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Vascular Plants of East Area in Girisan -Areas in Georim Valley, Baekmudong Valley, Hanshin Valley, Jungsanri Valley-  

Kim Yong-Shik (영남대학교 자연자원대학 자연자원학부)
Oh Hyun-Kyung (전북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Koh Myong-Hee (영남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Beon Mu-Sup (전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조경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v.18, no.4, 2004 , pp. 415-436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vascular plants species were summarized as 479 taxa: 89 families, 260 gents, 404 species, 66 varieties, 8 forms and 1 hybrid in the whole 6 surveyed areas of eastern parts of Jirisan (Georim Valley, Baengmudong Valley, Hanshin Valley, Jungsanri Valley, Sesokpyongjeon, and Chonwangbong). Based on the list of Korean endemic plants, 26 species were recorded: Athyrium excelsius (Aspidiaceae), Abies koreana (Pinaceae), Betula ermani var. saitoana (Betulaceae) etc. The special plants from the list of Ministry of Forest, the Forest Research Institute (1997) and the Ministry of Environment (2001), 15 species were recorded: Smilacina bicolor (Liliaceae), Disporum ovale (Liliaceae), Clematis chiisanensis (Ranunculaceae) etc. And 15 species of naturalized plants were recorded: Oenothera biennis (Onagraceae), Ambrosia artemisiaefolia (Asteraceae), Carduus crispus (Asteraceae), etc. Especially, the Korean endemic plants repeatedly appeared around mountain-trails and Ambrosia artemisiaefolia (Asteraceae), also, popular were distributed in the entire studied areas.
Keywords
KOREA ENDEMIC PLANT; DANGER PLANT; ABIES KOREANA; AMBROSIA ARTEMISIAEFOLIA;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김영두(1977) 지리산 북면의 식물조사 제3보. 양치식물 및 초본식물(단자엽식물). 진주농전논문집 15: 235-242
2 내무부(1993) 지리산국립공원 자연자원조사, 37-72쪽
3 이창복(1983) 지리산의 식문자원. 지리산지역개발조사 연구위원회, 295-345
4 初島住彦(Hatsusima)(1934) 남선연습림 식물조사. 구주대학 연습림보고 제 5: 263쪽
5 환경부(2001) 한국의 멸종위기 및 보호야생 동$\cdot$식물 국$\cdot$영문 종 정보 기록 연구, 104-115. 332-435쪽
6 김삼식 (1989) 지리산 희귀식물 학술조사 보고서 . 경상남도 산청군. 100쪽
7 김용식, 임경빈(1991) 지리산국립공원 지역내 화엄사계곡의 식물상. 응용생태연구 5(1): 1-8
8 임양재. 김정언(1992) 지리산의 식생. 중앙대학교 출판부. 111-160쪽
9 임업연구원$\cdot$국립수목원(2002) 우리나라 귀화식물의 분포. 37-90쪽
10 국립공원관리공단(1998) 지리산(동)국립공원 생태계모니터링 보고서. 123쪽
11 岡本省吾(Okamoto)(1961) 조선 지리산의 식목록. 경도대학 농학부 연습림 보고 31: 186쪽
12 김용식. 임동옥. 전승훈, 신현탁, 김병도(2000) 지리산국립공원 동부지역의 관속식물상.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3(4): 316-329
13 김영두(1975) 지리산 북면의 식물조사 제1보. 목본식물. 진주농전논문집 13: 79-86
14 이우철, 임양재(1978) 한반도 관속식물의 분포에 관한 연구. 한국식물분류학회지 8(1): 1-33
15 전승훈, 석동임 (1997) 지리산 만복대의 식물상. 환경부, 1-14쪽
16 이은복. 정규영(1993) 지리산 북부지역일대의 식물상. 지리산 북부지역일대 종합학술보고서. 한국자연보존협회 31: 37-79
17 홍경희(1987) 지리산 순두류일대의 초본식물상조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2쪽
18 이창복(1993)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990쪽
19 김영두(1976) 지리산 북면의 식물조사 제2보. 초본식물(쌍자엽식물). 진주농전논문집 14: 13-22
20 산림청. 임업연구원(1997)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도감, 240쪽
21 中井猛之進(Nakai)(1915) 지리산 식물조사 보고, 98쪽
22 정영철 (1988) 지리산지역의 식물상. 지리산 자연생태계 조사보고서 . 환경청. 43-109쪽
23 이영노. 오용자(1982) 피아골의 식물상. 지리산 피아골일대 종합학술조사보고서. 한국자연보존협회 . 25-37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