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esthetic consciousness of color

검색결과 29건 처리시간 0.022초

중국(中國) 청(淸) 왕조시대(王朝時代)와 일본(日本) 강호시대(江戶時代)의 미의식(美意識)에 따른 화장문화(化粧文化) 비교 연구 (Comparison Study on the Make-up Cultures between the Ching dynasty in China and the Edo Age in Japan based on their Aesthetic Consciousness)

  • 안현순;고정민
    • 비교문화연구
    • /
    • 제27권
    • /
    • pp.59-79
    • /
    • 2012
  • China and Japan are geographically close and the two countries had shared the Chinese Character Culture and the thoughts of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since the ancient age. They also actively exchanged culture in various areas. Some cultural exchanges had been caused by surrounding environment and culture had been introduced to other country in a natural way; while some cultural exchanges had been forcibly introduced through artificial process. It is believed that such cultural phenomenon must have had impact on the make-up cultures of the two countries and it was assumed that there must have been commons and differences in the make-up cultures of the two countries. This study explored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Ching dynasty of China and the Edo Age in Japan, which are in the same time frame, and studied the aesthetic consciousness of the two countries at the time. Then the make-up style of ladies in the two countries had been studied to find out how their aesthetic consciousnesses had been expressed in the make-ups of the two countries. Then the commons and differences in make-up skills between the two countries had been identified.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the main stream of aesthetics during the Ching dynasty in China can be classified into Confucianism aesthetics and Taoism aesthetics. On the other hand, the main stream of aesthetics during the Edo Age in Japan can be classified into "mitate(見立)", "ikki(いき)" and "garumi(かるみ). The skin care in the make-up culture of Ching dynasty in China was based on "rouge (?脂, yanzhi)" and "powder(粉, fen)". The Ching ladies loved the make-up style using rouge. It had been same both in the high society and common people. The eyebrow care was delicate and curved so that the feminine beauty with elegant spirit could be emphasized. The lips had been expressed to be smaller and the ladies tried to express elegance and reliability, rather than frail and tender feminine image. The skin care in the make-up culture of Edo Age in Japan focused on even applying of white powder so that the face would look soft. The eyebrow make-up was a very important part of the make-up. The shapes of eyebrow had been advanced in various styles and there had been eyebrow make-up styles such as "crescent-shaped brow (三日月), "crane style brow (鶴眉) and "Tang style brow (唐眉). The lips had been applied of thick red color, imitating the make-up skill of the ladies in the entertainment business. The lips make-up skill expressing the lips in two colors had been quite popular. Among the make-up skills during the Edo Age in Japan, the "black teeth (齒黑)" can be said as the most unique make-up style of Edo Age.

현대패션에 표현된 한국복식의 전통미 - 1980년대 이후 한국디자이너 작품을 중심으로 - (A Study on Beauty of Traditional Dress Expressed in Korean Fashion Design)

  • 최세완;김민자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03-117
    • /
    • 199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adaptation of beauty of traditional dress depicted contemporary Korean fashion design. For this purpose, the external form and the internal meaning based on 'the double roots' proposed by W$\ddot{o}$lfflin were analyzed in Korean traditional dress. Documentary studies and objective studies were done with descriptive and content analytic methods. And homospatial process was devised in order to develop the traditional identity in contemporary fashion desig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As the external form, H. O. A silhouette, chogori, ch'ima, paji, and po concerning internal type, kaftan, flat form related to structured type were represented. Traditional color sense were love of white, contrasting as well as analogous color harmony shown often in nature phenomena, and temperate achromatic color harmony. Texture were characterized as rough and coarse expressing vividness, fine and smooth expressing delicateness and tenderness. As the internal meaning, the beauty of purity related to nature, tragedy, and symbolism were represented. 2. Since 1980's. Korean fashion designers frequently applied unstructural kaftan form and H silhouette to Korean fashion design, and sought natural and pliable line in whole dress. Use of white and achromatic color harmony as well as use of linnen were prominent. Designers' aesthetic consciousness was pursuit of the beauty of nature. Representative designers who concentrated on expressing traditional beauty were Lee Shinwoo, Sul Yoonhyung, Jin Taiok and others. 3. A homospatial process could be a method in the creative design which enables to express Korean identity in fashion design, and could suggest ideas of new designs full of Korean identity by superimposed and fused imaginery.

