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erobic exercise, resistance exercise

검색결과 76건 처리시간 0.023초

Influences of Aerobic and Resistance Exercise on Health-related Problems in Cancer Patients: A review of the literature

  • Ye-Na Jeon;Jeongwoo Jeon;Jihoen Hong;Jaeho Yu;Jinseop Kim;Seong-Gil Kim;Dongyeop Lee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79-89
    • /
    • 2023
  • Purpose : Until recently, the number of cancer patients continues to increase, and these patients have many limitations in their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the republic of Korea, cancer patients are showing an increasing trend every year. Cancer disease not only significantly reduces the quality of life in individuals, but also causes various side effects if not manag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erobic exercise and resistance exercise on health-related problems in cancer patients. Methods : This study searched for studies that applied aerobic exercise and resistance exercise to cancer patients reported in search engines (google scala, dbpia, and pubmed) from 2017 to 2022. Six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and two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were used for analysis in our study. "physical activity", "exercise", "aerobic exercise", "resistance exercise", and "cancer patient" were the main search terms. The data included aerobic exercise, resistance exercise, cancer patients' muscle strength, physical strength, quality of life, and physical activity. Results : According to the eight studies that met the criteria included in this review study, it was found that aerobic exercise and resistance exercise had an effect on the increase in physical fitness, muscular strength, quality of life, and range of motion in cancer survivors. Conclusion : It was confirmed that aerobic exercise and resistance exercise are safe and effective interventions that can be applied to cancer patients without side effects. A limitation of this study is that it did not examine cancer diseases in various population groups such as the elderly and children. Therefore, in future studies, studies that consider specific details such as age, gender, type of cancer, and physical differences are needed.

유산소 병행 운동과 순수 저항 운동의 근활성도 및 근 두께의 변화 (Changes in Muscle Activity and Thickness of Resistance Exercise added Aerobic Exercise and Pure Resistance Exercise)

  • 이병훈;유재영;정진규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8권5호
    • /
    • pp.763-769
    • /
    • 2013
  • 본 연구는 넙다리 부위의 근력 증진을 위해 순수 저항운동과 유산소 병행 저항운동의 효과를 비교해 임상에서 근력증진을 목적으로 한 운동 프로그램의 근거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넙다리 곧은근의 근활성도는 두 군 모두 실험전에 비해 실험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측정시기에 따른 군간 비교에서 순수 저항 운동군에 비해 유산소 병행 운동군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넙다리 곧은근의 두께는 두 군 모두 실험전에 비해 실험 후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측정 시기에 따른 군간비교에서 실험후에 순수 저항 운동군에 비해 유산소 병행 저항 운동군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근력 증진을 목적으로한 순수 저항 운동보다 저항 운동 후 유산소 운동을 실시하는 유산소 병행 운동이 근활성화 및 근 비대에 더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유산소운동을 동반한 들숨근 저항운동이 20대 성인의 흡연 여부에 따라 호흡 기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Inspiratory Muscle Resistance Exercise with Aerobic Exercise on the Breathing Functions of Adults in their 20s Depending on Smoking or No smoking)

  • 한지원;이건철;김현수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125-134
    • /
    • 2021
  • Purpose : This study applies inspiratory muscle resistance exercise with aerobic exercise to smokers and nonsmokers and then determines whether subjects' breathing functions (FVC, FEV1) are increased and how much effect smoking has on the difference in the increase of breathing functions between the two groups. Methods : For this experiment, 26 male adults were selected and randomly allocated to the smoker group (n=13) and nonsmoker group (n=13). The smokers and nonsmokers performed the inspiratory muscle resistance exercise with aerobic exercise three times a week for four weeks. Regarding the breathing functions, the forced vital capacity (FVC) and forced expiratory volume in one second (FEV1) were measured three times: week 0, week 2, and week 4. The aerobic exercise was performed using a stationary bicycle with 8 difficulty levels. The inspiratory muscle resistance exercise was performed using Power Breathe with 10 resistance levels. Results : The study found that the FVC and FEV1 values of the smoker group decreased slightly after four weeks of inspiratory muscle resistance exercise with aerobic exercise. In other words,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contrast, the FVC and FEV1 values of the nonsmoker group increased by a statistically significant amount. In addition, the intergroup comparison of the average increases in FVC and FEV1 value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Conclusion :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when inspiratory muscle resistance exercise with aerobic exercise was performed, the increase in the breathing functions of nonsmokers was higher than that of smokers. This confirms that, within the parameters of the study, smoking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increase of breathing functions. This suggests that quitting smoking must be considered as an essential factor when applying a breathing physiotherapy or a breathing function improvement program in clinical settings

