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ltruistic behavior

검색결과 51건 처리시간 0.036초

재활용 동기 부여에 따른 사회책임적 의류 획득 행동에 관한연구(제2보) (A Study on Socially Responsible Clothing Acquisition Behavior respond to Altruistic and Economic Incentives toward Recycling of Clothing(Part II))

  • 박재옥;장경혜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715-725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Korean consumers' socially responsible clothing acquisition behavior respond to altruistic and economic incentives toward recycling of clothing and the relations between demographic variables and acquisition behavior.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adult females residing in Seoul. Judgement Sampling were performed twice and total 549 sets of answers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 First the consumers of favoring altruistic and economic incentive prefer to acquire clothing with free cost and the consumers favoring altruistic incentive tend to acquire clothing through unknown persons,. Second the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the attitude toward recycling incentives and the demographic variables shows that the consumers with relatively higher education have strong will for recycling by altruistic incentive. Third the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acquisition behavior and the demographic variables shows that consumers with relatively lower education normally acquire clothing from unknown persons and from acquaintance. In addition married persons tend to acquire clothing at free of cost.

  • PDF

융복합 시대의 대학생의 이타행동과 관련변인들의 구조적 관계 분석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College Student's Altruistic Behavior and Related Variables in the Times of Convergence)

  • 장용희;이재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3호
    • /
    • pp.361-372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이타행동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도덕적 정체성, 성격강점, 가족건강성, 도덕적 고양과 자기통제력 변인들의 구조적 관계를 탐색하는 것이었다. 연구모형으로는 도덕적 정체성, 성격강점, 가족건강성이 이타행동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과 도덕적 고양과 자기통제력을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포함하는 부분매개모형을, 대안모형으로는 세 개의 변인이 도덕적 고양과 자기통제력을 통해서만 이타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완전매개 모형을 설정하여, 두 모형을 비교 평가한 후 연구모형을 최종 선정하였다. 이와 함께 최종모형을 이용하여 변인들 간의 구조적 인과관계를 분석하고 남자대학생과 여자대학생 집단 간의 구조적관계에서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도덕적 정체성은 도덕적 고양과 자기통제력을 완전매개하여 이타행동에 영향을 미치며, 성격강점은 도덕적 고양, 자기통제력을 매개하여 이타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도덕적 고양과 자기통제력을 차례로 매개하여 이타행동에 간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건강성은 자기통제력을 매개해서만 이타행동에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남녀 대학생집단에 따라서는 구조적 관계에 차이가 없었으나, 성격강점이 도덕적 고양에 이르는 경로계수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융복합 시대에서 대학생의 성격강점(인간애) 및 자기통제력과 이타행동의 관계: 도덕적 고양의 매개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 Character Strengths(Humanity), Self-Control, and Altruistic Behavior in the Times of Convergence: The Mediating Effect of Moral Elevation)

  • 장용희;김경자;이재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9호
    • /
    • pp.445-452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융복합 시대에서 대학생의 성격강점(인간애) 및 자기통제력과 이타행동의 관계에서 도덕적 고양의 매개효과를 규명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를 위해 청주에 소재한 C대학교 재학생 647명을 대상으로 네 가지 측정도구인 성격강점(인간애), 자기통제력, 도덕적 고양, 이타행동 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가지고 SPSS 프로그램과 AMOS을 통한 확인적 요인분석과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최종 모델의 적합도 지수는 CFI=.937, TLI=.917, RMSEA=.077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주된 연구결과는 첫째, 성격강점(인간애)와 자기통제력은 이타행동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한 결과 도덕적 고양은 성격강점(인간애), 자기통제력과 이타행동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간호대학 신입생의 지각된 스트레스와 공감능력이 이타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s of Perceived Stress and Empathy Ability on Altruistic Behavior of Freshman Nursing Students)

