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tentials of Regional Clustering: the Case of Food Industry at Gyeongsangnam-Do

식품 클러스터의 잠재성 분석: 경남지역을 중심으로

  • Kim, Sung-Yong (Dept. of Agri. Econ. (Insti. of Agri. & Life Sci.) Gyeongsang Nat'l Univ.) ;
  • Ahn, Byung-Il (Dept. of Agri. Econ. (Insti. of Agri. & Life Sci.) Gyeongsang Nat'l Univ.) ;
  • Kim, Yun-Shik (Dept. of Agri. Econ. (Insti. of Agri. & Life Sci.) Gyeongsang Nat'l Univ.) ;
  • Lee, Mi-Sook (Graduate Students, Dept. of Agri. Econ. Gyeongsang Nat'l Univ.) ;
  • Nam, Kyung-Soo (Graduate Students, Dept. of Agri. Econ. Gyeongsang Nat'l Univ.) ;
  • Gil, Su-Min (Graduate Students, Dept. of Agri. Econ. Gyeongsang Nat'l Univ.)
  • 김성용 (경상대학교 농업경제학과(농업생명과학연구원)) ;
  • 안병일 (경상대학교 농업경제학과(농업생명과학연구원)) ;
  • 김윤식 (경상대학교 농업경제학과(농업생명과학연구원)) ;
  • 이미숙 (경상대학교 대학원) ;
  • 남경수 (경상대학교 대학원) ;
  • 길수민 (경상대학교 대학원)
  • Received : 2009.10.26
  • Accepted : 2009.12.18
  • Published : 2009.12.31

Abstract

There are worldwidely rising interests in food cluster as it has been perceived as a strategy for improving the competitiveness of food industry. This paper examines the potential of food industry at Gyeongsangnam-do for a regional clustering in terms of five cluster indices. These indices include the absolute size, the relative size of food industry, the level of its concentration, specialization, and market power exertion as an industrial cluster. The result shows that food industry at Gyeongsangnam-do has a potential for a regional clustering.

이 연구는 식품산업의 경쟁력 확보 수단으로 클러스터에 대한 논의가 세계 각국에서 활성화되고 있음을 감안하여 경남지역의 식품산업이 클러스터로 형성 및 발전이 가능한지를 분석하였다. 클러스터의 잠재성 평가는 2차 자료로 측정이 가능한 5가지 지표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평가지표로는 클러스터의 절대적 규모, 상대적 규모, 전문화, 지배력, 집적도가 사용되었다. 측정지표의 분석결과 경남의 식품산업은 클러스터 조성시 경제적 효과의 창출이 가능하며, 경쟁력 뿐 만 아니라 지역전문화와 지배력을 갖춘 것으로 평가되어 잠재적 클러스터 기준에 합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국가균형발전위원회. 2004. 보성녹차 지역혁신사례. 국가 균형발전위원회 지역발전우수사례 발표회 자료.
  2. 권영섭, 변세일, 김태환. 2007. 국가균형발전을 위한 지역전략산업 클러스터 촉진방안. 국토연구원.
  3. 권영섭, 정석희, 강호제, 박경현. 2005. 지역특성화 발전 을 위한 혁신클러스터 육성방안 연구. 국토연구원 연구보고 205-28.
  4. 김정호, 박문호, 김태연. 2004. 지역농업클러스터의 형성과 발전방향. 한국농촌경제연구원.
  5. 김정호, 박준기, 김영생, 이병훈. 2005. 지역농업클러스터발전방안. 한국농촌경제연구원.
  6. 김주한, 김선배, 최윤희. 2003. 바이오클러스터의 성공조건과 발전방안. 산업연구원.
  7. 김 호, 김태연, 조완형, 김대중, 허재욱, 성정현. 2007. 사례연구를 통한 식품산업클러스터 조성방향. 단국대학교 협동문화경제연구소.
  8. 농림수산식품부. 2008. 식품산업발전종합대책.
  9. 박현태, 김배성, 이웅연. 2007. 순창장류 농산업클러스터구축 연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0. 산업연구원. 2008. 국가식품클러스터조성 기본계획 수립.
  11. DTI(Department of Trade and Industry, United Kingdom). 2001. Business Clusters in the UK: A First Assessment, Cluster Mapping Report.
  12. Ketels, Christian and Oerjan Soelvell. 2006. Cluster in the EU-10 New Member Countries. Europe Innova.
  13. Koschatzky, Knut and Lo Vivien. 2007. Methodological Framework for Cluster Analysis, Fraunhofer Institute Systems and Innovation Research.
  14. Paulsson, T. and Mattias Olsson-Ruppel. 2003. The Joenkoeping Region ICT Cluster Study. MUTIES.
  15. Porter, Michael E. 1998. Clusters and the New Economics of Competition, Harvard Business Review 76: 77-90.
  16. Sternberg, R. and T. Litzenberger. 2004. Regional cluster in Germany their geography and their relevance for entrepreneurial activities. European Planning Studies 12: 768-7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