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ge-associated inflammation

검색결과 111건 처리시간 0.024초

안정된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에서 신체질량지수와 전신 염증인자, 산화 스트레스와의 관련성 (Relationship between Systemic Inflammatory Marker, Oxidative Stress and Body Mass Index in Stable COPD Patient)

  • 함현석;이해영;이승준;조유지;정이영;김호철;함종렬;박찬후;이종덕;손현준;윤희상;황영실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1권4호
    • /
    • pp.330-338
    • /
    • 2006
  • 연구배경: 만성폐쇄성폐질환은 기도염증으로 인한 기도폐쇄를 특징으로 하는 질환이지만, 질병의 경과중에 체중감소나 근위축 같은 전신증상을 동반하게 된다. 만성 염증과 산화 스트레스가 만성폐쇄성폐질환의 병인에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신체질량지수의 감소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연구자 등은 안정된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에서 신체질량지수와 관련된 인자를 알아보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안정된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 53명(남:여=49:4, 평균나이=$68.25{\pm}6.32$)과 정상 대조군 33명을 대상으로 폐기능 검사를 실시하고 전신염증인자로 혈청 IL-6, TNF-$\alpha$를 측정하고 산화 스트레스 인자로 혈청 8-iso-prostaglandin $F_2{\alpha}$와 carbonyl protein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또한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를 신체질량지수에 따라 다시 3군(<18.5, 18.5-25, >25)으로 나누어 각각의 수치들을 비교하였고 만성폐쇄성폐질환의 중증도에 따라 신체질량지수를 비교하였다. 결 과: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와 정상 대조군의 혈청에서 IL-6, TNF-$\alpha$, carbonyl protein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8-iso-prostaglandin $F_2{\alpha}$은 각각 $456.08{\pm}574.12pg/ml$, $264.74{\pm}143.15pg/ml$로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에서 유의하게 높았다(p<0.05). 만성폐쇄성폐질환에서 신체질량지수의 차이에 따라 혈청 IL-6, TNF-$\alpha$, carbonyl protein과 8-iso-prostaglandin $F_2{\alpha}$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신체질량지수에 따른 환자의 $FEV_1$은 각각 $0.93{\pm}0.25L$, $1.34{\pm}0.52L$, $1.72{\pm}0.41L$로 신체질량지수가 낮을수록 $FEV_1$ 값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p=0.002, r=0.42), 최중증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의 신체질량지수는 $19.8{\pm}2.57$로 중등증의 환자의 $22.6{\pm}3.14$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p<0.05). 결 론: 본 연구에서 안정된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의 신체질량지수는 전신염증인자와 산화 스트레스의 정도와는 관련을 보이지 않았으나 기도폐쇄의 정도와는 관련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에서 신체질량지수의 감소와 관련된 인자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백혈병양반응을 보인 미숙아의 합병증과 예후에 관한 산전과 산후 인자에 대한 분석 (Analysis of Prenatal and Postnatal Factors Associated with Complications and Prognosis in Premature Infants with Leukemoid Reaction)