  • PDF

1930-50년대 대구·경북 사진의 특성 (Creative Photographs of Daegu·Gyeongbuk Province in 1930's-50's)

  • 김태욱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7호
    • /
    • pp.76-85
    • /
    • 2012
  • 대구 경북 지역의 초기 사진역사에서 최계복은 1930년대에 뛰어난 사진실력으로 수십 여회에 달하는 공모전 입상으로 전국적인 명성과 한국사진계에 '살롱'형식의 사진을 정착시키는데 큰 역할을 하였다. 또한 그의 1940년대 백두산과 독도 기록사진들은 자의식에서 나온 소중한 결과물이다. 구왕삼은 1930년대 중반부터 자신만의 세계관으로 독자적인 사진세계를 구축한 사진가였으며, 한국전쟁이후 사진에서 '리얼리즘'적 사진 표현론을 제시해 전국적인 명성을 구축하였다. 이들의 작업과 이론은 각자 다른 스타일이나 1940년대 격동기 한국 사진계에 독자적인 사진미학을 이룩하여 20세기 초 영남지역의 민족정신과 맥을 같이하는 특성을 갖고 있다.

의복문양(衣服紋樣)의 기호도에 관한 실태(實態) 연구(硏究) - 한복(韓服)을 중심(中心)으로 - (A Study on Present Status of Preferences in the Choice of Patterns in Clothing)

  • 김은주
    • 복식
    • /
    • 제6권
    • /
    • pp.65-87
    • /
    • 1982
  • 1. Purpose: The purpose is to apply and adapt ancient textile pattern to practical life, and to contribute to the promotion of the creative development of modernization and Koreanization of textile pattern by the survey of the extent of taste for the textile pattern existent in Korean costume among costumes. 2. Hypothesis: Textile pattern is in most classical one expressed in fact, but nowadays abstract or geometric one is more exist. Consumers are in most part in forties, and so the taste cannot be ignored. Therefore aesthetic consciousness found Korean costume is more important rather than excessively bold or mordern one. 3. Method and Process: (1) This research is analysed 386 one through college student and parents of a primary or high school. (2) Taste of the pattern is comparisoned and analyzed as age. education, pocket money of the student or an income of a month in home through computer. And the analysis of the statistics research is operation through the Chi-Square Goodness of-Fit-Test. 4. Conclusion: (1) The Korean costume put on mostly party or formal dress, therefore it should be researched as an outdoor dress with traditional costume. (2) The most one is concerned in textile pattern, it's taste is different from color, constitution. Textile industry is developed not only weave pattern, gold-coverning pattern but embroidry pattern, dye pattern, therefore the various side of pattern design should be researched. (3) In Side of form, plant pattern is not only most various but highest in popularity. According to approach nowadays, all of the pattern becomes composition or geometric one with abstract tendency and so from these day pattern is necessary combinationed, researched with our people emotion. (4) The color of textile pattern is choiced individual taste. Through investige, research in various side of the modern taste and our costume, we take growing interest in the color, composition of textile, and should dressed with beauty and grace. (5) In side of size, textile pattern is choiced to individual face and body shape through research on form, color, size of these pattern, we should endeavor to dress well. (6) In side of application, most people is concerned in not only interior ornament but the costume is high. Costume research by some people of the outside and symbol with interior through the pattern analysis is not only very important but also is due to people culture.

  • PDF

패션 디자인에 나타난 기계미학의 표현 특성에 관한 연구(I) (A Study on the Expressional Characteristic of the Machine Aesthetics in the Fashion Design(I))

  • 이효진
    • 복식문화연구
    • /
    • 제6권2호
    • /
    • pp.109-126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xpressional characteristics of the machine aesthetics in the fashion design. First, this study was started from analyzing mechanical beauty represented on the early 20th century art style. Machine aesthetics has influenced on the art and fashion design from modern to now. Futurism was grounded in the complete renewal of human sensibility brought about by the great discoveries of science. Especially, Russia avant-garde was inspired by the Futurism, that is Rayonism, Constructivism, Suprematism. Kasimir Malevich moved on immediately to purely abstract paintings of which the first was a black square on a white canvas. He had begun the art he called 'Suprematism'. Malevich's geometry was funded on the straight line, the supremely elemental form which symbolized man's ascendancy over the chaos of nature. The square was the basic suprematist element and was a repudiation of the world of appearances, and of past art. He repudiated any marriage of convenience between the artist and the engineer. Vladimir Tatlin made some of the most revolutionary works of modern art, these were the first works to be called 'construction'. Constructivists believed that the essential conditions of the machine and the consciousness of man inevitably create an aesthetic which would reflect their time. They eulogized simple shapes. That believed that buildings and objects should be freed from the ornamental excrescences and the accumulated barnacles of past art. Consequently, under the theoretical background,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The functional formativeness of machine aesthetics was expressed as a geometrical silhouette, construction line, non-ornamental construction, simple color in the 20th century design. Second, The mechanical formativeness of machine aesthetics was expressed as a construction of new material-iron, aluminium, plastic, glass-, geometrical form of material in he 20th century design. That is, machine beauty has more concerned with the expressional ideology of the art style and the formativeness of fashion design by silhouette, construction line, material, form.

