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maranth

검색결과 109건 처리시간 0.023초

미생물(微生物)에 의한 Amaranth의 분해(分解) (Degradation of Amaranth by Microorganisms)

  • 손종록;최우영;김찬조
    • 농업과학연구
    • /
    • 제10권1호
    • /
    • pp.146-155
    • /
    • 1983
  • 색소로 인한 수질오염의 방지책에 대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대전근교의 토양을 분리원으로 하여 amaranth를 분해하는 미생물을 분리하고 그의 균학적 성질을 검토하여 동정하였다. 또한 색소 분해에 대한 몇가지 주요한 요인등을 검토하고 분해산물을 TLC로 검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Amaranth의 분해능이 가장 강한 A12-은 Pseudomonas속으로 동정되었다. 2. A12-1 균주의 생육최적온도는 $35^{\circ}C$, pH 7.5이었으며 통기배양에서 더욱 생육이 촉진되었다. 3. Amaranth를 분해하는 최적조건은 생육최적조건과 비슷하였으나 통기는 생육을 촉진하는데 비해 색소분해는 저해하였다. 4. Amaranth 농도가 높을수록 균의 생육 및 색소분해는 저하되었다. 5. A12-1 균주의 배양으로 얻은 조효소의 amaranth에 대한 최적반응조건은 온도 $35^{\circ}C$, pH 7.5이었다. 6. Amaranth의 분해산해물은 TLC로 검토해본 결과 sodium naphthionate와 R -amino salt로 추정되었다.

  • PDF

아마란스(Amaranth) 종실의 가공에 따른 비스킷 제품에의 적용 (Application to the Biscuits Manufacture of Processed Amaranth Seeds)

  • 김진수;유희중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321-325
    • /
    • 2002
  • 아마란스를 충분한 양의 물에 침지한 후 물기를 제거하고 수분함량이 30~50중량%일 때 가열솥에서 이취가 없어지고 고소한 냄새가 나며 색이 더 노랗게 변하면서 입자가 puffing될 때까지 볶아준 다음 비스킷에 첨가하여 관능성과 상품성을 향상시켰다. 가수량에 따른 팽창용적 측정 결과 1.3배에서 1.6배 가수량에서 가장 큰 부피의 팽창이 있었고, 가공 방법에 따른 호화도 측정 결과 취반의 경우는 가수량이 증가함에 따라 호화도가 증가하였고, 볶은 아마란스의 호화도가 64.10%로 쪄서 말린 아마란스의 호화도 57.59%보다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찐 후 말린 아마란스와 생 아마란스는 경도($\times$$10^{5}$dyn/$\textrm{cm}^2$)가 각각 16,197과 13,601로 단단한 것으로 측정되었고 볶은 아마란스가 1,580으로 가장 무른 것으로 측정되었다. 생 아마란스와 볶은 아마란스, 찐 후의 아마란스를 첨가하여 비스킷을 제조한 결과 생 아마란스는 이취와 이질감이 문제가 되었고 찐 후 말린 아마란스는 점성은 제거 할 수있었으나 색이 검게 변화하는 것을 개선할 수 없었으며 볶은 아마란스의 경우 비스킷 첨가시 이취나 이질감이 거의 없었고 흰색으로 변화함에 따라 비스킷의 색을 더욱 밝게 해주는 효과도 있었다. 또한 비스킷에 첨가될 볶은 아바란스의 함랑은 5%일 때 가장 적절한 미감을 보이는 것으로 여겨진다. 볶은 아마란스를 5% 첨가한 비스킷과 볶은 아마란스 자체의 시간에 따른 산패도 변화를 측정하였을 때 볶은 아마란스 자체의 산가와 과산화물가는 어느 정도 높고 서서히 산패가 진행되지만, 이를 5% 함유한 비스켓의 산가와 과산화 물가는 매우 낮게 나타나 실험결과로 미루어 제품의 품질은 약 6개월 정도의 유통기한에서는 매우 안정한 것으로 추정되었다.다.of NAA/Cr ratios of lentiform nucleus between the symptomatic and the nonsymptomatic side, the present $^1$H MRS study shows a significant neuronal laterality in Parkinson's disease with unilateral symptom. In vivo $^1$H MRS may provide a diagnostic marker for neuronal dysfunction in Parkinson's disease with unilateral symptom.작용(作用)시켰으나 구등(?等)의 영향(影響)을 받지 아니 하였고 physostigmine의 작용(作用)은 길항(拮抗하였다. 이상(以上)의 결과(結果)로 보아 $PGE_1$은 동물(動物)의 정관(精管)에 대(對)한 작용(作用)에는 종(種)의 차이(差異)가 있으며 $PGE_1$은 교감신경효능제(交感神經效能劑)에 의(依)한 기니아-픽 정관수축작용(精管收縮作用)에 대(對)하여 supersensitivity를 야기(惹起)시켰으며, 이는 정관평활근(精管平滑筋)에 대(對)한 직접작용(直接作用)이 아닌 다른 작용기전(作用機轉)에 기인(基因)할 것으로 사료(思料)되는 바이다.10.41-12.63으로서 호기적 탈질을 일으킨다고 보고된 T. pantotropha 균주를 사용한 실험결과와 비슷한 값을 나타내었고, $N_2$로의 변환에 의한 질소제거를 N-balance로부터 구해보면, R3 반응조의 경우가 가장 높은 제거율(40.9%)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들을 볼 때, Bncillus 균주는 호기적 탈질을 일으킬 수 있는 가능성이 있고, Bncillus 균주를 이용한 B3 공정은 탈질에

