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albumin

Search Result 2,363,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위선암 환자의 원위부 위절제 후 위공장문합의 방법의 선택에 따른 임상 양상의 차이에 관한 고찰 (Evaluation of Different Methods of Gastroenterostomy after Distal Gastrectomy for Gastric Carcinoma)

  • 최은혜;이종명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9권4호
    • /
    • pp.215-222
    • /
    • 2009
  • 목적: 원위부 위절제술 후 재건술의 하나인 Billroth II 위공장문합술은 오랫동안 사용되어온 방법이나 역류성 위염의 빈도가 높다는 것이 문제점 중의 하나이다. 이를 보완하기 위한 여러 시도가 있었으나 그 중 잔위의 크기에 따라 Roux-en-Y 위공장문합술, Braun 공장문합술 및 Billroth II 위공장문합술을 달리 시행한 후 그 적용의 적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3년 9월부터 2007년 4월까지 하부 및 중위 위선암으로 단일 술자에 의해 원위부 위절제를 받은 후 잔위의 크기가 10% 이하일 때 Roux-en-Y 위공장문합술 (14명)을, 잔위가 10~20%일 때 Braun 공장문합술(17명)을, 잔위가 20~40%일 때 Billroth I이 부적합하다고 판단된 경우 - Billroth II 위공장문합술(14명)을 시행 후, 각각의 치료성적을 분석하였다. 분석 방법은 전화 설문과 의무기록을 조사하여 환자의 증상 및 내시경 소견을 평가하였고 술 후 영양 상태를 평가하기 위하여 혈중알부민, 혈색소농도 및 체중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결과: 수술 사망률 0%, 수술 합병률 8.9% (4/45)로 모든 수술은 안전하게 시행되었다. 내시경 소견에서 역류성 위염은 Roux-en-Y군, Braun군 및 Billroth II군에서 각각 7.63%, 18.65%, 40.0%에서 보였다(P=0.13). 가벼운 역류성 식도염이 Roux-Y군과 Braun군에서 각각 1명씩 있었다. 내시경적 위저류는 Roux-en-Y군에서 2예가 보였으며 이 중 1예는 역류성식도염의 원인이 되었다. Roux-en-Y군과 Braun군이 Billroth II 군보다 식사량의 감소가 적었으며(각각 7.1%, 0.0%, 28.7%, P=0.036), 식후 불편감(각각 14.3%, 23.5%, 57.1%, P=0.035)과 역류 증상(각각 0.0%, 11.8%, 42.9%, P=0.009)을 적게 호소하였다. 결론: 작은 잔위를 가지는 환자에서 시행된 Roux-en-Y 위공장문합술과 Braun 공장문합술은 역류증상의 방지와 위절제 후 불편감을 줄이는데 효과적이라고 생각하며, 10% 미만의 잔위에서는 Roux-en-Y를, 그 외의 경우에는 Braun 문합을 확대적용을 고려하는 것이 좋겠다.

  • PDF

모유강화제(HMF)가 흰쥐의 성장과 영양상태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uman Milk Fortifier on Growth and Nutritional Status of Growing Rats Fed Infant Formula)

