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ffective commitment

검색결과 242건 처리시간 0.021초

공공도서관의 관료제적 특성이 사서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Bureaucratic Characteristics on Librarians'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Public Libraries)

  • 송현경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4권3호
    • /
    • pp.165-192
    • /
    • 2023
  •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의 조직 특성 중 현대 도서관 조직에 가장 일반적인 관료제적 특성이 사서들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의 수도권에 위치한 공공도서관 20곳의 사서 18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각 도서관의 관료제 및 탈관료제적 특성인 전문화, 권한의 위계, 규칙체계, 통합, 참여와 조직몰입의 3가지 차원인 정서적 몰입, 유지적 몰입, 규범적 몰입 정도를 조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관료제 및 탈관료제적 특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권한의 위계는 정서적 몰입과 규범적 몰입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통합은 정서적 몰입과 유지적 몰입에 정(+)의 영향을, 참여는 정서적 몰입과 규범적 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권한의 위계를 완화하고 통합과 참여를 강화하는 관료제 및 탈관료제 특성의 조합이 조직몰입도를 높이는 것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 조직의 조직몰입도를 높이는 조직의 관료제 특성을 실증 연구를 통하여 제시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의류기업의 협력업체에 대한 신뢰와 몰입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rust and Commitment on Firm Performance in Apparel Manufacturer-Contractor Relationships)

  • 박나리;박재옥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126-137
    • /
    • 2010
  •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trust and commitment on firm performance in the apparel manufacturer-contractor relationships. A total of 92 apparel manufactures participated in the study. Factor analysis, Cronbach's alpha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Two factors of trust were identified: credibility and benevolence. Two factors of commitment were identified: affective commitment and calculative commitment. Three factors of firm performance were identified: customer service performance, finance performance, and product performance. The credibility of the apparel manufacture in a contractor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affective commitment of an apparel manufacturer and on the calculative commitment in a contractor. Meanwhile, the benevolence of the apparel manufacture on a contractor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affective commitment of an apparel manufacturer on a contractor. The credibility of the apparel manufacture on a contractor was positively related to customer service performance, finance performance, and product performance. The benevolence of the apparel manufacture on a contractor was positively related to customer service performance and finance performance of an apparel manufacture. The affective commitment of the apparel manufacture in a contractor was positively related to service performance. The calculative commitment of the apparel manufacture on a contractor was positively related to finance performance and to the product performance of an apparel manufacture.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s practical guidelines toward exchange partners of apparel manufacturers as to how to facilitate from performance in apparel manufacturer-contractor relationships.

가맹점의 경제적 만족과 사회적 만족이 몰입과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Impacts of Economic Satisfaction and Social Satisfaction of Franchisee on Commitment and Loyalty to Franchisor)

  • 김호석
    • 한국프랜차이즈경영연구
    • /
    • 제9권4호
    • /
    • pp.21-31
    • /
    • 2018
  • Purpose - Recently, the franchise business has made remarkable progress, but many conflicts have occurred. From this perspective, this paper explains how to improve the long - term relationship between franchisor and franchisee by integr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franchisor of franchise business and franchisee.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franchisee's economic and social satisfaction and to examine their influences on calculative and affective commitment, and loyalty. At the end of this paper, theoretical and managerial implication were suggested.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owners and store managers in franchisees located in Seoul, Korea. The trained researchers contacted owners and managers of the franchise stores. The questionaires were distributed to owners and managers consented to respond.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of 324 copies(243 store owners and 81 store managers), except for 26 copies of the untrustworthy response out of 350 copies. The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21.0 and SmartPls 3.0 Result -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economic satisfaction effects both calculative and affective commitment, but social satisfaction does not. Second, both calculative and affective commitment have positive effects on loyalty. Third, economic satisfaction has a positive impact on loyalty, but social satisfaction does not. Conclusions -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following as: From the theoretical perspective, this study analyze the satisfaction and commitment of the franchisee from the multidimensional perspective by analyzing the effects of the franchisee on two dimensions of economic and social satisfaction and on calculative and affective commitment. That is, this study explains the trade-off between economica and social satisfaction, and between calculative and affective commitment. From the managerial perspectiv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economic satisfaction of the franchise headquarters felt by franchisees should be prioritized over social satisfaction. Especially at the early stage of the contract, economic satisfaction should be given priority over social satisfaction. However, since affective and calculative commitmen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loyalty, social satisfaction factors should not be excluded by focusing on only economic ones. In other words, the franchisors should not only think of franchisees as a source of sales and profits, but should respect franchisees and maintain loyal relationships with friends.