아마란스 분말 첨가가 국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dding Amaranth Powder on Noodle Quality)

  • 최희숙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664-669
    • /
    • 2011
  • 아마란스를 새로운 식품 소재로 활용하고자 밀가루에 아마란스 분말의 첨가량을 달리하여 국수를 제조하고,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아마란스 분말 첨가한 조리면의 특성인 국수의 무게와 부피는 아마란스 함량이 증가될수록 감소되었으며, 함수율과 국물의 탁도는 아마란스 30% 첨가구를 제외하고는 반대의 경향을 보였다. 아마란스가 첨가된 국수의 조리 전후의 L값은 아마란스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a값과 b값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아마란스 국수의 L값은 조리전후에 모두 대조구보다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a값과 b값은 대조구보다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조리 전 국수의 텍스쳐 변화는 단단함, 응집성, 껌성, 씹힘성에서 대조구와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며 증가하였고, 부착성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지 않았다. 아마란스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조리면의 단단함, 껌성과 씹힘성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부착성과 탄력성, 응집성은 약간씩 감소하였다. 아마란스를 첨가한 조리면의 관능 검사 결과는 기호도를 제외한 모든 특성에서 대조구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나타냈으며, 아마란스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갈색이 짙어지며, 냄새는 곡류의 이취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인 기호도는 아마란스 20% 첨가구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HepG2 세포에서 아마란스 종자 에탄올 추출물이 포도당 흡수 조절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amaranth seed extracts on glycemic control in HepG2 cells)

  • 박소진;박종군;황은희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4권6호
    • /
    • pp.603-617
    • /
    • 2021
  • 혈당 조절에 유익한 천연 식품을 발굴하고 그 효과를 밝혀보고자 본 연구에서는 아마란스 종자에 주목하여 몇 가지 혈당조절 연관 지표의 증감 정도를 알아보았다. 아마란스 종자의 색과 발아 여부에 따라 효능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발아 흑색 아마란스는 germinated black amaranth (GBA), 비발아 흑색 아마란스는 black amaranth (BA), 발아 황색 아마란스는 germinated yellow amaranth (GYA), 비발아 황색 아마란스는 yellow amaranth (YA)로 구분하였고 각각의 시료는 80% 에탄올 추출물을 만들어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α-amylase 및 α-glucosidase 저해 활성을 측정한 결과 GBA, BA, GYA, YA 순으로 높은 저해 활성을 나타냈으며 특히 α-amylase 저해 활성 실험에서 GBA는 양성 대조물질인 acarbose와 거의 비슷한 수준을 나타내어 높은 저해 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판단된다. HepG2 세포에서 포도당 흡수를 측정한 결과 모든 추출물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고 GBA > BA > GYA > YA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특히 50 ㎍/mL 농도에서 GBA는 인슐린과 유사한 값을 나타내었다. GBA를 농도별로 처리한 HepG2 세포에서 ACC, GLUT-2, GLUT-4, IRS-1, IRS-2 mRNA 발현 정도는 모두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아마란스 종자는 혈당 조절 및 개선에 효능이 있다고 평가되며 특히 발아한 흑색 종자가 혈당 조절 효능이 높게 나타남을 보여 혈당 조절에 유익한 효능을 가지는 식품 소재가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First Report of Soft Rot by Pectobacterium carotovorum subsp. brasiliense on Amaranth in Korea