  • 이미린;박미나;조수정;전정욱;최유영;박정식;김완식;이연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70-77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갓 이유한 3주령의 어린 흰쥐에게 일반조제유, 미숙아용조제유, 모유강화제(HMF)를 보충한 조제유를 급여하여, 분유의 종류에 따라 성장과 영양상태 및 생리기능에서 차이가 나타나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특히, 일반조제유에 HMF를 첨가하여 급여한 경우와 미숙아용조제유를 급여한 경우가 일반조제유 섭취와 비교하여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실험식이는 매일유업주식회사 제품인 일반조제유(프리미엄명작-1; 분말), 미숙아용조제유(베이비웰 프리미; 분말), 모유강화제(베이비웰 에이치엠에프(HMF); 액상)를 사용하였다. 일반조제유군에게는 프리미엄 명작-1에 증류수 13%를, 미숙아용조제유에게는 베이비웰프리미에 증류수 14%를, 그리고 조제유+HMF군에게는 프리미엄명작-1에 HMF를 14% 첨가하여 반고형식으로 실험식이를 만들어 3주 동안 급여하였다. 체중증가량 및 식이섭취량은 미숙아용조제유군과 HMF보충군이 일반조제유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간, 신장, 비장의 체중에 대한 장기 중량 비는 군간 차이가 없었으나, 신장 주변지방과 부고환지방은 미숙아용조제유군과 HMF보충군이 일반조제유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혈청의 총 지질과 총 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은 실험군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반면 혈청의 중성지방은 미숙아용조제유군이 식이 중 지방함량의 영향을 받아 다른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간 조직의 총 지질은 식이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나, 혈청 중성지방과 총 콜레스테롤은 미숙아용조제유군과 HMF보충군이 일반조제유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분 중 총 지질과 중성지방 배설량은 미숙아용조제유군이 나머지 두 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분 중 총 콜레스테롤 배설량은 미숙아용조제유가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고, 일반조제유군이 HMF군보다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혈청 생화학 지표에서는 albumin과 total protein이 미숙아용조제유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GOT는 군간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GPT는 HMF보충군에서 증가하였다. BUN은 일반조제유군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고, 혈중 칼슘 농도는 미숙아용조제유군이 다른 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혈액의 헤모글로빈 농도는 미숙아용조제유군과 HMF보충군이 일반조제유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혈청의 성장호르몬 농도는 미숙아용 조제유군이 일반조제유군과 HMF보충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3차원 스캐너를 이용한 상악 제1유구치 치관의 크기와 형태에 관한 연구 (A MORPHOMETRIC STUDY OF THE MAXILLARY PRIMARY FIRST MOLARS USING THREE-DIMENSIONAL SCANNER)

  • 이종범;김종철;한세현;이상훈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643-652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상악 제1유구치 치관의 크기와 형태적 특성을 3차원 스캐너를 미용하여 계측하고 국정 금속관과의 크기와 형태학적인 차이를 비교하는 것이다. 3차원 레이저 스캐너(Breuckmann opto Tep-HE100, INUS. Korea)로 스캔한 132aud 어린이들의 상악 제1유구치 경석고 모형을 Rapidform 2004 프로그램(INUS, Korea)을 이용하여 각 치아의 근원심경과 협설경, 교합면-치경부간 거리, 근원심경에 대한 협설경의 비율을 계측하고 평균치를 얻었으며, 남녀 상악 제1유구치의 평균적인 크기와 형태를 얻고 기성 금속관과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상악 제1유구치 디관의 좌우측 크기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2. 상악 제1유구치 치관의 남녀간 크기에 있어서 남자의 치관 크기가 유의하게 더 큰 값을 보였고(p<0.05), 치관의 형태에 유의한 치이는 보이지 않았다(p>0.05). 3. 3차원 이미지로 상악 제1유구치를 재구성하여 나타낸 평균적인 남녀 상악 제1유구치의 크기는 3M의 기성 금속관과 비교 시, 남자는 기성 금속관의 4, 5번 사이, 여자는 기성 금속관의 4번과 유사하였고, 일성의 기성 금속관과 비교 시 기성 금속관의 근원심경이 커서 협설경을 기준으로 남자는 5번, 여자는 4번과 유사한 크기를 보였다. 4. 3M의 기성 금속관에 비해 재구성한 평균치의 치관 형태가 근심 설측 우각 부위, 원심 설측 우각 부위에서 더 풍융하였고, 협측 치은 융기의 치경부 1/3부위가 더 풍융한 양상을 보였으며, 남자의 치관보다 더 풍융한 양상을 보였다. 일성의 기성 금속관은 평균치의 치관 형태보다 정사각형의 형태를 나타냈고, 근원심경이 더 긴 양상을 나타냈다.하악 유견치의 치근 흡수의 완료는 하악 제 1 유구치 보다 빨랐으며, 하악 유견치에서 치근 흡수에 소요된 총 기간은 가장 짧았다. 5. 치근 흡수의 속도는 흡수 말기가 초기에 비해 빠른 경향을 나타냈다. 정확한 유치 치근의 흡수시기에 대해 알기 위해서는 정기적이면서 종적인 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한다.ture model index(SMI), degree of anisotropy (DA)는 두 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4. 조직 절편을 관찰한 결과, 부드러운 사료를 먹인 실험군에서 하악 과두의 연골층의 증식 층과 전체 두께가 상당히 감소하였다.항성에 있어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8379, 근심면 평균 0.8223, 설면 평균 0.7766, 원심면 평균 0.6781 순으로 나타났다. 4. 치아 우식증 진단율을 비교한 결과 교합면, 협면, 설면에서는 $DIFOTI^{TM}$ 이미지 판독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p<0.05), 근심면과 원심면에서는 방사선 판독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p<0.05).는 P=0.009로 나타났다. 임상생징후 변화는 유의성이 없었다. 4. 종양환자의 검사치간의 시기별에 따른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 유의확률이 0.05 이하인 수치들은 Hb과 Albumin, K, Na간, Neutrophil과 Leukocyte간이었고 상관계 수치는 $0.370{\sim}0.442$ 사이로 나타났다. 유의확률 0.01이하로 조사된 수치는 Cholesterol과 ALT간, LDH와 Platelet, Creatinine간, Platelet와 BUN간, Na와 K수치간 이었으며 상관계수는 $0.531{\sim}0.866$사이로 나타났다.

