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lliin

검색결과 53건 처리시간 0.035초

마늘 중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알린의 분리 및 정량과 Alliin과 에탄올 추출물의 항균효과에 관한 연구 (Isolation of Alliin in Garlic and Its Quantitative Determination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and Studies on the Antimicrobial Efforts of Alliin and Ethanol Extracts from Korean Garlic(Alliium sativum L.))

  • 위성언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296-302
    • /
    • 2003
  • 본 연구는 마늘속에 alliin을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하여 함량을 알고 이들이 에탄올추출물에 향균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연구했다. HPLC를 이용하기 위하여 메탄올로 Alliin을 추출하고 유해세균에 대한 향균활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Alliin을 에탄을 추출물 시료를 조제하여 사용하였다. 마늘에는 alliin의 함량은 0.34 ∼0.73% fresh weight를 나타내고 에탄을 추출물의 시료에서 동결건조 시료수율이 가장 높았는데 이는 효소적 분해가 최소화되는 것으로 사료되며 에탄을 추출물의 향균효과는 Table 3에서 각 균주에 대하여 억제효과는 각 균주에서 50∼80% 효과를 보았고, 각종 균에 대한 억제차원에서 향균성을 달리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유해세균에 대한 향균작용이 마늘 추출물은 미생물의 발육저지력이 강하고 지속적으로 인체에 무해하므로 보존료 개발이 바람직함을 알았고, 독특한 향미를 주는 황화합물이 많아 산도의 증가와 관계없이 항균력이 강함을 보았고, 각종 균에 대한 항균성을 달리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로 인해 마늘성분중 선택적인 항균물질의 개발이 요구됨을 알았다.

혈관 생리 활성에 미치는 alliin의 효능 (Effect of Alliin on Vascular Functions)

  • 서정화;김정민;안선영;조진구;김종민;박헌용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7호
    • /
    • pp.976-982
    • /
    • 2009
  • 고대부터 식품으로 많이 이용되어 왔던 마늘의 성분중의 하나인 alliin의 혈관 생리활성을 조사하기 위해 다양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Alliin은 혈관내피세포의 증식과 이동을 증진시키는 기능이 있으며, 이는 alliin이 혈관형성을 촉진하고 혈관의 상처 치유에 도움을 줄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alliin은 염증반응을 일으키는 과정에 나타나는 THP-1 세포의 혈관내피세포 부착을 억제하며, 혈전을 형성하는 THP-1 동종세포간 응집을 억제하는 기능도 갖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alliin의 세포 기능은 혈관의 주요 질환인 동맥경화의 발생 및 뇌졸증이나 심근경색의 원인이 되는 혈전의 형성 등을 억제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한편 혈관의 주요 조절자 중의 하나인 산화질소의 생산에는 alliin이 관여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종합해 보면, alliin은 혈관세포의 여러 가지 생리기능을 조절하는 혈관생리기능 개선제로 활용할 가능성이 있는 물질이다.

마늘중 Alliin의 분리 및 그 특성규명에 관한 연구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lliin From Garlic Bulbs)

  • 한인자;이미순;정기용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6권1호
    • /
    • pp.12-17
    • /
    • 1973
  • 냉동시킨 마늘로부터 Alliin을 분리(分離)해서 순수한 상태(相態)로 결정화(結晶化) 시켰다. 분리(分離)된 Alliin의 순도(純度)는 융점측정과 thin-layer chromatography에 의하여 확증되었다. Sulfoxide bond 및 아미노산의 기능기는 IR spectrum에 의하여, vinyl 결합은 NMR spectrum에 의하여 확인되었다. 분자량, allyl 및 기타의 결합은 MS spectrum에 의하여 확인(確認)되었다.

  • PDF

한국산 마늘로 부터 분리한 Alliin과 에탄올 추출물의 In Vitro계 생리 활성 (Physiological Activity of Alliin and Ethanol Extract from Korean Garlic (Allium Sativum, L.))

  • 임승우;김태효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348-354
    • /
    • 1997
  • 본 연구는 여러가지 유해세균과 인체장암세포에 대한 다양한 농도에서의 마늘 추출물의 효과를 고양하고자 계획하였다. 미생물에 대한 항균효과는 그 최소 발육저지농도가 alliin의 경우에는 $5,000{\sim}20,000\;ppm$, 그리고 ethanol extract의 경우에는 $1,250{\sim}10,000\;ppm$이었으며, 또한 이들 성분의 암세포증식억제는 첨가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점차 강하게 억제시킴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HCT-15의 형태적 관찰에서도 위축됨을 알 수 있었으며, 위의 결과들로 부터 항균과 암세포증식억제에 있어서의 활성물질은 열에 안정하고 에탄올에 의해 추출되는 성분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비만치료식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2. 조류와 생약성분의 비만억제작용 비교 (Basic Studies on the Development of Diet for the Treatment of Obesity II. Comparison of the Inhibitory Effect of Algae and Crude Drug Components on Obesity)

