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gri-food industry

검색결과 50건 처리시간 0.022초

Economic Growth and Employment in the Korean Agri-Food Industry: Examining the Buffering Effect and Sensitivity of Temporary Employment

  • Byung Min SOON
    • Asian Journal of Business Environment
    • /
    • 제14권2호
    • /
    • pp.19-30
    • /
    • 2024
  • Purpose: This research article investigates the intricate relationship between economic growth and employment in the Korean agri-food industry.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Drawing on Okun's law, which propose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economic growth and unemployment, the study explores the applicability of this law to different sectors. By focusing on the agri-food industry, the study examines the impact of economic growth on both full-time and temporary employment. Results: The findings highlight the industry's role as a buffer, absorbing workers from other sectors, particularly manufacturing. Moreover, the study reveals that temporary employment is more sensitive to economic growth fluctuations compared to full-time employment. Conclusions: The research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implementing employment programs that support transitioning workers in the agri-food industry, facilitating knowledge and skill transfer to ensure sustained employment. Furthermore, it recommends government and company support for temporary employment during buffering periods to ensure safe job transitions. This study provides valuable evidence to understand the nuanced relationship between economic growth and employment in the Korean agri-food industry.

Global Policy Directions To Promote The Future Agri-Food Industry: A Focus on the Voucher Projects for Young Job Seekers and Entrepreneurs

  • Lee, Jongtae
    • Agribusiness and Information Management
    • /
    • 제12권1호
    • /
    • pp.6-16
    • /
    • 2020
  • This is a summary of a comparative study of the national policies to foster the agri-food industry implemented by the leading countries of the industry before and after the COVID-19-induced global economic crisis. By comparing the policies of each country, we discovered that key leading countries of the agri-food industry had given up or suspended one-on-one, face-to-face support programs that they had maintained for years, and have started providing financial assistance to companies or self-employed people in relative industries. Korea should implement such decisive policies for the Korean agri-food industry to tackle this unprecedented economic shrink and maintain the competitiveness of the industry. Considering the scale and speed of the spreading of the pandemic, the new policies should be implemented swiftly and boldly.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e material for developing new policies to minimize damage to the agri-food industry and national economy caused by COVID-19.

식품 클러스터의 잠재성 분석: 경남지역을 중심으로 (Potentials of Regional Clustering: the Case of Food Industry at Gyeongsangnam-Do)

  • 김성용;안병일;김윤식;이미숙;남경수;길수민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3권6호
    • /
    • pp.117-127
    • /
    • 2009
  • 이 연구는 식품산업의 경쟁력 확보 수단으로 클러스터에 대한 논의가 세계 각국에서 활성화되고 있음을 감안하여 경남지역의 식품산업이 클러스터로 형성 및 발전이 가능한지를 분석하였다. 클러스터의 잠재성 평가는 2차 자료로 측정이 가능한 5가지 지표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평가지표로는 클러스터의 절대적 규모, 상대적 규모, 전문화, 지배력, 집적도가 사용되었다. 측정지표의 분석결과 경남의 식품산업은 클러스터 조성시 경제적 효과의 창출이 가능하며, 경쟁력 뿐 만 아니라 지역전문화와 지배력을 갖춘 것으로 평가되어 잠재적 클러스터 기준에 합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수출확대를 위한 한국 농식품 브랜드 아이덴티티 정립 (A Study of Korean Agri-Food Brand Identities for Expanding Exports to China)