  • 남정희;박현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1호
    • /
    • pp.653-661
    • /
    • 2018
  • 본 연구는 간호대학 신입생의 지각된 스트레스와 공감능력이 이타행동에 미치는 영항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 수집은 2016년 11월 24일부터 12월 9일까지 160명의 간호대학 신입생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시행하였다. 설문에 응답한 154명의 자료를 이용하여 서술적 분석,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지각된 스트레스는 이타행동과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고(r=-.178, p=.028), 지각된 스트레스의 하부요인 중 긍정적 지각과도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나(r=-.347, p<.001) 공감능력은 이타행동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r=.607, p<.001). 이타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정서적 공감, 인지적 공감 및 긍정적 지각이었으며, 이 중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정서적 공감(${\beta}=.320$)이었고, 다음으로 인지적 공감(${\beta}=.312$)이었으며, 이들 변인의 이타행동에 대한 설명력은 41.6%였다. 또한 긍정적 지각과 이타행동 간의 관계에서 공감능력은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간호대학생의 이타행동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교육과정 운영에 있어 공감능력 향상과 더불어 지각된 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방안 모색이 필요하다.

취학전 아동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TV 및 언어적 훈련의 효과 (The Effect of Television and Verbal Training on Altruistic Behavior of Preschoolers)

  • 우희정;정옥분
    • 아동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87-99
    • /
    • 1990
  •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ltruistic TV viewing and verbal training on the altruistic behavior of preschool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a total of 56 boys and 57 girls from a kindergarten in Kwachon, Kyung-gi do. The subjects were assigned to one of three conditions: in the first condition subjects were shown video tapes designed to portray prosocial themes (TV modeling group) ; in the second condition subjects saw the video tapes in addition to verbal training (TV modeling plus verbal training group); in the third condition subjects received neither TV modeling nor verbal training (control group). Statistical analysis was by ANOVA and $Scherr\acute{e}$ test.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altruistic behavior between the TV modeling and the TV modeling with verbal training groups.

  • PDF

마음그램을 기반으로한 이타행동증진 프로그램 개발 (The Development of Altruistic behavior Enhancement Program based on the Maumgram)

  • 안관수;조상중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1호
    • /
    • pp.123-135
    • /
    • 2018
  • 이 연구는 마음그램을 기반으로 한 중학생의 이타행동 증진 프로그램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서, 관련문헌을 수집 분석하여 이타행동 프로그램에 대한 기초 조사를 하였다. 조사 내용은 프로그램 진행 및 내용 분석에 필요한 요인 등에 관련된 것이다. 총 2회에 걸쳐 8명의 전문가로부터 프로그램의 구성과 내용에 대해 타당성 검증을 받았다. 프로그램 설계는 관찰, 전환, 관계지향 등의 3단계로 구성하고, 단계별로 이타행동 증진 프로그램에 적합한 내용요소를 선정하여 중학생을 대상으로 주 1회 실시하였으며, 자기점검, 타인의 이해와 수용, 공감, 소통 등을 주된 내용으로 6회기로 구성하였다. 그러나 향후 프로그램 실행을 통한 적용 효과를 검증할 후속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이 연구는 이기심의 조절훈련을 통해 이타행동의 성향을 증진함으로서 중학생의 인성교육에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이타행동의 유발요인으로서 정서전염: 문화변인의 조절효과 (Emotional Contagion as an Eliciting Factor of Altruistic Behavior: Moderating Effects by Culture)