  • 권세호;이병국;이흔지;나소영;이정하;박수연;강은경;김도현;이관;김희섭
    • Neonatal Medicine
    • /
    • 제15권2호
    • /
    • pp.151-159
    • /
    • 2008
  • 목 적 : 최근 신생아 집중 치료술의 발달로 미숙아의 생존율이 증가하면서 이로 인한 미숙아의 합병증이 중요한 문제가 되고 있다. 백혈병양반응 (leukemoid reaction)은 골수 이외의 원인에 의해 절대호중구수 30,000/$mm^3$ 이상인 경우로 이에 대한 산전 위험 요소와 출생후 합병증과 예후에 관한 상관관계에 대해 잘 알려져 있지 않아 치료와 대책이 없는 상황이다. 이에 신생아 집중치료실에 입원한 미숙아를 대상으로 혈중 백혈구수를 분석하고 합병증과 예후를 대조군과 비교 분석하였다. 방 법 : 2005년 6월부터 2007년 7월까지 동국대학교 일산병원 신생아 집중 치료실에 입원한 재태 기간 37주미만의 미숙아 중 2,500 g 미만의 적정 체중아 252명을 후향적으로 의무기록을 통하여 조사하였다. 총혈구검사를 출생 직후 및 매일 또는 매주 시행하였고 절대호중구수가 30,000/$mm^3$ 이상인 경우를 백혈병양반응으로 정의하였다. 산전 위험 요소는 산모의 나이, 조기 양막 파수,융모양막염, C-반응 단백질 수치를 조사하였고 미숙아들의 합병증 및 예후는 재태 기간, 출생 체중, Apgar 점수, 신생아 호흡 곤란 증후군, 인공호흡기 사용일수, 기관지폐 형성 이상, 동맥관 개존, 뇌실 내 출혈, 괴사 장염, 미숙아 망막증, C-반응 단백질 수치, 산전 스테로이드 사용, 사망률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여 환자군과 대조군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 백혈병양반응을 보인 환자군은 총 8명(3.14%)이었다. 산전 관련인자로 산모의 연령과 조기 양막 파수와는 관련이 적었으나 융모양막염이 있는 경우(P=0.010)와 분만 전 산모의 높은 C-반응 단백질 수치(P<0.001)는 유의한 관련이 있었다. 환자군과 대조군을 통계적으로 비교하여 볼 때 환자군의 재태간(P=0.005)이 짧고 출생 체중(P=0.011)이 작았으며 1분 Apgar 점수(P=0.045)와 5분 Apgar 점수(P=0.014)가 낮았다. 환자군이 신생아 호흡 곤란 증후군(P=0.004)과 기관지폐 형성 이상(P< 0.001)과 관련이 컸으며 인공호흡기를 사용한 일수가 길었다(P<0.001). 체중이 비슷한 1,000 g 미만의 초극소 저체중 출생아에서 임상적 특징 및 합병증의 비교에서는 인공호흡기 사용일수(P=0.041)와 기관지폐 형성 이상의 발생률(P=0.006)이 백혈병양반응과 유의한 연관을 보였다. 환자군에서 출생 직후의 C-반응 단백질 수치가 유의하게 높았다(P<0.001). 환자군과 대조군의 특징과 합병증을 다변량분석을 실시하였을 때 기관지폐 형성 이상과 환자군의 C-반응 단백질 수치가 비교위험도가 각각 60.12, 4.57로 95%신뢰구간에서 유의한 값을 보였다. 전체 대상 환자군에서 동맥관 개존과 신생아 괴사 장염의 발생 비율이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뇌실 내 출혈, 미숙아 망막증, 사망률, 산전 스테로이드 사용은 환자군과 대조군에서 차이는 없었다. 결 론 : 백혈병양반응은 산전 감염과 관련이 있고 이로 인해 백혈구수가 증가하여 과도한 염증반응이 출생후 기관지에 영향을 미쳐 기관지폐 형성 이상을 유발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출생 전 산모의 감염에 대한 산과적 치료와 출생 후 미숙아의 호흡기의 치료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Kirschner Wire Fixation for the Treatment of Comminuted Zygomatic Fractures

