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mbrosia

검색결과 201건 처리시간 0.035초

지리산 동부지역의 관속식물상 -거림계곡, 백무동계곡, 한신계곡, 중산리계곡을 중심으로- (Vascular Plants of East Area in Girisan -Areas in Georim Valley, Baekmudong Valley, Hanshin Valley, Jungsanri Valley-)

  • 김용식;오현경;고명희;변무섭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415-436
    • /
    • 2004
  • 지리산 동부지역 중 거림계곡, 백무동계곡, 한신계곡, 중산리계곡. 세석평전, 천왕봉일대 등 6구간의 관속식물상을 조사한 곁과 89과 260속 404종 66변종 8품종 1교잡종 총 479종류(Taxa)로 조사되었다. 또한 지리산 지역에서 자라는 한국특산식물, 산림청$.$임업연구원(1997)과 환경부(2001)의 특정식물종, 조림종과 재배종을 포함한 귀화식물종을 조사한 결과 한국특산식물은 지리산고사리, 구상나무, 좀고채목 등 총 26종류, 특정식물종은 자주솜대, 금강애기나리, 누른종덩굴 등 총 15종류, 귀화식물종은 달맞이꽃, 돼지풀, 지느러미엉겅퀴 등 총 17종류가 확인되었다. 특히 특정식물종은 등산로 주변에서 출현 빈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환경부에서 위해식물로 지정된 돼지풀이 전구간에서 많은 개체가 자라고 있었다.

수 종의 한국자생식물과 귀화식물 추출액이 토양미생물에 미치는 항균활성 (Antimicrobial Activities of Extracts from Several Native and Exotic Plants in Korea)

  • 김용옥;이은주;이호준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3권5호
    • /
    • pp.353-357
    • /
    • 2000
  • 수 종의 한국자생식물과 귀화식물의 서식지 토양 pH를 측정한 결과 자생식물의 토양 pH범위는 5.33∼7.20인 반면 귀화식물의 토양 pH는 3.95∼6.10으로 자생종에 비하여 귀화종의 토양 pH가 낮았다. 자생식물과 귀화식물의 에탄올 추출액이 토양미생물인 Bacillus sphiaericus 2362, Bacillus thuringiensis var. subtilis, Bacillus thuringiensis var. cereus, Actinomycetes에 미치는 항균활성 은 자생식물보다 귀화식물이 전반적으로 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돼지풀의 추출액은 4개의 균주 모두에서 항균활성이 크게 나타났고 특히 방선균에서 clear zone 이 48mm로 가장 크게 형성되었다. 8종류의 phenolic compound와 benzoic acid의 항균활성은 caffeic acid가 각 균주 에서 clear zone을 가장 크게 형성하였고 다음은 benzoic acid, ρ-coumaric acid의 순이였다. 즉 방선균에 대한 돼지풀의 항균활성은 phenolic compound들 간의 상승효과에 의하여 형성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식물상 자료에 기초한 한반도 도서 지역의 생태계 교란 외래식물 분포 (Distribution of invasive alien plants on the islands of the Korean Peninsula based on flora data)

  • 김현희;미즈노 카즈하루;김다빈;이호상;공우석
    • 환경생물
    • /
    • 제38권3호
    • /
    • pp.392-403
    • /
    • 2020
  • This study analyzed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invasive alien plants on the islands of the Korean Peninsula. Ten species, Rumex acetosella, Sicyos angulatus, Solanum carolinense, Ambrosia artemisiaefolia var. elatior, Ambrosia trifida, Aster pilosus, Eupatorium rugosum, Hypochaeris radicata, Lactuca scariola, and Paspalum distichum were present on 68 islands. These ecosystem-disturbing invasive alien plants appeared extensively on the islands of Gyeonggi province and Jeollanam province. The proportion of the plants on the inhabited islands (41 places, 2.15 species on average) was higher than that on the uninhabited islands (27 places, 1.07 species on average). This means that the distribution of invasive alien plants was closely related to human activity. The distribution of Ambrosia artemisiaefolia var. elatior(32 islands) and Rumex acetosella (31 islands) was the widest, and there were distinct distribution differences according to species. In the island area, the physical environment is poor compared to the mainland, and the native space is limited. Therefore, when invasive alien species enter and settle on the island, the native island plants can be damaged more than those on the mainland. In this regard, the discussion of the distribution of invasive alien plants in the island region can contribute to the conservation of biodiversity in the region.