저항운동과 유산소운동이 여성노인의 보행능력, 체력 및 신체구성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Resistance and Aerobic Exercise on Gait Ability, Physical Fitness, and Body Composition in Older Women)

  • 변재철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103-112
    • /
    • 2018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d the effects of resistance and aerobic exercise on gait ability, physical fitness and body compositions in older women. Method : The subjects were 24 older women who were randomly divided into two groups (resistance exercise, n=12, and aerobic exercise, n=12). They 65~80 years old. The subjects done the Gym-ball, Togu, and senior dance exercise three times per week-for 70 minutes each time for 16 weeks. Body compositions, physical fitness, and gait ability were measured in this study. Result : There were significantly improved the walk performance after exercise training for 16 weeks. In particular, it was more effective on resistance exercise training in older wome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muscle endurance, flexibility, balance, body weight, percent of body fat, and body mass index (BMI) after the exercise program. Conclusion : It was more effective improved on muscle endurance, flexibility, and balance performance after resistance exercise program than an aerobic exercise program in older women.

저강도의 저항운동과 유산소 운동 훈련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혈중지질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Low Intensity Resisted and Aerobic Exercise Training on Blood Lipid in Chronic Stroke Patients)

  • 이동엽;조남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753-758
    • /
    • 2011
  • 본 연구는 만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저강도의 저항운동과 유산소 운동 훈련을 적용하여 혈액학적 특성인 혈중 지질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뇌졸중으로 6개월 이상 장애를 가진 37명의 환자가 연구에 참여하였고, 저강도의 저항운동군 19명과 유산소운동군 18명으로 나뉘었다. 저강도 저항운동군은 저강도의 저항운동 훈련을 이용하여 50분씩 주 5회, 8주간 실시하였다. 운동 전과 후의 혈액학적 특성인 혈중 지질을 측정하여 본 연구의 효과를 비교하였다. 유산소운동군은 순수하게 유산소 운동만을 실시하였다. 통계처리 방법으로 실험 전. 후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대응표본 t 검정을 실시하였다. 모든 통계적 유의수준은 .05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저강도의 저항운동군은 혈액학적 특성에서 TG, TC HDL-C, LDL-C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p<.05), 유산소 운동군에서는 TC와 LDL-C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향후 만성 뇌졸중 환자에게 흥미를 유발하고 기능회복의 효과를 강화할 수 있는 저강도의 저항운동과 유산소성 운동 훈련을 환자의 시기별, 등급별로 적용 가능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저항운동이 CAD환자와 노인의 유산소 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Resistance Exercise on Aerobic Capacity for Old Adults and CAD Patients)

  • 윤병곤;진영완;곽이섭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11호
    • /
    • pp.1612-1616
    • /
    • 2008
  • 심폐지구력은 질병, 장애, 수명 등과 연관된 중요한 건강 지표이다. 지구성 운동이 대개 심폐지구력향상을 위한 방법으로 알려져 있는 반면 대부분의 저항성 운동은 심폐지구력향상을 위한 좋은 방법으로 고려치 않고 있다. 그러나, 짧은 휴식기간을 가진 저 강도 혹은 중간 강도의 저항성운동은 특히 노인들이나 관상동맥질환을 가진 환자들의 심폐지구력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본 총설은 지구성운동과 저항성운동 시의 생리학적변화를 이해하고, 저항성운동이 심폐지구력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사실을 이론적으로 뒷받침하고자 한다.

유산소성 저항트레이닝 써킷이 폐경 후 비만여성의 건강체력, 혈중지질 및 코티졸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erobic Resistance Training Circuit on Health-Related Physical Fitness, Blood Lipids and Cortisol in Postmenopausal Obese Women)

