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mino acid solution

검색결과 343건 처리시간 0.034초

Bacillus sp. CW-1121이 생성하는 단백 분해 효소를 이용한 참깨박 단백질의 용출 (Extraction of protein from defatted sesame meal using the enzyme from Bacillus sp. CW-1121)

  • 최청;천성숙;조영제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6권2호
    • /
    • pp.121-126
    • /
    • 1993
  • 참깨박에 함유되어 있는 불용성 형태의 단백질을 가용성 형태의 단백질로 용출시키기 위하여 Bacillus sp. CW-1121이 생성하는 효소를 작용시켰다. 이때 참깨박의 단백질 용출을 위한 최적 pH는 7.5였으며, 최적 온도는 $40^{\circ}C$였고 최적 조건하에서 2시간의 소화로 약 60%의 용해도를 보였다. 단백질의 용해도는 참깨 단백질이 pH4.5에서 가장 낮아 등전점을 보였고, pH3.0과 pH6.0 이상에서는 크게 증가하였다. 효소처리 참깨박 단백질을 전기영동한 결과 수용성 단백질은 4개, 염용성 단백질은 2개의 밴드가 관찰되었다. 분리 단백의 아미노산 조성은 수용성 단백질의 경우 serine이 17.24 mg/g, 염용성 단백질은 glutamic acid가 10.77 mg/g, 유리아미노산은 glutamic acid가 6.55 mg/g으로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특히 필수아미노산의 조성도 상당히 좋은 편이었다.

  • PDF

참깨박(粕) 단백질(蛋白質)의 분리(分離)와 조성(組成) (Separation and Composition of Sesame Meal Protein)

  • 김준평;심우만;김종익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3권1호
    • /
    • pp.14-22
    • /
    • 1980
  • 흰참깨에 20.5%, 검정참깨에 19.20%, 참박(粕)깨에 44.7%의 조단백질이 함유되어 있다. n-hexane을 용매로하여 지방을 추출한 것이 수율이 가장 높았다. 조단백질의 분리에 있어서 pH가 알칼리성으로 갈수록 수율이 좋았다. 참깨의 globulin은 70.9%이었고 prolamin는 1.6%였다. 전(全)참깨의 아미노산으로는 glutamic acid가 17.1%로 가장 많았고 globulin의 아미노산으로는 glutamic-acid 14.6%이었고 필수 아미노산도 다량 고루 함유되어 있었다. 흰참깨와 검정참깨의 albumin 및 globulin의 단백질은 Disc gel 전기영동상에서 각각 $12{\sim}13$개 그리고 2개의 band로 나타났다. 참깨박(粕) 단백질의 주단백질인 globulin의 Sephadex G-100 및 G-200 column 분리하고 이를 disc gel 전기영동으로 검색하였다.

  • PDF

Gas-liquid chromatography에 의한 한국(韓國) 주요식품(主要食品)의 아미노산(酸) 함량측정(含量測定) (Gas-Liquid Chromatographic Determination of Amino Acids in Some Korean Foods)

  • 박양자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2권
    • /
    • pp.43-51
    • /
    • 1969
  • 우리나라 주요 식품들의 단백질 아미노산 함량을 최근에 와서 크게 실용화되고 있는 GLC 방법에 의해 분석함에 있어서 GLC의 기술적 재평가를 하고자 시험 하였든바 1. 우선 여러식품들의 단백질 질소함량을 조사하여 GLC 분석에 필요한 시료량을 정하였으며 2. GLC에 주입한 17종 아미노산들이 대하여 조사한 결과 Arginine, Cystine, Histidine, Tyrosine을 제외한 13종만이 주입한 량에 비례하여 detector response 를 얻었다. 3. 13종 아미노산에 대한 RMR 치(値)를 얻었다. 4. 아미노산에 대한 recovery 검정(檢定)을 하였든바 거의 100% 가까이 recover되었으며, 가수분해가 recovery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든바 별 영향이 없었음을 알았다. 5. GLC와 ion-exchange chromatography 분석법을 비교시험하였든바 백어포 시료에 있어서는 Threonine과 Asparagine만이 두 방법에서 거의 같게 나왔고 다른 아미노산들은 GLC에서 보다 많은량이 나타났다. 6. 각식품들에 대한 단백질 아미노산함량을 측정하였든바 식품종류에 따라 그리고 보리 및 대두에 있어서는 품종에 따라서도 아미노산 함량이 다르게 나타났다.

