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lcohol extract

검색결과 736건 처리시간 0.026초

Antimicrobial Activity of Garlic Heated under Different Conditions, Time of Heating, and pH

  • Kim, Eun-Hee;Kang, Seung-Sik;Kang, Dong-Hee;Kyung, Kyu-Hang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8권3호
    • /
    • pp.771-775
    • /
    • 2009
  • Antimicrobial activity of garlic (pH 6.0) heated at $120^{\circ}C$ reached its maximum at 45 min of heating and maintained the level for the rest of heating time (300 min) when tested against Candida utilis ATCC42416. The principal antimicrobial compound was allyl alcohol (AA), a highly volatile compound without sulfur in its molecule. The concentration of AA in heated garlic gradually increased to over 2,000 ppm for the first 90 min and stayed at the level without appreciable changes in spite of further heating. Other antimicrobial compounds secondary to AA were lowly volatile sulfur compounds including diallyl polysulfides (diallyl trisulfide, diallyl tetrasulfide, and diallyl pentasulfide) and heterocyclic sulfur compounds (4-methyl-1,2,3-trithiolane, 5-methyl-1,2,3,4-tetrathiane, and 6-methyl-1,2,3,4,5-pentathiepane). When the pH of the garlic extract was lowered before heating, considerably more secondary antimicrobial sulfur compounds were formed and the antimicrobial activity was stronger than the pH unadjusted garlic. Lowly volatile sulfur compounds contributed a significant part of antimicrobial activity of heated garlic only during the early period (45-120 min) of heating regardless of pH treatment.

자원식물로서 응용을 위한 야광나무 열매의 식물화학적 연구 (Phytochemical Study for Botanical Utilization of the Fruits of Malus baccata)

  • 박희준;이명선;양한석;최재수;정원태
    • 생약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282-288
    • /
    • 1993
  • Very little utilization of the fruits of Malus baccata(Rosaceae) has been employed for food and medicinal plants except for preparing fruit beverages. But, it was estimated as valuable to investigate the chemical components for the botanical resource of this plant. In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fruits of this plant contained primary long chain alcohol, ${\beta}-sitosterol$, campesterol, ursolic acid and ${\beta}-_D-glucosides$ of ${\beta}-sitosterol$ and campesterol. However, phloretin(dihydrochalcone) and its 5-O-glucoside(phloridzin) known as plant growth regulators in many Rosaceae plants were not found in this plant material by co-TLC analysis with authentic specimens. Although plant sex hormone, estrone, was often contained in relates of M. baccata, e.g., Prunus spp., Crataegus spp. and Malus spp., this compound was not detected in this fruit by comparison with an authentic material. By RIC chromatography, it was suggested that the Soxhlet extraction by the solvent of ether was excellently useful to extract ursolic acid efficiently.

  • PDF

섬오가피의 추출 조건에 따른 페놀성 성분 함량 변화 (Changes in the Contents of Phenolic Components in the Stem of Acanthopanax koreanum Depending on Extracting Batches)

  • 김성기;이재범;조순현;고성권
    • 생약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124-132
    • /
    • 2019
  • This study compared the contents of phenolic components depending on the extracting conditions of Acanthopanax koreanum stem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developing Acanthopanax koreanum-based functional foods. Our findings show that the content of total phenolic component peaked at 16 hours of extraction (WAK-16, 7.22%) and when water extracted at $100^{\circ}C$. However, 11-hours water extraction (WAK-11) showed highest eleutheroside B concentration of 1.32%, a main component of A. koreanum, and the level of chlorogenic acid concentration was the highest when 1-hour water extraction (WAK-1) was conducted, being 2.12%. Moreover, highest concentration of eleutheroside E was observed in 16-hours water extraction (WAK-16) as 1.49%. With 60-hours water extraction (WAK-60), the content of syringaresinol, an active phenolic aglycon substance, concentration was the highest with the value of 0.10%. Isofraxidin showed the highest concentration of water extract(0.09%) for 20 hours (WAK-20) and 0.42% for sinapyl alcohol[16 hours (WAK-16)].