인공호 호소사면 나대지의 식물분포 특성과 녹화를 위한 식물 종 선정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of Vascular Plants and Plants Selection for Revegetation in Bare Ground of Lakeside in Artificial Lakes)

  • 천경식;김경아;서원복;장진환;유기억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24-41
    • /
    • 2010
  •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of vascular plants and plants selection for revegetation in bare ground of lakeside was investigated in nine artificial lakes. The vascular plants were composed of 64 families, 194 genera, 268 species, 3 subspecies, 30 varieties, 3 forma, totaling 304 taxa. Dominant species of nine investigated areas were represented as Ambrosia trifida, Calystegia hederacea, Matricaria matricariodes, Xanthium italicum. Dominant species of three parts based on the location of artificial lakes were as follows:Ambrosia trifida, Bidens tripartita, Calystegia hederacea, Equisetum arvense, Setaria viridis, Spergula arvensis, Torilis japonica in northern part (Lake Paro and Soyang); Calystegia hederacea, Matricaria matricariodes, Rumex crispus, Xanthium italicum in middle part (Lake Chungju, Daecheong, Andong and Imha); and Ambrosia artemisiifolia, Bidens frondosa, Chenopodium glaucum, Miscanthus sinensis var. purpurascens, Persicaria pubescens, Setaria viridis in southern part(Lake Juam, Hapcheon and Jinyang). Among the 304 taxa, Korean endemic, endangered and rare plants were not investigated. The naturalized plants were 46 taxa, and life form was Th-$R_5-D_4$-e type. Above the results, Calystegia hederacea, Equisetum arvense, Xanthium italicum, Matricaria matricariodes, and Spergula arvensis were considered with proper species for revegetation in bare ground of lakeside in artificial lakes.

경기도 파주시 비무장지대(DMZ) 인접지역의 식물자원 (The Flora of DMZ vicinity area in Paju-Si, Gyeonggi-province)

  • 김세창;손호준;이다현;박완근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65-65
    • /
    • 2019
  • 비무장지대(DMZ)는 군사적 활동 외에 일반인에 의한 접근이 엄격히 통제되어 자연적으로 생물들이 보호되어 왔으며, 한반도의 거대한 동 서 생태축으로서 그 중요성이 매우 높다. 본 연구는 경기도 연천군지역의 비무장지대 및 민통선지역에 분포하는 자원식물의 현황을 파악하고 희귀식물, 한국특산식물 등 주요 유용자원식물의 보전과 관리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지에 분포하는 자원식물은 74과 168속 192종 4아종 26변종 5품종으로 총 227분류군으로 우리나라에 분포하는 관속식물 4,881(국립수목원, 2007)분류군의 4.66%로 나타났다. 각 과별 구성종의 출현비율을 살펴보면 국화과 36분류군으로 가장 다양하게 출현하였다. 연구대상지내에 분포하는 희귀식물은 쥐방울덩굴(Aristolochia contorta Bunge)로 1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한국특산식물은 키버들(Salix koriyanagi Kimura), 병꽃나무(Weigela subsessilis (Nakai) L.H.Bailey), 은사시나무(Populus tomentiglandulosa T. B. Lee)로 3분류군, 귀화식물은 단풍잎돼지풀(Ambrosia trifida L.), 족제비싸리(Amorpha fruticosa L.), 아까시나무(Robinia pseudoacacia L.) 등 등 17분류군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 전체적으로 다양한 식물종이 확인되지는 않았으며, 일부 구간에는 가시박(Sicyos angulatus L.), 돼지풀(Ambrosia artemisiifolia L.), 단풍잎돼지풀(Ambrosia trifida L.) 등 생태계교란 야생식물이 폭넓게 분포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한반도에서 종 분포 모델을 이용한 두 침입외래식물, 돼지풀과 물참새피의 잠재적 분포 예측 (Prediction of Potential Distributions of Two Invasive Alien Plants, Paspalum distichum and Ambrosia artemisiifolia, Using Species Distribution Model in Korean Peninsula)