  • 안욱현;조우철;김창환
    • 유통과학연구
    • /
    • 제12권2호
    • /
    • pp.7-16
    • /
    • 2014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arget Chinese consumers of Korean agri-food through the analysis of agri-food brand identity images to set future directions for proposed agri-food exports to China. Since negotiations began for a free trade agreement (FTA) between Korea and China, some Koreans have worried about the Korean agriculture sector. The world trading system has undergone many changes in recent years. Since the start of FTA negotiations on agriculture, China and Korea have faced a heightened sense of crisis. China is trying to export agricultural products so actively that its agricultural exports could increase by more than 7% annually. China exported about one-tenth of its agricultural products to Korea in the period 2002-2010. Recently, the importance of brand identity has tended to increase, as the world becomes one unified market. In this situation, we should try to promote agri-food exports to China. It is very important to understand consumers' recognition of Korean food and the image of the Korean agri-food industry, to establish an export strategy.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is study targeted 2,800 adult men and women aged 25-59 years living in four major cities in China (Beijing, Shanghai, Guangzhou, and Qingdao) with a household income within the top 10% level in the China, using the one-to-one interview survey method. In addition, four groups by region (eight people per group) for a total of 32 groups were surveyed by using the focus group interview (FGI) research method, and impressions of imported agri-food were surveyed using 17 questions about fresh agri-food and 22 questions on processed agri-food. Factor analysis, brand positioning, biplot analysis, and so on, were carried out based on the results of these surveys. This research presents the brand identity of Korean food; according to the analyses, the brand identity is based on trust, safety, and attractiveness. Result - Factor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Chinese consumers expect four major qualities in imported fresh agri-food: freshness/safety, attractive appearance, premium branding, and excellent taste/quality. In the case of processed agri-food, it turned out that Chinese consumers are focused on safety/hygiene/freshness, health, and taste. In addition, in the fresh agri-food analysis by country, American foods had the upper hand; the image of American foods was also recognized as the most positive for processed agri-food. Meanwhile, according to the biplot analysis, Korean agri-food is strongly preferred for its appearance, but no country is strongly preferred as regards the level of freshness/safety that is expected by Chinese consumers. Conclusions -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image of imported agri-food expected by Chinese consumers by reconstructing agri-food characteristics from the brand perspective. The research result shows that a Korean brand identity must be the ultimate goal for activities undertaken to enhance the image of Korean agri-food in the future. Additional research is needed because brand image can be formed through various channels.

해외 주요국가의 농·식품 R&D 투자 정책 및 동향 (Investment policy and trends of agri-food R&D in major overseas countries)

  • 홍석인
    • 식품과학과 산업
    • /
    • 제53권4호
    • /
    • pp.410-421
    • /
    • 2020
  • 농·식품 분야의 중장기 연구개발 계획 수립과 관련해서, 해외 주요국가의 R&D 정책 및 투자 동향을 파악하여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해외 주요국의 동향을 살펴본 결과, 선진국을 중심으로 농·식품 분야 R&D에 대한 지속적인 정부 지원과 함께 효율적인 자원관리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미국이나 유럽의 경우 농산업 생산성에 대한 공공투자를 줄이고, 기후변화·식량안보·식품안전·국민건강·자연환경 등의 사회문제 부각에 따라 지속가능성 측면에서 경제와 환경 간의 조화, 인체영양과 건강뿐만 아니라 동식물 건강, 통합적 생태계 접근 등을 강조하고 있다. 특히 식품 분야는 식품안전, 영양과 건강을 중심으로 공공부문이, 식품가공, 제조는 민간부문이 주로 투자하는 편이다. 한편 일본이나 중국의 경우에는 민간투자보다 공공부문에서의 투자가 크게 앞서고 있으며, 정부가 중장기 연구방향을 제시하는 등 연구개발혁신을 주도하는 입장이다. 비록 국가마다 시급한 현안사항과 대응방안이 다르지만, 농·식품 분야 연구개발혁신 및 발전전략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해 공공과 민간의 상호보완적 역할 분담을 바탕으로 긴밀한 협력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다.

농식품 산업의 기술평가 영향요인 분석과 시뮬레이션 기반 기술평가 비교 (The Influential Factor Analysis in the Technology Valuation of The Agri-Food Industry and the Simulation-Based Valuation Analysis)