  • 정민진;김도연;김지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550-559
    • /
    • 2017
  • 본 연구는 12주간의 유산소성 저항트레이닝 써킷이 폐경 후 비만여성의 건강체력, 혈중지질 및 코티졸(cortisol)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운동집단(10명)과 통제집단(10명)으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유산소성 저항트레이닝 써킷 프로그램은 12주간 주 3회 회당 70분을 실시하였다. 유산소운동은 5가지 종목을 HRmax의 50-70% 강도로 종목당 1분씩 5세트로 구성하여 25분 동안 실시하였으며, 저항운동은 대상자 개인의 체중을 이용하여 8가지 종목을 주관적 운동자각도에 따라 횟수 및 세트 수를 증가시켜 25분 동안 실시하였다. 운동프로그램 실시 전과 12주 후 변인들을 측정 비교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운동집단에서 체중 및 BMI가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심폐지구력, 근력 및 유연성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운동 실시 후 집단 간 심폐지구력 및 근지구력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운동집단의 TC, TG 및 LDL-C가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HDL-C는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운동집단에서 운동 실시 후 향상되는 경향을 보였다. 코티졸은 운동 실시 후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폐경 후 비만여성에게 유산소성 저항트레이닝 써킷의 적용은 건강체력, 혈중지질 및 코티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사료되며, 다양한 연령층의 비만개선을 위한 운동프로그램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유산소 운동을 병행한 근 저항성 운동이 노인 여성의 혈중 MDA 및 SOD, GPx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erobic Exercise with Resistance Exercise Programs on Blood MDA and SOD, GPx Activities in Elderly Women)

  • 남상남;김종혁;지민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11호
    • /
    • pp.391-398
    • /
    • 2009
  • 본 연구는 활성산소의 산화적 스트레스를 억제하는데 관여하는 항산화 효소계를 강화시키는 운동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65세 이상 노인 여성 12명을 대상으로 12주간 포크댄스를 통한 유산소성 운동(HRmax 50-60% 수준, 주 2회, 60분)과 탄력밴드를 이용한 근 저항성 운동(주 2회 60분)을 실시하여 혈중 MDA 및 항산화 효소인 SOD, GPx 활성도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규칙적인 유산소운동을 병행한 근 저항성 운동이 항산화 효소인 SOD와 GPx의 활성도를 복합운동 전에 비해 운동 후에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유산소운동을 병행한 근 저항성 운동인 복합운동은 노인들의 항산화 효소를 활성화시켜 항산화계의 강화에 기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트레이닝 형태의 차이가 운동 특이성(exercise specificity)과 전사효과(transability)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fferent Exercise Training Mode on Exercise Specificity and Transability)

  • 김영일;곽이섭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7호
    • /
    • pp.968-975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8주의 유산소 및 저항성 트레이닝 그룹으로 나누고 그에 따른 트레이닝이 서로 다른 테스트를 하였을 때, 운동 특이성 효과(specific effect)와 전사효과(transferabilty)에 영향을 미치는 지를 연구하였다. 결론적으로 8주간의 유산소 및 저항성 트레이닝은 동일한 테스트를 통하여 운동의 특이성은 나타냈으나 서로 다른 테스트를 해 봄으로써 전사효과의 향상은 나타내지 못했다. 전사효과를 나타내지 못한 가장 큰 이유는 8주라는 기간이 중추신경과 근육의 적응하기에는 다소 짧은 기간이라 사료되며 추후의 연구에서는 트레이닝 기간등을 고려한 좀 더 세분화된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12주간의 순환운동이 비만 중년여성의 혈중 염증 표지자와 혈중 지질 및 신체구성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12 Weeks of Circuit Training on Inflammatory Markers, Blood Lipids and Body Composition in Obese Middle-aged Women)

  • 변재철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65-74
    • /
    • 2019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12 weeks of circuit training on inflammatory markers, blood lipids, and body composition of obese middle-aged women. Methods : Twenty-four obese women were randomly divided into three groups (circuit exercise training, CT; aerobic exercise training, AT; resistance exercise training, RT). All the subjects participated in the exercise program for 60 minutes, 3 times a week for 12 weeks. Results : Significant differences found in the participants pre-and post exercise training C-reactive protein (CRP), fibrinogen, and adiponectin levels. The CT participants experience an expected increase in their adiponectin levels. Significantly improved blood TC, LDL-C, HDL-C, and TG levels were found after 12 weeks of exercise. The AT and CT groups showed greater improvements in their HDL-C, LDL-C, and TG levels than the RT group.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participants pre-and post-exercise training body weight, body fat percentage, and body mass index (BMI). Conclusion : The CT participants body fat percentages decreased more than the RT group's percentages. In conclusion, obese women who completed 12 weeks of circuit exercise training (aerobics + resistance exercise) ha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their inflammatory markers, blood lipids, and body fat percent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