  • PDF

위전절제술 후 재건술식에 따른 환자의 영양상태와 삶의 질 비교 (Comparison of Reconstructive Techniques after Total Gastrectomy as Determined by Patient Quality of Life and Nutritional Status)

  • 서경수;이종명;김우영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7권4호
    • /
    • pp.219-227
    • /
    • 2007
  • 목적: 위전절제술 후 이용될 수 있는 재건 술식에 대해서는 많은 방법들이 보고되어 왔지만 지금까지도 이상적인 술식에 대해서는 논쟁의 여지가 있고 장기간에 걸친 비교 연구는 더욱이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저자는 본원에서 실시한 4가지 술식들인 Roux-en-Y 술식(R-Y), 공장간치술(JI), 공장낭간치술(JPI), Double-tract 재건술(DT)간의 경과 관찰을 통해 보다 나은 재건 술식을 찾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본원에서 2000년 8월부터 2004년 1월까지 위암으로 근치적 위전절제수술을 받고 재발이 없고 추적이 가능한 환자 중 80세 이상과 병기 IV기를 제외하고 재건 술식에 따라 RY군(n=15), JI군(n=8), JPI군(n=8), DT군(n=10)으로 분류한 총 4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수술 후 증상, 수술 후 1년, 3년째의 혈액 및 생화학적 검사의 변화, 체중 변화를 포함한 영양학적 변화 및 삶의 질을 평가하기위한 GSRS score를 분석하였다. 또한 내시경 소견을 통해 위식도 역류 여부를 확인하였다. 결과: 검사실소견은 3년째 총단백과 알부민에서 DT군이 유의하게 낮은 결과를 보였고(P=0.006, P=0.033), 체중감소는 JI군이 1년, 3년째에서 수술 전 체중의 84.50%, 86.50%로 가장 많았다(P=0.013, P=0.011). GSRS score에서 JPI군이 수술 후 1년, 3년 모두에서 유의하게 더 좋은 결과를 보였다. (P=0.028, P=0.003). 결론: 공장낭간치술은 위전절제술 후 환자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유용한 재건 방식으로 생각된다.

  • PDF

제 IV병기 비소세포폐암의 예후인자 (Prognostic Factors for Survival in Patients with Stage IV non-small Cell Lung Cancer)