  • PDF

조선조(朝鮮朝) 시조(時調)의 미적주체(美的主體)와 그 존재양상(存在樣相) (The Centra of the aesthetics and the aspect of existence of the Sijo in the Choseon Dynasty)

  • 최동국
    • 한국시조학회지:시조학논총
    • /
    • 제23집
    • /
    • pp.107-131
    • /
    • 2005
  • 이 글은 조선조 문인들이 무엇을 미적 자질로 생각하고, 그 미를 인식하는 주체는 어떤 심리의 발용을 요구했는가를 규명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또한 인간의 미적 감관(感官)을 어떻게 인식하고 정의하고 있는가의 고찰도 함께 하였다. 조선조 문인들이 내세운 미적 주체는 사물의 외형에 집착하는 오관의 감각 기관으로 감수하기보다는 허정(虛靜)한 심리(心理)의 발용(發用)을 중시했다. 오관에 의한 사물의 감수(感受)는 형사(形似)에 집착되어 관능적 향락적 서정이 되거나, 이정탕심(移情蕩心)을 일으키는 정서로 인식했기 때문이다. 허정한 심리는 본연의 심성(心性)을 회복하는 심리작용으로 인식하고 이 마음을 시정신과 접맥시켜 미적 주체로 삼는다. 동시에 사물 인식의 객관적 주체로 삼고 사물 또한 객관적 존재로 이해하여 물아일체를 이룸을 목적으로 한다. 곧 이물관물(以物觀物)인데 미적 주체는 감정을 함부로 방일(放逸)하거나 인위(人爲)로서 사물에 감정이입을 해서도 안 된다. 방일과 감정이입은 역물적(役物的) 외물(外物) 인식(認識)으로 극복된다. 이물관물과 역물적 인식에서 오는 정감을 형상화하기 위해 '흥(興)'을 시가의 표현 방법으로 중시하였다. 흥은 현재 눈 앞에서 전개되는 사물과의 만남에서 생성되며 직관적인 감정이다. 홍은 즉물생정(卽物生情)에서 온 감정이자, 또한 표현방식이다. 허정한 심리 작용에서 오는 미적 주체는 성리학적 입장에서 이해된 심성이자 시정신과 접맥된 것이기 때문에 흥체(興體)의 작품은 감상자로 하여금 심성 함양에 일조가 되는, 마음에 정화작용(淨化作用)을 일으키는 효용성을 지닌다. 동시에 인간 정신에 대한 감발 승화작용(感發 昇華作用)을 총체적으로 일으키게 한다.에 접근하는 학문적 태도에 대한 메타교육 등 다양한 메타교육적인 방법을 보여주었기에 퇴계의 작품과 삶이 지대한 교육적 가치를 오늘날까지도 지니게 된다.입고)와 관련된 다양한 문헌자료의 전승은 해당 시조 뿐 아니라 시조문학의 수용과 전승양상을 보여주는 자료로서의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플래쉬>고정식>스크롤 방식 순으로 나타나 전체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플래쉬 방식의 성능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장 많았고 약 $88.9\%$가 동반정신장애를 가지고 있었으며 CD가 가장 많았다.구 결과와 유사한 결과이다.고 사료된다. 6. 치료전에는 차이가 없던 남,여군 사이에 치료후에 차이가 나타나는 것은 치료 효과에 관계없이 남여에 따른 성장양상의 차이가 그대로 표현된 것으로 사료된다. 연구는 거대 편도를 가진 기능성 III급 부정 교합자의 구개 편도 절제술 전후의 인두강, 설골, 두부 위치의 변화 양상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단국 대학교 부속 치과 병원 교정과에 내원한 남녀 환자 42명을 대상으로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55.19\%$로 첨가량이 증가하면서 두 항목 모두 크게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색도를 분석한 결과 L값, a값, b값 모두 표고버섯 분말 함량이 증가하면서 감소하였고, 모든 처리구에서 기존 무첨가구와 극히 현저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료별 관능검사 결과에서 색 (color), 먹을때의 느낌 (chewiness)과 단맛(sweetness)의 경우 무첨가구와 모든 처리구가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며, 향미 (flavor)와 전반적인 기호도(overall acceptability)에서 당화액과 추출액의