Analytical Method Validation of (-)Epicatechin gallate in Penthorum chinense Pursh Extract using HPLC

  • Kwon, Jin Gwan;Jung, Yeon Woo;Seo, Changon;Hong, Seong Su;Lee, Ji Eun;Shin, Hyun Tak;Jung, Su Young;Choi, Chun Whan;Kim, Jin Kyu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00-100
    • /
    • 2019
  • This study attempted to establish a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analysis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epicatechin gallate as a part of the quality control for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 cosmetic materials from Penthorum chinense Pursh extracts. HPLC was performed on a Unison US-C18 column ($4.6{\times}250mm$, $5{\mu}m$) with a gradient elution of 0.05% (v/v) trifluoroacetic acid (TFA) and methyl alcohol at a flow rate of 1.0 mL/min at $30^{\circ}C$. The analyte was detected at 280 nm. The HPLC method was per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Harmonization (ICH) guideline (version 4, 2005) of analytical procedures with respect to specificity, precision, accuracy, and linearity. The limits of detection and quantitation were 0.11 and 0.33 mg/mL, respectively. Calibration curves showed good linearity (r2 > 0.9999), and the precision of analysis was satisfied (less than 0.6%). Recoveries of quantified compounds ranged from 99.51 to 101.92%. This result indicates that the established HPLC method is very useful for the determination of marker compound in P. chinense Pursh extracts.

  • PDF

납작파래(Enteromorpha compressa) 추출물의 항산화성 및 생리활성 (Comparison of the Antioxidant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Different Solvent Extracts Derived from Enteromorpha compressa)

  • 최지원;박선아;김원석;김용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7권2호
    • /
    • pp.137-144
    • /
    • 2024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antioxidant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the Korean marine algae, Enteromorpha compressa. Solvent extracts of E. compressa were prepared using 70% ethanol, 80% methanol, and water, with extraction yields ranging from 9.55% to 25.67%. The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ranged from 20.76-28.41 mg/g and 2.56-18.59 mg/g, respectively. Compared with the water extract, the ethanol and methanol extracts were found to have higher antioxidant activities. All three extracts were found to promote alcohol dehydrogenase and aldehyde dehydrogenase activities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whereas the methanol and ethanol extracts were established to have the highest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ACE) inhibitory activity (IC50=1.40 ㎍/mL) and β-secretase inhibitory activity (IC50=0.17 ㎍/mL), respectively. These findings thus indicate that E. compressa could have beneficial application as a supplementary antioxidant and functional constituent in food and pharmaceutical materials.

전처리방법에 따른 맥문동 열수 추출물의 항산화성과 관능 특성 (Antioxidant and Sensory Properties of Hot Water Extract of Liriope Tubers treated at Various Preprocess)

