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fter-school mathematics education

검색결과 325건 처리시간 0.026초

남.북한 수학교과서의 내용체계 및 용어에 대한 비교분석 -북한의 고등중학교 교과서를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n the Contents and Terminologies of Middle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in South.North Korea)

  • 현진오;강태석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38권2호
    • /
    • pp.105-128
    • /
    • 1999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a way to make mathematics textbooks after Korea is reunited. For this, the analysis of curriculum in SouthㆍNorth Korea must be made before unification. Therefore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the contents, organization and mathematics terms used in the latest middle school textbooks(1995-1996). And it also compared and contrasted the two textbooks while determining the best points of each. In this way, this study will be a very useful guide for making new educational curriculum and new mathematics textbooks after South and North Korea be unified.

  • PDF

Graphing Calculator's Impact on Students' Exploration in Senior High School

  • Li Shiqi;Shi Hongliang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10권1호
    • /
    • pp.79-87
    • /
    • 2006
  • In this paper we investigated the influence on school students when they use graphing calculator for exploration, including their experience of exploration, their ability and attitudes. After using graphing calculator based mathematics exploration course, two students were interviewed and 162 students who finished the course in these years were investigated. The results show that graphing calculator is a useful tool to develop students' explorative ability. Most of students had positive attitudes to and were interested in making use of graphing calculator.

  • PDF

초등학교 저학년 수학교육에서의 역동적 평가 방안 탐색 (The Dynamic Assessment for Lower Grades of Primary School)

  • 이봉주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0권1호
    • /
    • pp.13-25
    • /
    • 2011
  • The Goals of mathematics education for the lower grades of primary school is to shape the basic concepts and the skills of mathematics. To achieve this goal, it is necessary an assessment which is able to help the students' learning activities by precisely diagnosing their basic mathematical capability. It should lend the students an assistance in diagnosing and revising their problems throughout teacher's cognitive participation in the process of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I would like to suggest the dynamic assessment as one of these kinds of approaches. In order to prove the utilities of this way, it was examined the necessity of dynamic assessment on the basis of the Vygotsky's theory after looking in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tents and methods of the mathematics education for the lower grades of primary school. Next, I researched the principles of the dynamic assessment and embodied the assessment tool to evaluate the mathematical achievement of the lower grades of the primary school. Lastly, it was provided the examples of the dynamic assessment tool in order to assist the practice of it.

초등 수학에서 토의·토론수업이 학업성취도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초등학교 4학년 도형영역을 중심으로 (An Effect of Discussion and Debate Instruction on Mathematical Achievements and Attitudes in Elementary Mathematics Class)

  • 최모로;안병곤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20권2호
    • /
    • pp.131-142
    • /
    • 2017
  • 본 연구는 수학 수업에서 토의 토론이 학업성취도와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초등학교 4학년 학급 중 학업성취도와 수학적 태도에서 동질성이 검증된 두 개 반을 실험 집단과 비교 집단으로 설정하여 토의 토론수업을 실시한 후 두 집단의 학업성취도와 수학 학습태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이는 기술통계, 독립 t검정, 대응 t검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수학 토의 토론수업은 일반적 강의식 수업보다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향상에 효과적이었고, 학생이 능동적으로 참여하여 질문하며 문제 해결 활동을 통해 스스로 수학적 원리와 개념을 이해하고 수학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 함양에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도내 초등학교 교사들의 수학과 수행 평가 유형에 대한 선호 실태 분석 연구 (Methods of Performance Assessment in Mathematics Preferred by Cheju Elementary School Teachers)

  • 김해규;고길철;김대진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61-74
    • /
    • 1999
  • 최근 새로운 평가 체제로 대두되고 있는 수행 평가에 대한 체계적인 선행 연구의 부족으로. 초등학교 교사들은 수행 평가 문제를 직접 연구, 개발해서 아동들에게 적용시켜야 하는 부담을 안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 제주도내 초등학교에 근무하고 있는 교사들을 대상으로 지금교육 현장에서 실시되고 있는 수행 평가의 실태 및 수학 교과에서의 수행 평가 방법의 유형에 대한 선호도와 앞으로 개발되어야 할 수학 교과에서의 수행 평가 방법의 유형에 대한 선호도를 설문 조사하여, 각 학년에 투입 가능한 수행 평가 유형을 찾아보았다.

  • PDF

예비초등교사를 대상으로 한 '놀이수학' 수업의 실행 (Future Elementary School Teacher's Carrying Out Mathematics Classes Using Play-Action Programs)

  • 김성준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9권4호
    • /
    • pp.575-595
    • /
    • 2006
  • 본 연구는 교육대학교의 교육현장에서 '놀이수학' 강의를 실행하고, 이를 통해 예비초등교사와 초등학교 수학교육에 적용할 수 있는 놀이수학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이들이 초등학교 수학수업을 준비함에 있어 새로운 동기와 흥미를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대상으로 선정된 교육대학교 3학년 43명의 학생들은 강의시간을 통해 조작교구와 구체물을 활용한 놀이수학활동을 직접 경험해보고, 이러한 놀이수학의 주제들이 초등학교 수학의 어떤 영역과 학년에서 적용가능한지를 살펴보았다. 또한 초등학교 수학수업에 적용할 수 있는 놀이수학 학습자료를 개발하는 등 예비초등교사로서 이후 수학수업에서 놀이수학을 활용하는데 필요한 기초적인 지식을 다루고자 하였다.