  • 김명훈;박희선;강현모;장필순;이연선;안진영;권선중;정성수;김주옥;김선영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3권4호
    • /
    • pp.379-388
    • /
    • 2002
  • 연구배경 : 폐암 중 80%를 차지하는 비소세포폐암은 발견 당시부터 전이성 병변이 있는 IV기로 진단되는 경우가 적지 않다. 그러나 그동안 IV병기 비소세포폐암의 예후인자에 대한 조사는 충분하지 않았었다. 이에 저자들은 IV병기 비소세포폐암으로 진단을 받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생존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예후인자의 분석과 M1으로 평가되는 전이 장기에 따른 생존기간의 차이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방 법 : 1997년 1월부터 2000년 12월까지 충남대학교병원에 내원해서 병리조직학적으로 IV병기 비소세포폐 암으로 진단을 받은 151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의무기록을 통한 후향적인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결 과 : 1) 생존기간에 대한 단변수 분석 결과 연령, 신체 활동도, 혈청 알부민 농도, 체중감소, $FEV_1$, 전신 항암화학요법 유무, 전이 장기 개수는 생존기간에 매우 유의한 (p<0.01) 예후인자들이었으며, 혈청 LDH 농도 역시 유의한 예후인자이었다 (p<0.05). 2) 전이 장기에 따른 생존율의 단변수 분석에서 뇌전이, 간전이가 있는 경우가 그 외에 다른 장기에 전이가 있는 경우보다 생존율이 낮았다 (p<0.05). 3) 단독으로 전이된 장기에 따른 생존율의 분석에서 폐전이만 있는 경우가 폐와 다른 장기의 전이가 동시에 있는 경우나 폐 이외의 장기에 전이가 있는 경우보다 생존율이 높았다 (p=0.000). 4) 생존기간에 대한 다변수 분석 결과 ECOG (상대위험도=2.700, p=0.000), 전신 항암화학요법 유무 (상대위험도=1.944, p=0.010), 혈청 LDH 농도(상대위험도=1.819, p=0.021) 그리고 $FEV_1$ (상대위험도=1.774, p=0.022)이 생존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독립적인 예후인자였다. 결 론 : 본 연구에서 IV병기 비소세포폐암 중 폐에 단독으로 전이가 있는 경우가 다른 장기에 전이가 있는 경우보다 비교적 생존율이 높았고, 뇌전이, 간전이가 있는 경우 생존율이 낮았다. 따라서 원격전이로 동일하게 평가되고 있는 M1 병기라도 전이 장기의 종류에 따라 생존기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M1 병기 시스템에서 생존율에 대하여 재해석이 고려되어야겠다. 그러나 이번 연구는 후향적 분석이며 대상환자수가 많지 않아서 이 결과에 대한 확인을 위해서 이후에 많은 수의 환자를 대상으로 전향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급성호흡곤란증후군의 원인으로서의 발진열 (Murine Typhus as a Cause of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in Endemic Area)

  • 윤지열;임채만;이상도;김우성;김동순;김원동;김현국;우영대;박미연;고윤석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2권4호
    • /
    • pp.367-375
    • /
    • 2002
  • 연구배경: 발진열은 벼룩에 의해 매개되며 전세계적으로 발생되는 리케치아질환으로 대개 경한 임상경과를 보이나 간혹 중증으로 발현된다. 저자들은 발진열로 유발된 급성호흡곤란증후군 6예를 경험하게 되어 그 임상상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 법: 1991년 이후 서울중앙병원에 발열을 주소로 내원하여 발진열로 진단된 환자들을 찾아 호흡곤란증후군을 동반한 군과 그렇지 않은 군으로 나누어 각군에 대한 연령, 성별, 혈액학적 검사 및 미생물학적 검사에 대해 조사하여 비교하였다. 발진열의 진단은 특이적 면역형 광항체검사법을 시행하여 초회 항체역가가 1:512 이상이거나 추적 항체가의 4배이상 증가가 있으면서 발진열에 합당한 임상양상이 있는 경우로 한정하였고 급성호흡곤란증후군은 American-European Consensus Conference에 제시된 기준에 따라 정의하였다. 결 과: 호흡곤란증후군이 동반된 6례를 포함 모두 15예가 있었다. 호흡곤란증후군이 동반된 6명의 환자 중 2명이 여자였고 3명이 도시에 거주하였다. 발진은 모두에서 관찰되지 않았다. 한명이 치료도중 사망하였다. 급성호흡곤란증후군과 연관된 인자로 진단 및 치료시까지의 지연시간과 저알부민혈증, 혈중 bilirubin의 증가, 높은 APACHE III 점수와 MOD 점수가 통계적 유의성을 보였다. 결 론: 발진열은 풍토병의 성격을 띤 지역에서 원인미상의 급성호흡곤란증후군의 한 원인으로 고려될 수 있고 최근 도시거주자에게도 발병되고 있다. 발진열에 의한 급성호흡곤란증후군의 예후는 다른 원인에 의한 경우보다 좋지만 조속한 진단 및 치료가 중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폐결핵의 영상학적 진행과 Transforming Growth Factor-β1 농도와의 관련성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adiological Changes and the Level of Transforming Growth Factor-β1 in Patients with Pulmonary Tuberculosis)