  • 이승현;조강현;이우주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3권3호
    • /
    • pp.189-200
    • /
    • 2016
  • 종분포 모델은 어떤 지역에서 침입외래종이 어떻게 확장되고 어떤 환경 요인이 이들의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이해하는데 매우 유용한 도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반도에서 두 침입외래종인 돼지풀 (Ambrosia artemisiifolia)과 물참새피 (Paspalum distichum)의 분포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이 두 종의 현재의 분포지에서 기후환경 요인을 분석하고 이 두 종의 분포를 예측하기 위하여 Maxent (the maximum entropy) 모델을 이용하였다. 이 두 종의 출현 자료는 Global Biodiversity Information Facility와 우리나라의 식물종 데이터베이스에서, 생물기후 자료는 WorldClim 자료로부터 얻었다. 모델을 수행한 결과, 자생지 위치자료를 이용한 예측 결과보다 전지구 위치자료를 이용한 예측이 연구 대상종의 잠재적 분포지를 잘 설명하였다. 이들 종의 분포에 기여한 기후환경 요인으로서 돼지풀에서는 최건월의 강수량과 연평균온도가, 물참새피에서는 연평균온도와 최한사분기의 평균온도가 선정되었다. Maxent 종분포 모델은 외래종의 침입을 예측하고 이들의 확산을 관리하는데 유용한 도구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돼지풀 및 단풍잎돼지풀의 ITS 염기서열 변이 (ITS sequence variations in common ragweed and giant ragweed)

  • 김영동;박종욱;선병윤;김기중;이은주;김성희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273-285
    • /
    • 2005
  • 국내에 분포하는 대표적 침입외래식물인 돼지풀과 단풍잎돼지풀이 나타내는 유전적 변이양상을 파악하기 위해 국내집단을 중심으로 돼지풀 157개체와 단풍잎돼지풀 46개체로부터 핵 rDNA의 ITS(Internal Transcribed Spacer)지역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돼지풀에서는 총 18개의 ITS 유형이, 단풍잎돼지풀에서는 4개의 유형이 각각 검출되었다. 돼지풀의 경우 각각의 ITS 유형간에는 1bp에서 7bp까지 차이가 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단풍잎돼지풀의 경우 각 유형 간에 1bp에서 2bp의 차이가 발견되었다. 돼지풀의 국내집단에서 18개에 이르는 다양한 ITS 유형이 검출되었다는 사실은 이 종이 우리나라에 여러 차례 반복해서 유입했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한편 일부 ITS 유형은 유전적 재조합에 의해 형성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각각 한 개체에서만 발견된 12개의 소수 유형들은 점돌연변이 또는 그에 뒤이은 유전적 재조합에 의해 국내에서 독자적으로 기원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본 연구를 통해 침입과정에서 나타나는 돼지풀의 진화적 변화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유용한 유전적 기초정보가 확보되었다.

침입외래식물 단풍잎돼지풀(Ambrosia trifida L.)이 식물종다양성과 준위협종 층층둥굴레(Polygonatum stenophyllum Maxim.)의 활력도에 미치는 영향 및 서식지 보전을 위한 관리방안 (Impact of Ambrosia trifida L. (invasive plant) on the Plant Diversity and Performance of Polygonatum stenophyllum Maxim. (near threatened) and Management Suggestion for the Habitat Conservation.)

  • 김의주;김미희;이수인;홍용식;이응필;박재훈;이승연;조규태;유영한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49-255
    • /
    • 2018
  • 침입외래식물인 단풍잎돼지풀(Ambrosia trifida L.)이 자생식물의 종수와 고유종인 층층둥굴레(Polygonatum stenophyllum Maxim.)의 활력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단풍잎돼지풀의 식피율 구배에 따라서 자생식물 종수, 층층둥굴레의 사망률, 영양생장과 생식생장 등의 변화를 2015년 6월부터 2016년 10월까지 관찰하고 분석하였다. 단풍잎돼지풀의 식피율 처리는 각각 100% 제거, 40~60% 제거, 비제거구(대조구)로 하였다. 그 결과 단풍잎돼지풀의 식피율을 40% 이상 제거할 때, 출현한 식물 종수와 층층둥글레의 개체수 그리고 영양과 번식측정 항목의 활력도가 높았다. 이를 통해서 단풍잎돼지풀의 식피율을 40% 이상을 제거하는 것은 연구 지역의 식물종다양성과 준위협종인 층층둥굴레의 개체군 보전에 효과적이라고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