조직침묵행동이 팀학습에 미치는 영향 : 정서적 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workplace silent behavior on team learning : mediating effect of affective commitment)

  • 서강석;정승철
    • 벤처혁신연구
    • /
    • 제1권1호
    • /
    • pp.165-179
    • /
    • 2018
  • 본 연구는 침묵행동이 팀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정서몰입의 매개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팀 구성원의 침묵행동은 조직의 효과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에서 팀 리더는 침묵행동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본 연구는 국내 기업의 직원 106명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했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침묵 행동은 정서적 몰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침묵행동은 팀학습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정서몰입은 침묵행동과 팀학습 간의 관계에서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침묵행동은 팀학습에 직접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1차적으로 정서적 몰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2차적으로 팀학습에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조직에서 팀학습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팀의 침묵 수준을 낮추는 노력뿐만 아니라 정서적 몰입 수준을 높이는 방안도 고민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 그리고 향후 연구 과제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서비스 스케이프와 정보기술이 서비스 접점직원의 직무만족과 정서적 몰입 및 서비스 수행에 미치는 영향: 간호서비스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servicescape and information technology on service encounter job satisfaction, affective commitment and service performance: Focused on nursing services)

  • 주기중;유상진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7권5호
    • /
    • pp.75-88
    • /
    • 2012
  • 본 연구는 서비스 스케이프와 정보기술이 직원의 직무만족과 정서적 몰입 및 서비스 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3차 의료기관 입원병동 간호사를 대상으로 실증분석하였다. 구조방정식모형에 의한 실증분석 결과 서비스 스케이프와 정보기술은 직무만족과 정서적 몰입에, 직무만족과 정서적 몰입은 서비스행동에, 정서적 몰입과 서비스행동은 서비스회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무만족은 서비스행동을 통해 서비스회복에 영향을 주는 간접효과는 유의하나 직접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서비스 스케이프, 정보기술이 직무만족과 정서적 몰입을 통해 서비스 수행에 영향을 주는 순차적 관계를 확인하였다. 결론에서는 실증분석 결과에 대한 논의와 연구의 시사점 및 한계점을 제시하였다.

스마트폰 특성 및 서비스 품질과 몰입에 관한 연구 (A Research about Smartphone Characteristics and Service Quality and Commitment)

  • 조현숙;양승복
    • 한국정보컨버전스학회논문지
    • /
    • 제7권2호
    • /
    • pp.1-5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 특성과 서비스 품질이 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편리성, 오락성, 편재성으로 구성된 스마트폰 특성과, 상호작용성, 개인화로 구성된 서비스 품질이 정서적 몰입 및 규범적 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가를 검증하였다. 실증분석결과 스마트폰 특성 중 오락성은 정서적 몰입 및 규범적 몰입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편재성은 규범적 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서비스 품질 중 개인화는 정서적 몰입 및 규범적 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스마트폰 특성 중 오락성과 서비스 품질 중 개인화 기능을 강조하면, 정서적으로 규범적으로 몰입을 증가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 PDF

간호사의 조직몰입과 경력몰입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Influential Factors on Turnover Intention of Nurses;The Affect of Nurse'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Career Commitment to Turnover Intention)

  • 김미란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335-344
    • /
    • 200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aims to provide a fundamental basis for more efficient human resource management of hospitals through career development and through lowering the rate of turnover of nurses. Method: The target group was 370 nurses who are currently employed at four general hospitals. Three hundred and twenty-nine documents were collected, and the statistical results were generated by the SAS program. Result: The average mean score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career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were: 3.13 points for affective commitment, 3.09 points for continuance commitment and 2.92 points for normative commitment, out of a five point scale. The average mean score of career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was 2.89 and 3.28 points.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 in turnover intention was affective commitment ou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Conclusions: This study verified that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career commitment are key variables that could decrease turnover intentions.