  • 양미옥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645-653
    • /
    • 2013
  • 생(生), 증(蒸), 주증(酒蒸) 건조 맥문동(LTD, LTSD, LTASD)과 생(生), 증(蒸), 주증(酒蒸) 건조 볶음 맥문동 시료(LTDR, LTSDR, LTASDR)의 가용성 고형물, 전당, 환원당과 항산화 효과, 관능평가를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가용성 고형분 함량은 건조 후 볶음 처리한 시료(LTDR, LTSDR, LTASDR)가 모든 건조 맥문동 시료(LTD, LTSD, LTASD)보다 많았다. 전당과 환원당은 볶음 유무에 따라서 모든 열처리한 시료가 생건조 시료(LTD)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함량이 많았으며, 환원당은 특히 주증건조 볶음 시료(LTASDR)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정온도에서 환원당의 함량이 증가하는 이유는 열분해로 인한 저분자량의 올리고당이나 덱스트린 등의 환원당 생성량이 소모되는 양보다 현저히 많기 때문이다. 갈변도는 볶음 처리를 함에 따라 모든 볶음 맥문동 시료가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특히 주증 건조볶음(LTASDR)의 갈변도가 높았는데, 주증(酒蒸)할 때에 이용된 청주에 함유되어 있는 당이 맥문동에 흡수되었고, 이에 따라 갈변도가 높아졌을 뿐 아니라, 항산화와 관련된 갈색 반응이 더 활발하게 일어나고, Maillard 반응의 중간생성물이 증가되어 여러 가지 항산화 효과가 나타났다. 항산화 활성 실험에서도 모든 건조 맥문동에 비하여 볶음 맥문동 시료의 항산화 활성이 높게 측정되었으며, 특히 주증 건조 볶음 시료(LTASDR)가 DPPH 라디칼 소거능, ABTs 라디칼 소거능, 아질산염 소거능, XOase 저해활성에 있어서 월등히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주증건조 볶음 시료(LTASDR)가 생건조 맥문동(LTD)의 열수 추출물에 비하여 항산화 효과가 대체적으로 유의적으로 높게 측정된 결과는 술로 찌고, 볶는 과정 중에 갈변물질이 더 많이 생성되었고, 수용성 성분 추출이 용이하도록 조직이 변화된 결과로 사료된다. 색(color), 향미(flavor), 단맛(sweetness), 구수한 맛(tasty flavor), 전반적인 기호도(overall acceptance)는 전체적으로 볶음 처리를 함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로 기호도가 향상되었으며, 볶음 처리한 시료 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를 통해 찌거나 주증 처리하여 볶은 맥문동 시료의 열수 추출물이 생건조 맥문동(LTD)이나 생건조 볶음 맥문동(LTDR)에 비해 항산화성이 높게 측정되었음을 확인하였고, 전체적인 관능평가에 있어서 높은 점수를 받음으로써 기능성이나 맛에 있어서 긍정적인 결과를 얻었다. 그러므로 맥문동을 음료나 약선 등에 활용할 때에 맥문동의 전처리는 건조만하여 추출하기 보다는 찌거나 술을 도포하여 찐 다음 건조하여 볶는 방법이 적합한 것으로 생각된다.

사과주(果實酒)양조(釀造)에 관(關)한 연구(硏究) -저농도주정함유(低濃度酒精含有) 사과주에 관(關)하여- (Studies on Brewing of Apple Wine -Apple wine containing lower concentration of alcohol-)

  • 정기택;홍순덕;유대식;송형익
    • 한국균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29-41
    • /
    • 1978
  • 저농도(低濃度) 주정함유(酒精含有) 사과주를 생산(生産)하기 위하여 사과주에 $CO_2$를 용존(溶存)시켜 저장성(貯藏性) 부여하여 양질(良質)의 사과주를 양조(釀造)하고자 실험(實驗)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저자등(著者等)이 분리(分離) 고정(固定)한 균주(菌株)중 R-11 균주(菌株)는 $20{\sim}25^{\circ}C$에서 강력(强力)한 발효력(醱酵力)을 나타내므로 base wine 제조(製造)에 적합(適合)했으며 B-2는 ($4^{\circ}C$)에서 발효력(醱酵力)이 우수하여 저온저장(低溫貯藏)에 적합한 균주(菌株)였다. Maceration 효과(效果)는 과즙수득량(果汁收得量)이 5% 증가(增加)하며 10% 정포의 감산효과(減酸效果)를 나타내었다. 저온저장(低溫貯藏)에 있어서 9% 알코홀함유(含有) basewine에 1% 이상(以上)의 설탕을 첨가(添加)했을때 저장 100일(日)로서 $3kg/cm^2$$CO_4$압(壓)이 생성(生成)되어 저장성(貯藏性)이 부여되었다. 그러나 6% 알코홀함유(含有) 사과주는 저장 50일(日) 이후 이상발효(異常醱酵)가 일어나므로 hop즙(汁)을 $5{\sim}10%$ 첨가(添加)한 결과(結果) $2kg/cm^2$$CO_2$압(壓)이 생성(生成)되어 저장성(貯藏性)이 부여되었다. 적정 보당량(補糖量)은 $1{\sim}2%$정도가 알맞으며 적정 $CO_4$압(壓)은2kg/$cm^2$정도가 양호(良好)하다. 이상(以上)의 결과(結果)에 의하여 저농도(低濃度)알코홀 함유(含有)사과주의 양조(讓造)가 가능(可能)하다. 끝으로 이 연구(硏究)를 함에 있어서 사과의 파쇄(破碎), 착즙(搾汁), 발효(발효), 여과(濾過)를 포함한 전(全) base wine 제조공정(製造工糧)은 경산읍소재(慶山邑所在) 태양주조(太陽酒造)의 시설을 이용(利用)했으며 저온저장(低溫貯藏)은 대구시(大邱市) 주식회사(株式會社) Paradise의 저온실(貯溫室)을 이용(利用)하였고 사과주의 인공(人工) $CO_4$, gas 주입실험(注入實驗)은 대구시(大邱市) 삼성음료주식회사(三星飮料株式會社)의 적극적인 협조(協助)가 있었음을 밝혀두며 아울러 이들 생산업체(生産業體)에 심심한 감사(感謝)의 뜻을 전하는 바이다.