  • 조용선;이양덕;조욱;나동집;한민수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0권3호
    • /
    • pp.297-303
    • /
    • 2006
  • 연구배경 : 폐결핵의 치료 후에도 폐의 섬유화, 기관지확장증, 공동 등의 구조적 변화와 이로 인한 폐기능의 악화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지만, 이러한 폐결핵의 합병증에 대한 발병기전에 대해 거의 알려진 것이 없다.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1$ ($TGF-{\beta}1$)은 손상 받은 조직의 정상적인 치유과정의 매개체와 세기관지주위 섬유화에 주요한 기여인자로서 작용한다고 알려졌다. 저자들은 폐결핵의 영상학적 진행 및 폐기능의 변화와 $TGF-{\beta}1$ 농도와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대상 환자 35명 중 남자가 17명, 여자가 18명이었고 연령분포는 22세에서 65세로 중앙값은 46세였다 모든 환자에서 폐결핵 치료 전에 혈청과 기관지폐포 세첵액(bronchoalveolar lavage fluid, BALF)를 폐결핵 치료 이전에 채취하여 $TGF-{\beta}1$을 측정하였으며 폐기능검사와 고해상도 흉부전산화단층촬영(high resolution computed tomography, HRCT)을 치료 전과 후에 시행하여 비교분석하였다. 기관지폐포 세척액의 식염수와의 희석정도를 보정하기 위해 epithelial lining fluid (ELF) 용적을 알부민 교정방법에 구하여 기관지폐포 세척액에서 $TGF-{\beta}1$의 농도를 교정하였다 결 과: 치료 전의 BAL $TGF-{\beta}1$ 농도는 치료 전의 HRCT에 의한 영상학적 점수와는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으며 치료 전의 혈청 $TGF-{\beta}1$ 농도는 공동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0.46, p<0.01). 6개월간의 치료기간 동안 HRCT에 의한 영상학적 변화및 폐기능의 변화와는 $TGF-{\beta}1$ 농도가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결 론: 폐결핵에서 치료 전 혈청 $TGF-{\beta}1$ 농도는 공동의 진행 정도와 관련이 있었지만 이의 확인을 위해서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가와사끼병에서 정맥용 면역글로불린 불응군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Kawasaki Disease Patients who are Unresponsive to High-dose Intravenous Immunoglobulin Therapy)

  • 국동혁;고용민;이근영;김동언;이경일;이준성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15권2호
    • /
    • pp.180-187
    • /
    • 2008
  • 목 적 : 가와사끼병에서 염증의 심한 정도는 장기간의 발열 기간, 초기 정맥용 면역글로불린 치료의 불응성에 의해 반영되며, 관상 동맥 병변의 고위험도와 관계가 있다. 본 연구자들은 IVIG 불응군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IVIG 반응군과 비교하는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2004년 3월부터 2008년 2월 동안, 가톨릭대학교 의정부 성모병원에 입원한 가와사끼병 환아들을 두 군으로 나누었다. IVIG 반응군(25명)은 IVIG 초기 치료 이후 24시간 이내 $37.5^{\circ}C$ 미만으로 해열되는 환아들로, IVIG 불응군(14명)은 24시간 이상 발열이 지속되거나 잠시 해열된 이후 가와사끼병 증상과 관련된 발열이 재발되는 환아들로 정의하였다. 모든 환아들에 대해 IVIG 투여 당일, IVIG 투여 전에 첫 번째 혈액을 채취하였고, 두 차례의 IVIG (1 g/kg)가 투여 후 12시간 이내에 두번째 혈액을 채취하였다. 채취된 혈액으로부터 말초혈액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또한 혈청을 분리하여 CRP, 총단백, 알부민, 면역글로불린(IgG, IgA, IgM), 혈청 지질 (총 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중성지방) 및 전기영동법(protein electrophoresis)으로 혈청 글로불린(${\alpha}1-$, ${\alpha}2-$, ${\beta}-$${\gamma}-$글로불린) 값들을 측정하고, 이들 값의 변화를 평가하였다. 결 과 : IVIG 불응군은 IVIG 반응군에 비해 발열 기간이 길었으며, 관상 동맥 병변의 비율이 유의하게 높았다(각각 P<0.001). IVIG 불응군에서 IVIG 투여 전 호중구의 비율과 CRP, ESR이 해열군보다 유의하게 더 높은 수치로 나타났고(각각 P<0.001, P<0.001, P=0.001), 혈청 총단백질, 알부민 수치는 유의하게 낮은 수치를 보였다(각각 P=0.02, P=0.01). 또한 IVIG 투여 후에는 IVIG 투여 전에 비해 총 백혈구 수와 CRP의 유의한 감소가 없었다. IVIG 불응군에서 HDL-콜레스테롤 수치는 IVIG 투여 후 해열군보다 유의하게 더 감소하였다(P=0.02). 결 론 : 초기 IVIG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가와사끼병 환아들은 보다 심하고 연장된 염증 반응을 보이며, 높은 비율의 관상 동맥 병변을 나타낸다. 가와사끼병에서 염증 반응의 강도는 IVIG 투여 직후의 호중구 수, CRP 및 HDL-콜레스테롤 등의 염증 지표 수치의 변화에 의해 반영된다.