  • Kang, Dai-Hun;Jung, Dong-Woo;Kim, Yong-Ha;Kim, Tae-Gon;Lee, JunHo;Chung, Kyu Jin
    • 대한두개안면성형외과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19-124
    • /
    • 2015
  • Background: The Kirschner wire (K-wire) technique allows stable fixation of bone fragments without periosteal dissection, which often lead to bone segment scattering and loss. The authors used the K-wire fixation to simplify the treatment of laborious comminuted zygomatic bone fracture and report outcomes following the operation. Methods: A single-institution retrospective review was performed for all patients with comminuted zygomatic bone fractures between January 2010 and December 2013. In each patient, the zygoma was reduced and fixed with K-wire, which was drilled from the cheek bone and into the contralateral nasal cavity. For severely displaced fractures, the zygomaticofrontal suture was first fixated with a microplate and the K-wire was used to increase the stability of fixation. Each wire was removed approximately 4 weeks after surgery. Surgical outcomes were evaluated for malar eminence, cheek symmetry, K-wire site scar, and complications (based on a 4-point scale from 0 to 3, where 0 point is 'poor' and 3 points is 'excellent'). Results: The review identified 25 patients meeting inclusion criteria (21 men and 4 women). The mean age was 52 years (range, 15-73 years). The mean follow up duration was 6.2 months. The mean operation time was 21 minutes for K-wire alone (n=7) and 52 minutes for K-wire and plate fixation (n=18). Patients who had received K-wire only fixation had severe underlying diseases or accompanying injuries. The mean postoperative evaluation scores were 2.8 for malar contour and 2.7 for K-wire site scars. The mean patient satisfaction was 2.7. There was one case of inflammation due to the K-wire. Conclusion: The use of K-wire technique was associated with high patient satisfaction in our review. K-wire fixation technique is useful in patient who require reduction of zygomatic bone fractures in a short operating time.

만성폐쇄성폐질환을 동반한 탄광부진폐증자의 혈청 중 LD 및 CRP 농도 (The Serum Levels of LD and CRP in Patients of Coal Workers' Pneumoconiosi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 이종성;신재훈;이유림;백진이;최병순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214-219
    • /
    • 2017
  • 탄광부진폐증(CWP)과 만성폐쇄성폐질환(COPD)은 석탄분진에 노출되는 탄광부의 폐에서 나타나는 만성적 폐 염증의 특성을 가진다. 이번 연구의 목적은 대조군 27명, CWP 40명, COPD를 동반한 CWP 30명 등 총97명을 대상으로 염증지표로서 혈청 중의 LD와 CRP 수준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혈청 중의 LD 평균 농도(165.7 vs 184.6 U/L, p=0.016)와 CRP 평균 농도(0.08 vs 0.15 mg/dL, p=0.002)는 CWP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혈청 중의 CRP 평균 농도(0.10 vs 0.19 mg/dL, p=0.008)는 COPD군에서 높았다. 연령을 통제한 공분산분석에서, 혈청 중 CRP 평균 농도는 대조군, CWP군 및 CWP+COPD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0.07 vs 0.13 vs 0.19 mg/dL, p=0.005), CWP+COPD 군의 혈청 CRP 평균 농도가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01). 이러한 결과는 높은 수준의 혈청 중 CRP는 탄광부 이직근로자에서의 CWP 및 COPD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백혈구 수와 대사증후군과의 관련성 (Relationship between White Blood Cell Counts and the Metabolic Syndrome)

  • 서현숙;윤용운;손석준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35권1호
    • /
    • pp.67-76
    • /
    • 2010
  • 광주지역의 한 종합병원 수검자를 대상으로 백혈구 수와 대사증후군과의 관련 요인을 분석하고자 단면 연구를 시행한 결과 대사증후군의 유병률은 남성이 25.2%, 여성은 13.3%로 나타났으며, 연령별 유병률은 남성은 40대에서, 여성은 60세 이상에서 가장 높은 유병률을 보였고 남녀 모두 백혈구수가 증가 할수록 대사증후군의 유병률이 높게 나타났다. 대사증후군과 백혈구수와의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에서는 남, 여 모두 백혈구 수가 증가 할수록 대사증후군의 위험도가 증가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비록 정상범위 일지라도 증가된 백혈구 수는 대사증후군과 연관성이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대사증후군 기준을 충족시키는 항목수가 많을수록 백혈구 수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백혈구 수를 네 개의 군으로 나누었을 때 백혈구 구분수가 증가할수록 대사증후군의 유병률도 증가하고 있었다. 백혈구수와 백혈구 감별계산이 대사증후군을 예측하는 인자로 가치가 있는지는 광범위한 대단위 연구와 시간적 순서에 의해 인과관계를 규명하는 코호트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Interleukin-12 and Interleukin-6 Gene Polymorphisms and Risk of Bladder Cancer in the Iranian Population