  • PDF

Apoptosis 유도에 의한 톳 ethyl alcohol 추출물의 인체 유방암세포 증식 억제 (Apoptosis Induction of Human Breast Carcinoma Cells by Ethyl Alcohol Extract of Hizikia fusiforme)

  • 정선화;황원덕;남택정;최영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11호
    • /
    • pp.1581-1590
    • /
    • 2009
  • H. fusiformis는 갈조식물, 모자반과의 해조류로서 우리나라의 서해안, 남해안, 및 제주도를 비롯해 중국, 일본 등 아시아 전역에 서식하는 천연자원식물이다. 최근 톳의 항산화 활성에 대한 연구는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나 항암에 대한 연구 및 분자생물학적 기전연구가 많이 미흡한 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체 유방암세포주인 MDA-MB-231 및 MCF-7 세포를 대상으로 톳 에탄올 추출물(EAHF)에 의한 증식억제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 두 세포주 모두에서 EAHF을 처리하지 않은 군과 비교하여 EAHF의 처리 농도가 증가할수록 암세포의 증식이 현저하게 억제되었고 심한 형태적 변화를 관찰할 수 있었다. 이러한 유방암 세포의 증식억제 및 형태변화는 MDAMB-231에서는 apoptosis 유발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었고, EAHF에 의해 유발된 apoptosis 정도를 정량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flow cytometry를 이용하여 apoptosis 유발 세포군에 해당하는 sub-G1기에 속하는 세포들의 빈도를 측정하였다. MDA-MB-231세포의 경우는 EAHF의 처리 농도의 증가에 따라 sub-G1기에 해당하는 세포의 빈도가 증가하여 $400{\mu}g/ml$의 농도에서는 약 23% 정도가 나타났지만 MCF-7 세포에서는 apoptosis 유발보다는 G1 arrest 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염색질 응축과 연관된 apoptotic body 형성과 함께 apoptosis 유발의 직접적인 증거에 해당하는 DNA fragmentation 여부를 agarose gel 전기영동으로 조사하였다. MDAMB-231 세포에서는 apoptosis가 일어난 세포들에서 볼 수 있는 전형적인 DNA laddering을 관찰 할 수 있었지만 MCF-7세포에서는 DNA laddering이 거의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apoptosis 유발에 관여하는 여러 유전자들의 발현에 EAHF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사한 결과, MDA-MB-231 및 MCF-7 세포 모두에서 death receptor에 속하는 여러 유전자의 발현에는 아무런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MDA-MB-231 세포에서 pro-apoptotic Bax의 발현 증가와 caspase-9 및 -3의 활성화, caspase-3의 기질 단백질들의 분해 등이 관찰되었다.