  • PDF

김치의 맛 성분(成分)에 관(關)한 연구(硏究) -유리(遊離) 아미노산(酸)에 관(關)하여 - (A Study on Flavorous Taste Components in Kimchis -On Free Amino Acids-)

  • 조영;이혜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26-31
    • /
    • 1979
  • 김치의 지미성분(旨味成分)에 관해서 분석(分析)하고 멸치젓갈을 첨가(添加)한 경우와 첨가(添加)하지 않은 경우의 차이(差異)를 비교(比較)해 보았다. 김치를 날김치, 숙성(熟成)시킨 김치, 멸치젓갈 10 ml/100 g of cabbage 첨가(添加)하여 숙성(熟成)시킨 김치, 멸치젓갈 15 ml/100 g of cabbage 첨가(添加)하여 숙성(熟成)시킨 김치, 4가지로 구분(區分)하고 Beckman model 116 amino acid autoanalyzer에 의(依)해 유리(遊離)아미노산(酸)을 분석(分析)하였으며 아울러 유리당(遊離糖遊)의 정량(定量)도 병행(竝行)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모든 종류(種類)의 김치로부터 lysine, histidine, arginine, tryptophan, aspartic acid, threonine, serine, glutamic acid, proline, glycine, alanine, cysteine, valine, methionine, leucine, isoleucine, tyrosine, phenylalanine 등(等) 18가지 유리(遊離)아미노산(酸)을 동정(同定)하였는데 각(各)김치에 있어서 각(各) 아미노산(酸)의 함량(含量) 또는 전(全) 아미노산(酸)의 총량(總量)에 차이(差異)는 있었으나 아미노산(酸) 조성(組成)에는 차이(差異)가 없었다. (2) 숙성(熟成)된 김치에서는 날김치에 비(比)해 전(全) 유리(遊離)아미노산(酸)의 총량(總量)이 감소(減少)하였고 glutamic acid, alanine, threonine & serine, arginine 등(等)의 아미노산(酸)의 감소(減少) 경향(傾向)이 더 현저 하였다. (3) 숙성(熟成)된 김치의 주요 유리(遊離)아미노산(酸)은 glutamic acid, arginine, lysine, aspartic acid, alanine 등(等)이다. (4) 10%(주재료(主材料) 무게의) 멸치젓갈을 첨가(添加)하여 발효(醱酵)시킨 김치의 유리(遊離)아미노산(酸) 함량(含量)은 소금김치에 비(比)해 현저하게 많았으며 특히 lysine, aspartic acid, glutamic acid, valine, methionine, isoleucine, leucine 등(等)이 많아서 김치의 맛을 더 좋게 하는 것 같다. (5) 날김치의 경우 유리당(遊離糖)의 함량(含量)이 많았으나 숙성(熟成)되면 감소(減少)하였고 숙성(熟成)된 다음에는 소금김치나 멸치 젓갈을 첨가(添加)한 김치나 간(間)에 주목(注目)할만한 유리당(遊離糖) 양(量)의 차이(差異)를 발견(發見)할 수 없었다.

  • PDF

Design and Synthesis of Metallopeptide Sensors: Tuning Selectivity with Ligand Variation

  • Kim, Joung-Min;Joshi, Bishnu Prasad;Lee, Keun-Hyeung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1권9호
    • /
    • pp.2537-2541
    • /
    • 2010
  • We chose a fluorescent pentapeptide sensor (-CPGHE) containing a dansyl fluorophore as a model peptide and investigated whether the selectivity and sensitivity of the peptides for heavy and transition metal ions could be tuned by changing amino acid sequence. In this process, we developed a selective peptide sensor, Cp1-d (-HHPGE, $K_d\;=\;670\;nM$) for detection of $Zn^{2+}$ in 100% aqueous solution and a selective and sensitive peptide sensor, Cp1-e (-CCHPGE, $K_d\;=\;24\;nM$) for detection of $Cd^{2+}$ in 100% aqueous solution. Overall results indicate that the selectivity and sensitivity of the metallopeptide sensors to specific heavy and transition metal ions can be tuned by changing amino acid sequence.