  • Ebadi, Nader;Jahed, Marzieh;Mivehchi, Mohamad;Majidizadeh, Tayebeh;Asgary, Mojgan;Hosseini, Seyed Ali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18호
    • /
    • pp.7869-7873
    • /
    • 2014
  • Interleukin-12 (IL-12) as an antitumor and interleukin-6 (IL-6) as an inflammatory cytokine, are immunomodulatory products that play important roles in responses in cancers and inflammation. We tested the association between two polymorphisms of IL-12(1188A>C; rs3212227) and IL-6 (-174 C>G) and the risk of bladder cancer in 261 patients and 251 healthy individuals. We also investigated the possible association of these SNPs in patients with high-risk jobs and smoking habits with the incidence of bladder cancer. The genotype distributions of IL-6 (-174 C/G) genotype were similar between the cases and the control groups; however, among patients with smoking habits, the association between IL-6 gene polymorphism and incidence of bladder cancer was significant. After a control adjustment for age and sex, the following results were recorded: CC genotype (OR= 2.11, 95%CI=1.56-2.87, p=0.007), GC genotype (OR=2.18, 95%CI=1.16-4.12, p=0.014) and GC+CC (OR=2.6, 95%CI=1.43-4.47, p=0.011). A significant risk of bladder cancer was observed for the heterozygous genotype (AC) of IL-12 (OR=1.47, 95%CI=1.01-2.14, p=0.045) in all cases, and among smokers (AC) (OR=3.13, 95%CI=1.82-5.37, p=0.00014), combined AC+CC (OR=3.05, 95%CI=1.8-5.18, p=0.000015). Moreover among high risk job patients, there was more than a 3-fold increased risk of cancer in the carriers of IL-12 beta heterozygous (OR=3.7, 95%CI=2.04-6.57, p=0.000056) and combined AC+CC(OR=3.29, 95%CI=1.58-5.86, p=0.00002) genotypes as compared with the AA genotype with low-risk jobs. As a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IL-12(3'UTR A>C) and IL-6 (-174 C>G) genotypes a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risk of bladder cancer in the Iranian population with smoking habits and/or performing high-risk jobs.

Styrene 노출에 반응을 보이는 혈청 단백질에 대한 프로테오믹스 분석 (Proteomic analysis of serum proteins responsive to styrene exposure)

  • 김기웅;허경화;원용림;정진욱;김태균;박인정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35-244
    • /
    • 2007
  • By comparing the proteins from the workers exposed to styrene with the ones from controls, it may be possible to identify proteins that play a role in the occurrence and progress of occupational disease and thus to study the molecular mechanisms of occupational disease. In order to find the biomarkers for assessing the styrene effects early, before clinical symptoms develop and to understand the mechanisms of adverse health effects, we surveyed 134 employees, among whom 52 workers(30 male and 22 female) were chronically exposed to styrene in 10 glass-reinforced plastic boat manufacturing factories in Korea and 82 controls had never been occupationally exposed to hazardous chemicals including styrene. The age and drinking habits and serum biochemistry such as total protein, BUN and serum creatinine in both group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Exposed worker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exposure levels of styrene(G1, below 1/2 TLV; G2, 1/2 TLV to TLV; G3, above TLV). The mean concentration of airborne styrene in G1 group was $10.93{\pm}11.33ppm$, and those of urinary mandelic acid(MA) and phenylglyoxylic acid(PGA) were $0.17{\pm}0.21$ and $0.13{\pm}0.11g/g$ creatinine, respectively. The mean concentration of airborne styrene in G2 and G3 groups were $47.54{\pm}22.43$ and $65.33{\pm}33.47ppm$, respectively, and levels of urinary metabolites such as MA and PGA increased considerably as expected with the increase in exposure level of styrene. The airborne styrene concentration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to the urinary concentration of MA(r=0.784, p=0.000) and PGA(r=0.626, p<0.001). In the 2D electrophoresis, the concentration of five proteins including complement C3 precursor, alpha-1-antitrypsin(AAT), vitamin D binding protein precursor(DBP), alpha-1-B-glycoprotein(A1BG) and inter alpha trypsin inhibitor(ITI) heavy chain-related protein were significantly altered in workers exposed to styrene compared with controls. While expression of complement C3 precursor and AAT increased by exposure to styrene, expression of DBP, A1BG and ITI heavy chain-related protein decreas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exposure of styrene might affects levels of plasma proteinase, carriers of endogenous substances and immune system. In particular, increasing of AAT with the increase in exposure level of styrene can explain the tissue damage and inflammation by the imbalance of proteinase/antiproteinase and decrease of DBP, A1BG and ITI heavy chain-related protein in workers exposed to styrene is associated with dysfunction and/or declination in immune system and signal transduction