  • 김정식;김완석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3권2호
    • /
    • pp.55-76
    • /
    • 2007
  • 두 개의 연구를 통해서 자동적 정서전이 현상인 정서전염과 이타행동사이의 관계를 분석하고 개인적 수준의 문화변인인 자기해석(독립적-의존적 자기)이 두 변인 사이의 관계에 미치는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도움을 필요로 하는 사람의 정서표현은 타인의 무의식적인 표정흉내를 유발하여 이렇게 얻어진 정서정보가 안면피드백과정에 의해 내재화됨으로서 정서가 전이되며, 전이된 정서는 이타행동을 유발하는 동기로서 작용한다는 가설을 제안하였다. 연구 1 에서는 공감과 정서전염을 분리하기 위하여 정서자극의 표현과 정서자극의 내용을 불일치되게 조작한 비디오를 제작하여 연구 참가자들의 정서전염을 유도하고 그들이 장애학생을 위한 봉사활동에 참가할 것인가의 이타행동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정서전염이 많이 일어날수록 참가자들이 이타행동에 더 많이 보여주었다. 연구 2에서는 설문조사를 통해 연구 참가자들의 정서전염에 대한 민감도, 실제 이타행동의 경험 및 자기해석(독립적-의존적 자기)을 측정하였다. 위계적 회귀분석의 결과 의존적 자기가 높을수록 정서전염의 민감도가 이타행동을 예언하는 경향을 높이는 조절효과를 가지고 독립적 자기는 반대의 조절효과를 가짐을 발견하였다. 분석 결과와 관련하여 정서와 이타행동의 진화론적 의미를 논의하였다.

  • PDF

사회 책임적 의류 소비 태도가 의류 처분 행동에 미치는 영향(제 1보) (The Effects of the Socially Responsible Clothing Consumption Attitude on the Clothing Disposition Behavior (Part I))

  • 장경혜;박재옥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795-805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early understand the Korean consumer's socially responsible consumption attitude and disposition behavior through revealing by use Fishbein's Multi-Attributes Model as a conceptual fram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cially responsible clothing consumption attitude factors and disposition behavior pattern, and relations of demographic variables.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adult females residing in Seoul. Judgment Sampling were. performed twice during March of 1996 and total 549 sets of answers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The result are following. First, by looking at the relationship between intrinsic side of socially responsible consumption attitude and disposition behavior, the attitude shows more economical disposition when consumers are in considerate about preservation of natural resources and clothing consumption and when consumers favor purchasing a second hand product, On the other hand, consumers' behavior shows more altruistic disposition, when they favor recycling and acquisition of second hand clothing and when not favor fashion. The result of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the socially responsible clothing consumption attitude and demographic variables shows that income, age and education level relates to some intrinsic side of socially responsible clothing consumption attitude. On the other side, the analysis result shows that consumers with relatively lower education normally practice economical dispotion, while consumers with higher education level do altruistic disposition. Also, elder and married consumers tend to do more altruistic disposition.

  • PDF

대학생의 개성과 환경의식에 따른 의류처분행동에 관한 연구 (A Study on University Student's Clothing Disposition Behavior Depending on their Personality and Environmental Consciousness)

  • 정유정;박옥련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49-156
    • /
    • 2006
  • The followings are the findings of a study on university student's clothing disposition behavior depending on their personality and environmental consciousness: 1. University student's personality factors were classified into perceived consumer effectiveness, globalism, alienation, conservatism, and a sense of social responsibility. 2. The personality factors are found to have significant influences on both economic and altruistic disposition behavior. 3. In terms of the economic disposition behavior, people in the groups with high environmental consciousness tend to trade unused clothing with other things rather than to sell them for the benefit of economic gains. With regard to the altruistic disposition behavior, they also tend to give the clothing to their close people, for example family members or relatives, rather than to donate them to churches or charitable organizations.

  • PDF

외식기업 종사원의 조직 시민 행동과 서비스 품질 관계 연구 (A Study on Relations betwee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Service Quality in Food Service Industry)

  • 조의영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154-169
    • /
    • 2006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CB) upon perception of service quality as well as evaluation of customers. 300 copies of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the employees as well as the customers respectively, and 276 copies and 282 copies were collected from each group. There remained 265 copies each to investigate after excluding each 11 and 17 copies of noneffective questionnaires. As a result,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upon service quality such as altruistic behavior, citizens' consciousness and sportsmanship, etc had significant influence upon the customers' perception of service qualit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