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Prenatal and Postnatal Factors Associated with Complications and Prognosis in Premature Infants with Leukemoid Reaction

백혈병양반응을 보인 미숙아의 합병증과 예후에 관한 산전과 산후 인자에 대한 분석

  • Kwon, Se-Ho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Dongguk University) ;
  • Lee, Byoung-Kook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Dongguk University) ;
  • Lee, Heun-Ji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Dongguk University) ;
  • Na, So-Young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Dongguk University) ;
  • Lee, Jung-Ha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Dongguk University) ;
  • Park, Su-Yeon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Dongguk University) ;
  • Kang, Eun-Kyeung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Dongguk University) ;
  • Kim, Do-Hyeon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Dongguk University) ;
  • Lee, Kwan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Dongguk University) ;
  • Kim, Hee-Sup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Dongguk University)
  • 권세호 (동국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이병국 (동국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이흔지 (동국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나소영 (동국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이정하 (동국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박수연 (동국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강은경 (동국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김도현 (동국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이관 (동국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김희섭 (동국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Published : 2008.11.30

Abstract

Purpose : This study determined the prenatal and postnatal factors associated with complications and prognosis in premature infants with leukemoid reaction. Methods :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premature infants with gestational ages <37 weeks and low birth weights (<2,500 g) who were admitted immediately after birth to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at the Dongguk University Ilsan Hospital between June 2005 and July 2006. A leukemoid reaction was defined as an absolute neutrophil count (ANC) >30,000/$mm^3$. The infants who had leukemoid reaction comprised the study group, while the remainder of infants made up the control group. The relationships between maternal and neonatal variables and ANC were studied. Results : Leukemoid reaction was detected in 3.1% of the study infants (8 of 252). Factors more frequently associated with infants with leukemoid reaction were as follows: maternal chorioamnionitis, high levels of maternal and infant C-reactive protein, gestational age <37 weeks, birth weight <2,500 g, low Apgar score, prolonged ventilator support, and a high incidence of bronchopulmonary dysplasia (BPD).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with respect to the antenatal usage of steroids, the incidences of patent ductus arteriosus, necrotizing enterocolitis, intraventricular hemorrhage, retinopathy of prematurity, and mortality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 : Leukemoid reaction in premature infants was associated with chorioamnionitis and high levels of serum C-reactive protein in mothers and infants, and BPD in infant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leukemoid reaction is secondary to inflammation caused by infection.

목 적 : 최근 신생아 집중 치료술의 발달로 미숙아의 생존율이 증가하면서 이로 인한 미숙아의 합병증이 중요한 문제가 되고 있다. 백혈병양반응 (leukemoid reaction)은 골수 이외의 원인에 의해 절대호중구수 30,000/$mm^3$ 이상인 경우로 이에 대한 산전 위험 요소와 출생후 합병증과 예후에 관한 상관관계에 대해 잘 알려져 있지 않아 치료와 대책이 없는 상황이다. 이에 신생아 집중치료실에 입원한 미숙아를 대상으로 혈중 백혈구수를 분석하고 합병증과 예후를 대조군과 비교 분석하였다. 방 법 : 2005년 6월부터 2007년 7월까지 동국대학교 일산병원 신생아 집중 치료실에 입원한 재태 기간 37주미만의 미숙아 중 2,500 g 미만의 적정 체중아 252명을 후향적으로 의무기록을 통하여 조사하였다. 총혈구검사를 출생 직후 및 매일 또는 매주 시행하였고 절대호중구수가 30,000/$mm^3$ 이상인 경우를 백혈병양반응으로 정의하였다. 산전 위험 요소는 산모의 나이, 조기 양막 파수,융모양막염, C-반응 단백질 수치를 조사하였고 미숙아들의 합병증 및 예후는 재태 기간, 출생 체중, Apgar 점수, 신생아 호흡 곤란 증후군, 인공호흡기 사용일수, 기관지폐 형성 이상, 동맥관 개존, 뇌실 내 출혈, 괴사 장염, 미숙아 망막증, C-반응 단백질 수치, 산전 스테로이드 사용, 사망률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여 환자군과 대조군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 백혈병양반응을 보인 환자군은 총 8명(3.14%)이었다. 산전 관련인자로 산모의 연령과 조기 양막 파수와는 관련이 적었으나 융모양막염이 있는 경우(P=0.010)와 분만 전 산모의 높은 C-반응 단백질 수치(P<0.001)는 유의한 관련이 있었다. 환자군과 대조군을 통계적으로 비교하여 볼 때 환자군의 재태간(P=0.005)이 짧고 출생 체중(P=0.011)이 작았으며 1분 Apgar 점수(P=0.045)와 5분 Apgar 점수(P=0.014)가 낮았다. 환자군이 신생아 호흡 곤란 증후군(P=0.004)과 기관지폐 형성 이상(P< 0.001)과 관련이 컸으며 인공호흡기를 사용한 일수가 길었다(P<0.001). 체중이 비슷한 1,000 g 미만의 초극소 저체중 출생아에서 임상적 특징 및 합병증의 비교에서는 인공호흡기 사용일수(P=0.041)와 기관지폐 형성 이상의 발생률(P=0.006)이 백혈병양반응과 유의한 연관을 보였다. 환자군에서 출생 직후의 C-반응 단백질 수치가 유의하게 높았다(P<0.001). 환자군과 대조군의 특징과 합병증을 다변량분석을 실시하였을 때 기관지폐 형성 이상과 환자군의 C-반응 단백질 수치가 비교위험도가 각각 60.12, 4.57로 95%신뢰구간에서 유의한 값을 보였다. 전체 대상 환자군에서 동맥관 개존과 신생아 괴사 장염의 발생 비율이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뇌실 내 출혈, 미숙아 망막증, 사망률, 산전 스테로이드 사용은 환자군과 대조군에서 차이는 없었다. 결 론 : 백혈병양반응은 산전 감염과 관련이 있고 이로 인해 백혈구수가 증가하여 과도한 염증반응이 출생후 기관지에 영향을 미쳐 기관지폐 형성 이상을 유발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출생 전 산모의 감염에 대한 산과적 치료와 출생 후 미숙아의 호흡기의 치료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