덱사메타손에 의해 유발된 흉선 T세포사멸에 대한 그렐린의 세포사멸억제효과 (Ghrelin Attenuates Dexamethasone-induced T-cell Apoptosis by Suppression of the Glucocorticoid Receptor)

  • 이준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12호
    • /
    • pp.1356-1363
    • /
    • 2014
  • 28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져 있는 Ghrelin은 위 기저부의 X/A-유사 신경내분비 세포에서 주로 합성 분비되는 물질로 음식의 섭취나 비만, 에너지 항상성 등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며, 이러한 Ghrelin 활성화는 수용체인 G-protein coupled growth hormone secretagogue receptor-1a (GHS-R1a)와 결합을 통해 일어난다. 최근 보고된 자료에 따르면, ghrelin과 수용체는 위나 시상하부, 뇌하수체 등뿐만 아니라 T 세포나 단핵구 및 대식세포 등 면역 세포에서도 생성되며, 염증반응을 유도하는 사이토카인의 생성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흉선의 퇴화 등 면역기관에 있어서도 중요한 호르몬으로 보고되고 있지만 그 기전이나 기능에 대한 연구가 아직 미미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흉선에서 T 세포의 성숙이나 세포활성을 억제하는 물질로 알려져 있는 덱사메타손(Dexamethasone; DEX)으로 세포사멸을 유도시킨 흉선세포에 ghrelin을 처리하여 세포사멸 억제효과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Ghrelin은 세포사멸에 중요 단백질인 Caspase-3와 PARP 및 Bim의 활성화가 in vivo 및 in vitro 모두에서 효과적으로 저해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세포사멸의 억제효과는 ghrelin을 처리할 경우 DEX에 의해 활성화된 Glucocorticoid 수용체(GR)의 인산화의 억제와 HSP90 등과 복합체를 이루고 있는 GR이 활성화되면서 분해되는 과정을 억제시켜 결과적으로 핵 안으로 이동하는 과정을 억제하는 기전을 통해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 등을 통해 볼 때, ghrelin은 약물이나 체내 생리적 스트레스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흉선 내 면역세포들의 세포사멸에 도움을 줄 것으로 사료되며, 나아가 이로 인한 흉선위축을 보호할 수 있는 치료 후보물질로서의 연구를 기대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Novel target genes of hepatocellular carcinoma identified by chip-based functional genomic approaches