  • PDF

간호사의 내재적 동기부여, 정서적 몰입 및 이직의도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Clinical Nurses' Intrinsic Motivation, Affective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 정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1호
    • /
    • pp.594-601
    • /
    • 2017
  •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의 내재적 동기부여, 정서적 몰입 및 이직의도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은 J시내 4개 종합병원에 근무하고 있는 간호사 189명이었다. 자료는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통해 수집되었고,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t-test, 상관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각 변인들의 평균 점수는 내재적 동기부여 $3.02{\pm}0.57$점, 정서적 몰입 $3.47{\pm}0.71$점, 이직의도 $3.30{\pm}0.59$점, 조직성과 $3.37{\pm}0.52$점이었다. 조직성과는 내재적 동기부여와 정서적 몰입 및 이직의도와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 정서적 몰입과 내재적 동기부여가 높은 간호사일수록 조직성과는 높았고, 이직의도가 높은 간호사일수록 조직성과는 낮았다. 조직성과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정서적 몰입(${\beta}=.42$)이었고 내재적 동기부여(${\beta}=.36$), 이직의도(${\beta}=-.11$)순이었으며 이 변인들은 조직성과를 51.6%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조직성과 향상을 위해 간호사의 정서적 몰입, 내재적 동기부여 및 이직의도 등 조직성과의 주요 예측변인들을 평가하고 관리하는 전략이 요구된다. 향후 임상간호사의 내재적 동기부여, 정서적 몰입 및 이직의도와 조직성과와의 관계에 대한 반복연구를 제언한다.

조직변화 수용성의 선행변인 및 결과변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Acceptance of Organizational Change)

  • 양필석;김해룡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4호
    • /
    • pp.247-260
    • /
    • 2022
  • 본 연구는 본 연구는 구성원의 조직변화 수용성의 영향요인과 결과 요인을 밝히는데 있다. 이를 위해 혁신지원적 조직문화, 분권화된 조직, 조직변화 수용성, 혁신행동, 정서적 변화몰입 간의 관계를 검토하고 그 관계에 있어서 조직변화 수용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H자동차 261명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위한 자료를 수집하였고, 가설검증을 위해 SPSS 20.0과 AMOS 20.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혁신지원적 조직문화는 조직변화 수용성 및 정서적 변화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분권화된 조직은 조직변화 수용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분권화된 조직은 혁신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 조직변화 수용성은 정서적 몰입 및 혁신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네 번째, 조직변화 수용성은 혁신지원적 조직문화와 정서적 변화몰입의 관계에서 부분매개를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조직변화 수용성은 분권화된 조직과 혁신행동의 관계에서 완전매개를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혁신지원적 조직문화와 분권화된 조직은 조직변화 수용성을 통해 정서적 변화몰입과 혁신행동에 긍정적 영향을 준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방향이 제안되었다.

패션기업의 조직유형이 디자이너의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Fashion Companies' Organizational Types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 Commitment of Fashion Designer)

  • 신정숙;소황옥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15-133
    • /
    • 2015
  •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fashion companies' organizational types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 commitment of fashion designer. As well as this study analyzed the differences the organizational type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 commitment by the gender and age of fashion designer. A survey was conducted from January 5 to 30 in 2015, among fashion companies' designer of Seoul metropolitan area. And 238 responses were used in the data analysis. As a result, fashion companies' organizational types was composed of five factors(coordinating leader organization, group creative organization, external innovators' collaborative organization, bureaucratic hierarchy organization, integrative thinking leader organization). Job satisfaction of fashion designer was composed of three factors(work satisfaction, employment satisfaction,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 commitment was composed of two factors(affective commitment, calculative commitment). The coordinating leader organization and integrative thinking leader organization positively influenced the work satisfaction, but the bureaucratic hierarchy organization negatively influenced the work satisfaction. The coordinating leader organization and group creative organization positively influenced the employment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The group creative organization and external innovators' collaborative organization positively influenced the affective and calculative commitment, but the bureaucratic hierarchy organization negatively influenced the affective commitment. In addi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oordinating leader organization, integrative thinking leader organization, employment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by the gender.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group creative organization, bureaucratic hierarchy organization, affective and calculative commitment by the ag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