  • 최진호;최재수;변대석;양달선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485-492
    • /
    • 1986
  • 비만치료식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의 일환으로 전보에서 식물섬유중에서 가장 효과적으로 비만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진 알긴산과 담수녹조인 chlorella, 그리고 중요 생약인 인삼과 마늘의 유효약리성분인 saponin과 alliin, scordinin의 첨가에 의한 비만억제작용을 비교${\cdot}$검토한 결과를 보고한다. 이들 성분들의 첨가에 의한 비만억제효과를 체중증가량으로 비교하여 보면 Na-alginate($71\%$)가 가장 효과적이었고(P<0.01), 그 다음이 scordinin($76\%$), chlorella($76\%$), alliin($86\%$)의 순이었으며 (P<0.001), 사료효율로서 비교하여 보면 체중증가량과 마찬가지로 Na-alginate($68\%$)가 가장 효과적이었고(P<0.001), alliin($79\%$)도 그 효과가 인정되었다(P<0.05). 간장의 지방축적억제효과는 Na-alginate($84\%$)가 가장 효과적이었으며(P<0.001), 부역환 및 난소 주위의 지방조직에 있어서 지방축적억제효과는 Na-alginate($54\%$)가 가장 효과적이었으며 (P<0.001), 그 다음이 alliin($64\%$), saponin($66\%$)의 순으로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P<0.001). 또 Lee index에 의한 비만억제효과를 비교하여 보면 Na-alginate($91\%$)에서만 그 효과가 인정되었다(P<0.001). 간장중의 지방함량에 의한 지방축적억제효과를 비교하여 보면 alliin($40\%$)>saponin($58\%$)>Na-alginate($62\%$)>chlorella($64\%$)>scordinin($74\%$)의 순으로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P<0.001). 또 이들 성분들의 첨가에 의한 혈청 glucose 감소효과는 Na-alginate($67\%$)가 가장 효과적이었으며(P<0.001), 그 다음이 saponin($73\%$), scordinin($74\%$), alliin($83\%$)의 순으로 효과적이었다(P<0.001), 혈청cholesterol 저하작용을 비교하여 보면 Na-alginate($82\%$)가 가장 효과적이었으며(P<0.001), 그 다음이 alliin($84\%$), chlorella($86\%$), saponin($87\%$)의 순으로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P<0.001). 또한 혈청 lipase 활성의 증가에 의한 비만억제작용을 비교하여 보면, Na-alginate($109\%$)와 saponin($104\%$)의 첨가가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미역, 다시마, 톳 등 갈조류성분인 알긴산이 담수녹조인 chlorella, 중요 생약인 인삼과 마늘의 유효약리성분인 saponin과 alliin 및 scordinin 보다 비만의 예방과 치료에 더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마늘의 Callus 배양과 Alliin 생성에 관한연구 (Studies on the Callus Culture of garlic and the Formation of Alliin)

  • 이갑량;김준희;박동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4
    • /
    • 1991
  • This 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effect of various plant hormones on the growth of garlic callus an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sulfur and nitrogen on the formation of alliin.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The callus was grown effectively on the basal Linsmainer and skoog medium supplemented with 10-6M of kinetin and 2, 4-dichlorophenoxyacetic acid. When alliin produced by callus were extracted and identified by PPC allin appeared to have Rf value 0.21 in PPC which was exactly same as standard and it gave a deep red colar by Grot's reagent. The highest amount of alliin which is produced in callus culture was 270mg per 100g of dry weight in the basal Linsmaier and Skoog medium supplemented with 100% of NO3 as a nitrogen source.

  • PDF

흰쥐 난자형성 세포의 알리인 방어효과 (Radioprotection of Alliin in Oogenesis Cells of a White Rat)

  • 지태정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41권5호
    • /
    • pp.471-478
    • /
    • 2018
  • Oogenesis process of ovary produces a lot of undifferentiated cells. Especially, the radiation exposure of early immature cells in the process of growth to oocyte causes serious disabilities. This study examined the radiation damage mechanism of undifferentiated cells and organelles in oogenesis process, and the radioprotection after injection of alliin. The ultrastructure after 7Gy X-ray irradiation on the white rat was observed in the experiment. The results is as follows. It was observed that the nucleus membrane of an oogonium was damaged and vacuolated in the several parts after 15 days of irradiation. The damage of mitochondria membrane and flow in cytoplasm after 20 and 30 days was found in the oogonium. After 40 days observation, peroxidation of fat droplets was found and organelles were tangled each other in ovary tissue. The partial damage of nuclear membrane in oogonium past 15 days after injection of alliin was found, but decreased remarkably. Mitochondria, Golgi body, and rough endoplasmic reticulum were also clearly observed, therefore, radioprotection effects in alliin was confirmed partially.

