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erobic capacity

검색결과 132건 처리시간 0.026초

여자 농구선수들의 엽산과 비타민 B12 섭취가 혈액학적 요인 및 면역인자, 유·무산소성 운동능력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folic acid and vitamin B12 supplementation on hematologic factors, immune factors, aerobic and anaerobic exercise ability in Women's basketball players)

  • 박노환;조인호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5권1호
    • /
    • pp.327-332
    • /
    • 2019
  • 본 연구는 여자 농구선수들을 대상으로 4주간의 엽산과 비타민 $B_{12}$ 섭취가 혈액학적 요인 및 면역인자, 유 무산소성 운동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자를 섭취군과 통제군 각각 9명으로 선정하였으며, 4주간의 엽산과 비타민 $B_{12}$ 섭취 전 후 결과를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유 무산소 능력 측정 결과 섭취군에서 유의한 효과가 나타났으며, 혈액요인 분석의 경우 RBC, Hct의 섭취군에서 유의한 효과가 나타났다. 한편, 염증 및 면역 분석 결과 섭취군에서 평균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섭취군과 통제군 모두 유의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위와 같은 연구의 결과를 미루어볼 때, 여성 농구선수의 유 무산소성 운동 능력 향상을 위한 엽산과 비타민 $B_{12}$ 섭취는 경기력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순환식 유산소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폐 기능 및 보행 지구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ircuit Aerobic Exercise on Gait Endurance and Pulmonary Function in Patients after Chronic Stroke)

  • 박종준;최윤희;차용준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33-39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a circuit aerobic exercise program positively affects pulmonary function and gait endurance in chronic stroke patients. METHODS: Twenty-four chronic stroke patients were allocated equally and randomly to an experimental group (n=12) or a control group (n=12). All participants received 60 minutes of comprehensive rehabilitation treatment, the experimental group additionally performed a circuit aerobic exercise for 30 minutes, while the control group additionally performed a general aerobic exercise, i.e., gait training on the treadmill for 30 minutes. These 30-minute exercise sessions were held three times per week for six weeks. Pulmonary function was assessed using forced vital capacity (FVC), forced expiratory volume in one second (FEV1), and maximal voluntary ventilation (MVV), and gait endurance was assessed using the 6-minute walk test (6MWT). RESULTS: In the both groups, FVC, FEV1, MVV, and 6MWT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training. Members of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FVC, FEV1, and MVV, and significantly greater improvements than controls (p<.05). However, 6MWT improvement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two groups (p>.05). CONCLUSION: The devised circuit aerobic exercise program offers an effective rehabilitation aerobic exercise for improving pulmonary function and gait endurance in patients after chronic stroke.

유산소운동을 동반한 들숨근 저항운동이 20대 성인의 흡연 여부에 따라 호흡 기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Inspiratory Muscle Resistance Exercise with Aerobic Exercise on the Breathing Functions of Adults in their 20s Depending on Smoking or No smoking)

  • 한지원;이건철;김현수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125-134
    • /
    • 2021
  • Purpose : This study applies inspiratory muscle resistance exercise with aerobic exercise to smokers and nonsmokers and then determines whether subjects' breathing functions (FVC, FEV1) are increased and how much effect smoking has on the difference in the increase of breathing functions between the two groups. Methods : For this experiment, 26 male adults were selected and randomly allocated to the smoker group (n=13) and nonsmoker group (n=13). The smokers and nonsmokers performed the inspiratory muscle resistance exercise with aerobic exercise three times a week for four weeks. Regarding the breathing functions, the forced vital capacity (FVC) and forced expiratory volume in one second (FEV1) were measured three times: week 0, week 2, and week 4. The aerobic exercise was performed using a stationary bicycle with 8 difficulty levels. The inspiratory muscle resistance exercise was performed using Power Breathe with 10 resistance levels. Results : The study found that the FVC and FEV1 values of the smoker group decreased slightly after four weeks of inspiratory muscle resistance exercise with aerobic exercise. In other words,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contrast, the FVC and FEV1 values of the nonsmoker group increased by a statistically significant amount. In addition, the intergroup comparison of the average increases in FVC and FEV1 value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Conclusion :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when inspiratory muscle resistance exercise with aerobic exercise was performed, the increase in the breathing functions of nonsmokers was higher than that of smokers. This confirms that, within the parameters of the study, smoking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increase of breathing functions. This suggests that quitting smoking must be considered as an essential factor when applying a breathing physiotherapy or a breathing function improvement program in clinical settings

유산소운동능력의 차이가 로윙에르고미터 최대하 운동시 혈중 활성산소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erobic Exercise Capacity on Free Oxygen Radical in Blood during Submaximal Exercise in Rowing Ergometer)