  • PDF

인성교육을 위한 수학 교수·학습에서 고등학생들의 범교과적 인성요소에 대한 인식변화 (Exploring High School Students' Perceptions on Cross-Curriculum Character Education Factors in Mathematical Teaching & Learning)

  • 홍인숙;고상숙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6권3호
    • /
    • pp.607-633
    • /
    • 2016
  • 현장의 교사들과 학생들이 수학교과는 인성교육과 관련성이 없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는 수학수업에서 범교과적 인성요소에 대한 인성교육의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시도되었다.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예비연구를 통해 인성요소를 추출하여 수학 교수 학습자료, 8차시를 개발하였고, 이를 2014년 3월과 4월에 고등학교 2학년 자연계열(70명)과 인문계열 학생들(70명)에게 수행하여 사전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인성요소별로 유의한 수준의 차이를 나타낸 분석 결과로는 "나와의 관계"중 '약속'에서는 사전에는 자연계열이, 사후에는 인문계열 학생이 향상되었고, "인간(너) 관계"의 용서'와 '책임'에서 사후에서 '자연계열 학생들이, '소유'에서 인문계열 학생들이 유의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집단과 관계"에서는 공동체 의식에 대한 사전에서 자연계열 학생들이, 사후에서는 인문계열 학생들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자연계열 학생들은 수학교과와 깊은 관련성 때문에 그런지 인성교육과의 관련성을 대부분 요소들의 사전검사에서 인문계열 학생들보다 높게 인식하고 있었지만. 이미 고착된 인식을 가진 고등학생들에게 수학수업 후 인성교육 적용결과 '약속', '소유', '공동체 의식'에서 인문계열 학생들의 유의한 수준의 긍정적 변화가 나타난 것으로 미래 수학교과에서 인성교육의 가능성을 가늠할 수 있었다.

초등학교 방과후학교 수학과 수업의 운영 실태 조사 -부산광역시 방과후학교를 중심으로- (A survey on the status and content of after-school mathematics class - Focusing to the elementary school in Busan -)

  • 이영희;김성준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7권3호
    • /
    • pp.385-408
    • /
    • 2014
  • 본 연구는 초등학교 방과후학교 수학과 수업을 담당하고 있는 강사들을 대상으로 그 운영실태를 조사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 초등학교 100개교에서 방과후학교 수학 프로그램을 담당하고 있는 강사 11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의 내용은 강사 관련 실태, 학생 관련 실태, 수업 관련 실태로 구분되어 있으며, 이 가운데 특히 수업 관련 실태의 경우 수업의 운영과 관련된 전반적인 목표, 시간과 횟수, 교재와 내용, 평가에 이르기까지 강사들의 답변을 종합하였다. 또한 서술형 설문 문항을 통해서 방과후학교 프로그램 진행에서의 어려움과 함께 개선이 요구되는 부분을 정리하였다. 초등학교 수학과 방과후학교 프로그램의 경우 그 유형은 교과 중심의 예습 복습에 초점을 맞추는 교과수학, 교과와 함께 창의적 활동과 체험을 고려한 창의수학, 그리고 연산 중심의 주산/암산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강사들의 공통 의견으로는 강사의 전문성 확보를 위한 연수 프로그램의 개발을 비롯하여 수학과 방과후학교에 적합한 프로그램과 교재의 개발, 그리고 다양한 형태의 수학 수업을 진행하기 위한 강사의 노력과 함께 학부모의 수학과 방과후학교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의 변화, 학교의 방과후학교 지원 등을 꼽았다. 이러한 실태조사를 통해 초등학교에서 방과후학교 수학과 프로그램이 방과후학교의 목적에 부합할 수 있는 개선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 PDF

수학 내러티브가 일반고 학생의 수학 정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mathematics narrative's influences on affects about mathematics of ordinary high school students)

  • 이기돈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9권1호
    • /
    • pp.21-41
    • /
    • 2016
  • 교육부는 실생활 또는 판타지 맥락의 이야기를 활용하여 수학적 지식의 구성 동기를 제공하고 흥미를 유발하려는 스토리텔링을 주창하고 있다. 그러나 학교수학은 실생활이나 판타지 맥락과 직접적인 관련을 맺기 어려운 내용을 포함하기 때문에 그런 경우 수학적 사실들이 어떤 점에서 흥미로운지를 수학 내러티브로 구성하여 교수학습 하는 것이 긍정적 수학 정서 형성을 위한 한 가지 방안이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의 한 일반고에서 치러진 4회의 정기고사 문항들을 소재로 개발한 4건의 수학 내러티브를 정기고사가 끝날 때마다 한 건씩 그 시험을 치른 한 명 내지 5명의 학생들과 논의한 사례를 분석하여 수학 내러티브가 일반고 학생의 수학에 대한 정서에 미치는 영향과 그 개선 방향을 탐구하였다. 그 결과 4건의 수학 내러티브에 대한 논의에 꾸준히 참여한 한 학생의 수학에 대한 정서가 긍정적으로 변화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이 학생의 변화와 다른 4명의 학생들의 반응으로부터 수학 내러티브의 개발과 적용에 대한 몇 가지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수학과 교과교실의 효율적인 환경 구성과 운영을 위한 방향 탐색 (Mathematics Classroom in Departmentalized Classroom System: What are Required for Effective Establishment)

  • 김창일;이봉주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03-118
    • /
    • 2013
  • 이 연구는 교과교실제의 안정적인 정착을 위하여 수학과 교과교실을 효율적으로 구성하고 운영하기 위한 방향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교과교실제를 운영하는 10개의 시범학교에서 수학교실을 경험한 수학교사를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였다. 면담 결과, 수학교사는 수학과의 특성, 교수 학습 방법, 학교와 학생의 상황 등을 충분히 반영하여 수학과 교과교실 환경의 구성에 대한 계획을 수립하고, 교과교실 환경 구성의 의사결정 과정부터 적극 참여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수학과 교과교실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교과교실을 최대로 활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교수 학습 방법에 대한 지속적인 개발과 연수가 필수적인 것으로 드러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