Inhibition of Transglutaminase and Microbial Transglutaminase Activity by Garlic

  • Lee, Nam-Hyouck;Takeuchi, Atsuyoshi;Konno, Kunihiko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6권2호
    • /
    • pp.223-227
    • /
    • 2007
  • Ground garlic inhibited the cross-linking reaction of myosin and incorporation of monodansylcadaverine (MDC) in salted Alaska pollack surimi catalyzed by transglutaminase (TGase). The component responsible for the inhibition was a thermostable, low molecular weight compound. The component also inhibited microbial transglutaminase (MTGase). The inhibition by garlic was reversibly recovered upon addition of 2-mercaptoethanol. The inhibitory component was therefore hypothesized to contain sulfhydryl groups within its structure. Alliin itself did not inhibit the cross-linking reaction. However, the addition of alliin together with garlic increased the inhibition. This result suggested that compounds derived from alliin was responsible for the inhibition of TGase activity.

마늘 성분의 산화방지작용에 대한 연구 제2보 과산소 분해효소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n antioxidative action of garlic components isolated from garlic Part II: Effects of garlic components on peroxidase and superoxide dismutase activity)

  • 전희정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53-58
    • /
    • 1986
  • In order to study the antioxidative action of the effectient garlic components, peroxidase and superoxide dismutase activity were compared through the in vitro and in vivo experiments. RESULTS : 1. Observing the effects on peroxidase activity of efficient components in vitro, garlic oil, alliin and ethanol fraction showed effective, which was similar to the trend of TBA value, peroxide value and induction time for the first period of lipoperoxide formation in vitro. 2. In vivo experiment with peroxidase activity, the ethanol fraction and garlic oil were effective when intraperitoneally administered as well as orally administered. 3. Considering the superoxide disutase activity in vitro, the garlic oil, alliin and ethanol fraction were effective in efficient components. But non-kaolin fraction inhibited the activity on the contrary. 4. In terms of the efefcts on superoxide dismutase activity in vivo, alliin and garlic oil wee effective in intraperitoneal adminstraton and the ethanol fraction and alliin in oral administration.

  • PDF

마늘과 논마늘의 주요 매운맛 관련 인자의 분석 (Analyses of Pungency-Related Factors of Field and Rice Paddy Garlic)

  • 오혜림;김나연;손찬욱;유보람;윤준화;김미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5호
    • /
    • pp.655-660
    • /
    • 2012
  • 밭마늘과 논마늘(영천산)의 매운맛 차이를 알아보고자, 마늘의 매운맛 생성에 관여하는 주요 인자들인 alliin과 allcin 그리고 SAC의 함량을 HPLC로 분석하고, 이들 함함성분의 생성에 관여하는 효소인 alliinase와 GTPase(${\gamma}$-glutamyl trans peptidase) 활성 및 pyruvate 생성량과 일반성분을 분석하였다. 수분함량은 논마늘이 밭마늘에 비하여 높았으며, 조회분, 조지방, 조단백, 탄수화물 함량 역시 밭마늘이 논마늘에 비하여 높았다. 마늘의 주요 매운맛 성분인 allicin 함량은 밭마늘이 $2.83{\pm}0.03$ mg/g, 논마늘이 $2.22{\pm}0.02$ mg/g을 나타내어 밭마늘이 논마늘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았다. Allicin의 전구체인 alliin의 함량은 밭마늘이 $8.97{\pm}0.09$ mg/g, 논마늘이 $8.22{\pm}0.08$ mg/g으로 나타났다. SAC 함량은 밭마늘이 $1.74{\pm}0.17$ mg/g으로, 논마늘의 $1.04{\pm}0.14$ mg/g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았다. 한편, 효소 alliinase 활성도는 밭마늘이 $285{\pm}43{\mu}mole/mg$ protein, 논마늘이 $239{\pm}34{\mu}mole/mg$ protein을 나타내어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GTPase 활성은 밭마늘이 86.3 ${\mu}mole/mg$ protein으로 논마늘의 78.4 ${\mu}mole/mg$ protein에 비하여 높게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밭마늘이 매운 맛이 강한 것은 본 연구결과로부터 allicin 함량이 논마늘에 비하여 높은 데 기인된 것으로 파악되었다. 밭마늘은 논마늘에 비하여 alliinase 활성은 유사하였으나 alliin의 함량이 높아 allicin 생성량이 많았으며, SAC가 높고 GTPase의 활성이 높아 alliin의 함량이 높은 것으로 생각되었다. 따라서, 마늘을 기능성 식품소재로의 활용을 극대화하고자 한다면 밭마늘이 논마늘보다 더 적합한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