~40분에 통증행위반응이 감소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소뇌연수조로 투여한 triptolide는 포르말린으로 유도된 통증행위반응을 감소시킴으로써 안면부 통증조절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는, triptolide는 구강 및 턱관절 등을 포함하는 안면부 통증 조절의 예방 및 치료에 있어 활용 가능한 천연대체 약물로 제시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관절경하 회전근 개 봉합술 후 다중 통증 조절법을 이용한 초기 통증 조절의 유용성 (Effectiveness of Multimodal Pain Control in Early Phase After Arthroscopic Rotator Cuff Repair)

  • 박창민;김종해;김석준;최창혁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5권1호
    • /
    • pp.1-7
    • /
    • 2012
  • 목적: 사각근간 상완 신경총 차단 하 회전근 개 복원술 후 다중 통증 조절법을 통한 초기통증 조절의 유용성을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회전근 개 전층 파열로 관절경 하 회전근 개 복원술을 시행한 80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전례에서 술 전 마취로 사각근간 상완 신경총 차단을 시행하였고 수술 후 견봉하 공간에 Bupivacaine 유치 도관을 통한 일회성 통증 조절만 시행한 A군 (Group A : Local analgesia group)과 유치 도관 주사에 추가하여 경구 약물로 아편양 제재, 아세트아미노펜-트라마돌 복합제, 선택적 COX2 억제제를 사용하는 다중 통증 조절법을 시행한 B군 (Group B : Multimodal control group)으로 나누어 비교하였다. 수술 당일 야간, 술 후 1, 2, 3일 및 술 후 2주의 주간과 야간의 통증 점수 (visual analogue scale, VAS), 입원 중 추가 투여한 ketolorac 주사의 횟수와 약물과 관련된 부작용에 대해 비교, 분석을 하였다. 결과: 수술 당일 야간, 술 후 1, 2, 3일, 술 후 2주의 주간 및 야간의 평균 VAS는 A군에서 각각 7.4점, 7점/6.8점 (주/야), 4.5점/5.2점, 4.8점/5.0점, 2.2점/2.7점 이었으며 B군에서 각각 6.5점, 4.3점/5.4점, 3.2점/4.3점, 3.0점/4.1점, 2.4점/2.5점으로 수술 당일 야간과 수술 후 1,2,3일의 주간통 및 술 후1일의 야간통에서 각각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p<0.05). A군과 B군의 하루 당 평균 ketolorac 투여 횟수는 각각1.1회, 0.5회였고 부작용의 차이는 없었다. 결론: 관절경적 회전근 개 복원술 후 다중 통증 조절법을 통한 초기 통증 조절은 효과적인 진통조절을 보여 환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방법으로 생각되었다.

상지(上肢) 외전위(外轉位)에서 시행(施行)한 쇄골상(鎖骨上) 상완신경총차단(上腕神經叢遮斷) (Supraclavicular Brachial Plexus block with Arm-Hyperabduction)