아미노산 곁사슬 치환 폴리아스팔트산계 생분해성 고흡수성 젤의 제조와 물성 (Preparation and Properties of Biodegradable Superabsorbent Gels Based on Poly(aspartic acid)s with Amino Acid Pendants)

  • 손창모;전영실;김지흥
    • 폴리머
    • /
    • 제35권6호
    • /
    • pp.558-564
    • /
    • 2011
  • 생체적합하고 생분해성을 갖는 폴리아미노산의 하나인 폴리아스팔트산은 팹타이드 결합으로 이루어진 수용성 합성고분자로서 의료용 소재 및 다양한 응용분야의 연구가 흥미있게 진행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아미노산인 GABA(${\gamma}$-aminobutylic acid)와 ${\beta}$-alanine을 곁사슬에 도입한 폴리아스팔트산 유도체 고분자를 제조하고, 이들을 서로 다른 함량의 ethylene glycol diglycidyl ether(EGDE)를 사용하여 가교시켜 고흡수성 하이드로젤을 제조하였다. 각 하이드로젤에 대해 증류수와 PBS 용액에서 기본적인 팽윤물성, 젤의 가수분해 거동과 모폴로지를 조사하였다. 제조한 하이드로젤은 수용액에서 pH와 염(salt) 농도에 의존하는 민감성 팽윤거동을 보였으며, 또한 비교적 빠른 가수분해 거동을 나타내었다.

The Effect of Mixed Amino Acids on Nitrate Uptake and Nitrate Assimilation in Leafy Radish

  • Liu, Xing-Quan;Kim, Young-Sun;Lee, Kyu-Seung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45-252
    • /
    • 2005
  •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work was to determine the corresponding uptake and assimilation of ${NO_3}^-$ in roots and shoots of leafy radish by applying of mixed amino acids (MAA). The amino acids used in this experiment were alanine (Ala), ${\beta}-alanine\;({\beta}-Ala)$, aspartic acid (Asp), asparagines (Asn), glutamic acid (Glu), glutamine (Gln), and glycine (Gly). Leafy radish was grown by conventional fertilization with macro- and micronutrients under controlled conditions. The 15-day-old seedlings were treated 0, 0.3 and 3.0 mM of MAA containing 5 mM ${NO_3}^-$ in growth medium. Nitrate uptake was determined by following ${NO_3}^-$ depletion from the uptake solution. The activity of the enzymes related to the process of ${NO_3}^-$ reduction (NR: nitrate reductase; NiR: nitrite reductase; GS: glutamine synthetase) and the content of ${NO_2}^-\;and\;{ND_3}^-$ were analyzed in shoots and roo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NO_3}^-$ uptake was inhibited 38% with treatment of 0.3 mM of MAA. However, there was more than three times increase of N03- uptake in 3.0 mM MAA. In addition, the enzymatic activities were positively affected by the high MAA rate. Finally, the ${NO_3}^-$ content was increased slightly both in shoots and roots of leafy radish by MAA treatments.

견 피브로인의 알칼리 가수분해 (Hydrolysis of Silk Fibroin on Alkali Conditions)

  • 김남정;배도규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97-202
    • /
    • 1997
  • To hydrolyze silk fibroin was treated with NaOH solution on various concentrations and times. And it was examined that the addition effects of NaHSO3 solution on the solubility and colouring of silk fibroin. As obtained results are as follows; The more increasement of concentration and time of NaOH treatment, the more increasement of solubility but solubility was slight above 3% concentration of NaOH. Fibroin yield was decreased above 3% concentration. This was due to formation of peptide or amino acids below molecular weight 3,000. Most of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came out to be under 3,000 in 2% concentration and 4hrs of NaOH treatment. The more increasement of adding concentration and 4hrs of NaOH treatment. The more increasement of adding concentration of NaHSO3, the more reduction of solubility but white index of powder increased. In the results of FT-IR spectras of silk fibroin powder obtained by various concentrations of NaHSO3 treatment, the absorbent peak at 3,400 cm-1 which was considered as -CH=N- (azomethine) was disappeared by the more addition of NaHSO3. It showed that absorbent peak of $\beta$-fibroin moved into low temperature region and transferred to $\alpha$- and random coil structure through the DSC experiment. In the results of amino acid analysis, alkali hydrolysis reduced the oxy amino contents acid like serine and tyrosine, but increased the glycine content by the more addition of NaHSO3.

  • PDF

양식미역의 품질요인과 그 가공 (FACTORS INVOLVED IN THE QUALITY RETENTION OF CULTURED UNDARIA PINNATIFIDA)

