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luminium hydroxide

검색결과 51건 처리시간 0.022초

클로로프렌 고무의 난연성 및 내방사선 특성 향상 (The Improvements for Fire Retardancy and Radiation Resistance of Chloroprene Rubber)

  • 김기엽;이청;류부형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
    • 제17권11호
    • /
    • pp.1205-1211
    • /
    • 2004
  • This study has investigated radiation degradation of chloroprene rubber in the presence of some fire retardant. Ammonium polyphosphate, aluminium trihydroxide, magnesium hydroxide, calcium carbonate and antimony trioxide were selected as flame retardant. Samples were irradiated using a Co$^{60}$ ${\gamma}$ -ray and ray up to 2000 kGy at a dose rate of 5 kGy/hr in the presence of air atmosphere at room temperature. After irradiation, samples were assessed fire retardancy with electrical properties and mechanical properties. Some considerations concerning the effects of the fire retardants added to chloroprene rubber on the radiation and thermal stability of chloroprene rubber are presented. From fire retardancy with electrical and mechanical property measurements, it was found that addition of magnesium hydroxide resulted in maximum fire retardant effect.

재생 알루미늄 산화물을 이용한 비소 흡착 특성 (Adsorption Characteristics of Arsenic using the Recycled Aluminium Oxide)

  • 민경철;김원기;이승목;김근한;이희용;양재규;박연종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486-490
    • /
    • 2011
  • As(V) adsorption on aluminum oxide powder which was recycled from industrial wastes containing aluminum hydroxide was evaluated. Aluminum oxide powder in this study was prepared by calcinating aluminum hydroxide wastes at$550^{\circ}C$. Spectroscopic analysis indicated that the aluminum hydroxide wastes were changed to aluminum oxide by calcination. Arsenic adsorption isotherm was conducted with variation of ionic strength and multiple-ion systems using Ca(II) and Cu(II). As(V) removal showed typical anionic adsorption characteristics that the removal efficiency decreased with increasing pH in single As(V) system as well as in binary and ternary system. More than 80% of As(V) at an initial concentration of $5{\times}10^{-5}$ M was removed from aluminum oxide powder in As(V) single system. The effect of ionic strength on As(V) adsorption was negligible, which indicated the strong bonding between aluminum oxide powder and As(V). The removal efficiency of As(V) was higher in a binary system with Cu(II) than in a binary system with Ca(II).

장티푸스 협막 다당체와 일본 뇌염 바이러스의 혼합 백신 제조 및 면역성 (Preparation and Immunogenicity of the Combined Vaccine Composed of the Polysaccharide Capsule of Samonella typhi and Japanese Encephalitis Virus)

  • 김을제;지희윤
    • KSBB Journal
    • /
    • 제19권1호
    • /
    • pp.88-92
    • /
    • 2004
  • 장티푸스 협막 다당체와 일본 뇌염 바이러스로 구성되어있는 혼합백신을 제조하여 마우스에서 면역성을 측정하였다. 혼합 항원 백신은 단일 항원을 투여한 경우보다 장티푸스와 일본 뇌염에 대해서 더 높은 IgG 항체 형성을 나타내었다. Aluminium hydroxide를 adjuvant로 첨가한 경우에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하며 모두 IgG 항체 형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뇌염의 경우 중화항체 값 측정 시험에서도 혼합 항원백신은 일본뇌염 단독 항원 시에 비교해서 더 많은 중화항체 값을 형성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본 실험에서 장티푸스 협막 다당체와 일본뇌염 바이러스의 혼합백신은 서로 다른 성분의 항원간에 나타날 수 있는 항체 형성에 대한 masking effect가 발생하지 않으며 오히려 synergic effect를 나타낸다는 사실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에서는 접종시기가 유사한 두 항원의 혼합 백신으로의 사용가능성을 높여주고 최근에 백신 산업에서 종류가 다른 여러 백신들을 혼합하여 다가백신을 제조 생산하는 추세의 산업화에 큰 기대효과를 제공할 수 있으리라 사려된다.