  • 임권;임화택;김동권;박오;김성열;오흥근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1권2호
    • /
    • pp.214-222
    • /
    • 1988
  • With the arm in hyperabduction, we have carried out 525 procedures of supraclavicular brachial plexus block from Aug. 1976 to June 1980, whereas block with the arm in adduction has been customarily performed by other authors. The anesthetic procedure is as follows: 1) The patient lies in the dorsal recumbent position without a pillow under his head or shoulder. His arm is hyperabducted more than a 90 degree angle from his side, and his head is turned to the side opposite from that to be blocked. 2) An "X" is marked at a point 1 cm above the mid clavicle, immediately lateral to the edge of the anterior scalene muscle, and on the palpable portion of the subclavian artery. The area is aseptically prepared and draped. 3) A 22 gauge 3.5cm needle attached to a syringe filled with 2% lidocaine (7~8mg/kg of body weight) and epineprine(1 : 200,000) is inserted caudally toward the second portion of the artery where it crosses the first rib and parallel with the lateral border of the muscle until a paresthesia is obtained. 4) Paresthesia is usually elicited while inserting the needle tip about 1~2 em in depth. If so, the local anesthetic solution is injected after careful aspiration. 5) If no paresthesia is elicited, the needle is withdrawn and redirected in an attempt to elicit paresthesia. 6) If, after several attempts, no paresthesia is obtained, the local anesthetic solution is injected into the perivascular sheath after confirming that the artery is not punctured. 7) Immediately after starting surgery, Valium is injected for sedation by the intravenous route in almost all cases. The age distribution of the cases was from 11 to 80 years. Sex distribution was 476 males and 49 females (Table 1). Operative procedures consisted of 103 open reductions, 114 skin grafts combined with spinal anesthesia in 14, 87 debridements, 75 repairs, i.e. tendon (41), nerve(32), and artery (2), 58 corrections of abnormalities, 27 amputations above the elbow (5), below the elbow (3) and fingers (17), 20 primary closures, 18 incisions and curettages, 2 replantations of cut fingers. respectively (Table 2). Paresthesia was obtained in all cases. Onset of analgesia occured within 5 minutes, starting in the deltoid region in almost all cases. Complete anesthesia of the entire arm appeared within 10 minutes but was delayed 15 to 20 minutes in 5 cases and failed in one case. Thus, our success rate was nearly 100%. The duration of anesthesia after a single injection ranged from $3\frac{1}{2}$ to $4\frac{1}{2}$, hours in 94% of the cases. The operative time ranged from 0.5 to 4 hours in 92.4% of the cases(Table 3). Repeat blocks were carried out in 33 cases when operative times which were more than 4 hours in 22 cases and the others were completed within 4 hours (Table 4). Two patients of the 33 cases, who received microvasular surgery were injected twice with 2% lidocaine 20 ml for a total of $13\frac{1}{2}$ hours. The 157 patients who received surgery on the forearms or hands had pneumatic tourniquets (250 torrs) applied without tourniquet pain. There was no pneumothorax, hematoma or phrenic nerve paralysis in any of the unilateral and 27 bilateral blocks, but there was hoarseness in two, Horner's syndrome in 11 and shivering in 7 cases. No general seizures or other side effects were observed. By 20ml of 60% urcgratin study, we confirm ed the position of the needle tip to be in a safer position when the arm is in hyperabduction than when it is in adduction. And also that the humoral head caused some obstraction of the distal flow of the dye, indicating that less local anesthetic solution would be needed for satisfactory anesthesia. (Fig. 3,4).

  • PDF

개에서 Tiletamine/Zolazepam, Xylazine-Tiletamine/Zolazepam과 Medetomidine-Tiletamine/Zolazepam의 마취효과 (Comparison of Tiletamine/Zolanzepam, Xylazine - Tiletamine/Zolazepam and Medetomidine-Tiletamine/Zolazepam Anesthesia in Dogs)

  • Kwon, Young-Sam;Jeong, Jae-Hoon;Jang, Kwang-Ho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33-41
    • /
    • 2003
  • 건강한 잡종견(4.16$\pm$0.65kg, mean$\pm$SD) 15두를 tiletamine/zolazepam(TZ) 투여군(대조군), xylazine-tiletamine/zolazepam(XTZ) 투여군 및 medetomidine -tiletamine/ zolazepam(MTZ) 투여군으로 구분하고 마취 효과와 심폐계 영향을 평가하였다. Atropine(0.03mg/kg, IM) 투여 10분 후 xylazine(1.1mg/kg IM) 또는 medetomidine(30ug/kg, IM)투여 10분 후 xylazine(1.1mg/kg IM) 또는 medetomidine (30mg/kg IM)을 투여하였으며, atropine투여 20분 후에 TZ(10mg/kg IV)를 해당 실험군에 투여하였다. Pedal reflex와 ear pinching test 시 TZ군과 비교하여 XTZ군과 MTZ군에서 통증반응의 소실이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다.(P<0.05) TZ 투여 직후부터 실험견이 머리를 들기까지 걸리는 평균시간과 실험견이 흉와 자세를 유지하기까지 걸리는 평균 시간, 실험견이 완전히 걸을 수 있을 때까지의 소요시간 역시 TZ군에 비해 XTZ군과 MTZ군에서 유의적인 증가를 나타내었다. (P<0.01) 본 실험에 사용된 모든 실험견은 회복기에 머리를 심하게 흔들고, 과도한 유연을 나타내었다. 체온은 전 실험군에서 점차 감소하였으나, 유의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대조군에서 심박수는 TZ투여 후 10분과 20분에서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으며, XTZ군에서는 유의성 있는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호흡수는 XTZ군과 MTZ군에서 xylazine 또는 medetomidine투여 후 10분, TZ 투여 후 10, 20, 40분에 유의성 있는 감소가 나타났다. 대조군에서는 TZ 투여 10분 후의 이완기 혈압, 20분후의 수축기 혈압, 그리고 10분과 20분 후의 평균혈압이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P<0.05) XTZ군에서는 모든 혈압이 TZ투여 후 20분과 40분에서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 (P<0.05) 본 실험 결과, XTZ와 MTZ의 병용은 개에서 강한 진통작용과 긴 마취시간을 필요로 하는 외과 처치시 유용한 마취조합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