  • PDF

인상주의 회화에서 색채 표현의 기호적 담론 연구 -인상주의 작품 분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emiotic Discourse of Color Expression in Impressionism Paintings -Focus on Works of Impressionism -)

  • 류주현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40호
    • /
    • pp.521-549
    • /
    • 2015
  • 우리는 눈으로 보는 행위를 통해 모든 사물을 인지한다. 그러나 눈에 들어온 모든 사물들이 그 사물의 본질일지는 확언할 수 없다. 이에 필자는 여기서 인간이 대상을 보는 것, 그리고 그것을 인지하는 것은 과연 무엇일까라는 의문을 던져본다. 우리가 보는 대상은 '이미지'로서의 대상이며, 따라서 필자는 우리가 대상을 인지한다는 것은 우리의 시감각과 두뇌를 거친 기호작용이라고 보고 있다. 대상들의 본질보다는 우리가 인지하는 데에 '기호'로서 그 대상의 관념이 정의되고 있기 때문이다. 포스트모더니즘 시대에 이르러 예술은 더욱 일종의 정신적 가치를 창출하는 자율적 창조 활동으로서 그것을 지각하는 독자의 삶의 가치를 향유하는데 중대한 역할을 맡고 있다. 인간의 인지에 미적 가치를 부여하는 예술 분야에서 초점을 둔 본 논문은 예술 작품을 시지각적으로 규명하는데 기호작용과 연관지어 분석되었다. 예술이라는 인간의 창작 행위는 상징적이며 기호체계와 밀접하게 연결되어있으며, 나아가 파생된 시각 기호는 그것을 바라보는 주체의 시지각성과 궤도를 나란히 한다고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더불어 예술작품을 기호로 인식하여 해석한다면, 색(色)이나 형(形)을 통한 폭넓은 사고로 작품을 음미할 수 있으며, 따라서 필자는 예술 작품과 기호와의 관계성을 분석하는데 색채를 중점으로 둔 색채 지각 논의로 담론화 해보고자 한다. 본 논문은 특히 미술사에서 풍부한 색채를 구사하여 그려오던 인상주의 미술에서의 색채 인식 배경과 색채의 위상 및 표현방법을 바탕으로 색채가 감각 언어로서 독자에게 전달되는 그 상관성을 고찰한다. 작가와 독자 간의 소통으로 이루어지는 예술 작품을 해명하는 데 있어서 색채의 역할은, 예술가의 경험과 투과된 자신의 정서와 생각, 감정 등이 동반되어 작품 안에서 비로소 시각 기호로 사유된다. 이는 색채가 예술작품 안에서 인지 가능한 공간으로 형성될 때 기호의 의미작용을 통해 시각 언어로 해석될 수 있다. 따라서 시각예술을 연구하는데 있어서 본 색채기호 분석이 보다 새로운 텍스트로 거듭나고 향후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으로 확대되기를 기대해본다.

한국 전통 조형미의 현대 디자인 적용에 관한 연구 - 조선 사회의 실용품에 나타나는 선(線)과 문양(文樣)의 조형적 특성을 중심으로 - (Study on the modern design application of traditional formative beauty of Korea - Focused on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lines and patterns observed in the necessities of Joseon society -)