수화물 소성에 의한 고순도 다공성 CaO·Al2O3 클링커의 합성 (Synthesis of Pure and Porous CaO·Al2O3 Clinker by Burning of Hydrates)

  • 김두혁;송태웅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47권5호
    • /
    • pp.401-406
    • /
    • 2010
  • For the lower-temperature preparation of calcium monoaluminate(CA, C:CaO, A:$Al_2O_3$) clinker which is hard to synthesize purely within its melting point, an equimolar hydrate was obtained and then used as a starting raw material of clinker burning. The hydrate was prepared from a mixture of waste oyster shell and industrial aluminium hydroxide by heating to $1200^{\circ}C$, grinding and mixing with water. The hydrate was composed of amorphous aluminium hydroxide and $C_3AH_6$(H:$H_2O$) formed by resolution-precipitation mechanism of the system C-A-H. By heating the hydrate, nearly pure and porous calcium monoaluminate clinker was formed at $1400^{\circ}C$ which is fairly lower temperature than that of its melting point. The formation of calcium monoaluminate was performed mainly by the reaction between amorphous alumina and $C_{12}A_7$ caused by the decomposition of $C_3AH_6$. The immediate and earlier formation of $C_{12}A_7$ seemed to be accelerated by not only high surface area and instability of the thermally decomposed hydrate but also the catalytic effect of water decomposed from the hydrate. The final calcium monoaluminate clinker was very porous because of the influence of highly porous shape of the thermally decomposed hydrate.

가시오가피 열수추출물의 전신성 Anaphylaxis에 대한 억제효과 (Effect of Hot Water Extract from Acanthopanax senticosus on Systemic Anaphylaxis)

  • 윤택준;이석원;신광순;최원희;황수현;서상희;김성훈;박우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518-523
    • /
    • 2002
  • 마우스에서 가시오가피 열수추출물(GF-2)의 투여는 compound 48/80에 의하여 유도되는 전신성 anaphylactic shock 및 혈중 histamine과 호산구의 생산을 GF-2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였을 뿐 아니라, 마우스 복강세포에서 LPS에 의하여 유도되는 $TNF-{\alpha}$의 생산을 유의적으로 감소시켰다. 또한, 마우스에 항원으로서 ovalbumin(OVA)와 adjuvant로서 aluminium hydroxide를 사용하여 면역 후, OVA에 대한 IgG1 및 IgE 항체의 역가를 조사한 결과, GF-2의 투여는 이들 항체의 생산을 억제하였다. 이 결과는 GF-2를 항원 특이적 혹은 비특이적인 알러지 반응에 응용할 수 있는 소재로 개발 가능성 있음을 제시하였다.

물유리의 농도와 첨가제 종류에 따른 방염제의 성능 (Flame Retardancy of Plywood Treated with Various Water Glass Concentration and Additives)

  • PARK, Sohyun;HAN, Yeonjung;SON, Dong Won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9권1호
    • /
    • pp.44-56
    • /
    • 2021
  • 소방청의 방염성능기준에 제시된 45°멕켈 버어너법을 이용하여 물유리 농도와 첨가제 종류에 따른 합판의 탄화길이 및 면적 등의 방염성능을 측정하였다. 합판에 농도 20-50%의 물유리를 처리한 결과, 방염성능은 물유리의 농도와 비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그러나 30%를 넘는 고농도의 물유리로 처리된 합판의 표면에서 백화현상과 끈적임이 발생하여 농도 30%를 최적 조건으로 결정하였다. 농도 30%의 물유리에 서로 다른 비율의 첨가제를 추가하여 실험을 수행한 결과, 수산화칼륨 15% 조건과 수산화알루미늄 1-10%의 조건에서 방염성능 기준을 만족하였다. 반면에 황산마그네슘은 방염성능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물유리와 첨가제에 따른 방염성능의 결과는 방염제를 활용한 불연재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병용약물(倂用藥物)이 Methampicillin Lysinate의 항균력(抗菌力)에 미치는 영향(影響) (A Study on Influences of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Methampicillin Lysinate by the Several Medicinals)

  • 김승업;김영일;김종갑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8권1호
    • /
    • pp.1-5
    • /
    • 1978
  • Drug interaction of a new antibiotic, methampicillin lysinate (MAL) with nine drugs were investigated using four species of gram positive and gram negative bacteria. The experimental results were as follows: 1. MIC of MAL were found to be decreased against E. coil when combined with mefenamic acid, probenecid, aluminium hydroxide gel or corticosteroids. The other drugs did not affect MIC of MAL against the same bacteria. 2. MIC of MAL were found to be increased against 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P, 9441 when combined with mefenamic acid, aluminum hydroxide gel or dexamethasone acetate. The other drugs did not affect MIC of MAL against the same bacteria. 3. MIC of MAL were found to be increased against Shigella dysenteriae when either of the nine drugs was combined. 4. MIC of MAL were found to be increased approximately 2.5 times when combined with Streptokinase-Streptodornase or hydrocortisone and to be decreased approximately 2 times when combined with probenecid or dexamethasone against Salmonella typhi(type 2). It seems the other drugs do not affect the MIC of MAL against the same bacteria.

