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Semiotic Discourse of Color Expression in Impressionism Paintings -Focus on Works of Impressionism -

인상주의 회화에서 색채 표현의 기호적 담론 연구 -인상주의 작품 분석을 중심으로 -

  • 류주현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회화전공)
  • Received : 2015.07.31
  • Accepted : 2015.08.28
  • Published : 2015.09.30

Abstract

We recognize all objects by seeing. However, we are not sure that the things we see through our eyes are their essence. Here comes my question: What does it mean that humans see and recognize things? The things we see are images and so I consider recognizing an object as semiosis via our visual sensation and brain. That is because objects are defined not by their essence but as symbols we recognize. In the era of post-modernism art is a voluntary creative activity that creates a kind of spiritual value and plays an important role for appreciators who realize the fact to enjoy the life value. This paper focused on the art putting aesthetic value on humans' recognition and explored works of art in a visually perceptible way through semiosis. That is because art, an act of creating things, is symbolic and closely linked to semiotic system. Furthermore, derivative visual signs can be considered to be in line with the viewers' visual perception. If we interpreted by recognizing the works of art along with symbol, we can enjoy the works in depth through recognizing their color or shape. Therefore, I intended to discourse on color perception focusing on colors in order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art and symbol in the process of recognizing works of art. This paper looked into background of color recognition, status of colors and ways of expression for impressionist who painted with various colors and examined colors as a sensory language. In the process of interpreting art works by communication between the artist and viewers, the role of color is considered as visual symbol through the artist's experience, consciousness, emotions, and their senses. It can be interpreted the visual language through signification of the symbols when the colors are formed in works of art as a recognizable space. Therefore we expect to study in the Visual arts to be the colors symbolic analysis is extended to more effective communication tool.

우리는 눈으로 보는 행위를 통해 모든 사물을 인지한다. 그러나 눈에 들어온 모든 사물들이 그 사물의 본질일지는 확언할 수 없다. 이에 필자는 여기서 인간이 대상을 보는 것, 그리고 그것을 인지하는 것은 과연 무엇일까라는 의문을 던져본다. 우리가 보는 대상은 '이미지'로서의 대상이며, 따라서 필자는 우리가 대상을 인지한다는 것은 우리의 시감각과 두뇌를 거친 기호작용이라고 보고 있다. 대상들의 본질보다는 우리가 인지하는 데에 '기호'로서 그 대상의 관념이 정의되고 있기 때문이다. 포스트모더니즘 시대에 이르러 예술은 더욱 일종의 정신적 가치를 창출하는 자율적 창조 활동으로서 그것을 지각하는 독자의 삶의 가치를 향유하는데 중대한 역할을 맡고 있다. 인간의 인지에 미적 가치를 부여하는 예술 분야에서 초점을 둔 본 논문은 예술 작품을 시지각적으로 규명하는데 기호작용과 연관지어 분석되었다. 예술이라는 인간의 창작 행위는 상징적이며 기호체계와 밀접하게 연결되어있으며, 나아가 파생된 시각 기호는 그것을 바라보는 주체의 시지각성과 궤도를 나란히 한다고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더불어 예술작품을 기호로 인식하여 해석한다면, 색(色)이나 형(形)을 통한 폭넓은 사고로 작품을 음미할 수 있으며, 따라서 필자는 예술 작품과 기호와의 관계성을 분석하는데 색채를 중점으로 둔 색채 지각 논의로 담론화 해보고자 한다. 본 논문은 특히 미술사에서 풍부한 색채를 구사하여 그려오던 인상주의 미술에서의 색채 인식 배경과 색채의 위상 및 표현방법을 바탕으로 색채가 감각 언어로서 독자에게 전달되는 그 상관성을 고찰한다. 작가와 독자 간의 소통으로 이루어지는 예술 작품을 해명하는 데 있어서 색채의 역할은, 예술가의 경험과 투과된 자신의 정서와 생각, 감정 등이 동반되어 작품 안에서 비로소 시각 기호로 사유된다. 이는 색채가 예술작품 안에서 인지 가능한 공간으로 형성될 때 기호의 의미작용을 통해 시각 언어로 해석될 수 있다. 따라서 시각예술을 연구하는데 있어서 본 색채기호 분석이 보다 새로운 텍스트로 거듭나고 향후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으로 확대되기를 기대해본다.

Keywords

References

  1. 고명석, 예술과 테크놀로지, 도서출판 새빛, 2014.
  2. 김경용, 기호학의 즐거움, 민음사, 2005
  3. 마이클 해트.샬릿 클롱크, 전영백과 현대미술연구회 옮김, 미술사 방법론, 세미콜론, 2012.
  4. 모리스 세륄라즈, 최민 옮김,인상주의, 열화당, 2000.
  5. 박우천, 서양미술사 속에는 서양미술이 있다, 도서출판 재원. 1998.
  6. 빌린다 톰슨, 신방흔 옮김, 후기 인상주의, 열화당, 2003.
  7. 안드레아 디펠, 이수영 옮김, 인상주의, 예경, 2005.
  8. 요하네스 이텐, 김수석 옮김, 색채의 예술, 지구문화사, 2008.
  9. 제임스 H 루빈, 김석희 옮김, 인상주의, 한길아트, 2001
  10. 조요한, 예술철학, 미술문화. 2003.
  11. 김광환, <라이온 킹>에 나타난 정서표현의 시각이미지 분석: 그레이브스 명암이론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만화애니메이션연구 통권 제15호, 73-88 (16 pages), 2009.5
  12. 김철기, 주조색과 밝기 정보를 이용한 인상주의 작품 분석,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한국디자인포럼, 2010.
  13. 박일우, '보이는 것의 기호학'연구 서설, 한국기호학회, 기호학연구 제28집 (2010), pp.107-134
  14. 배성미, 形態言語로서 Symbol과 色彩言語의 相關性 硏究, 한국조형교육학회 학술논문, (1992).
  15. 이춘우, 17세기 네덜란드 장르화와 19세기 프랑스 인상주의 회화의 현대성, 프랑스문화예술학회 학술논문, 프랑스문화예술연구 제45집 (2013. 가을), pp.237-271.
  16. 전인아, '매트릭스'의 상징성과 신화적 여성성에 대한 연구 : 팰림프세스트와 틈새공간을 활용한 본인의 회화중심으로, 국민대학교대학원 학위논문(박사), 2014.8.
  17. 조명식, 회화적 일러스트레이션을 적용한 그림책 사례 연구 -바라미디어 발간 "작은 철학자" 전집을 중심으로-, 한국일러스트학회, 조형미디어학 10권2호 (2007), pp.85-96.
  18. 조명식.사윤택, 이미지의 지속가능한 현상을 반영하는 현대회화의 시간성 연구 본인의 회화작품을 중심으로, 한국기초조형학회, 기초조형학연구 14권2호 (2013), pp.185-194.
  19. 한명란, 보들레르 미술비평에 나타난 들라크루아의 현대성, 충남대학교 학위논문, 2006.
  20. 허나영, 시각기호학에 있어서 지각의 문제, 한국미학예술학회, 미학예술학연구 제44집 (2015), pp.135-162
  21. Jacques Fontanille, Semiotique du visible- des Mondes de lumier, Paris: P.U.F (1995)
  22. Google, www.google.com, 검색어 : 모네, 르누아르, 쇠라, 들라크루아, 마네, 고흐 2015.07.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