  • PDF

폐결핵치료전후(肺結核治療前後) 방사성동위원소(放射性同位元素)스캔에 의(依)한 폐기능(肺機能)의 비교(比較) (A Dual Lung Scan for the Evaluation of Pulmonary Function in Patients with Pulmonary Tuberculosis before and after Treatment)

  • 이종헌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1-25
    • /
    • 1967
  • In 20 normal cases and 39 pulmonary tuberculosis cases, regional pulmonary arterial blood flow measurements and lung perfusion scans by $^{131}I$-Macroaggregated albumin, lung inhalation scans by colloidal $^{198}Au$ and spirometries by respirometer were done at the Radiological Research Institute. The measured lung function tests were compared and the results were as the following: 1. The normal distribution of pulmonary blood flow was found to be $54.5{\pm}2.82%$ to the right lung and $45.5{\pm}2.39%$ to the left lu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right and left pulmonary arterial blood flow was significant statistically (p<0.01). In the minimal pulmonary tuberculosis, the average distribution of pulmonary arterial blood flow was found to be $52.5{\pm}5.3%$ to the right lung and $47.5{\pm}1.0%$ to the left lung when the tuberculous lesion was in the right lung, and $56.2{\pm}4.4%$ to the right lung and $43.8{\pm}3.1%$ to the left lung when the tuberculous lesion was in the left lung. The difference of pulmonary arterial blood flow between the right and left lung was statistically not significant compared with the normal distribution. In the moderately advanced pulmonary tuberculosis, the average distripution of pulmonary arterial blood flow was found to be $26.9{\pm}13.9%$ to the right lung and $73.1{\pm}13.9%$ to the left lung when the tuberculous lesion was more severe in the right lung, and $79.6{\pm}12.8%$ to the right lung and $20.4{\pm}13.0%$ to the left lung when the tuberculous lesion was more severe in the left lung. These were found to be highly significant statistically compared with the normal distribution of pulmonary arterial blood flow (p<0.01). When both lungs were evenly involved, the average distribution of pulmonary arterial blood flow was found to be $49.5{\pm}8.01%$ to the right lung and $50.5{\pm}8.01%$ to the left lung. In the far advanced pulmonary tuberculosis, the average distribution of pulmonary arterial blood flow was found to be $18.5{\pm}11.6%$ to the right lung and $81.5{\pm}9.9%$ to the left lung when the tuberculous lesion was more severe in the right lung, and $78.2{\pm}8.9%$ to the right lung and $21.8{\pm}10.5%$ to the left lung when the tuberculous lesion was more severe in the left lung. These were found to be highly significant statistically compared with the normal distribution of pulmonary arterial blood flow (p<0.01). When both lungs were evenly involved the average distribution of pulmonary arterial blood flow was found to be $56.0{\pm}3.6%$ to the right lung and $44.0{\pm}3.2%$ to the left lung. 2. Lung perfusion scan by $^{131}I$-MAA in patients with pulmonary tuberculosis was as follows: a) In the pretreated minimal pulmonary tuberculosis, the decreased area of pulmonary arterial blood flow was corresponding to the chest roentgenogram, but the decrease of pulmonary arterial blood flow was more extensive than had been expected from the chest roentgenogram in the apparently healed minimal pulmonary tuberculosis. b) In the pretreated moderately advanced pulmonary tuberculosis, the decrease of pulmonary arterial blood flow to the diseased area was corresponding to the chest roentgenogram, but the decrease of pulmonary arterial blood flow was more extensive in the treated moderately advanced pulmonary tuberculosis as in the treated minimal pulmonary tuberculosis. c) Pulmonary arterial blood flow in the patients with far advanced pulmonary tuberculosis both before and after chemotherapy were almost similar to the chest roentgenogram. Especially the decrease of pulmonary arterial blood flow to the cavity was usually greater than had been expected from the chest roentgenogram. 3. Lung inhalation scan by colloidal $^{198}Au$ in patients with pulmonary tuberculosis was as follows: a) In the minimal pulmonary tuberculosis, lung inhalation scan showed almost similar decrease of radioactivity corresponding to the chest roentgenogram. b) In the moderately advanced pulmonary tuberculosis the decrease of radioactivity in the diseased area was partly corresponding to the chest roentgenogram in one hand and on the other hand the radioactivity was found to be normally distributed in stead of tuberculous lesion in the chest roentgenogram. c) In the far advanced pulmonary tuberculosis, lung inhalation scan showed almost similar decrease of radioactivity corresponding to the chest roentgenogram as in the minimal pulmonary tuberculosis. 4. From all these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characteristic finding in pulmonary tuberculosis was a decrease in pulmonary arterial blood flow to the diseased area and in general decrease of pulmonary arterial blood flow to the diseased area was more extensive than had been expected from the chest roentgenogram, especially in the treated group. Lung inhalation scan showed almost similar distribution of radioactivity corresponding to the chest roentgenogram in minimal and far advanced pulmonary tuberculosis, but there was a variability in the moderately advanced pulmonary tuberculosis. The measured values obtained from spirometry were parallel to the tuberculous lesion in chest roentgenogram.