  • 변재형;박영호;이강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25-135
    • /
    • 1977
  • Recently, culture of Undaria pinnatifida, one of the representative esculent sea weed, has been prevailing in tile east and south coasta of Korea and reached the mass culture stage. In this study, compositional quality factors for food were studied and the contributory effects of blanching and pigment fixatives in the quality retention of cultured Undaria pinnatifida are discussed. When the place and time of harvesting were the same, cultured pinnatifida showed scarce difference in the chemical composition comparing to tile naturally grown Undaria pinnatifida, but cultured Undaria pinnatifida shelved a considerable difference depending upon the cultured places. In the chemical composition of Undaria pinnatifida, the alginic acid comprising about $40\%$ of the whole solid materials seemed to be responsible for the compositional puality. The chlorophyll and carotenoid content of the clutured Unaria pinnatifida were considerably lower than that of the naturally grown Undaria pinnatifida and wass inferior in puality by color to the naturally grown one. Dried Undaria pinnatifida contained a considerable amount of amino-N, mannitol, and soluble minerals and it is considered that these components play a great role in the relish effects. It could also be evaluated as a good albuminous source for food science the dried pinnatifida contains about $18\%$ of crude protein. In the analysis of free amino acid composition of dried Undaria pinnatifida, the naturally growm samples showed so what higher levels in all amino acid content than the cultured samples. The contents of theronine, alanine, and glutamic acid were major in quantity wherease histidine cysteine, tyrosine, and phenylalanine were minor. The contents of such amino acids like serine and proline were particularly low or undetectable. The results of amino acid analysis of the acid hydrolysates of dried Undaria pinnatifida in quantity of individual amino acid showed te same pattern as that of free amino acid. It is noticed that Undaria pinnatifida seemed to contain good quality protein since the contents of essential amino acids were considerably higher and uniform. By blanching the fresh sample, the water soluble components brought about cousiderable loss, and, particularly, it was noteworthy that both mannitol and soluble minerals apparently decreased. In the pigment analysis of the dried sample, blanching was effective to retain chlorophyll and carotenoid. The addition of pigment fixatives in blanching solution such as Ca-gluconate, Ca-carbonate, and Ca-hydroxide did not exhibit much effect on the pigment retention except that Ca-carbonate shelved some effect only in the early stage of storage.

  • PDF

감 (Diospyros kaki, Thumb) 잎차의 화학 성분 (The Chemical Composition of Persimmon (Diospyros kaki, Thumb) Leaf Tea)

  • 성낙주;정선영;이수정;조종수;강신권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720-726
    • /
    • 1995
  • 녹차와 더불어 시판되고 있는 감잎차의 제조방법을 기존 제차공정과 달리할 경우 차의 성분에 어떤 영향을 미치며 또 이들 성분과 품질과의 상관관계를 밝히는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감잎차의 제조 방법을 달리하여 카페인, 탄닌, 비타민 C, 핵산관련 물질, 유리당 및 구성 아미노산을 분석 비교하였다. 차엽의 수분은 6.9~7.0%, 회분은 8.3~9.0%, 조지방은 6.1~6.9%였다. 전질소의 함량은 3.4~4.8%, 차엽의 카페인 함량은 $178.4~209.8{\mu}mol/g$, 탄닌 함량은 29.1~38.5%, 비타민 C는 325.3~2084.7mg%로서 RHT가 2084.7mg%로 그 함량이 월등히 높았다. 찻물의 경우 카페인의 함량이 $101.5~130.1{\mu}mol/g$, 탄닌의 함량이 15.4~25.9mg%였으며, 비타민 C는 111.0~1274.3mg%로 차엽과 마찬가지로 RHT에서 1274.3mg%으로 다른 차에 비해 아주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찻물의 용출율은 51.1%였다. 차엽의 구성 아미노산은 glutamic acid, aspartic acid, leucine 및 phenylalanine순으로 그 함량이 높았고, 이들 4종이 아미노산이 총 아미노산에 대하여 SHT는 39.8%, DHT는 38.8%, RHT는 39.1%였으며, 이중에서도 특히 함량이 높은 것은 glutamic acid(10.9~12.9 mg%)였다. 찻물의 구성아미노산의 함량은 차엽과 마찬가지로 glutamic acid가 가장 높았고, 다음이 proline, histidine 및 arginine 순이었다. 핵산관련 물질(CMP, IMP, AMP, UMP, GMP, hypox-anthine)의 함량은 생엽 $119.2{\mu}mol/100g$, 차엽 및 찻물 모두에서 CMP의 함량이 많았다. 차엽 중에서 CMP 다음으로 함량이 높은 것을 보면 SHT에서는 GMP, DHT는 AMP, RHT는 UMP였으며, 찻물의 경우도 역시 차엽과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유리당의 함량은 생엽의 경우 sucrose의 함량이 $85.2{\mu}mol/100g$으로 가장 높았고, SHT, DHT 및 RHT에서 모두 fructose의 함량이 높았으며, 찻물 역시 차엽과 마찬가지로 sucrose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