  • Kim Dong-Min;Min Sang-Hyun;Lee Dong-Chul;Park Mee-Hee;Lim Soo-Jin;Kim Mi-Na;Han Sang-Mi;Jang Ye-Jin;Yang Suk-Jin;Jung Hai-Yong;Byun Sang-Soon;Lee Jeong-Ju;Oh Jung-Hwa
    • 한국생물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정보시스템생물학회 2006년도 Principles and Practice of Microarray for Biomedical Researchers
    • /
    • pp.83-89
    • /
    • 2006
  • Cellular functions are carried out by a concerted action of biochemical pathways whose components have genetic interactions. Abnormalities in the activity of the genes that constitute or modulate these pathways frequently have oncogenic implications. Therefore, identifying the upstream regulatory genes for major biochemical pathways and defining their roles in carcinogenesis can have important consequences in establishing an effective target-oriented antitumor strategy We have analyzed the gene expression profiles of human liver cancer samples using cDNA microarray chips enriched in liver and/or stomach-expressed cDNA elements, and identified groups of genes that can tell tumors from non-tumors or normal liver, or classify tumors according to clinical parameters such as tumor grade, age, and inflammation grade. We also set up a high-throughput cell-based assay system (cell chip) that can monitor the activity of major biochemical pathways through a reporter assay. Then, we applied the cell chip platform for the analysis of the HCC-associated genes discovered from transcriptome profiling, and found a number of cancer marker genes having a potential of modulating the activity of cancer-related biochemical pathways such as E2F, TCF, p53, Stat, Smad, AP-1, c-Myc, HIF and NF-kB. Some of these marker genes were previously blown to modulate these pathways, while most of the others not. Upon a fast-track phenotype analysis, a subset of the genes showed increased colony forming abilities in soft agar and altered cell morphology or adherence characteristics in the presence of purified matrix proteins. We are currently analyzing these selected marker genes in more detail for their effects on various biological Processes and for Possible clinical roles in liver cancer development.

  • PDF

Association between periodontal bacteria and degenerative aortic stenosis: a pilot study

  • Kataoka, Akihisa;Katagiri, Sayaka;Kawashima, Hideyuki;Nagura, Fukuko;Nara, Yugo;Hioki, Hirofumi;Nakashima, Makoto;Sasaki, Naoki;Hatasa, Masahiro;Maekawa, Shogo;Ohsugi, Yujin;Shiba, Takahiko;Watanabe, Yusuke;Shimokawa, Tomoki;Iwata, Takanori;Kozuma, Ken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51권4호
    • /
    • pp.226-238
    • /
    • 2021
  • Purpose: Although several reports have describe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iodontal disease and cardiovascular disease, information about the association between periodontal disease and the progression of degenerative aortic stenosis (AS) is lacking. Therefore, we performed a retrospective, single-center, pilot study to provide insight into this potential association. Methods: Data from 45 consecutive patients (19 men; median age, 83 years) with mild or moderate degenerative aortic stenosis were analyzed for a mean observation period of 3.3±1.9 years. The total amount of Aggregatibacter actinomycetemcomitans and Porphyromonas gingivalis and titers of serum immunoglobulin G (IgG) against periodontal bacteria and high-sensitivity C-reactive protein (hs-CRP) were evaluated. Aortic valve area (AVA), maximal velocity (Vmax), mean pressure gradient (mean PG), and the Doppler velocity index (DVI) were evaluated. The change in each parameter per year ([ParameterLATEST-ParameterBASELINE]/Follow-up Years) was calculated from the retrospective follow-up echocardiographic data (baseline vs. the most recently collected data [latest]). Results: No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concentration of periodontopathic bacteria in the saliva and AS status/progression. The anti-P. gingivalis antibody titer in the serum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AVA and DVI. Additionally,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anti-P. gingivalis IgG antibody titer and mean PG. The hs-CRP concentration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with Vmax and mean PG. Meanwhile, a negative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the anti-P. gingivalis IgG antibody titer and ΔAVA/year and Δmean PG/year. The hs-CRP concentration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with Vmax and mean PG, and i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patients with rapid aortic stenosis progression (ΔAVA/year <-0.1) than in their counterparts. Conclusions: Our results suggest that periodontopathic bacteria such as A. actinomycetemcomitans and P. gingivalis are not directly related to the status/progression of degenerative AS. However, inflammation and a lower immune response may be associated with disease progres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