  • 강신범;차화준;하해동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4권10호
    • /
    • pp.757-762
    • /
    • 2010
  • 본 연구는 유산소운동능력의 차이를 보이는 두 집단이 각각 로윙에르고미터 최대하 운동을 실시한 후 혈중 활성산소의 변화에 어떠한 차이를 나타내는지 구명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연구대상으로는 조정 선수집단 6명과 비선수집단 6명을 대상으로 최대유산소운동능력을 검사한 후 각각의 목표심박수 85~90%를 적용하여 로윙에르고미터 운동을 실시하였고 운동 전, 직후, 10분, 20분, 차30분에 각각 채혈하여 활성산소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유산소운동능력의 차이에 따른 활성산소의 변화에서 집단과 시기 간 상호작용 효과는 유의한(p<.05) 차이를 나타내어 시기에 따른 변화의 양상이 집단 간 차이가 있었고 사후검증 결과 회복기 10분에서 20분 그리고 20분에서 30분 구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인체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활성산소로부터 유산소운동능력이 우수한 조정선수집단이 비선수집단에 비해 긍정적인 회복 패턴을 보였다.

준호기성 매립구조에 있어서 폐기물 매립방법이 오염물질의 분해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olid Waste Landfill Method on Decomposition of pollutants in Semi-aerobic Landfill Structure)

  • 이남훈;이채영
    • 유기물자원화
    • /
    • 제8권4호
    • /
    • pp.153-159
    • /
    • 2000
  • 본 연구는 소각재 주체의 준호기성 매립지를 대상으로 폐기물 매립지가 보유하고 있는 오염물질에 대한 정화능력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조기안정화 매립공법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적 연구로, 대형 모의 매립실험을 약 4년간 실시하여 폐기물 매립고의 차이에 따른 오염물질의 정화능을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TOC 성분은 폐기물 매립고가 증가할 수록 매립지내에서의 분해량이 많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T-N의 경우에는 매립고 6m까지는 매립고가 증가할수록 폐기물의 분해능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6m 이상부터는 매립고의 증가와는 무관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모의 매립조 내부에서의 TOC와 T-N 성분의 물질수지를 평가할 때 폐기물 매립고가 6m정도 일때 오염물질에 대한 정화능이 가장 뛰어난 것으로 평가되었다.

  • PDF

호기성 액비화 발효열을 가정한 폐열회수시스템 구성 및 활용 연구 (A Study on Composition and Utilization of Waste Heat Recovery System Assuming Aerobic Liquid-composting Fermentation heat)

  • 임류갑;장재경;강태경;손진관;이동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56-66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가축분뇨 처리시설의 호기성 액비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을 회수하기 위한 폐열회수 시스템을 고안하여 시스템을 구성하는 요소 장치의 성능을 분석하였다. 또한, 회수된 열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실험 설정을 위해 가축분뇨 처리시설의 액비 발효조에서 발생하는 발효열을 확인하였다. 호기성 액비화를 위한 발효조의 온도가 균일성을 나타낸 특성과 34.5 ~ 43.9 ℃의 범위에서 운영되는 점을 고려하여 실험 온도 수준을 35, 40, 45 ℃로 설정하였다. PE 및 STS 파이프로 구성된 복합열교환기는 53.5, 65.6, 74.4 MJ/h 열에너지를 회수하고, 5 RT 용량의 히트펌프는 95.6, 96.1, 98.9 MJ/h 열에너지를 축열 하였으며, 이때 히트펌프의 난방성능계수는 4.53, 4.62, 4.65이었다. 발효조의 온도를 45 ℃로 가정한 열교환기의 최대 온수 생산능력을 급탕량 산정 방법으로 비교했을 때 56 360 kcal/day의 에너지 공급량을 확인하였다. 축열조와 연계된 FCU의 온풍 난방능력은 20.8 MJ/h, 에너지 이용효율은 96.1 %였다. FCU의 온풍으로 퇴비를 건조하였을 때 초기함수율 50.5 %에서 건조 후 함수율 45.8 %로 4.7 %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운동형태에 따른 중년여성의 신체구성과 혈중지질의 변화 (Effects of aerobic and combined exercise on body composition and blood lipid in the middle-aged women)