  • PDF

Polysulfone으로 Al(OH)3를 고정화한 PSf-Al(OH)3 비드에 의한 불소 이온의 제거 특성 (Removal Characteristics of Fluoride Ions by PSf-Al(OH)3 Beads Immobilized Al(OH)3 with Polysulfone)

  • 전진우;이민규
    • 청정기술
    • /
    • 제20권1호
    • /
    • pp.51-56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폴리술폰(polysulfone, PSf)으로 알루미늄 수산화물(aluminum hydroxide, $Al(OH)_3$)을 고정화한 PSf-$Al(OH)_3$ 비드를 제조하였다. 제조한 PSf-$Al(OH)_3$ 비드에 의한 불소 이온 제거실험은 회분식으로 수행하였으며, pH, 초기농도, 공존이온과 같은 변수들의 영향을 살펴보았다. Langmuir 등온식으로 구한 불소 이온의 최대 제거량은 52.4 mg/g이었으며, 최적 pH 범위는 4~10이었다. PSf-$Al(OH)_3$ 비드에 의한 불소 이온의 제거과정은 전 단계에서 외부물질전달이 나중 단계에서 내부확산이 지배인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PSf-$Al(OH)_3$에 의한 불소 이온의 제거에서 $HCO_3{^-}$, $SO{_4}^{2-}$, $NO_3{^-}$, $Cl^-$와 같은 공존 음이온들은 불소 이온의 제거에 방해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Cu-Zn 금속합금의 산화 환원반응과 Al-Silicate의 흡착반응을 이용한 폐수 중 중금속처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reatment of Heavy Metal in Wastewater by Redox Reaction of Cu-Zn Metal Alloy and Adsorption reaction of Al-Silicate)

  • 이수정;김종화;송주영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441-448
    • /
    • 2016
  • 본 연구는 구리 아연 금속합금의 산화 환원 반응과 합성 알루미늄 실리케이트의 흡착 반응을 이용한 폐수 중 중금속 처리에 관한 연구이다. 극세사 형태로 제조된 구리 아연 금속합금이 수용액 중에서 산화 환원반응에 의해 아연보다 이온화 경향이 작은 중금속은 환원 처리되고, 이온화 된 아연 및 미반응 중금속은 흡착 처리하여 제거하는 연구이다. 극세사 형태로 제조된 금속합금 물질은 표면적이 커서 1회 처리만으로도 반응 평형에 도달하게 하여 효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크롬($Cr^{+3}$)은 redox 반응 1회 처리만으로도 100.0 % 제거 되었으며, 수은은 98.0 %, 주석 92.0 %, 구리는 91.4 % 정도 제거되었다. 카드뮴, 니켈, 납도 각각 40.0 %, 50.0 %, 58.0 %가 제거 되었다. 크롬($Cr^{+3}$)은 아연과 이온화 경향 차이가 거의 없지만 제거 효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3가 크롬은 이온 상태로 존재하면 redox 반응에서 발생한 $OH^-$ 이온과 결합하여 수산화물 침전을 형성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Redox 반응 후 증가한 아연 및 미반응 중금속 농도를 알루미늄실리케이트를 1회 통과하여 거의 100.0 % 제거할 수 있었다. 이는 합성 알루미늄 실리케이트의 비표면적이 크고 금속 이온의 흡착능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반응 후 알루미늄 이온은 증가하지 않는 것으로 보아 이온 교환이 아닌 흡착으로 아연 및 중금속 이온들을 제거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열처리에 따른 수산화알루미늄의 상전이 거동 및 물성평가 (The Phase Transition Behavior and characterization of Aluminium hydroxide By Heating Treatment)

  • 이성우;하영훈;문종수;강종봉
    • 한국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재료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발표강연 및 논문개요집
    • /
    • pp.198-198
    • /
    • 2003
  • 본 연구는 활성알루미나, 베이어라이트, 미세결질베마이트, 슈도베마이트, 깁사이트 등의 수산화알루미늄을 각각 출발물질로 하여 알파알루미나를 제조하였고 출발물질에 따라 알파알루미나로의 전이온도와 결정성의 차이 및 비표면적, 밀도를 관찰하였다 베이어라이트는 상온에서 5시간 동안 수화반응 시켜 제조하였고, 미세결정질베마이트는 활성알루미나를 수열처리 하여서 제조하였다. 실험결과 활성알루미나, 베이어라이트, 슈도베마이트가 깁사이트와 미세결정질베마이트보다 낮은 온도에서 알파알루미나로의 전이가 일어났음을 알 수 있었고 알파알루미나의 결정성에서는 슈도베마이트가 가장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130$0^{\circ}C$에서는 미세결정질 베미이트를 제외한 모든 출발물질이 알파알루미나로 전이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