  • PDF

ME와 CP가 다른 유기사료 급여가 토종닭의 생산능력 계육품질 및 혈액성상에 미치는 영향 (Performance, Meat Quality and Blood Composition of Cross Bred Chicks Fed Various Organic Dietary CP and ME)

  • 박재홍;정용대;윤명자;류경선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99-214
    • /
    • 2011
  • 본 연구는 토종닭(한협 3호)에 사육 기간별 대사에너지 및 단백질 수준이 다른 유기사료의 급여가 생산성, 계육품질, 혈액성상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실험설계는 전기, 중기, 후기에 각각 $2{\times}3$(ME 3,000, 3,100kcal/kg; CP 21, 22, 23%), $3{\times}3$(ME 3,100, 3,150, 3,200kcal/kg; CP 18, 19, 20%), $3{\times}3$(ME 3,100, 3,150, 3,200kcal/kg; CP 15, 16, 17%) 요인실험이며 처리구당 총 공시수 및 반복은 전기에 720수, 4반복, 중기에 702수, 6반복, 후기에 468수, 4반복으로 하였다. 사육 전기 4주간에 사료에너지 수준은 생산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CP는 23% 처리구에서 증체량, 사료섭취량이 21, 22% 처리구보다 매우 증가하였다(P<0.05). 사료요구율은 사료내 단백질 수준이 높을수록 개선되었다(P<0.05). 사육 중기에 증체량은 사료내 에너지가 낮을수록, 단백질은 높을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사료내 에너지 및 단백질 수준은 사료섭취량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사료에너지 수준에 따른 사료요구율은 CP 19, 20% 처리구에서 18% 처리구보다 개선되었다(P<0.05). 사육 후기 증체량은 사료에너지와 단백질 수준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사료섭취량은 ME 3,150, 3,200kcal/kg 처리구에서 ME 3,100 kcal/kg보다 감소하였지만 사료요구율은 개선되었다(P<0.05). 혈중 총단백질, 알부민, 글루코오스, 중성지방은 에너지 및 단백질수준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혈중 총콜레스테롤은 ME 3,100kcal/kg 처리구에서 ME 3,200kcal/kg 처리구보다 감소하였고 CP 처리구간 차이는 없었다(P<0.05). 가열감량은 ME 3,150kcal/kg 처리구에서 ME 3,200kcal/kg 처리구보다 감소하였다(P<0.05). 수분함량, 전단력, pH은 ME, CP 처리구간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단백질용해성은 에너지 및 단백질수준이 높을수록 증가하였다. 계육내 콜라겐(collagen) 함량은 에너지 수준이 높을수록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계육의 백색도는 사료내 에너지수준이 감소할수록, 단백질수준은 증가할수록 개선되는 경향이 있었다. 적색도는 ME 3,150kcal/kg 처리구에서 ME 3,100kcal/kg 보다 증가하였다(P<0.05). 황색도는 ME 3,100, 3,200kcal/kg 처리구에서 낮아졌으며, CP 15, 17% 처리구에서 CP 16% 처리구보다 매우 낮아졌다(P<0.05). 따라서, 사육기간별 적정 유기사료내 에너지 및 단백질수준은 사육전기 4주간에 ME 3,000kcal/kg, CP 23%, 중기 4주간에 ME 3,100kcal/kg, CP 19%, 후기 2주간에 ME 3,150kcal/kg, CP 16% 급여가 생산성 개선에 적합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