  • 김용철;김영수;양정옥;이범진;이중숙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4권6호
    • /
    • pp.1241-1251
    • /
    • 2013
  • 이 논문의 연구목적은 운동형태에 따라 중년여성의 신체구성과 혈중지질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대상은 40 50대 중년여성으로 유산소운동집단 8명, 복합트레이닝집단 8명 두 그룹으로 나누었으며, 12주간의 운동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운동강도는 주4회, 1회 70~90분, HRmax 60%~75%, 1RM 60%~80%로 점진적으로 증가시켰다. 자료처리는 Windows 용 SPSS ver. 21.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평균과 표준편차 등을 산출하고, 비모수통계분석 방법인 윌콕슨 부호순위검정과 윌콕슨 순위합검정을 통해 그룹별 사전-사후 평균차와 변화량에 대한 그룹간 차이를 검정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먼저 각 집단별 사전-사후 평균차에서는 복합운동 집단의 BMI, 체지방량, 그리고 중성지방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변인별 사전-사후 변화량에 대한 두 집단간의 차이 검정에서는 체지방량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부가적으로 통계적 유의성은 검증되지 않았지만 각 별인별 사전-사후 평균 변화에 대한 기술통계를 살펴보면 복합운동이 유산소운동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효과적일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Formic acid와 Caproic acid 첨가가 Reed Canarygrass Silage의 품질과 호기적 변패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ormic acid and Caproic acids on the Quality and Aerobic Deterioration of Reed Canarygrass Silage)

  • 김재황;고영두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32-141
    • /
    • 1994
  • 본 시험은 reed canarygrass silage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호기적 변패를 방지시킬 목적으로 재료를 약 1.5cm 길이로 절단하여 formic acid, caproic acid 및 두가지 산을 혼합하여 첨가한 silage를 9개의 처리구로 나누어 실험용 silo에 제조하였으며, silage의 품질분석을 위해서 두께 0.1mm, 용량 50kg의 vinyl bag을 이용하였다. 또한 호기적 상태에서의 온도변화, 질소 함량 변화 및 변패방지를 위한 silage의 안정성 시험은 지름 25cm$\times$높이 30cm의 plastic용기를 이용하여 개봉 직후와 7일간의 호기적 조건에서 실시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2. Silage의 화학적 조성에서 개봉 직후의 조단백질과 NFE함량은 formic acid와 caproic acid를 혼합 첨가함으로서 높았으며(P<0.01), 7일간의 호기적 상태에서는 혼합 첨가를 함으로서 조섬유와 ADF함량이 낮게 나타났다.(PM0.01). 2. Silage의 온도변화는 formic acid를 첨가함으로서 개봉 2일에 최고온도($34.4^{\circ}C$)에 도달했으며, caproic acid의 첨가와 formic acid + caproic acid의 혼합첨가를 함으로서 온도상승을 방지할 수 있었다. 3. 호기적 상태에서 silage의 pH변화는 formic acid를 첨가할 경우에는 효과가 없었으나, caproic acid를 첨가함으로서 silage의 pH는 안정되었다. 4. 총 질소에 대한 암모니아태 질소의 함량비율은 formic acid첨가구>caproic acid 첨가구>혼합첨가구 순으로 유의적으로 나타났다(P<0.01) 5. Caproic acid 1.2%첨가와 formic acid의 혼합 첨가(1.2%+1.2%)를 함으로서 mould의 성장을 억제하는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 PDF

젊은여성에서 8주간의 aerobic dance 훈련이 체구성, 심폐기능,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8 weekas aerobic dance training on the body composition, cardiopulmonary function and blood cholesterol concentration in young women)

  • 최명애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05-117
    • /
    • 1988
  • To evaluate training effect, aerobic dance was performed by eight female collegestudents for 8 weeks. Body composition, cardiopulmonary function at rest and during maximal exercise, blood cholesterol concentration at rest were determined before and after 8weeks of aerobic dance training. Maximal exercise was performed on the treadmill according of Bruce protocol. Pre to post training differences were evaluated.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 1. After the training, skinfold thickness and total body fat decreased significantly(p<0.1) while lean body mass increased with significance (p<0.1). 2. Heart rate and arterial blood pressure at rest decreased without sinificance after the training. 3. As a result of training, forced vital capacity and forced expiratory volume for a second increased significantly (p<0.01, p<0.1). 4. After the training period, heart rate at 3, 6, and 9 min. during treadmill exercise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pretraining (p<0.05). 5. After the training,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at 6 and 9 min during the exercise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pretraining (p<0.025, p<0.1). 6. After the training, oxygen uptake at 3 and 6 min during the exercise was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ose of pretraining (p<0.05). 7. As a result of training, the maximal oxygen uptake increased significantly during the exercise (p<0.1). 8. After the training, expired air volume for a minute at 3 and 6 min during the exercise was signigicantly grerter than those of pretraining (p<0.1). 9. After the training, repiratory quotient during the exercise was lower than pretaining without significance. 10. After the training, blood HDL -cholesterol concentration incereased with significance, (p<0.1) blood total cholesterol and triglycerids concentration decreasedsignificantly (p<0.1). From these results, it may be concluded that 8 week aerobic dance training reduces skinfold thickness and body fat contents, improves the cardiopulmonary function and tissue oxygen utilization, reduces blood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concentration and brings about the increase of blood HDL-cholesterol concentriation.

  • PDF