  • Jee, Samnyu;Choi, Jang-Gyu;Hong, Suyoung;Lee, Young-Gyu;Kwon, Min
    • 식물병연구
    • /
    • 제24권4호
    • /
    • pp.339-341
    • /
    • 2018
  • Amaranth has the potential for good materials related to nutrients and health benefits. There are several diseases of amaranth such as leaf blight, damping-off, and root rot. As a causal agent of soft rot disease, Pectobacterium spp. could infect various plant species. In this study, we isolated the bacterial pathogen causing soft rot of amaranth in South Korea. In Gangneung, Gangwon province during 2017, amaranth plants showed typical soft rot symptoms such as wilting, defoliation and odd smell. To isolate pathogen, the macerated tissues of contaminated amaranth were spread onto LB agar plates and purified by a single colony subculture. One ml bacterial suspension of a representative isolate was injected to the stem of five seedlings of 2-week-old amaranth with a needle. Ten mM magnesium sulfate solution was used as a negative control. 16S rDNA gene and recA gene were sequenced and compared with the reference sequences using the BLAST. In the phylogenetic tree based on 16S rDNA gene and recA gene, GSA1 strain was grouped in Pcb.

식용 Azo 색소가 Hepatic Azo Reductase에 미치는 영향과 Flavin의 효과 (Influence of Food Dye on the Activity of Hepatic Azo Reductase and the Effect of Flavin)

  • 윤혜정;원형란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9-14
    • /
    • 1987
  • 식품의 상품화에 따라 식품 첨가물의 사용이 증가되고 있다. 식품 첨가물로서 색소는 고유의 색소를 보존하기 어려운 식품에 따라 사용되며 tar 색소, 식물성 색소 및 광물성 색소로 나눌 수 있는데 tar 색소는 독성이 강한 것이 많으므로 현재 15종만이 법적으로 허용되어 있다. 이중 azo 화합물인 amaranth, tartrazine, sunset yellow, allura red에 대하여 흰 주위 hepatic azo reductase의 활성을 측정 비교하였고 이에 대한 flavin의 효과를 보았다. 1. Amaranth를 기질로 사용하여 kinetic constants $Km=645\;\mu\textrm{M}$, Vmax=50 n mol/min/mg protein의 값을 얻었다. 2. Amaranth의 농도를 일정하게 하고 FAD의 농도를 증가시켰을 때 hepatic azo reductase의 활성은 현저히 증가하였으나 NADPH-generating system에 의한 환원은 작은 증가를 나타냈다. 3. 기타 식용 azo 색소 tartrazine, sunset yellow, allura red를 기지로 azo reductase activity를 측정한 결과 sunset yellow는 amaranth와 비슷한 환원활성은 나타냈고, tartrazine은 보다 낮은 환원활성을 allura red는 보다 높은 환원활성을 나타냈으며, $300\;\mu\textrm{M}-FAD$에 의해 기질 모두에서 환원활성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적색식용색소인 아마란스의 약동학 특성 및 위장관 투과도 연구 (Pharmacokinetics and the Intestinal Permeability of Amaranth in Rats)

  • 한유진;구수현;남소정;강윤주;권미화;송임숙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7호
    • /
    • pp.812-816
    • /
    • 2017
  • 적색 아조류 타르색소인 아마란스는 인공식용색소로 식품, 화장품, 의약품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경구로 복용하였을 때 위장관 흡수율이나 흡수특성에 대해 연구된 바가 없다. 본 연구의 목적은 아마란스의 정맥투여 또는 경구 투여 후 약동학 특성을 평가하고 diffusion chamber system을 이용하여 위장관 흡수율 및 투과도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정맥투여된 아마란스는 38.8분의 소실반감기로 빠르게 혈중에서 소실된다. 그러나 경구투여된 아마란스는 생체이용률도 55.6%로 높은 위장관 흡수율을 나타내며 408분까지 혈중농도가 증가하고 24시간까지 혈중에 남아있는 특성을 나타내었다. 이는 아마란스의 위장관 흡수가 오랫동안 지속적으로 일어나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소장의 흡수부위를 공장, 회장사부, 회장하부로 나누어 위장관 투과도를 평가하고 투과성이 잘 알려진 지표물질과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아마란스의 위장관투과성은 투과도가 매우 높은 caffeine의 1/3정도의 투과도를 보이고, 중등도의 투과도를 보이는 atenolol과 유사한 투과도를 나타내었으며 회장상부에서의 투과도가 가장 높았다. 결과를 종합하면, 아마란스는 경구투여된 뒤 지속적으로 흡수되며 흡수율도 50% 이상을 보이므로, 식품, 립케어 화장용품, 경구용 의약품에 아마란스 등의 색소가 포함될 경우에는 첨가량 등을 고려하여 신중하게 사용해야 할 것이다.