  • 김상국;전승표;박현우
    • 기술혁신연구
    • /
    • 제24권4호
    • /
    • pp.277-307
    • /
    • 2016
  • 2011년 이후 농식품 산업에서 연구개발 기술 자산들에 대한 평가를 수행할 때 주도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방법이 현금흐름할인(DCF) 방법이었으며, 최근에 종자기술 등과 같은 기술자산의 경우에는 기술료 사례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기술평가를 병행하여 수행해 오고 있다. 지금까지 알려진 현금흐름할인 방법은 추정되어야 할 입력변수가 많아 기술평가 시에 정교한 추정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기술료 사례 정보를 근거로 하는 거래사례비교 방법이나 업종별 산업표준(industry norm)을 적용할 때에도 평가대상 기술자산과 보다 근사한 거래사례가 적용되어야 하는 것은 농식품 산업분야에서도 동일하게 고려되어야 하는 문제이다. 농식품 산업에서 기술평가 시 활용되고 있는 주요입력변수는 경제적 수명주기, 농식품업종 관련 재무적 정보, 할인율, 기술기여율 등이며, 해당 평가기관에서는 기반 정보구축과 자료 최신화를 주기적으로 수행해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농식품 산업에서의 기존의 기술평가 시 평가결과에 가장 중요한 영향 미치는 주요변수를 탐색하고, 기술평가 입력 정보의 최신화를 통해 도출된 참조 지원정보를 활용하여 기존의 대표 평가사례들의 평가결과가 어떤 변화가 발생하였는지를 분석하였다. 또한 입력자료 최신화가 기술평가 결과에 미치는 단편적 정보제공을 보완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면서 기존평가 결과와 자료 현행화 이후의 기술평가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수행하기 위해서 과거 농식품 산업에서 수행되었던 기술평가 사례를 선별하고 이를 바탕으로 입력변수들에 대한 민감도 분석 방법과 주요 핵심변수를 활용한 시뮬레이션 분석방법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농식품 분야에서 기술평가 시에 활용되고 있는 입력변수들에 대한 자료 최신화 필요성과 핵심입력변수 기반 구축에 대한 중요한 정책적 시사점, 그리고 기술가치평가 결과에 대한 보다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Development of Industry-Wide IS Integration Model in the Agri-Industry

  • Hedman, Jonas;Henningsson, Stefan
    • Agribusiness and Information Management
    • /
    • 제5권1호
    • /
    • pp.20-30
    • /
    • 2013
  • This paper presents a model explaining industrywide information systems (IS) integration in the agri-industry. Using a theoretical frame of value configuration analysis and IS integration extent we study 15 organizations. We find that product sensitivity, continuous production, value chain captains, and value creation logic explain the industry-wide IS integration. Incompatible value creation logic among stakeholders and the lack of presence of "value chain captains" - powerful actors dominating the entire industry - has and negative impact on industry-wide integration. On the other hand, product sensitivity and continuous production process led to higher levels of integration.

  • PDF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부문의 경쟁력 향상방안 연구 - 포터의 다이아몬드 모델을 중심으로 - (A Study on improving the competitiveness of agri-food export sector in Korea - with Porter's Diamond Model -)

  • 조성제;박현희
    • 통상정보연구
    • /
    • 제13권3호
    • /
    • pp.249-274
    • /
    • 2011
  • 농식품 수출활성화는 국내농업의 소득창출을 위한 새로운 전환기를 제공하는 방안이라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 최근 한류열풍으로 국내 농식품에 대한 인식이 확산됨에 따라 농식품 수출은 새로운 도전이면서 기회이기도 하다. 그러나 국내 농업이 가지고 있는 구조적 문제와 수출시장 진입에 관한 중장기적 전략부재로 인해 수출시장 경쟁력이 향상되지 못하고 있는 설정이다. 이러한 환경 하에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 수출농업 활성화를 위해 농식품 수출부문의 경쟁력을 제고시킬 수 있는 포괄적인 접근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농식품 수출분야에 경쟁력의 개념을 도입하여 농식품의 수출정쟁력 결정요인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농식품 수출부문의 국가 경쟁력 비교분석을 위해서는 종합적인 시각에서 농식품 수출부문을 분석 할 수 있는 평가모델과 측정척도를 적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비농업분야에서 경쟁력 결정요인을 찾기 위해 다양하게 적용된 포터의 경쟁력 모델을 중심으로 농식품 수출부문의 경쟁력을 비교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의 농식품 수출부문의 국가경쟁력 강화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 PDF

EU의 농식품 품질관리 기술 활용 현황 (Trends of Quality Management Technologies and Applications in Agri-Food Industry in EU)

  • 김종훈
    • 식품기술
    • /
    • 제23권4호
    • /
    • pp.592-597
    • /
    • 2010
  • 본 내용은 2010년 4월 25일부터 2010년 5월 1일까지 이탈리아의 UNITEC, SALVI, SORMA, APOFRUIT, 농식품유통매장을 방문하여, EU의 농식품 선별 및 품질관리 센싱기술의 현장 활용실태와 농식품 이력추적관리 및 농산물산지유통센터의 품질센싱 기술을 조사한 결과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