고려인삼이 마우스의 대뇌조직 핵산 함유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inseng on Cerebral Nucleic Acid Content of Mice)

  • 김득순;최수년;정형근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 /
    • 제6권2호
    • /
    • pp.19-22
    • /
    • 1972
  • 인삼주정추출물이 마우스의 대뇌조직 핵산 함유량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기위하여 30마리의 마우스($18{\sim}20\;gm)$ 수컷을 인삼군과 식염수군으로 나우어 다음과 같은 실험을 하였다. 인삼군에서는 몸 무게 10gm에 대하여 인삼주정추출액(생리적 식염수 1ml 속에 4mg의 인삼주정추출물이 포함된 용액)을 0.05ml의 비율로 매일 등뒤 피하에 5일 동안 주사하였으며, 식염수군에는 생리적 식염수를 몸 무게 10gm에 대하여 0.05ml의 비율로 인삼군에서 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주사하였다. 인삼추출액 혹은 식염수 투여가 시작된지 제 5일째 되는 날에는 해당 약물을 투여한 2시간 후에 동물을 도살하여 대뇌조직을 적출하고, 이 조직의 핵산함유량을 Schmidt-Thannhauser-Schneider의 화학적 정량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이들 측정치를 지표로 하여 인삼이 대뇌조직 핵산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인삼군의 대뇌조직 RNA 및 DNA 함유량은 식염수군의 그것 보다 현저하게 많았다. 2. 인삼군의 대뇌조직 RNA/DNA 비율은 식염수군의 그것에 비하여 현저하게 적었다. 이는 인삼군에서 RNA 보다 DNA의 증가가 더욱 현저하였기 때문이다. 위의 결과로 미루어 보건데 인삼은 대뇌조직 RNA 및 DNA 함유량을 유의하게 증가시킨다고 추리된다.

  • PDF

솔잎 열수추출물이 카드뮴으로 유도한 흰쥐의 산화적 손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ine Needle Water Extract on Cadmium-Induced Oxidative Stress in Rats)

  • 장주연;김명주;이미경;김덕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411-418
    • /
    • 2007
  • 솔잎 열수추출물이 카드뮴으로 유도한 흰쥐의 산화적 손상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체중 kg당 5mg의 카드뮴$(CdCl_2)$을 매주 1회 경구투여하였다. 솔잎은 매일 일정시각에 체중 kg당 1.26g수준이 되도록 4주간 경구투여 사육한 결과 카드뮴과 솔잎 열수추출은 체중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솔잎 열수추출물은 식이섭취량을 감소시켰다. 체중 100g당 간조직 무게는 카드뮴 대조군이 정상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솔잎 열수추출물은 간조직 무게를 감소시키는 경향이었다 혈장 중의 AST와 ALT활성은 카드뮴 투여에 의해 유의적으로 증가되었으나 솔잎 열수추출물에 의해 ALT활성이 카드뮴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혈장 알부민 함량은 실험군간의 차이가 없었으나 크레아티닌 함량은 솔잎 열수추출물 급여시 낮았다. 카드뮴 투여시 간조직의 CYP함량은 유의적으로 감소되었으며 솔잎 열수추출물에 의한 영향은 없었다. 한편 XO와 ADH활성은 솔잎 열수추출물군이 정상군과 카드뮴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았다. 또한 카드뮴 투여에 인해 유의적으로 높아진 SOD, MAO, CAT 및 GSH-Px 활성도는 솔잎 열수추출물에 의해 정상수준으로 회복되었다. 간조직 중의 글루타티온 함량은 솔잎 열수추출물 급여에 의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으나 MDA함량은 솔잎 열수추출물 급여군에서 카드뮴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인 감소를 보임으로써 카드뮴에 의해 유도된 지질과산화가 솔잎 열수추출물 급여로 개선될 수 있음을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