Amaranth의 Squalene 동정과 잔사 추출물의 항암 작용 검색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Squalene and Antineoplastic Activity of Its Residue Extract in Amaranth)

  • 이재학;문형인;이정일;강철환;이승택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450-455
    • /
    • 1996
  • 국내에서 종실용 amaranth의 이용 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한 목적으로 종실에서 squalene을 분리, 동정하였고, squalene 추출후 부산물의 활용방안으로 그 부산물의 항암활성검색을 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Amaranth 종실에서 추출, 분리한 squalene 함량은 0.43%이고, GC /Mass spectrum으로 확인한 결과 99%의 순도를 나타내었으며, 분자구조식은 잠정적으로 동물성 squalene과 동일한 것으로 나타났다. 2. MTT 방법을 이용한 인간의 위암, 대장암 세포주에 대한 항암활성효과를 검색한 결과 부산물의 조추출물은 230$\mu\textrm{g}$/m1보다 낮은 농도에서 유의한 항암효과를 보였다.

  • PDF

Hypocholesterolemic Effect of Amaranth Squalene (Amaranth esculantus) in Rats Fed a High Cholesterol Diet

  • Kim, Hye-Kyung;Chang, Young-Jeong;Heo, Ho-Jin;Cho, Hong-Yon;Hong, Bum-Shik ;Shin, Dong-Hoon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8권1호
    • /
    • pp.13-18
    • /
    • 2003
  • In experiment 1, rats (n=6) fed diet containing 10 g/kg cholesterol for 4 wk (control) with either no amaranth (control), amaranth grain (300 g/kg, AG) or amaranth oil (90 g/kg, AO). Both the AG and AO groups had lower concentration of serum and hepatic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than the controls (p < 0.05). Fecal excretions of cholesterol and bile acid in AO group increased about 4 fold and 2 fold, respectively, while AG affected only bile acid excretion (p < 0.05). In experiment 2, rats (n=6) were fed the cholesterol diet for 4 wk and injected intraperitoneally with saline (control) or amaranth squalene (AS) for 7d. The hypolipidemic effect of AS was evident in both serum and liver. Fecal excretions of cholesterol and bile acid were greater (p < 0.05) in AS than control. HMG-CoA (3-hydroxy-3-methylglutaryl coenzyme A) reductase activity was reduced in AS group (11.6%, p=0.13).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cholesterol-lowering effect of AS is mediated by greater fecal elimination of steroids through interference with cholesterol absorption.

아마란스잎 분말을 첨가한 머핀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ffins added with Amaranth Leaf Powder)

  • 최상호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51-64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아마란스잎 분말을 0, 3, 6, 9, 12% 첨가하여 머핀을 제조하고, 그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아마란스잎 분말 첨가 머핀의 비중은 대조군보다 아마란스잎 분말 첨가군이 더 높았으며(p<0.001), 반죽과 머핀의 pH는 아마란스잎 분말을 첨가할수록 감소하였다(p<0.001). 아마란스잎 분말을 첨가할수록 머핀의 높이, 중량, 부피 및 비용적은 감소하고, 굽기 손실율은 증가하였다. 머핀의 수분함량은 대조군보다 아마란스잎 분말 첨가군이 더 낮게 나타났다(p<0.001). DPPH radical 소거능은 대조군이 16.23%였으며, 아마란스잎 분말 첨가군은 23.06~33.63%로 나타났고, 아마란스잎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았다(p<0.001). 색도측정에서 아마란스잎 분말을 첨가할수록 머핀 crust의 L, a와 b값은 감소하였고, crumb의 L값과 a값은 감소하고, b값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Texture 측정에서 경도, 탄력성, 응집성, 씹힘성과 부서짐성 모두 대조군이 높게 나타났으며, 아마란스잎 분말을 첨가할수록 감소하였다(p<0.001). 관능검사 결과, 삼킨 후의 느낌, 외관, 향, 질감, 맛과 전반적인 기호도 모두에서 아마란스잎 분말 3% 첨가군과 6% 첨가군이 대조군보다 유의적으로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 머핀 제조 시 아마란스잎 분말을 6% 수준까지 첨가하는 것이 적절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