  • 정민희;김소형;윤세환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연구
    • /
    • 제59권
    • /
    • pp.298-308
    • /
    • 2017
  • 전 세계적으로 국가간의 커뮤니케이션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현대사회에서 각 국가들은 스스로의 문화적 정체성을 확립하기 위해 부단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우리나라 또한 이러한 세계적인 움직임에 발맞춰 '한국적' 전통을 활용한 디자인 개발과 이를 실생활에 적용하기 위한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아직 우리나라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한국적 디자인이란 단순히 전통 형태나 색채를 그대로 모방하는 것에 멈추어 독창적인 민족적 미의식을 창출해 내기에는 부족한 부분이 상당부분 발견 된다. 한국 전통 문화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현상이 지속되고 있는 원인은 한국적 문화 정체성 확립과 활용이 아직은 부족한 결과라 사료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색채와 함께 한국의 전통미를 결정하는 주된 요소인 조형성, 즉 형태분석을 통하여 한국의 전통 형태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예시를 통해 이를 현대디자인에 적용시키기 위한 방법을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한국 전통 조형미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 질 때 가장 빈번하게 언급되는 선(線)과 문양(文樣)을 중심으로 그 사용 행태와 조형적 특성을 의(衣), 식(食), 주(住)로 나누어 분석하고 현대적 적용 가능성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역사문화도시 공주의 고도담장정비 사례 연구 (Case Study of Ancient City Wall Renewal in Gongju, a Historic Cultural City)

  • 온형근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3권2호
    • /
    • pp.254-269
    • /
    • 2020
  • 본 연구는 '고도 이미지 찾기 사업' 중 가로경관개선 사업의 하나인 담장에 대한 이론과 담장 디자인 선행 연구를 통하여 고도에서의 담장에 어울리는 담장 정비 방향을 제언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선행 연구를 유목화하고, 담장 디자인 이론을 고찰한 후, 고도 지정 지구의 의의와 '고도 이미지 찾기 사업'의 현황을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사례 대상지를 선정하여 고도담장정비 사례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 방안을 여러 특성을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담장의 선행 연구는 담장의 성격 분석, 담장 디자인 원리 응용, 담장 구조·색채와 형태 및 응용, 현대적 재해석, 궁궐 담장, 주택·사찰·마을의 담장 등 6개 항목으로 유목화되었다. 담장은 '고도 이미지 찾기 사업' 중 가로경관개선 사업에 해당하며 시지각적 인지도가 내부 건축물보다 선경험으로 제공되는 특성이 있다. 고도담장정비 사례 대상지는 고도별 특별보존지구와 보존육성지구의 구성 분포 비율을 기준으로 무령왕릉과 인접한 공주시 송산리길 주변 마을을 선정하였다. 공주시 송산리길 주변 마을의 '고도 이미지 찾기 사업'은 한옥 신축으로 시작되었다. 그러나 담장 정비는 한옥 신축과 동시에 시행된 게 아니었다. 가로변 건축물 외관 정비 사업으로 추후에 지원과 정비가 이루어진 것이다. 한옥과 담장이 동시에 설계되어 심의 후 신축되었다면 한옥의 규모 및 디자인과 조화를 이루는 담장이 되었을 것이지만 서로 기간을 두고 신청, 설계, 시공되었기에 한옥의 처마와 담장이 대지 경계선에 거의 맞닿아 있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공간적으로 가깝고 높은 한옥 본채와 담장의 배치는 답답하게 닫혀 있는 구조물로 인식된다. 송산리길의 담장 디자인은 고도의 특성을 나타낼 수 있는 형태와 색상과 재료로 차분하고 은은하며 안온한 분위기를 자아내야 하는데, 날카롭고 옹색하여 난처한 지경에 놓여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려면 담장 설계 디자인을 먼저 고려한 후, 한옥 본채 설계 디자인을 후순위로 진행하는 방안의 도입도 합리적 대안이 될 수 있다. 사례 대상지인 공주시 송산리길 담장 지원 사업의 문제 요인은 전통 담장이 가져야 할 미적 요건에 상당히 부족하다. 첫째, 담장의 자연 재료 선정 및 활용에서 미적 의식이 실종되었다는 것이다. 둘째, 디자인 완성도와 조화의 부재이다. 조사 대상지인 공주시 송산리길 고도담장정비의 문제 요인을 분석한 개선 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옥 설계와 담장·대문 시공 설계 도면을 함께 심의해야 한다. 둘째, 한옥 담장 디자인의 자연석 돌담 일변도를 재검토 진단하여야 한다. 셋째, 계획·설계 과정에 주민과 전문가의 의견을 조정하는 상시 체계를 가동해야 한다. 넷째, 한옥의 개별성을 집단화하여 지역의 정체성을 대표하는 문화 자산으로 가치를 높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